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명박의 부동산정책, 안정화가 되었다고?

ㅇㅇ(125.131) 2021.03.21 00:29:27
조회 105 추천 1 댓글 0

MB 부동산정책의 역설, 값 내렸는데 주거권은 악화…“왜?”


겉으로는 주택 가격이 안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서민들의 주거는 더욱 불안정해 졌으며, 장기적으로 주택공급물량 부족으로 주택 가격은 더욱 불안정해 질 것이라는 게 이날 토론회의 대체적인 의견이었다.

이날 발제를 맡은 변창흠 세종대학교 교수(부동산학과)는 이명박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곳곳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변 교수는 우선 “전세가격의 폭등으로 인한 세입자의 주거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 3년 동안 전세값이 20% 이상 급등하면서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는 서민 중산층의 주거 불안이 더욱 확대됐다는 것이다.

정부여당이 추진한 재개발·뉴타운 사업도 서민 주거 불안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다. 변 교수는 “정치적인 슬로건으로 시작된 뉴타운·재개발 사업이 정부의 규제완화 조치에 힘입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나, 원주민 재정착률 부족과 세입자의 강제축출, 인권 침해의 문제점을 낳은 채 현재는 사업성 부족으로 대부분이 중단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변 교수는 “정부가 앞장서서 주택시장을 부추기고 주택구입을 유도한 결과 가계부채가 795조원에 이르고 있다”며 가계파산의 위기도 우려했다. 그는 “각종 개발사업과 주택건설사업에 뛰어들었던 건설업체들의 연이은 도산과 부동산 PF(Project Finance)사업에 대출을 집중시켰던 저축은행들의 영업정지로 서민들의 가정경제와 지역경제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부동산팀장을 맡고 있는 유하룡 기자는 구체적인 수치를 근거로 들며 “이명박 정부의 집값 안정은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했다. 유하룡 팀장은 “강남 3구와 서울의 집값이 하락하면서 수치만 놓고 보면 집값은 노 정부 시절보다 안정됐다”면서도 “그러나 부산, 경남 등은 20~30%씩 뛰는 등 지방은 거꾸로 집값이 폭등했다”고 지적했다.

유 팀장은 또 “지표상으로 집값은 떨어졌지만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값은 여전히 금융위기 이전 수준보다 높은 지역이 대부분”이라며 “서울의 30평대 아프트 평균가격은 5억3000만원으로 2008년 12월(5억2000만원)과 비교하면 오히려 1000만원 더 상승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이 기간 동안 가계부채가 늘어나고 물가가 상승한 반면 실질소득은 정체되면서 주택구입능력은 전혀 개선되지 못했다”며 “주택시장에서 주택 수요자 기반이 계속 약화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공급’만이 살 길?

그렇다면 이명박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무엇이 문제이기에 이러한 문제점을 야기한 것일까?

정부가 5·1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후 박선영 자유선진당 정책위 의장은 “건설경기 활성화라는 명목으로 건설사와 금융권의 PF 부실을 메우기 위해 국민에게 부담을 지우려한다”며 “정부가 건설사와 금융권의 도덕적 해이를 부채질해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정부가 부실한 PF 사업장의 대출 보증을 확대하거나 공적자금으로 매입하는 등 부동산 PF 사업을 정상화하겠다는 방침을 지적한 것이다.

서울·과천 및 5대 신도시의 1가구 1주택자에게 양도세 비과세 요건 완화(현행 ‘3년 보유·2년 거주요건’ 중 ‘거주요건’ 폐지)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서도 박 의장은 “거주요건 폐지가 투기적 주택 수요라도 끌어들여 지역의 주택거래를 활성화하겠다는 뜻으로밖에 읽히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경실련도 성명을 통해 “금융지원, 세제지원, 토지이용 규제완화, 민자사업 활성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다주택자와 건설사만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 있는 정부가 과연 소비자 주거안정을 위해 필요한지 의문스럽다”고 꼬집었다.

이번 정부 정책에 대해 곳곳에서 제기되는 우려와 마찬가지로, 이날 토론회에 참여한 대부분의 패널들은 “‘시장만능주의와 부동산시장 팽창주의’라는 이명박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가 서민 주거를 불안정하게 만든 것”이라는 데 공감했다.

변창흠 교수는 “그동안 발표된 정책들을 요약하면 이명박 정부의 주요 부동산 정책은 주택 공급 확대와 주택 수요 창출을 통한 부동산 시장 활성화, 이를 위한 부동산 관련 규제 완화와 부동산 관련 세부담의 축소, 건설 산업의 지원 정책이 주된 내용”이라고 잘라 말했다.

특히 변 교수는 “2008년 이후 세계 경제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이명박 정부는 경제 위기 극복을 명분으로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부동산 정책의 원칙도 기꺼이 버릴 수 있다는 극단적인 정책 수단을 선택했다”고 평가했다.

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규제 완화를 주된 수단으로 활용하는가 하면, 주택 수요를 촉진하기 위해선 무주택자에게 주택 구입을 촉진하기보다는 기존 주택 보유자라도 주택을 구입하게 하는 등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서민의 주거 안정보다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췄다는 얘기다.

결국 현 정부의 ‘시장만능주의’는 투기 수요와 전세값 상승 등을 일으켰으며, ‘부동산시장 팽창주의’는 부동산 가격의 상승과 시장의 양극화를 초래했다고 변 교수는 평가했다.

변 교수는 특히 재개발·뉴타운 사업에 대해 “재개발 구역이나 뉴타운 구역 지정과 동시에 (투기로 인한) 지구 내 주택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하여 주택가격의 상승을 유발하게 된다”며 “재정비 사업으로 건설되는 주택의 총량이 증가하더라도 저렴한 주택에 거주했던 가옥주와 세입자들이 기주하기에는 너무 비싼 주택이 공급된다”고 꼬집었다.

변 교수는 전세값 문제도 정부가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을 축소하고 민간임대주택 시장에 맡긴 탓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현재의 전세대란은 세입자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부재에 원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민간임대주택 사업자를 위한 자금지원, 규제완화, 세제 지원을 통해 민간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대책으로 제시했다”며 “이것이 다주택자의 투자용, 투기용 주택매입을 촉진하고 주택수요를 유발하여 주택가격 상승까지 유도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변 교수는 “부동산 정책을 주거복지정책이 아니라 건설산업 활성화를 통한 경제 활성화 정책, 주택의 총량적 공급 확대 정책으로 인식함에 따라 전국이 개발 사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며 “이 많은 개발 사업이 동시에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추진될 경우 수요 부족과 과잉 개발로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개발 사업이나 재정비 사업이 공공성을 상실하고 수익성 여부에 따라 추진이 결정될 때 개발지역과 나머지 지역, 토지소유자와 세입자간의 지역별·개인별 소득 격차는 더욱 확대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공지 부동산 갤러리 이용 안내 [310] 운영자 05.05.27 453664 915
7240140 민좆당 지지자들은 중국같은 나라를 꿈꾸는 거야?? 갤러리(211.211) 12:17 1 0
7240139 엘레베이터 탔는데 러쉬 향수 냄새 난다 ㅡㅡ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7 2 0
7240138 혼자도 있을 수 잇는게 행복해지는 비결임 부갤러(118.42) 12:17 5 0
7240137 시발 결혼해서 잡혀서는것도 ㅎㅌㅊ 남들이나 그렇지 ㅇㅇ(223.38) 12:16 10 1
7240136 사촌형 태국여자랑 결혼한거 말해봄 ㅇㅇ(223.33) 12:16 12 1
7240134 손이 먼저 올라가는 187.68킬로 개일진 ㄷㄷ 내글(223.38) 12:16 7 0
7240132 이재명은 이제 끝났네 [4] ㅇㅇ(106.101) 12:16 14 1
7240133 바그네때를 보더라도 현상황지속되면 탄핵될거같다 [2] ㅇㅇ(223.38) 12:15 11 0
7240130 시발 충주 신축아파트 내년 입주인데 좆됐다.. [1] 부갤러(121.191) 12:15 7 0
7240129 원래 남 비위 맞추는게 개좆같은건데 ㅋㅋ [2] ㅇㅇ(223.62) 12:15 12 1
7240128 솔직히 평생 20대면 결혼 안해도 됨 [1] ㅇㅇ(223.38) 12:15 12 0
7240127 줮터지는 조센징 보고가라 부갤러(221.153) 12:15 12 0
7240126 남자는 결혼 안하고 버텨도 아무 문제 없다 [1] 부갤러(223.39) 12:14 24 1
7240125 난 돈없으니까 캥거루나 해야지 ㅇㅇ(118.235) 12:13 7 0
7240124 아니 결혼 안하고 나이40506070 어케 사노 시발 [7] ㅇㅇ(223.38) 12:13 27 0
7240123 같이 늙어가는 동반자가 있으면 좋죠 [1] ㅇㅇ(76.146) 12:12 26 1
7240122 결혼을 넘 많이하면 집값에 악영향이 있으니까 결혼하지 마세욬ㅋㅋ Stoi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2 11 0
7240121 강남 수서까치마을아파트 재건축, 리모델링 추진현황 [4] 푸티(39.125) 12:11 17 0
7240120 뭐래 소득 상위 10프로 결홍 비율 95프로구만 ㅋㅋ ㅇㅇ(223.38) 12:11 14 0
7240117 과천은 슬슬 물갈이 가속도 붙이네 [12] ㅇㅇ(175.223) 12:10 36 0
7240116 엔저는 전부터.. 자산 긁기 위한 고의라고 말했다.. [4] 야스이■센타치(212.102) 12:10 31 0
7240115 요즘 돈있는 사람도 결혼 안할려고해 [4] 부갤러(182.228) 12:10 40 3
7240114 사람은 늙기 때문에 결혼을 해야한다 ㅇㅇ(223.38) 12:10 16 0
7240113 고강동 < 어떻게 핑까하냐? 부갤러(211.234) 12:10 12 0
7240112 왜 여기서 연애타령이야 ㅇㅇ(223.39) 12:09 18 0
7240111 박원숭이나 뽑아대는 서울병신들이 민심타령하는게 제일 웃김 ㅇㅇ(122.43) 12:09 16 0
7240110 연애 결혼해라도 미디어 가스라이팅이지ㅋ ㅇㅇ(223.62) 12:09 17 0
7240109 "벌어봤자 빚 못 갚아"…늘어나는 벼랑 끝 사장님들 [1] ㅇㅇ(223.38) 12:09 22 0
7240108 결혼 안한다는게 말이 안됨 [6] ㅇㅇ(223.38) 12:09 35 1
7240107 원래 타인은 지옥임 [4] 부갤러(118.42) 12:09 32 2
7240106 재산 소유욕구, 결혼 하고싶은 욕구..이 두가지는 대체제 같다 일산(1.46) 12:08 22 0
7240105 자영업 매출 줄고 줄폐업하는데 ‘내수회복 조짐’이란 정부 [2] ㅇㅇ(223.38) 12:08 26 1
7240104 전기요금 지역별 차등제 적용해야함 [2] ㅇㅇ(122.43) 12:07 26 0
7240103 자식낳어야된다는 말도 안먹히는게 ㅇㅇ(118.235) 12:07 25 1
7240101 혼자 살면 연애 안 하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 [4] 브롬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7 36 0
7240100 난 진짜 노무 만족 ㅌㄷ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7 24 0
7240099 늙은 한녀 vs 어린 벳녀 [7] 부갤러(118.42) 12:07 40 0
7240097 같이 늙어가는 동반자 하나 없다는게 말이 안됨 ㅇㅇ(223.38) 12:07 21 1
7240096 여자 많이 만났다. ㅇㅇ(223.33) 12:06 20 0
7240095 가질수 없으니까 [2] ㅇㅇ(58.231) 12:06 25 0
7240094 장마 시작인가요? ㅡㅡ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6 22 0
7240093 오늘 0.5에서 유의미한 변화 있다고 첫 언급 ㅋㅋㅋ 야스이■센타치(212.102) 12:05 52 0
7240092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3번을 보여줬다. ㅇㅇ(112.171) 12:05 28 0
7240091 시발 결혼 안하는게 진짜 말이 안됨 ㅋㅋ [3] ㅇㅇ(223.38) 12:05 33 0
7240090 서울 병신들과 분리독립하고싶다 [4] ㅇㅇ(122.43) 12:05 22 0
7240089 결혼 꼭해라 부갤러(106.101) 12:05 24 2
7240087 자살자 늘어난고보니 보수끝났고 보수는 영원히 정권못잡아 ㅇㅇ(223.38) 12:04 15 0
7240086 펌) 세무사의 국제결혼 후기ㄷㄷ [6] ANTONIO R.(58.227) 12:04 60 0
7240085 돈 좀 모아서 이민가라 [1] 부갤러(221.153) 12:03 1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