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분담금·이주비 등 증가에 고령 조합원 둥지내몰림 심각"

ㅇㅇ(175.223) 2024.05.21 17:50:29
조회 114 추천 0 댓글 1

최근 공사비 급등과 주택시장 침체 등으로 인해 전국 곳곳의 정비사업장에서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금리가 올라 고령 조합원이 재건축·재개발이 완료된 집에서 살지 못하고 이를 처분하는 일도 빈번해졌다.

이 같이 고령자 주거안정이 위협받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정비사업형 주택연금' 상품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2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내 집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는 정비사업형 주택연금 도입(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현 정부 출범 뒤 정비사업에서 제도적·정책적 걸림돌은 상당히 줄어들었으나 공사비가 크게 오르며 사업성 저하가 크게 대두됐다는 분석이다. 대부분의 현장에서 사업 추진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사업성 저하는 조합원 분담금 상승으로, 이는 다시 사업진행 차질과 조합원 주거안정성 저하로 이어지는 구조다. 분담금 급등으로 인한 부담은 미래 기대소득이 적은 고령자층에게 더 크게 전가된 상황이다.

현금자산이 부족한 조합원들은 통상 입주 시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분담금 대출과 이주비 대출의 원리금을 상환한다. 이 경우 고금리 환경 속에서 소득이 적은 고령 조합원은 원리금 상환 부담을 지게 된다.

최근 바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 적용으로 소득이 적은 고령 조합원은 분담금 대출 등의 상환을 위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데도 상당한 제약이 생길 수 있다.

당초 추정보다 분담금이 크게 증가한 상황에서 고령 조합원 다수가 자금마련 부담으로 완공된 주택에 거주하지 못하고 임대 또는 처분해야 할 것이란 전망이다.

정비사업 적용에 한계 보이는 주택연금… 개선 절실

현재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운영 중인 주택연금 상품에서도 관리처분계획인가 전 단계와 이전고시·소유권보전등기가 완료된 이후(준공 후 통상 1년 내외 소요) 주택연금 가입이 가능하다. 이 상품은 아래와 같은 한계와 가입자 측면에서의 불이익을 지닌다.

관리처분계획인가 전 단계에 가입하는 경우 개발이익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이주비와 분담금 대출·조달에 제약이 생긴다. 현행 주택연금은 정비사업 결과 새롭게 분양받은 주택의 가치를 재평가하지 않고 기존 담보가치에 분담금을 단순 합산해 담보가치를 재산정한 뒤 월 지급금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이 같이 비용과 위험을 감수하고 추진하는 정비사업을 통해 실현되는 개발이익은 충분히 인정받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HF가 담보 주택에 선순위 근저당을 설정하고 있기에 주택연금에 가입한 조합원은 이주비 대출을 받는 데 제약이 있다. 이주비 조달을 위해 한국주택금융공사가 특례 전세보증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한도가 3억원으로 제한된다.

분담금 조달에도 한계를 보인다. 현재 정비사업에서 조합원은 분담금의 70% 한도로 대출되는 조합원부담금 대출상품을 통해 분담금 중도금까지 조달이 가능하다. 잔금은 입주 시 주택담보대출을 일으켜 납부하는 구조다.

이주비 대출과 유사한 제약으로 주택연금 가입자는 해당 대출상품 이용이 어렵다. 주택연금 가입자는 공사가 정한 용도에 적합할 경우 인출한도 내에서 일시금을 인출할 수 있는 제도가 있긴 하지만 원칙적으로 분담금 목적으로 인출은 제한되므로 생활자금 목적 등 '우회적' 방식으로 인출해 납부해야 한다.

이때 납부해야 하는 분담금 대비 인출 한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분담금 조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조합원들이 실현된 개발이익을 인정받고 사업 과정에서 이주비와 분담금 대출을 원활하게 받기 위해서는 새롭게 지어지는 주택이 완성된 후 주택연금에 가입해야 한다.

이 경우에도 현행 주택연금에선 분담금 대출 등의 상환 시점과 주택연금 가입가능 시점 간의 괴리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 분담금 대출 등은 입주 시에 상환해야 하지만 주택연금은 이전고시 및 등기완료 후에 가입이 가능해 1년가량의 시차가 발생한다. 입주 시 주택연금의 개별 인출금을 활용해 분담금 등을 상환할 수 없는 구조다.

소송 등으로 인해 이전고시가 오랜 기간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되면 조합원은 해당 기간 동안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분담금 대출 등을 우선 상환해야 한다.

원리금 상환 부담과 DSR 적용으로 충분한 금액을 대출받기 어려울 수 있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지 3년 이내에 주택연금에 가입하고 기존 주택담보대출을 상환한다면 차주는 (대개) 중도상환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는 맹점도 있다.

현행 주택연금은 공시가격 기준 12억원까지만 가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년 이상이 소요되는 정비사업에선 사업 도중 준공 후 주택가격을 예측하기 어렵다.

주택연금을 활용, 분담금 등을 납부하려고 계획했던 조합원은 주택연금 가입 가능 시점(이전고시등기완료 후)에 주택가격이 상승해 가입이 힘들어질 수 있는 위험도 공존한다.

건산연은 정비사업의 적용에 있어 현 주택연금의 미흡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주택완공 후 실현되는 개발이익을 담보주택 가격에 반영할 수 있는 구조 도입 🔼이주비·분담금 조달 관련 문제 개선 🔼개별인출금 사용 용도에 분담금 등 포함 🔼분담금 대출 등 상환 시점과 주택연금 가입 및 개별인출 가능 시점 간의 불일치 해소 🔼사업 과정에서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주택연금 가입 자격 불확실성 제거 등의 도입 필요성을 제시했다.

정비사업만을 위한 새 주택연금 나와야

사업성 저하로 인한 정비사업 차질과 특히 고령 조합원의 주거안정 저하 문제를 함께 개선할 수 있는 수단으로 두 가지 모델의 새로운 '정비사업형 주택연금' 상품 도입도 제안했다.

이태희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공사비와 금리, 주택시장 상황이 과거와 같은 환경으로 돌아가기 힘들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최근 재정비사업이 역점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1시 신도시를 포함해 정비사업지 내 고령 조합원 비율이 높다"며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원활한 정비사업비 조달과 고령자 주거안정 제고 방안의 모색이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첫 번째는 '주택완공 후 신규가입형'이다. 분담금 용도로 개별인출이 불가능하고 분담금 대출 등 상환 시점과 주택연금 가입·개별인출 가능 시점 간의 불일치, 사업 과정에서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주택연금 가입 자격이 불확실한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기존가입형'이다. 담보주택 가치에 주택완공 후 실현되는 개발이익을 미반영하고 이주비와 분담금 조달 어려움, 분담금 용도로 개별인출이 불가능한 단점을 개선한 상품이다.

이 부연구위원은 "현행 주택연금에서는 원칙적으로 가입 후 동일주택에 대한 담보가치 재평가를 허용하지 않고 있지만 정비사업의 특수성과 공익적 효과를 고려한다면 예외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며 "정비사업은 주거환경 개선과 자산가치 상승을 목적으로 비용을 들이고 위험을 감수하며 새로운 주택단지와 기반시설 조성 노력을 통해 가치가 향상된다는 특수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비사업에 적합한 주택연금이 도입된다면 고령 조합원들이 분담금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어 동의율을 높일 수 있고 분쟁을 줄여 신속·원활한 정비사업 추진 및 주택공급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비사업의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힌 '고령 조합원 둥지내몰림'을 방지해 고령자 주거 안정을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7237618 요즘 재택많아서 창문형에어컨 존나잘팔리겟네 ㅋ [6] 천억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4 50 0
7237617 인천에서 절대 가면 안되는 동네 1티어.JPG [2] 부갤러(108.181) 13:13 62 0
7237616 창문형에어컨 이거 간단한고냐 [9] 천억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3 57 0
7237614 한두집도 아니고 보증보험 감정평가비용으로 돈 엄청풀릴듯 ㅇㅇ(223.38) 13:12 20 0
7237613 도쿄 아파트 오피스텔이 빈집 투성이 인게 [5] ㅇㅇ(118.46) 13:12 71 2
7237612 솔직히 내가 집 20억 넘는거 한 채 있잖아? [6] ㅇㅇ(221.163) 13:11 56 0
7237611 존나게 서로 빼먹는데 [6] 부갤러(106.240) 13:11 51 0
7237610 한반도는 북한인들이 살기좋은나라임 뒷통수한방(1.213) 13:11 20 0
7237609 사람들이랑 함께할만한 취미 뭐 없을까? [11] ㅇㅇ(221.163) 13:10 39 0
7237608 업자들 또 단체로 난리치네ㅋㅋ [8] ㅇㅇ(98.98) 13:10 523 32
7237607 .. 콩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0 23 0
7237606 과천은 지정타 마지막 20일, 과천지구 30일 시작이네 ㅇㅇ(175.223) 13:10 38 0
7237605 방에둘 냉방기기 선풍기보다 더시원한거있냐 [11] 천억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0 46 0
7237604 폭락이새끼들 아파트 개폭등한거 배아프니까 이제 빌라 올려치기중ㅋㅋㅋㅋㅋㅋ ㅇㅇ(125.177) 13:10 16 2
7237603 서울이 40도가 안넘을거라고? 지금 폭염은 정상이고? [2] ㅇㅇ(1.239) 13:08 39 1
7237602 진짜 모르겠어서 묻는건데. 여기가 김해나 창원보다 낫지 않냐? 부갤러(39.117) 13:07 28 0
7237601 앞으로 갈수록 아파트 1층은 로열층이 될거다 [5] ㅇㅇ(1.224) 13:08 89 0
7237600 퐁락이랑 영끌이 싸움은 영끌이가 불리할수밖에 없어보임 [9] ㅇㅇ(121.162) 13:07 60 3
7237599 “전라도 광주” 근황 [2] ㅇㅇ(106.101) 13:07 59 10
7237598 부갤에 상주하는 아줌마들 = 여가부 알바 = 영끌이 [1] ㅇㅇ(202.86) 13:06 27 3
7237597 <긴급속보> 금발미녀, 탈한쿸 선언 ! ㅇㅇ(223.39) 13:06 36 1
7237596 서울 아팟은 고점 회복했고 금리는 인하 예정이고 부갤러(118.235) 13:06 28 3
7237595 언제적 빌라 내려치기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2] ㅇㅇ(1.224) 13:05 71 0
7237594 cmd로 추출한 윈도우 제품키 변조된거임?? 박스에 있는거랑 다름?? [2] ㅇㅇ(123.213) 13:05 17 0
7237593 서울 아파트가 계속 뛰는 이유= 피꺼솟 폭염 [3] ㅇㅇ(1.239) 13:05 44 1
7237592 부갤. 1년보니 대충 뭐하는곳인지 감 잡음 [1] ㅇㅇ(118.235) 13:05 42 2
7237591 <속보> 삼重, 러시아 선박 계악해지 통보받아 ㅇㅇ(223.39) 13:05 37 1
7237590 분당 하이엔드 뭐로 들어옴? [1] ㅇㅇ(118.37) 13:04 20 1
7237589 오오미 우리 슨상님 ㅇㅇ(106.101) 13:04 21 1
7237588 문재앙때처럼 아파트주간 1%씩 오르던 시절인줄 아냐 부갤러(203.229) 13:04 22 0
7237587 한국도 지금 다 내리막길아님? [1] 부갤러(106.101) 13:04 29 1
7237586 영끌이 폭락이보다 더 좆같은 놈들 [1] ㅇㅇ(1.224) 13:02 41 0
7237585 서울이 8월에 45도 안될거라고? ㅇㅇ(1.239) 13:02 38 0
7237584 해운대 엘시티 - 수퍼 펜트 240억 [5] ■x(39.7) 13:01 52 1
7237583 주담대 연체 경매 ㄱ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 25 0
7237582 임직원 2200여명 달려들어 구매후기 쓰고, PB 상품 검색 조작 ‘쿠팡 [1] ㅇㅇㅇ(218.235) 13:01 33 0
7237581 빌라도 지금은 살만하지. 문제는. ㅇㅇ(218.235) 13:01 19 0
7237580 이런 날씨에는 부갤러(115.138) 13:01 18 0
7237579 경상도 욕할 처지가 되나 ㅇㅇ(106.101) 13:00 22 0
7237578 지금의 외교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임 부갤러(106.101) 13:00 17 0
7237577 아파트 1층살아 보니깐 [2] 부갤러(211.114) 12:59 59 1
7237576 <충격속보> 미래에 미쿸은 붕괴된다 ㅇㅇ(223.39) 12:59 47 1
7237575 쿠팡 과징금은 정부가 안중근의 심정으로 일본을 겨눈거지 ㅇㅇ(121.165) 12:59 19 0
7237574 한국. 일본이든 중국이든 1개국 선택해라(피터 자이한) [1] 빌라월세(175.223) 12:59 39 0
7237573 빌라 원룸 다세대 살면 서울 8월에 40도 폭염때 질식사함 [3] ㅇㅇ(1.239) 12:59 28 0
7237572 지방도 아파트 가격 미쳤네 ㅋㅋㅋㅋ [2] ㅇㅇ(223.39) 12:58 71 0
7237571 [속보] 가계대출 연체율 급격히 감소세..."안정되는 서민 경제" [2] ㅇㅇ(118.46) 12:58 115 8
7237570 백수는 휴가 어디가야되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8 32 0
7237569 진짜 저능아도 아니고 예체능 왜 했지... [2] 부갤러(223.62) 12:58 41 0
7237568 오늘 중국 74도 태국 65도 베트남 49도 이집트 58도 ㅋㅋㅋ [2] ㅇㅇ(1.239) 12:57 3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