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KQ? KU? QNA? 알쏭달쏭 삼성전자 TV 모델명 읽는 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9.22 16:07:54
조회 58 추천 0 댓글 0
[IT동아 권택경 기자] 전자제품에는 보통 두 가지 이름이 있다. ‘모델명’과 ‘펫네임(Pet Name)’이다. 모델명은 제조사가 내부 규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붙인다. 얼핏 보면 알파벳과 숫자를 무작위로 나열한 것 같지만 규칙만 알면 이름만으로도 그 제품이 어떤 제품인지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입에 쉽게 붙는 이름은 아니다. 길고 복잡해서 기억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필요한 게 펫네임이다. 우리가 흔히 부르는 전자제품의 ‘애칭’들이다. 알기 쉬운 브랜드명과 숫자 혹은 알파벳 정도로 이뤄진다. 갤럭시 S22, 아이폰 12, 갤럭시북 프로, 그램15 등등…

스마트폰, 노트북 등 일부 분야에서는 펫네임이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분야도 많다. 기억하기 쉬운 펫네임이나 브랜드 이름이 있더라도 지나치게 넓은 제품군을 포괄해 변별력이 떨어질 때도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텔레비전(TV)이다.



TV에는 보통 OLED, QLED 등 디스플레이 패널 종류에 따라 브랜드 이름을 붙인다. 여기에 해상도나 크기(평형) 정도를 알려주는 단어가 앞뒤에 추가로 붙는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TV를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따지는 게 크기이니, 이것만 해도 충분하다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같은 패널과 해상도, 평형 제품이라고 해도 급에 따라서 화질이나 부가 기능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

제품 특징을 빠르게 파악하고, 비교한 뒤 구매하고 싶다면 모델명을 읽는 법을 파악해두는 게 좋다. 특히 중고거래 상황처럼 판매자가 정확한 제품 사양을 모를 때 모델명이 의미하는 바를 알면 유용하다. 이번 시간에는 삼성전자 TV 모델명을 읽는 법을 준비해봤다.

삼성전자 TV 모델명 공식=패널 종류/화면크기/출시 연도+사양/판매방식

예시1. KQ50QNA90AFXKR



삼성전자가 올해 출시한 50인치 네오 QLED TV 제품이다. 이 제품 모델명은 KQ/50/QNA90A/FXKR 이렇게 네 부분으로 나눠 해석할 수 있다. 먼저 KQ는 2020년 이후 출시된 QLED TV 제품에 붙는 기호다. 2019년 이전 제품에는 QN이 붙는다. 그다음에 오는 50은 화면 크기를 의미한다.

QNA90A는 2021년 출시된 네오 QLED 4K(3840x2160) 해상도 제품 중 최고급형 제품을 뜻한다. 네오 QLED는 미니 LED를 적용해 밝기, 선명도, 명암비를 개선한 삼성전자의 차세대 LCD 패널이다. 올해 출시된 제품 중 네오 QLED 4K 제품에는 이렇게 QNAxxA 형식의 모델명이 붙는다. 숫자 부분은 제품 사양을 나타낸다. 높을수록 더 고급형 제품이다. 최고급형인 90 아래로는 고급형 85가 있다. 85와 90은 전반적인 성능과 기능은 비슷하지만 색상과 명암 표현을 더 풍부하게 해주는 고명암 대비(HDR) 성능에서 차이가 난다.



네오 QLED 제품 중 8K 해상도 제품에는 QNAxxx 형식의 모델명이 붙는다. QNA800, QNA900 두 종류가 있다. 최상위 제품인 QNA900은 화면 테두리(베젤)가 거의 없는 '인피니티 스크린'을 지원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HDR, 스피커 성능도 더 뛰어나다.

미니 LED가 적용되지 않은 일반 QLED 제품도 있다. 2021년형 QLED 제품에는 모델명이 QAxxA 형식으로 붙는다. QNA에서 ‘네오’를 의미하는 N이 빠졌다고 보면 된다. 중고급형인 QA80A, 중급형인 QA70A, 보급형인 QA60이 있다. 이 모델명 형식은 매년 바뀌기 때문에 어떤 형식인지를 보면 정확한 출시 연도도 알 수 있다. 2020년 제품은 QxxTA, 2019년 제품은 QxxRAm, 2018년 제품은 QxxFNA 형식이다.

마지막 FXKR은 판매 국가를 의미한다. FXKR은 한국 판매 제품을 의미한다. 해외 판매 제품에는 FXZA가 붙는다. 다만 삼성 TV는 국내 판매 제품과 해외 판매 제품 모델명 체계가 다르므로 마지막 판매 국가 코드 외에도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네오 QLED 제품 국내 모델명은 QNAxxA 형식이지만 해외 제품은 QNxxAA 형식으로 붙는다. 마찬가지로 일반 QLED 제품도 QAxxA가 아니라 QxxAA 형식으로 붙는다.

예시2. KU85UA7000FXKR



QLED 제품이 아닌 일반 UHD(4K 해상도) TV 제품에 붙는 모델명 형식이다. 예시 제품은 85인치 UHD TV 중 보급형에 속하는 제품이다. KU/85/UA/7000/FXKR 이렇게 나눠서 읽어볼 수 있다. 먼저 KU는 일반 LED 제품 중 2020년 이후 출시 제품에 붙는 기호다. 2020년 이전 제품에는 UN이 붙는다. 그다음 숫자는 화면 크기를 의미한다. 이 제품의 경우 85인치 제품이다.

UA는 출시 연도를 나타낸다. UA는 2021년, UT는 2020년, RU는 2019년, NU는 2018년을 의미한다. 그다음 네 자리 숫자는 제품 사양에 해당하는 숫자다. 가장 보급형인 7000부터 8000, 8100, 9000, 9500 순으로 올라간다. 9000 이상 제품에는 영상에 맞춰 소리가 움직이는 듯한 무빙 사운드를 지원한다. 자동 저지연 모드(ALLM), 게임 모션 플러스, 게임바 등 게임에 최적화한 부가 기능도 9000 이상 모델만 지원한다.

마지막 부분은 QLED 제품 때와 마찬가지로 국내 판매 제품과 해외 판매 제품에 따라 나뉘지만, 전반적인 모델명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마지막 부분 외에도 차이가 난다. 국내 판매 제품의 경우 2020년 이전 제품에는 가장 앞에 UN이, 2020년 이후 제품에는 KU가 붙지만 해외 판매 제품은 2020년 이후 제품이라도 UN이 붙는다.

삼성전자 TV 모델명은 각 부분이 한 가지 의미로 똑떨어지는 게 아닌 데다, 매년 형식이 바뀌므로 다소 직관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결국 핵심이 되는 정보는 숫자와 그 앞뒤에 있는 알파벳에 있기 때문에 그 부분만 집중해서 보면 된다. 두 예시에서 ‘50QNA90’, ‘85UA7000’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의 의미만 파악하면 제품 크기, 패널 종류, 사양, 출시 연도를 모두 알 수 있다.

모델명을 확인할 때 한 가지 유념해야 할 점은 모델명 체계 자체는 어디까지나 제조사가 자의적으로 정한다는 점이다. 제조사가 제조사의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붙이는 규칙이므로 삼성전자의 경우처럼 해가 넘어갈 때마다 제품군을 정비하며 모델명 체계를 바꾸기도 한다. 따라서 정확한 제품 사양 파악을 위해서는 가급적 제조사 설명이나 판매자가 제공하는 제품 상세 정보도 함께 확인하는 게 좋다.

글 / IT동아 권택경 (tk@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CX? G1? KN? 알쏭달쏭 LG전자 TV 모델명 읽는 법▶ 스마트폰 신기술 속속…2억 화소 카메라 폰, 주름 적은 폴더블 폰 나온다▶ 이미지 센서, 흔들림 보정…디카 기술 속속 스마트폰에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85 서울시 임재근 창업정책과장, “서울시도 스타트업 생태계 구성원 중 하나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44 0
284 [하이서울 V.C 탐방] 에이앤에스개발 "우산 빗물 제거도 이제 친환경으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503 2
283 [하이서울 V.C 탐방] 씨앤에치아이앤씨 "일상 속 라돈의 위협을 줄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40 0
282 [리뷰] 문턱 낮아진 전문가용 메시 공유기, 넷기어 오르비 프로 미니 SXK3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9 57 0
281 [하이서울V.C 탐방] 한터글로벌 "빅 데이터로 K-POP 세계화 이끕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9 47 0
280 애플·삼성·구글·소니 총출동, 10월 ‘테크토버’ 달굴 신제품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9 684 0
279 M1X 아닌 'M1 프로'와 'M1 맥스'··· 애플, 차세대 맥북 프로 공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9 914 2
278 [BIT 인사이트 저널] 작품 소유권 분할구매 '테사', 중국 미술시장을 잡아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51 0
277 아마존닷컴 ‘스마트 홈’ 보면 IoT 사업 기회 보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89 0
276 제철 수산물을 저렴하게, 어민들에게 희망을 건네는 '수산대전 돈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44 0
275 [뉴스줌인] PC용 파워서플라이 등급, '80 플러스 골드'에 주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53 0
274 [하이서울 V.C 탐방] 모인 "불편한 해외 송금에도 혁신이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41 0
273 [리뷰] 카메라 성능에 한 획을 그었다, 애플 아이폰 13 프로 맥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61 0
272 [스케일업] "나를 위한 '똑똑한'푸드 없을까?" 라이프샐러드의 고민과 도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722 0
271 뜨거운 인기 누리는 '핀테크' 업계, 앞으로 남은 과제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6 1056 0
270 [송대리의 잇(IT)트렌드] '오징어 게임' 돌풍, 경쟁자도 극찬한 넷플릭스의 전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65 0
269 비대면 교육의 사각지대 '소통', 협업 툴로 채우는 사례 늘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46 0
268 [IT신상공개] 집안으로 들어온 디지털 정원, LG전자 식물생활'신'가전 - 'LG틔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73 0
267 데이원컴퍼니 이강민 대표, "우리에겐 삶을 잘 살기 위한 '교과서'가 필요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54 0
266 [농업이 IT(잇)다] 배성훈·윤지현 윌로그 “디지털 전환으로 투명한 물류 업계 만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855 0
265 [하이서울 V.C 탐방] 아이엠비디엑스 "혈액만으로 암을 진단합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751 0
264 [스케일업] 보라웨어 (1) “키워드 검색 광고주와 대행사를 위한 퍼포먼스 마케팅 솔루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46 0
263 [BIT 인사이트 저널] '오늘의집', 일본 부동산 시장에도 안착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4 59 0
262 [하이서울 V.C 탐방] 희스토리푸드 "K푸드 열풍 이끄는 종합 식품 기업이 목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4 40 0
261 [모빌리티 인사이트] 국방의 의무도 기술이 해결한다, 밀리테크(MiliTECH)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4 91 0
260 디즈니+, 베일에 감춰둔 '韓 오리지널 콘텐츠' 대거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4 78 0
259 디즈니+ 11월 12일 공식 출시··· OTT 무한 경쟁시대 온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4 863 2
258 레드햇 포럼, 오픈 소스 기반 클라우드화 성공 사례로 눈길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3 598 0
257 [앱으리띵] 정품감별사가 인정한 한정판 제품, 안심하고 사고 파는 '크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3 44 0
256 '고객 관리'도 디지털 혁신··· 세일즈포스가 밝힌 고객 관리 사례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3 57 0
255 반도체 수급난 디카 업계에도 찬물, 8월 생산량 줄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3 58 0
254 [하이서울 V.C 탐방] 웨인힐스벤처스 "영상 제작? 텍스트만 넣으면 자동으로 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3 48 0
253 [주간투자동향] 파운트, 40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3 38 0
252 레드햇, 다양한 IT 환경 대응하는 ‘오픈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3 40 0
251 [IT하는법] 윈도 11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활용하기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3 1018 5
250 '의료비 부담 덜어드립니다', 본인부담상한제로 부담 없이 병원 가기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2 1023 1
249 [리뷰] 개인, 기업 모두를 위한 클라우드, ‘시놀로지 C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2 52 0
248 [리뷰] 손맛이 짜릿한 드론, 디스이즈엔지니어링 시프트 레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2 38 0
247 [하이서울 V.C 탐방] 청류에프앤에스 "청정 여과 기술로 자원 재활용에 기여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2 33 0
246 [스케일업] “고기 같은, 고기 아닌 대체육 시장에 도전한다”, 위미트 안현석 대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2 49 0
245 [기고] 상처를 점과 호박으로 어루만진 예술가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2 1291 5
244 '온라인청년센터', 청년 정책 놓치지 않고 챙기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8 94 0
243 건강 관리하면 나라에서 지원금 준다, '건강 관리는 스스로'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8 3900 5
242 [송대리의 잇(IT)트렌드] 하반기에 쏟아지는 전기차 , 어떤 걸 사야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8 74 0
241 [스케일업] “저는 ‘장미녀’, 장어에 미친 여자입니다”, 웰피쉬 정여울 대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8 94 0
240 [농업이 IT(잇)다] 이민호 미리본 대표 “사람과 반려동물 모두 행복한 세상으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8 678 0
239 박종일 경기도 미래산업과장 "퓨처쇼, 미래 기술 체험과 상생의 장으로 기획"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8 39 0
238 [하이서울 V.C 탐방] 위즈코어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이끕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8 451 0
237 핀테크 기업과 망 분리 규제, "혁신과 보안의 합의점이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7 45 0
236 한 걸음마다 펼쳐지는 미래기술, 퓨처쇼 2021을 가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7 4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