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국립의대 탑 2 : 서울의 경북의

00(100.1) 2017.04.23 13:38:04
조회 183 추천 0 댓글 0
														
국립의대 탑 2 : 서울의 경북의


대한민국 의학 태동기 라이벌


근대 3대 관립의전


경성의전(설의) = 대구의전(경북의) = 평양의전



<대한민국 의과대학 역사>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4f52af6705314aa8757c0f25b2a426834d7815f3b771cb3c4b14105acfe2d00b004f1dc01a4675efbf410ad83



우 리나라 의과대학 계보를 도식화 한 차트. 우리나라 의과대학 역사는 크게 3개 의과대학에서 뻗어나왔다.(여기에 포함 되어있지 않은 의과대학은 어느 한 대학이 주도하지 않고 여러 대학이 혼합되어 시작된 대학이다.)한양대 의대의 경우 이사장이 계획적으로 서울대 50%, 연세대 50%로 교수를 선발하여 서로 견제하게 만들어서 꽤 성과를 보았고 한때 동양 최고의 병원이라고 불렸었다.

국 립의대는 건국초기 서울의대와 경북의대 출신이 격돌하는 곳이었다. 전남의대의 경우 경성의전 출신과 대구의전 출신이 번갈아가면서주도권을 잡았다. 충남의대는 처음에는 경북의대가 점유하였으나 후에 서울의대로 주도권이 넘어갔다.(현제는 충남대출신이 장악) 연세대는 이렇다할 브랜치가 없었으나 80-90년대 의대가 마구 설립되면서 문어발식 영역확장을 하였다.

세의대: 1885년 미국 Ohio 주 마이애미 의과대학 출신인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H.N. Allen에 의해 광혜원이 설립, 1904년 세브란스 의학교가 개교하여 1908년 1회 졸업생 7명이 배출됨.



경북의대: 1923년 설립된 공립의학교로, 병원장 池上四郞, 부원장 藤繩文順, 주임교수 吉田準一郞 등  교토제국대(京都帝国大学) 출신 교수 16명 주도로 의학교육이 시작됨



서울의대: 1923년 제국대학령에 의해 경성제국대학이 설립되고 1926년 내과의사인 志賀潔를 필두로한 도쿄제국대(東京帝国大学) 출신들 주도로 의학교육이 시작됨.



55A4C8A73D02E90034


I. 해방전

1의대 7의전 체제.

의대 - 경성제국의대

의학전문학교 - 경성의전
                     세브란스의전
                     대구의전
                     평양의전
                     함흥의전
                     광주의전
                     경성여의전


* 1904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개교(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1916년 경성의학전문학교 개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1923년 대구의학전문학교 개교(경북대학교 의과대학)
* 1923년 평양의학전문학교 개교(평양의과대학)
* 1926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개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1938년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개교(고려대학교 의과대학)
* 1944년 광주의학전문학교 개교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 1944년 함흥의학전문학교 개교 (함흥의과대학)

55A4C93F3D26EF001F


1885년 마이애미 의과대학 출신인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H.N. Allen에 의해 광혜원이 설립, 1904년 세브란스 의학교가 개교하여 1908년 1회 졸업생 7명이 배출됨.

55A4C9824950AA0013


1923년 제국대학령에 의해 경성제국대학이 설립되고 1926년 내과의사인 志賀潔를 필두로한 도쿄제국대 출신들 주도로 의학교육이 시작됨.




1923년 설립된 공립의학교로, 병원장 池上四郞, 부원장 藤繩文順, 주임교수 吉田準一郞 등 교토제국대 출신 교수 16명 주도로 의학교육이 시작됨.


55A4CA034C58660028


1925년 당시 조선총독부 발행 의사명부에는 조선인의사가 550명이었고

해방당시에는 우리나라 의사가 3000명이었다.

55A4CA8B430D5E003E


당 시 의학교의 입학경쟁은 치열하였다.  일단 의학교 개수가 너무 적었다. 그리고 입학정원에 일본인과 차별을 두어 각 도에서 손꼽히는 수재가 아니면 조선인으로서 의학교 입학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조선팔도 제일의 수재들이 모인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에서 경성제대 합격권 20여명 전원이 의학부를 지망하는 해도 있었다.

 

55A4CABA435DF6000E


II. 해방이후
* 1945년 10월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개교
* 1954년 성신대학교 의학부 개교(현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1955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개교

III. 1960~1979
* 1965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 1966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 1968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 1968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 1970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 1971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1971년 당시 남한에는 14개의 의과대학이 있었는데, 서울이 8개(연세, 고려, 이화, 서울, 카톨릭, 경희, 한양, 중앙), 지방에는 6개(부

산, 경북, 전남, 조선, 전북, 충남 등) 였다.

70년대말에 지방에 의과대학 신설이 많아졌다.

1977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1978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1979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1979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79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IV. 1980년대 : 12개 의대 신설
* 1981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 1981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 1981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 1982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 1985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 1985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 1986년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 1986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 1987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 1988년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 1988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 1988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V. 1990년대 : 10개 의대 신설
* 1991년 대구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1995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 1995년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 1995년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 1997년 가천의과대학교
* 1997년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 1997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1997년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 1997년 포청중문의과대학교
* 1998년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보면 알겠지만 나이든 의사선생님이나 교수님들이 
80~90년대에 신설된 의대를 족보없는 의대라고 까는 이유가 있다.

해방전 의대들은 의료불모지인 국내에 근대의학 전파를 위한 국가적 필요에 의해 설립되었다면
70년도에 설립된 의대는 지역민들의 필요에 의해서 설립된 의대가 대부분이다.
즉, 해방전과 70년도에 설립된 의대는 국가적명문 혹은 지역민들의 수요 충족을 위한 필요에 의해서 설립된 의대들이다.

하지만 80~90년대에 설립된 의대들은 사립대학교 이사장들의 개인적인 사욕으로 만들어진 의대가 대부분이다.
(요즘 까이는 서남의대도 같은 맥락.)

특히 김영삼 시절에는 뒷돈을 받은 김현철의 활약으로 5년간 무려 9개의 의과대학이 설립인가를 받았다.

55A4CAE74273CB0018



울산의대 ,성균관 의대(개인적으로는 높게 평가하고 있고 잠재력이 큰 대학이라고 생각하지만..) 
역시 두 재벌가의 순수하지 않은 목적으로 설립된 의대이고, 아산, 삼성병원의 위상은 인정하지만
울산의대, 성균관 의대는 의학교육 기관으로서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존재감 없는 곳이란 사실.

미국이나 일본의 예를 보아도 국가의(or 지역민들의) 필요에 의해 설립된 대학과 그렇지 않은 대학은그 존재 의의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지니고 있다.


------------------------------------------------------------------------------------

1의대 7의전 시절 의과대학은 학교가 오래되다 보니 의대 건물이 문화재가 되었다.
세브란스 본관은 안타깝게도 전쟁중에 소실되었고, 고대의대는 처음 경성여의전이 모체라고는 하지만 너무 여러 재단을 거치는 바람에 현재 건물은 소실된 것으로 알고 있다.

지금 남아있는 건물로는 서울의대 대한의원, 경북의대 본관 등이 있음.


<서울의과대학 대한의원>

55A4CB3F365E34003F


55A4CB61396824000A

사적 제248호

대 한의원 본관은 지상 2층, 연면적 1,636.37㎡(495평)으로 세워졌고, 이후 연면적 1,500평 규모의 병동 7동·해부실·의학교 등이 건립되었다. 탁지부(度支部) 건축소에서 설계와 감독을 담당하였으며, 건축소 기사(技師)인 야바시 겐끼찌(失矯賢吉)가 설계를 주관하였다.

본관 건물은 정면과 후면이 각각 완전 대칭으로 건축되었다. 적벽돌과 화강암을 주요 자재로 썼고, 지붕은 동판을 덮었다. 형태는 기념성이 강조되는 고전주의적인 특성을 가진다. 건물 중앙에는 시계탑과 현관 포치가 있다. 현관 포치는 석조 아치형 개구부로 되어 있으며, 자동차가 직접 진입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계탑은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었는데, 하부는 적벽돌 벽면과 코너의 장식기둥으로 단순하게 처리되었으며, 상부는 둥근 지붕(bulbous dome)을 중심으로 화려한 장식으로 처리되었다.

이 건물은 조선은행 본관,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과 함께 1900년대 초 서울의 3대 명물로 손꼽혔다. 또한, 1900년대 초기 한국에서 건립된 양식 건물 중에서 고전주의양식에 충실하며, 정교한 벽돌조 구조와 섬세한 장식수법으로 역사적인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경북의과대학 본관>

55A4CBB033762A001E


55A4CBCB40023A000D

사적 제 442호

3 층의 붉은 벽돌 건물로 정면 중앙부에는 4층으로 된 사각탑을 두고 옥상에는 옥탑을 설치하였다. 평면은 산자 모양으로 중복도식이며, 현관 포치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이다. 건물의 외관 구성에 나타난 특징은 정면 중앙부 돌출 유리벽의 곡면처리 및 창 사잇벽과 옥산 파라팻부의 수평돌림띠는 정면성을, 옥상부의 사각탑과 창 사이의 수직벽은 수직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웅장함을 느끼게 된다.

한국 근대 의학교육의 역사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건물로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전체와 세부 구성이 치밀하고 건축사적으로도 매우 수준 높은 건물로서 근대 건축으로서의 건축사적 가치 뿐만 아니라 교육사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세브란스의전 본관>

55A4CBFA466DCA0010


      전쟁중 소실됨.


<평양의전 본관>

55A4CC2D4141DC0002




1970 & 1980년 의대 입결


경북대 의.치대 과거 입결


viewimage.php?id=26b3c5&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6ff2af07b4252fbd69fb71f3c72c5a27c9095bf07fc091c7188cadd39


75년도 자연계 대학 순위(의대기준)

1등 서울대학교 의예과

2등 경북대학교 의예과

3등 부산대학교 의예과

4등 연세대학교 의예과

5등 이화여자대학교 의예과

6등 고려대학교 의예과

7등 한양대학교 의예과


** 경북 의대>연세 의대


75년도 자연계 대학 순위(치대기준)

1등 서울대학교 치의예과

2등 경북대학교 치의예과

3등 연세대학교 치의예과


**경북 치대>한양 의대





viewimage.php?id=26b3c5&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6ff2af07b4252be83435f01d5bd93a4be242615b635bf924f755a01b719e97b8b




1983년 의대입결

1. 서울대 의대

2. 연세대 의대

3. 경북대, 카톨릭, 고려대 의대

6. 한양대, 부산대의대


1983년 치대입결

1. 서울대 치대

2. 연세대 치대

3. 경북 치대 = 한양 의대 = 부산 의대


도심속 첨단 캠퍼스..........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7f22af6705314aa87a39df39ed5a340dbeeb642f52277285da2b3a4414b62c9a3439bba0641c6b04c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6f52af6705314aa8761cd1193adadf10c7723ddae7ccce23966509efc19e74793f192a770975d58eb


국가에서 인정한 연구중심병원


교육부에서 인정한 BK21 의대 치대 약대 동시 선정



◈ 역사(2nd the oldest school), 전통, 동문, 학계, 의사회 막강 파워


◈ 의료인 배출수(3위), 의대 교수 배출수(4위), 병원장 배출수(3위), 의학 공헌도(최정상급)


◈ 국.내외 유명 인사, 교수 1 인당 SCI 논문 게재 수 및 상위 1% 논문 게재 비율,


◈ 병원에 대한 투자(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2017년 11월 제3병원 완공 예정


◈ 의사 국가고시 합격률(매년 탑 클라스) 2015년 전국 최초 유일무일 국가고시 의대 치대 약대 100% 전원 합격


◈ 대구 본원도 아닌 타지인 서울 아산 삼성 병원 에서의 정교수 & 인턴, 레지던트 비율(매년 Top 5 이내)


◈ 중국 정부 요청으로 칭타오 국제 진료센터 설립


◈ 국내 #1 모발이식 센터.


◈ 최정상급 암 진료 센터, 내과, 외과 계열의 절대강자...


◈ 최정상급 의치약수간 보유로 인한 의학 시너지 효과


◈ 전국구 경북의대 동창회, 재미 경북의대 동창회. 교내 의학 박물관 소유. 기타.......


◈3 대 메이저 의대들중 하나



100명 이상 정원, 100여년 역사




 앞으로 경북 의대의 중장기 마스터 플랜은 대구 칠곡 Medical Center 내 의과대학, 치과대학, 약학대학 등을 포함하는 선진형 종합 연구 중심인 첨단 복합 의료단지 클로스터 완성이 목표이다




경북대의대 의생명과학관 1호, 2호 교육동 개관

1.png


[베리타스알파=김민철 기자] 기초임상의학 연구경쟁력 강화와 지역 의료 발전을 담당할 경북대 의생명과학관 교육동 개관식이 열렸다.


경북대는 ‘의생명과학관 2호관 개관 기념식’을 대구 북구 학정동에서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개관식에는 김상동 총장과 홍의락 국회의원을 비롯해 김철섭 북구 부구청장 등 주요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했다.

사업비 180억원이 투입된 의생명과학관 2호관은 연면적 8888㎡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건립됐다. 강의실과 전자도서관, 임상술기실 등 우수 의료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최신 첨단 의학교육 시설을 갖췄다. 내달부터 의학전문대학원 2~4학년 수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1.jpg


기초임상의학 연구경쟁력 강화와 지역 의료 발전의 구심점이 될 경북대 의생명과학관 교육동 개관식이 열렸다. /사진=경북대 제공


경북대는 메디컬 콤플렉스 조성 계획의 일환으로 의생명과학관 1,2호관을 건립했다. 부족했던 의학 시설을 확충하고, 국가연구중심병원인 경북대병원과 연계해 연구와 교육, 치료로 이어지는 의료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김상동 총장은 “경북대 의대는 대구경북 지역을 포함해 국내 의료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며, 의료 인력 양성을 책임져왔다”며, “의생명과학관의 교육 환경 개선은 대구시가 추진 중인 메디시티와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사업에 핵심 역할을 담당할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도 큰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철 기자
승인 2017.02.24 16:19



1.png


15.jpg

경북대 의생명과학관 1호관이 3년간의 공사를 마무리하고 16일 준공식을 했다. 총 사업비 181억원이 들어간 의생명과학관 1호관은 연면적 1만1천897㎡에 지하 1층, 지상 6층 규모로 건립됐다. 해부학·병리학·미생물학·기생충학·약리학 등 기초의학교실과 교수연구실, 실험실, 세미나실 등의 공간으로 구성됐다. 경북대는 기초의학 연구전용공간으로 최신식 연구 시설을 갖추고 있는 의생명과학관 1호관을 통해 우수 연구진들의 연구의욕을 고취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Image result for 경북대 의생명 과학관


◈ 의생명과학관 1호관 준공식 


기초의학 연구 경쟁력 강화의 지역 의료 발전의 구심점이 될 경북대학교 의생명과학관 1호관이 3년간의 공사를 마무리하고 준공식을 가졌다. 경북대학교(총장 함인석)는 5월 16일 오후 4시 대구 북구 학정동에서 ‘의생명과학관 1호관 준공 및 2호관 기공 기념식’을 개최했다
총 사업비 181억원이 들어간 의생명과학관 1호관은 연면적 11,897㎡ 지하 1층 지상 6층 규모로 건립됐다. 해부학․병리학․미생물학․기생충학․약리학 등 기초의학교실과 교수연구실 및 실험실, 세미나실 등의 공간으로 구성됐다.


경북대는 기초의학 연구전용공간으로 최신식 연구 시설을 갖추고 있는 의생명과학관 1호관을 통해 우수 연구진들의 연구의욕을 고취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경북대는 의생명과학관 건립으로 부족했던 의학 시설을 확충하고, 교육․연구 기능의 질적 내실화를 기해 우수 인재 양성 및 연구 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또, 메디컬 콤플렉스 내에 의생명과학관이 위치함으로써, 비수도권에서 유일하게 ‘국가연구중심병원’으로 선정된 경북대병원과 연계해 연구와 교육, 치료로 이어지는 의료 인프라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경북대병원의 주요 기능인 암센터, 노인 및 어린이병원 등이 칠곡에 이전해 있고, 대구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될 예정이라 지역민의 의료서비스 확대는 물론 ‘대구경북의 의료메카’로서 지역 의료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함인석 경북대 총장은 “의생명과학관 1호관 준공으로 경북대 의전원과 경북대병원을 통해 의과학이 발전할 수 있는 하나의 전기를 마련했다. 이와 같은 교육연구환경 개선은 대구시가 추진 중인 메디시티 및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사업에 핵심역할을 담당한 인재를 양성하는 큰 동력이 될 것이며 정부의 역점정책인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준공 소감을 밝혔다.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6f52af6705314aa8761cd1193adadf10c7723ddae7ccce23966509efc10ee46c8a591f924974746eb


♣♣ 의사배출 수 탑10 의대,  2013 기준 ♣♣

 

1. 서울대 9781명 (설립 1885년)

2. 연세대 9585 (1886)

3. 경북대 7971 (1923)

4. 고려대 7332 (1928) 1971년 우석대 인수합병

5. 전남대 7092 (1944)

6. 부산대 6253 (1955)

7. 가톨릭대 4973 (1954)

8. 조선대 4819 (1967)

9. 한양대 4368 (1968)

10. 경희대 4229 (1965)




2017년 의사 국가고시 출신 의대별 합격자 순위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7f52af6705314aa871e0892bb2701af7cb6bc8ae29765df773951552821dad1ce1dab6ace1b3b246c





전국 의대교수 출신 의대별 순위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7f52af6705314aa871e0892bb2701af7cb6bc8ae29765df7739515528768fd09f4ffe6d9a1b3b246c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7f52af6705314aa871e0892bb2701af7cb6fadeb9fa65db765fa880160b5cdc1dd9ebc1dfe8624461abbce5b1




viewimage.php?id=26b3c5&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6ff2af07b4252fbd69fb71f3c72c5a27c9690bf08a95f187175300e47




<복지부 연구중심병원 10곳 선정>

가천길·경북대·고대구로·고대안암·분당차·삼성서울·서울대·아주대·세브란스 선정

http://news.zum.com/articles/6140130?c=02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677a16fb3dab004c86b6fae7cfdc6a7b48adb3da3cbd03136a29ee4c92f287d465d5a8e1f28a07d3c8d298ac9544cb2d1214535766c92946ecb3f


지방 유일 ‘국가연구중심병원’
SCI논문발표 지방 국립대 1위
中요청, 칭타오 진료센터 설립


과거의 100년 그리고 미래의 100년


경북대병원 국가 연구중심병원 재선정(R & D)국내 넘어 세계로 도약

                

중증장애인 무료 진료 등공공의료기관 역할 최선진국 최고수준 의료진 자랑

da06e2358c163d15a5f27c63fd209099_1484550

대구시 중구 삼덕동

da06e2358c163d15a5f27c63fd209099_1484550
da06e2358c163d15a5f27c63fd209099_1484550

http://knuh.kr/

경북대병원 삼덕동 본원(대구시 중구 삼덕동)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중증권역외상센터, 임상시험센터, 연구중심병원 육성 R&D(연구개발) 사업 등 500여병상 규모의 상급병원이 유지된다. 뿐만 아니라 본원은 심장센터 유치, 인공관절센터, 산부인과, 신생아 집중 치료실 등도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다. 경북대병원과 칠곡경북대병원이 본 궤도에 올라서면 지역에서는 그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매머드급 상급의료기관이 생기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지정 연구중심병원 KOREA RESEARCH-DRIVEN HOSPITALS

Related image

▲ 경북대학교병원 임상실습동 조감도. 부지내 건물 중 좌측 뒤편에 가장 높은 건물이 새로 건립 중인 임상실습동이다.

경북대학교병원 임상실습동은 경북대학교 칠곡경북대병원(대구시 북구 소재) 부지 내 어린이 병원 뒤편에 지하 5층~지상 15층, 연면적 9만2144㎡,

2017년 11월 완공예정. 완공되면 1,325 병상의 메머드급 초대형병원 탄생. 대구시 북구 학정동

Image result for 경북대 칠곡


암 특화, 로봇수술 특히 강점…환자 4년 만에 두배 이상 늘어

12.jpg

▲ 2011년 개원한 칠곡경북대병원은 교육, 연구, 진료, 공공의료 기능을 갖춘 선도-적 지역 의료기관이다. 올 3월 현재 21개 진료센터에 570여 병상을 운영 중이며 최신 의료장비와 전문화된 시설을 갖추고 있다. 환자 수도 해마다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개원 첫해인 2011년 18만1천863명이던 외래 환자 수는 매년 25% 이상 증가해 지난해에는 36만8천771명에 이르렀다. 4년 만에 두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입원 환자도 2011년 9만8천78명에서 해마다 20%씩 늘어, 지난해 16만2천470명이 치료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어린이병원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6f12af6705314aa87d663fd0a1bd0e7dac8e1aa0767550b2fc0a2d8fdc52833c673f4299bdc6901

경북대학교 어린이병원은 2007년 8월 보건복지부로부터 대구·경북어린이병원 설치지원사업의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총사업비 300억 원
(국비 150억, 대구시30 억, 경상북도 30억, 자부담 90억)이 투입된 사업으로 연면적 12,878㎡에(총 125병상)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다.

Image result for 경북대 칠곡 어린이병원 내부
어린이 병원 내부

14.jpg

대구 북구 경북대 칠곡병원 내부 전경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477a16fb3dab004c86b6f97928ae591e31d36f52af6705314aa8761cd1193adadf10c7723ddae7ccce23966509efc1dee159ef1caa222974746eb




경북대병원 건강증진센터, 국내최초 JCI국제인증 획득
 

1703081636137883.jpg

  <JCI 국제인증서 전달 모습 / 왼쪽 : Ramsey Hasan 의학박사, 오른쪽 : 권영오 건강증진센터장>

 

3월 8일 경북대병원 건강증진센터가 국내 대학병원 중 단일 센터 최초로 JCI(국제의료기관평가기구) 국제인증을 획득했다.(인증기간 : 2017년 2월 25일부터 3년간)



국립의대 최초 중국정부 요청 칭다오 경북대병원 국제진료센터 예정지


축제1.jpg 관련이미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진료센터2-.jpg 관련이미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Image result for 경북대




13.jpg                                      15.jp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305041 snake doctor님 티눈 답변 감사합니다 [1] ㅇㅇ(223.38) 17.07.26 283 0
305040 한의대생임 [7] ㅎㄷ(175.250) 17.07.26 1055 17
305039 고환절제하면오래삼? [2] 극흑헬렌켈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26 206 1
305038 딸안치면 남성호르몬얼마나줄어드냐? 극흑헬렌켈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26 92 0
305037 외국인이 한국에서 의사하는게 가능한가요? [1] ㅇㅇ(175.223) 17.07.26 272 0
305036 시중에 파는 감기약을 물에 타서 주사기로 주사하면 어떻게 되나요? [3] ㅇㅇ(1.237) 17.07.26 190 0
305034 수능보는새끼들아 [2] ㅇㅇ(123.142) 17.07.26 334 0
305033 의사횽도 척추측만증 방치하면 얼굴 변해요?? ㅇㅇ(124.63) 17.07.26 102 0
305032 교수님들 외래 진료 볼때 방에 같이 있는 간호사 [7] ㅇㅇ(211.36) 17.07.26 797 0
305031 5시 30분 기상완료~~~!!! [1] ㅇㅇ(14.44) 17.07.26 142 1
305029 얘들앙 노인 폐렴 나을 가능성 몇퍼야 ㅇㅇ(58.235) 17.07.26 225 0
305028 x-ray로 통풍 잘 보여요?? [5/1] 냠냠이(1.240) 17.07.26 683 0
305027 뇌나 두경부 이쪽은 치과가 훨전문가라는게 사실?? [72] ㅇㅇ(223.33) 17.07.26 865 2
305026 의대생 치고 성격 완고하고 선민의식에 빠져있는 새끼들 많음. [3] ㅇㅇ(183.104) 17.07.26 615 5
305023 편입때 주로 뭐봄? ㅇㅅㄴ(110.70) 17.07.26 117 0
305022 의대생 토익치면 평균 한 800초중반 정도 될듯 [12] ㅇㅇ(58.224) 17.07.26 1033 1
305021 세종충남대병원 규모가 어느정도야? [1] ㅇㅇ(222.108) 17.07.26 349 0
305020 스네이크형님 [1] 스넥스웩(110.70) 17.07.25 201 0
305019 국가의 유용성만 따지면 가축의 길들임 밖에 없다. ㅇㅇ(183.104) 17.07.25 48 0
305018 미 육군 1성 장군 vs 차병원 원장 [5] ㅇㅇ(218.147) 17.07.25 250 0
305017 세상에서 명예로운 직업이란 군인이랑 예술가 밖에 없다. [4] ㅇㅇ(183.104) 17.07.25 242 0
305016 학점 3.67/4.3이다 ㅁㅌㅊ? [4] ㅇㅇ(110.70) 17.07.25 456 0
305015 의사가 뭔 명예로운 직업이야 ㅄ들 [46] ㅇㅇ(183.104) 17.07.25 735 1
305014 의사선생님들 이거는 무슨병원 무슨과를 가야하나요 [6] ㅇㅇ(223.62) 17.07.25 327 0
305013 의사선생님들 질문있어요 [2] ㅇㅇ(223.62) 17.07.25 216 0
305012 비의료인은 전문의타이틀을 엄청좋아하는듯 [3] ㅇㅇ(223.62) 17.07.25 310 1
305010 의사vs 검사vs 판사 vs 변호사 누가더 명예롭냐? [8] 아가사(166.137) 17.07.25 516 0
305006 전라도놈과 같이 동업하는놈은 정신병자다. [9] ㅇㅇ(74.208) 17.07.25 899 38
305005 군기빡센 의대vs육사 군기 [7] ㅇㅇ(121.174) 17.07.25 706 0
305004 전라도 여자와 결혼하는 놈은 미친놈이다~! ㅇㅇ(74.208) 17.07.25 224 5
305003 정말 전라도는 신이 버린 땅이다. ㅇㅇ(74.208) 17.07.25 119 6
305002 전라도가 앞에 붙으면 부정형으로 변함 ㅇㅇ(74.208) 17.07.25 106 6
305001 경상도의사 >>>>>> 전라도의사 ㅇㅇ(74.208) 17.07.25 119 1
305000 의대에서 과고 조졸애들 성적 어떰?? [5] ㅇㅇ(1.233) 17.07.25 853 0
304998 하앙..♡서울대 도서관에서..♡ ㅇㅇ(112.170) 17.07.25 250 2
304997 의사vs7급공무원 ㅇㅇ(117.111) 17.07.25 172 0
304996 최상위권만 비교하면 의사보다 변호사가 더 나은거지? [15] ㅁㄴㅇㄹ(116.126) 17.07.25 1571 12
304995 고추털 모근은 왜이렇게 단단한가요? ㅇㅇ(223.33) 17.07.25 108 0
304994 의사되고 건물주 되면 최고 아니냐? ㅇㅇ(223.33) 17.07.25 134 0
304992 문이과 비교정리 [12] ㅇㅇ(39.7) 17.07.25 685 0
304991 내과랑 약리학 더블보드 괜찮을것같다 [2] (223.62) 17.07.25 548 0
304990 근데 과마다 개원의도수입 천차만별임? [1] ㅇㅇ(218.147) 17.07.25 179 0
304989 의사보다 좋은 직업이 왜없냐? [2] (223.62) 17.07.25 433 4
304987 여기들어오면 의사나 환자나 똑같다 ㅇㅇ(223.39) 17.07.25 64 0
304986 아니그러니까 니직업은 뭐냐니까? [3] ㅇㅇ(125.184) 17.07.25 203 0
304985 현역18개월 vs 공익24개월 vs 공보의36개월 [4] ㅇㅇ(110.9) 17.07.25 499 0
304983 의갤들어와보면 [10] ㅇㅇ(223.62) 17.07.25 499 1
304980 카디오 펠로 비전잇나여 (61.109) 17.07.25 101 0
304978 일본은 한해 의사 1만명 정도 뽑는데 우리는 왜 3000명만 뽑아? [12] ㅁㄴㅇㄹ(116.126) 17.07.25 666 0
304976 원래 십자인대 파열이면 군면제인가요? [2] ㅅㄱ(121.162) 17.07.25 25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