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역대 최고가의 84%까지 회복" 1년째 오르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2 17:50:04
조회 190 추천 0 댓글 0


"총선 이후 매매는 잘 안 되는데 전세는 물건이 부족할 정도예요. 신생아, 신혼부부 등 저리의 정책 자금을 이용해 전세를 옮기려는 사람들이 늘었어요."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12일 노원구 상계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의 설명이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1년째 지속되는 가운데 4∼5월 비수기에도 아파트 전세에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상계동 보람아파트는 네이버 부동산 기준 전체 3천315가구 가운데 전월세 물건 수는 전체 주택형을 통틀어 총 47건에 그친다. 이 중 12건이 월세, 35건이 전세다.

일부 허위·중복 물건과 대출이 많은 '못난이 전세'를 제외하면 임차인이 선호하는 전세 물건은 더 줄어든다.

상계동의 또 다른 공인중개사는 "최근 전셋값이 10% 정도는 오른 것 같다"며 "대출을 끼고 들어오는 젊은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최근 전셋값이 강세를 보이면서 서울 아파트 전세가 2∼3년 전 최고가의 84%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 사기 여파로 빌라 대신 중소형 아파트 전세를 찾는 수요가 늘어난 데다 신혼부부·신생아 특례대출 등 저리의 정책자금이 풀리며 전셋값을 밀어 올리는 형국이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역대 최고가의 84%까지 회복…상승 거래도 절반 이상

12일 연합뉴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전세 거래를 분석한 결과 올해 계약된 서울 아파트 전세 보증금이 전고점의 평균 84%선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전 계약에서 임차인에게 전세 보증금의 일부를 돌려주는 역전세난의 여진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한 편으론 가격 상승세가 이어진 결과다.

서울 25개 구 전체가 역대 최고가였던 전고점의 80% 이상을 회복했다. 2022년에 전셋값이 고점 대비 최대 절반 가까이 하락했다가 다시 올라온 것이다.

종로구가 전고점의 90%, 중구가 89%에 근접했고, 강서·마포구(87%), 관악·은평구(86%), 양천·광진·서대문·영등포구(85%) 등도 고점 대비 회복률이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이에 비해 노원·도봉(81%), 강북구(83%) 등 '노도강' 지역과 고가 전세가 밀집한 강남·송파(82%)·서초구(81%) 등 강남 3구는 상대적으로 회복률이 낮았지만 역시 80%를 웃돈다.

마포구 아현동 공덕자이 전용면적 84㎡의 전셋값은 2022년 9월 10억5천만원을 찍은 뒤 이후 최저 6억4천만원으로 고점 대비 60.9%선까지 떨어졌으나 지난달에는 82% 선인 최고 8억6천만원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노원구 상계 주공7단지 전용 49.94㎡는 이달 초 최고 3억원에 거래돼 2021년 역대 최고가였던 3억5천만원의 86%까지 회복했다.

전셋값이 높은 강남권은 상대적으로 전고점 가격 대비 회복률이 낮지만 싼 전세 위주로 거래가 늘고 있다.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 84.99㎡는 작년 초 2021년 전고점(17억원) 가격 대비 반토막이 났다가 최근 실거래가가 11억∼12억원으로 65∼70% 선까지 올라왔다. 올해 3월 초에는 고점의 80%가 넘는 14억원에 계약된 사례도 있다.

최근 전셋값 상승 거래도 늘고 있다.

실거래가 분석 결과 올해 3∼4월에 계약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1∼2월 대비 높은 경우가 절반이 넘는 54%에 달해 하락 거래(40%) 비중을 압도했다.

영등포구(63%)와 용산·도봉구(62%)는 상승 거래 비중이 60%를 넘었다.

빌라 기피 속 신생아 대출 등으로 수요 늘어…문제는 입주물량 감소


최근 전셋값 상승세는 전세 사기 여파로 빌라 기피 현상이 심화된 영향이 크다.

전세 사기 문제가 없고 상대적으로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아파트로 임차인들이 몰려드는 것이다.

최저 연 1%대의 초저리 신생아 특례 대출을 비롯해 신혼부부·청년 대출 등 정부 정책자금 지원이 확대된 것도 전세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신생아 전세자금 대출 중 대환용 비중이 대출 초기 50%에서 현재 45%로 감소했다. 신규 전세를 얻기 위한 대출이 절반을 넘어선 것이다.

수요는 늘었는데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감소 추세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2만3천786가구로 지난해(3만2천759가구)보다 27.4% 감소한다.

이 때문에 일부 단지에서는 아파트 전세 물건이 씨가 마른 전세 품귀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월세 물건은 한 달 전 4만8천573건에서 11일 기준 4만8천573건으로 1.5% 감소했다. 작년 말(5만4천946건)에 비하면 12.9%가 줄어든 수치다.

수요는 늘고 공급은 줄면서 지난주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100.1을 기록하며 기준선(100)을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가 100을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21년 11월 마지막주(100.0) 이후 2년5개월여 만에 처음이다.

최근 전셋값 상승세는 1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작년 5월 넷째 주 이후 지난주까지 51주 연속 상승했다. 역전세난의 여파가 올해까지 계속 이어질 전망이지만 2년 전과의 보증금 격차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문제는 전셋값 상승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아파트 선호 현상 속에 내년도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2만3천803가구로 올해와 비슷한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전국적으로는 올해 35만3천여가구에서 내년에는 24만가구로 급감한다.

전세 사기와 공사비 급등으로 서민 주거 사다리 역할을 했던 연립·다세대 등 빌라나 다가구주택 등의 신규 공급은 급감하면서 아파트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연내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경우 고가의 전세 수요도 늘어날 수 있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현재 전셋값이 올랐지만 아직은 2년 전 전셋값을 회복하는 과정으로 봐야 한다"며 "다만 금리 인하, 입주물량 감소 등을 고려할 때 앞으로 전세시장이 지금보다 불안해질 가능성이 크고, 매매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 "역대 최고가의 84%까지 회복" 1년째 오르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 "장보기 무서워" CJ·샘표, 올리브유 30% 넘게 인상…사조·동원도 올려▶ 배우 김수미 지분 회사, 억대 꽃게대금 미지급 소송 승소▶ "몰래 이사해야 하나요"…연인과 '안전이별' 고민하는 사람들▶ "올해 청년 주택 3만3천가구 공급" LH, 전년 대비 22% 확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7365 "솔직히 꼴 보기 싫어" 신동엽, 송승헌 '연애 상담' 실체 폭로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40 0
7364 "어머니보다 하니" 하니, '♥양재웅' 10살 나이차 뛰어넘고 9월 결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48 0
7363 "괄약근 조이고" 서울시, 해괴망측 '케겔운동'이 저출생 대책? 충격 현장 [2]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76 0
7362 "지금이라도 엎드려야" 최태원, 노소영 재산분할 '참패' SK 경영권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49 0
7361 "속옷 왜 입었어" 변우석, 모델계 군기 악습 '폭로' 무슨 일? [24]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6633 15
7360 "영웅아, 돈 벌었으면 위약금 보태" 김호중 팬들, 선 제대로 넘었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120 0
7359 "요즘 뭐하나 했더니" 김현중, '농부'로 변신한 근황 공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85 1
7358 "제주도 여행 꿀팁" 제주시, 7월부터 모든 버스 현금 안받는다 [22]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734 2
7357 "2038년 '무탄소 전기' 70.2%" 신재생·원전 함께 늘린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27 0
7356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 속도 낼까" KBS 헌법소원 기각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8 0
7355 지난달 은행 예금·대출금리 동반 하락…주담대 6개월 연속↓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3 0
7354 "입덧약 건보적용" '의료공백'에 건보재정 1천883억 또 투입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0 0
7353 "낙하물 보면 즉시신고" 군, 6월 1일 북풍에 '오물풍선' 예상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9 0
7352 법원 "최태원, 김희영 이혼에도 관여…도저히 이럴 수 없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78 0
7351 국민-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 연계 수혜자 해마다 늘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3 0
7350 "가격인상 두차례 늦춰" BBQ, '정부 요청 때문에...' 언제 오르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3 0
7349 대통령실, 종부세 폐지 검토…상속·증여세도 대폭 완화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5 1
7348 "콩쥐가 이긴다 했지?" 민희진, 하이브 갈등 속 '뉴진스' 의미심장 발언 [4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4112 13
7347 "쏠쏠한 5% 할인" 서울시, 고물가 속 '광역 서울사랑상품권' 발행 시작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92 0
7346 "역대급 1조 3800억" 노소영, 최태원 재산분할 '승' 동거녀 김희영 근황은? [63]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508 77
7345 "연 수익률 5.4%" 정부, '개인투자용 국채' 첫 발행 구입 방법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11 0
7344 "예술가 저작권 보호해야" 이수만, 9개월만 공식석상 '소신발언' 근황은? [18]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6089 19
7343 "서울시, 재개발·재건축 규제 확 푼다" 사업성 개선·용적률↑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3 0
7342 "연 60만원 교통비 지원해드려요" 저소득층 대학생, 신청방법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99 0
7341 "사업등록번호만 바꿨을 뿐인데…방역 지원금 환수 부당"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6 0
7340 경기도 '24세 100만원 청년기본소득' 내달 28일까지 2분기 접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16 0
7339 "경로당 주 5일 식사로 확대" 단전 찾아내 여름철 취약계층 보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4 1
7338 제로백 2.9초' 페라리 12칠린드리 한국서 공개…아시아 최초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3 0
7337 중소기업 퇴직연금기금 가입 기업·근로자에 1분기 30억원 지원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49 0
7336 "뛰는 물가 기는 월급" 1분기 근로자 실질임금 1.7% 감소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57 0
7335 "돌 되기 전 조심" 어린이 인구 감소에도 안전사고는 증가 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53 0
7334 휴대전화에 신분증이 쏙…'모바일 주민등록증' 12월 27일 도입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4 0
7333 "성의의 선물, 당해봐라" 북한 김여정, '대남 오물풍선' 충격 발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7 0
7332 "1등도 집 한채 못사" 로또 가격 20년만에 인상될까?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27 0
7331 "이별 받아들이기 힘들어" 구혜선, 결국 눈물... 무슨 일?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27 0
7330 "드디어 푸바오 보나" 중국, 학대 의혹에 '6월 공개 예정'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02 0
7329 4월 53만3천명 거주지 옮겨…인구이동 3년 만에 최대,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93 0
7328 생활고 심했나…의협 '전공의 100만원 지원'에 2천900명 신청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03 0
7327 北살포 '오물 풍선' 260여개 발견…새벽엔 GPS 전파교란 공격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85 0
7326 "플라스틱에 죽음을" 해골 그림 캔에 생수…Z세대 열광 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92 0
7325 "논란에 결국..." 김호중, 모교 설치된 트바로티 집 철거 '흔적 지우기'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40 1
7324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첫 노조 파업 선언" 내달 7일 연차 소진,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23 0
7323 비만치료제 매출 전망 '밝음'…1년 새 50% 늘어 2033년 205조원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78 0
7322 "초저출생 대응" 서울시, 3년간 신혼부부 공공주택 4천400호 공급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75 0
7321 청소년 최애 직장은 "대기업"…직업선택 기준 "내 능력"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70 0
7320 1분기 출산율 첫 0.7명대 '뚝'…3월 출생아 2만명 붕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94 0
7319 "진심으로 행복해" 남보라, 이번에는 보육원 '신형 승합차' 통 큰 선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81 0
7318 "SK하이닉스 더 올라요" 모건스탠리, 신고가 경신에도 '33% 여력 남았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79 0
7317 "제대로 파격 혜택 주겠다" 서울시, 신혼부부 둔촌주공 '장기전세주택' 대박 [32]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6613 5
7316 "진짜 용하네" 故이선균 예언 무속인, 김호중 '조심해야' 소름돋는 적중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13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