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권위란 무엇인가? - 바쿠닌 -

아후후(121.172) 2007.05.19 16:00:43
조회 137 추천 0 댓글 1

...왜 babo 가 금지어인거냐 쳇....

미리 말해두지만 번역은 개판이고 대략의 뜻에 맞춘 번역을 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오역과 탈자는 일반적이라는 것을 알려둔다. 번역에 대한 저작권이란것은 전혀 없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무엇을 하던 역자는 책임도 권리도 갖지 않음을 밝힌다. 무단 수정과 재배포등이 허락되며 오역이나 탈자는 댓글로 달아주면 고맙고 혹은 그렇지 않아도 혼자 수정하던 뭐하던 그리 신경쓰지 않으니 개의치 않았으면 한다.

 

 

 

What is authority? Is it the inevitable power of the natural laws which manifest themselves in the necessary linking and succession of phenomena in the physical and social worlds? Indeed, against these laws revolt is not only forbidden - it is even impossible. We may misunderstand them or not know them at all, but we cannot disobey them; because they constitute the basis and the fundamental conditions of our existence; they envelop us, penetrate us, regulate all our movements. thoughts and acts; even when we believe that we disobey them, we only show their omnipotence.
권위란 무엇인가? 이것은 자연법의 의한 불가항력적인 힘인가 즉 스스로가 유지되어지는 계속 이어지고 연속되어지는세계속에 사회적이고 물리적인 한부분인가?그렇다면 반면에 이 법을전복하는것이오직 금지되는가? - 이것은 가능치 않다 우리는이것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에 대해서 거부하지불복종)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것은가장기초적이고 근본적인 우리의 존재상황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 그것들은 우리를 싸고 있고우리의 속에 있으며 우리의 모든운동들을 규정한다.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들과 같은우리가 그것에 불복종할때 우리에게 보여지는 것은 오직 절대적인 힘(억압) 이다.

Yes, we are absolutely the slaves of these laws. But in such slavery there is no humiliation, or, rather, it is not slavery at all. For slavery supposes an external master, a legislator outside of him whom he commands, while these laws are not outside of us; they are inherent in us; they constitute our being, our whole being, physically, intellectually, and morally; we live, we breathe, we act, we think, we wish only through these laws. Without them we are nothing, we are not. Whence, then, could we derive the power and the wish to rebel against them?
그렇다 우리는 완전하게 이 법에 노예이다. 그러나 노예는 스스로 수치럽다고 느끼지 않으며 더군다나노예가 아니라고는 더욱더생각치 않는다. 노예상태는 외부의 주인을즉 그의 밖에서 그에게 명령을 내리고 있는 주인이 만들지만 그 법은 우리의 밖에 있는것이 아니다.그들은 우리의 안에 있으며 우리가 행동하고 우리가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도덕적으로 하는 것들속에 있다.우리는 살아가고 숨쉬고 행동하며 생각하는우리는종종 이법만을 원하기도 한다 이것없이는 우리는 아무것도 가지지 않으며 우리는 아무것도 아니다. 어디서부터 우리는 이것에 저항하는 힘을 끌어내는것일까?

In his relation to natural laws but one liberty is possible to man - that of recognising and applying them on an ever - extending scale of conformity with the object of collective and individual emancipation of humanisation which he pursues. These laws, once recognised, exercise an authority which is never disputed by the mass of men. One must, for instance, be at bottom either a fool or a theologician or at least a metaphysician, jurist or bourgeois economist to rebel against the law by which twice two make four.
그의 자연법과의 관계에 있어 하나의 자유라도 그에게 허락된다면 -그것이 계속해서 인정되고 받아들여진다면 - 그것은 집단적이고 개인적인 인간의 완전한 해방까지 계속 늘어가게 된다. 한번인전된 이법에 대해 권위을 행사하는 것은 인간의 집단에서 논의되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의 강제된 예를들면 아래의 ba보같은 신학자 혹은 마지막남은 형이상학자 나 법학자 , 브루주아 경제학자들은 둘 더하기 둘이 넷이라는 것으로 이법를 거부하는것에 대해 저항한다. 
 
One must have faith to imagine that fire will not burn nor water drown, except, indeed, recourse be had to some subterfuge founded in its turn on some other natural law. But these revolts, or rather, these attempts at or foolish fancies of an impossible revolt, are decidedly the exception: for, in general, it may be said that the mass of men, in their daily lives, acknowledge the government of common sense - that is, of the sum of the general laws generally recognised - in an almost absolute fashion.
누군가가 불이 물에 젖지 않고서도 타지 않는다라 생각하는 것을 믿는다고 한다하자 이 의지는 조금의 구실로서 다른 자연법을 찾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 반란은 이 시도나 멍청한 가능하지 않는 반란에 대한 동화보다 확실히 특별하다. ; 일반적으로 이것은 완전히 유행과도 같이 정부의 지식이나 매일의 삶에서 이야기된다. -그것은 포괄적인 법이며 포괄적인 이해의 합이다-
<역> 대략의 뜻은 권위는 자연법적인 절대적 것이 아니라 단지 인간사이의 포괄적인 논의들의 합에 불과함을 이야기 하는듯 하다.

 

The great misfortune is that a large number of natural laws, already established as such by science, remain unknown to the masses, thanks to the watchfulness of those tutelary governments that exist, as we know, only for the good of the people. There is another difficulty - namely, that the major portion of the natural laws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which are quite as necessary, invariable, fatal, as te laws that govern the physical world, have not been duly established and recognised by science itself.
가장 불행한점은 많은수의 자연법들이 이미 과학에 의해서 증명되었으며 남은것은 아직모르는 것들이라는데에 감사하는 좋은것들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정부의 수호자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밖에 다른 어려운점이라면 자연법의 가장큰 부분이 인간 사회의 발전과 연관되어있으며 그것은 확실한  필요성과 불변성 운명성으로 인해 물리적세계의 통치의 법과 같이 , 과학스스로에 의해서 증명되거나 인정될수 없다는 것이다.

Once they shall have been recognised by science, and then from science, by means of an extensive system of popular education and instruction, shall have passed into the consciousness of all, the question of liberty will be entirely solved. The most stubborn authorities must admit that then there will be no need either of political organisation or direction or legislation, three things which, whether they eminate from the will of the soverign from the vote of a parliament elected by universal suffrage, and even should they conform to the system of natural laws - which has never been the case and never will be the case - are always equally fatal and hostile to the liberty of the masses from the very fact that they impose on them a system of external and therefore despotic laws.

일단 그들이 과학에 대해서 이해한다면 그리고 그것이 과학에 의한것이라면 이것은 거대한 대중교육과 산업시스템을 이용하여 차 모두의 의식속에 있는 자유대한 물음을 완벽하게 풀어줄수 있을 것이다. 가장 완고한 권위들은 정치적 집단이나 지도자나 법률의 필요가 없이 인정된다. 세가지 중 하나는 소버린에서 자연법에 의해서 그들이 보통선거로 하원을 뽑음으로서 나타 났다  그들이 자연법에 의한 체제를 따른다는 것은 - 이것은 있던 사례가 아니고 있을 사례도 아니다 -  언제나 똑같이 운명적이고 자유에 대해서 적대적인 명백한 사실인 그들이 부과하는 극단적인 체제 와 그에 따라오는 전제적인 법을 따른다는 것과 동일하다.

The Liberty of man consists solely in this: that he obeys natural laws because he has himself recognised them as such, and not because they have been externally imposed upon him by any extrinsic will whatsoever, divine or human, collective or individual.
인간에의 자유란 오직 이 하나로 구성된다. 그것은 어떤외부의 신이나 인간 , 집단이나 개인에 의해서 의해서 부과되는 것이 아닌 그 스스로가 그것을 이해하여 그것에 따르는것이다.

Suppose a learned academy, composed of the most illustrious representatives of science; suppose this academy charged with legislation for and the organisation of society, and that, inspired only by the purest love of truth, it frames none but the laws but the laws in absolute harmony with the latest discoveries of science.
학술원에서 과학을 가장 화려하게 묘사하는것을 배운다고 가정해보자 ; 아마도 이 학술원에서는 사회조직에 의한 법률을 비난하고 진실에 대한 순수한 사랑을 고무시키며 경계를 없에고 법을 없에고 결국엔 완전한 조화를 만들에 낼것이다.

Well, I maintain, for my part, that such legislation and such organisation would be a monstrosity, and that, and that for two reasons: first, that human science is always and necessarily imperfect, and that, comparing what it has discovered with what remains to be discovered, we may say that it is still in its cradle. So that were we to try to force the practical life of men, collective as well as individual, into strict and exclusive conformity with the latest data of science, we should condemn society as well as individuals to suffer martyrdom on a bed of Procrustes, which would soon end by dislocating and stifling them, life ever remaining an infinitely greater thing than science.

좋다 . 나는 가장 중요한 점으로서 법률과 이 조직이 괴물과 같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렇게 생각하는 데에는 두가지 이유를 가지고 있다. 먼저 인간의 과학은 언제나 불완전할수 밖에 없으며 그것은 그것이 밝혀진것과 밝혀지지 않을것이 있어서 마치 비유하자면 우리는 그것을 아직 요람안에 있다 할수 있다. 그래서 그것이 인간의 실제적인 삶을 간섭할때에는 집단적인 것과 같이 개인적인 것을 간섭하며 엄격하고 베타적인 과학의 최신의 자료들이 말하는 것과 같이 우리는 최악의 사회들에서와 같이 개인에게도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의 수난으로서 괴롭힐이다. 그것에 의한 고난함과 불평함은 곧 끝날터이지만 삶이란 언제나 과학보다는 무한이 중요한것이다.


The second reason is this: a society which should obey legislation emanating from a scientific academy, not because it understood itself the rational character of this legislation (in which case the existence of the academy would become useless), but because this legislation, emanating from the academy, was imposed in the name of a science which it venerated without comprehending - such a society would be a society, not of men, but of brutes. It would be a second edition of those missions in Paraguay which submitted so long to the government of the Jesuits. It would surely and rapidly descend to the lowest stage of idiocy.
두번에 이에 대한 까닭으로서 : 사회는 과학적인 학술원에서 부터 법률제정된 것을 이법의 합리적을 특성을 이해하지 않고서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 사회가 합리적인 특성을 이해할수 있다면 이경우에는 학술원의 존재가 쓸모없어지게 될것이다. ) 이법에 의해서가 아니라 학술원에 발표에의 과학이라는 이름으로서의 강제로서 이해없는 존경으로서 그렇게 된다는 것이다. - 그와같은 사회에서 만들어지는 사회란 짐승답지도 않지만 인간답지도 않은것이다. 이는 카톨릭정부로 오랜기간  복속시켜온 파라과이의 것을 두번째로 하는 것이다. 이것은 신속하고 확실하게 (인간을) 가장 낮은 백치상태로 진행시키게 될것이다.

<역> 프로크루스테스 : 손님이 오면 침대에 맞춰서 그보다 크면 발을 자르고 그보다 작으면 잡아당겨서 죽였다고 하는 괴물

But there is still a third reason which would render such a government impossible - namely that a scientific academy invested with a soverignty, so to speak, absolute, even if it were composed of the most illustrious men, would infallibly and soon end in its own moral and intellectual corruption. Even today, with the few privileges allowed them, such is the history of all academies.

그러나 아직 세번쨰의 이유인 그러한 정부를 만들수 없다는 것이 남아있다. 즉 과학적인 학술원에 주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래서 확실하게 말하건데 가장 유명한 인사들로 그것이 조직되었다하더라도 불변하며 곧 끝날 도덕적이고 지적인 부패가 될것이다 . 오늘날까지도 조금의 특권이 그들에게 주어진다. 이것은 역사속의 모든 학술원들과 같은것이다.

//수정필요//

The greatest scientific genius, from the moment that he becomes an academian, an officially liscenced savant, inevitably lapses into sluggishness. He loses his spontenaity, his revolutionary hardihood, and that troublesome and savage energy characteristic of the grandest geniuses, ever called to destroy old tottering worlds and lay the foundations of new. He undoubtedly gains in politeness, in utilitarian and practical wisdom, what he loses in power of thought. In a word, he bocomes corrupted.
아주 과학에 천재적인 자가 학술원에 구성원이 되고 공식적으로 석사학위를 받게 되면 필연적으로 게으름속에 빠져 착오를 범하게 된다. 그는 이제 그에게 성가시고 야만적인 특성이 된 세계를 파괴하고 새로새울 자주성과 혁명적 대담성을 잃게 만들것이다. 그는  의심할 여지없이 실용적이고 실제적인 공손함(굴종의 미덕)이란 지혜를 얻게 될것이며 이것은 그의 생각할수 있는 힘을 빼앗가 갈것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그는 이제 타락하게 된것이다.

It is the characteristic of privilege and of every privileged position to kill the mind and heart of men. The privileged man, whether practically or economically, is a man depraved in mind and heart. That is a social law which admits of no exception, and is as applicable to entire nations as to classes,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It is the law of equality, the supreme condition of liberty and humanity. The principle object of this treatise is precisely to demonstrate this truth in all the manifestations of social life.
이것은 특권의 특성이며 모든 특권은 마음과 가슴의 따스함을 인간에서 말살한다. 실제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특권계층이 된 자는 가슴과 마음이 타락했다라고 할수 있다. 그것은 사회법이 적용할수 있는 전체국가 와 계급 기업 그리고 개인에 예외를 허용치 않는다. 평등의 법은 자유와 인간다움에 최고의 상태이다. 이것은 모든 사회적 생활에 있어서의 이 진실을 논증한 공리이다.

<역> 번역이 어설퍼서.... 특권이란 것은 필연적으로 인간을 타락하게 한다는것이 그 요지입니다. 먼저 이 특권이 없다 해도 이것은 ( 인간적이며 구성원이 스스로 통치 (이해) 할수 없는 통치 ) 가능치 않음을 논증한 두가지 다음에 현실적으로 이것이 가능하지 않는 까닭을 다시 이야기 합니다. 어떤 통치할수있다라는 특권은 결국 사람을 타락하게 하지 않는가? 라고 묻고 있습니다. 혁명적 자신감과 명료한 두뇌를 가졌던 천재라도 그가 자신의 노력을 통해서 대학의 학위를 ( 즉 사회적인 성공을 사회적인 특권층이 된다면 ) 결국 그의 혁명적 열의는 죽어버리고 다른 특권층들과 같이 타락하게 될것이다 이것은 모두가 그런 공리이다. 라고 이야기 합니다. 그것이 사회주의자던 혹은 아나키스트던간에 그가 권위를 가지고 스스로 통치를 위한 특권을 갖게 된다면 그것은 곧 타락하게 될것이다. 이것이 그가 이야기 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이야기 일것입니다.  왜 스페인 내전에서 아나키스트는 권력을 위한 현실적 행동을 하지 않았는가의 문제....

A scientific body to which had been confided the government of society would soon end by devoting itself no longer to science at all, but to quite another affair; and that affair, as in the case of all established powers, would be its own eternal perpetuation by rendering the society confided to its care ever more stupid and consequently more in need of its government and direction .

과학의 몸에 사회의 통치를 맡긴다라고 할때 이것은 곧 더이상 과학이라고 할수 없는 것들이 될것이다. 그러나   완전하는게 다른 일로서 그리고 다른 일로서 확실된 힘의 방식과 같이 이것은 더 어리석게도 더욱더 큰 통치와 지배통해 사회를 영원히 재단하게 되는것이다.

But that which is true of scientific academies is also true of all constituent and legislative assemblies, even those chosen by universal suffrage. In the latter case they may renew their composition, it is true, but this does not prevent the formation in a few years\' time of a body of politicans, privileged in fact though not in law, who, devoting themselves exclusively to the direction of the public affairs of a country, finally form a sort of political aristocracy or oligarchy. Witnes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Switzerland.

그러나(물론 ) 과학적 학술원은 사실 모든 의회와 법률적 조직과 같이 보통선거권에 의해서 뽑힐것이다. 그러나 나중에 이것은 새롭게 구조가 바뀔것이며 이것은 진실이다. 정치인들은 이것을 몇년동안도 지키지 못할것이다. 특권은 법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국가의 공공의 사건를 지휘하는 것은 그들에게 독점될것이며 결국은 귀족정이나 과두정의 모습이 될것이다. 미국연방과 스위스를 보라

Consequently, no external legislation and no authority - one, for that matter, being inseparable from the other, and both tending to the servitude of society and the degradation of the legislators themsleves.
따라서  어떠한 법과 권위라도 노예상태의 사회와 퇴페한 법체제와 갈라 놓을수는 없는 것이다.

Does it follow that I reject all authority?
Far from me such a thought. In the matter of boots, I refer to the authority of the bootmaker; concerning houses, canals, or railroads, I consult that of the architect or the engineer.
이것이 내가 모든 권위에 반대한다라고 생각하는가 ?
이러한 생각들에 대해서 난 멀리있다  신발에 관해서는 나는 저술가의 권위를 거부한다 ;
집에대해서 운하에 대해서 철도에 대해서  나는 건축가와 기술자에게 자문을 구한다.

For such or such special knowledge I apply to such or such a savant. But I allow neither the bootmaker nor the architect nor savant to impose his authority upon me. I listen to them freely and with all the respect merited by their intelligence, their character, their knowledge, reserving always my incontestable right of criticism and censure. I do not content myself with consulting a single authority in any special branch; I consult several; I compare their opinions, and choose that which seems to me the soundest. But I recognise no infallible authority, even in special questions; consequently, whatever respect I may have for the honesty and the sincerity of such or such individual, I have no absolute faith in any person.
어떤것이든 혹은 어떤 특별한 지식이던간에 나는 나는 그것을 인정하고 그의 배움에 대해 인정할수 있다 그러나 나는 저술가가 아닌자가 건축가가 아닌자가  석학이 아닌자가 그의 권위로서 나에게 그것을 강요하는 것이라면 그것을 인정치 않을것이다. 나는 그들에 지성과 성격과 지식의 우월함에 대한 존경과  부정할수 없는 비평과 비난의 옳음을 가지고 자유롭게 들을것이다. 나는 내자신에게 어떤 하나의 특별한 가지에 대한 권위라 해도 찬성하지 않을것이다. 나는 몇몇의 의견을 듣는다. 나는 그들의 의견을 비교해보고 가장 그럴듯해 보이는 것을 고른다. 그러나 나는 완벽한 권위를 인정한것은 아니다. 이것은 특별한 문제이다.  나는 정직하고 성실한 무엇인가 혹은 어떤 사람이던간에 나는 존경할수는 있지만 나는 어떤 사람에 대해서도 완전한 믿음을 표할수는 없다.

Such a faith would be fatal to my reason, to my liberty, and even to the success of my undertakings; it would immediately transform me into a stupid slave, an instrument of the will and interests of others.
어떤 믿음이란것은 나의  운명적인 까닭을 나의 자유를 나의 성공적인 사업을 이뤄줄것이다. ; 이것은 즉시  나를 기계의 의지에의한 다른 이들의 관심에 의한 멍청한 노예로 만들것이다.
If I bow before the authority of the specialists and avow my readiness to follow, to a certain extent and as long as may seem to me necessary, their indications and even their directions, it is because their authority is imposed on me by no one, neither by men nor by God. ions and even their directions Otherwise I would repel them with horror, and bid the devil take their counsels, their directions, and their services, certain that they would make me pay, by the loss of my liberty and self-respect, for such scraps of truth, wrapped in a multitude of lies, as they might give me.

만약 내가 전문가들의 권위에 굴복하고 과실을 자진해서 시인한다면 내가 필요해 보이는만큼그들은 나를 지시하고 명령할것이며 이것은 신이 아닌 인간의 권위가 나를 억압하게 되는 까닭이 된다. ///ions(?)과 같은 그들의 명령/// 나는 그들에 대한 공포를 쫒아낼수 있으며 악마가 그들의 조언을 그들의 명령을 그들의 수고를 가져가게 명령할수 있을것이다. 확실히 그들은 내가 자유와 자존심을 잃는 댓가를 치루게 만든다. 그러나 그들이 줄수 있는것은 거짓으로 여러곂싸여진 진실의 한조각뿐이다.

I bow before the authority of special men because it is imposed on me by my own reason. I am conscious of my own inability to grasp, in all its detail, and positive development, any very large portion of human knowledge. The greatest intelligence would not be equal to a comprehension of the whole. Thence results, for science as well as for industry, the necessity of the division and association of labour. I receive and I give - such is human life. Each directs and is directed in his turn. Therefore there is no fixed and constant authority, but a continual exchange of mutual, temporary, and, above all, voluntary authority and subbordination.
내가 어떤 틀별한 사람의 권위에 의존한다면 그것은 나를 내가 말했던 이유로서 억압하게 될것이다. 나는 내가 가진 무지를 의식한다. 이것을 다시 본다면 긍정적인 발전을 어떤 인간의 지식보다 더 크게 이룰수 있도록 할수 있다. 이 가장 커다란 지식은 모든 이들에게 동일하게 이해될수는 없다. 따라서 그결과로서 과학도 산업에서 만큼 분업과 협동이 필요한것이다;. 나는 다른 인간과 삶과 같이 받고 또한 준다. 내가 지시햇다면 그가 지시할 차례가 되는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수정되지도 않고 영구한 권위이다 그러나 계속적인 또한 일시적인 상호의 교환은 무엇보다도 자발적인 권위와 복종이다.

This same reason forbids me, then, to recognise a fixed, constant and universal authority, because there is no universal man, no man capable of grasping in all that wealth of detail, without which the application of science to life is impossible, all the sciences, all the branches of social life. And if such universality could ever be realised in a single man, and if he wished to take advantage thereof to impose his authority upon us, it would be necessary to drive this man out of society, because his authority would inevitably reduce all the others to slavery and imbecility. I do not think that society ought to maltreat men of genius as it has done hitherto: but niether do I think it should indulge them too far, still less accord them any privileges or exclusive rights whatsoever; and that for three reasons: first, because it would often mistake a charlatan for a man of genius; second, because, through such a system of privileges, it might transform into a charlatan even a real man of genius, demoralise him, and degrade him; and, finally, because it would establish a master over itself

이 동일한 이유로 나에게는 금해진다. 이해를 수정하거나 영구적이고 보편적인 권위를 이해시키는 것이 왜냐하면 그들은 보편적인 인간이 아니기 떄문이다. 어떤 사람도 모든 종류의 부를 갖는데 유능하지 않으며 모든 과학에 있어서 모든 삶의 가지들에 있어서 과학의 적용없이는 불가능하기 떄문이다. 그리고 만약 어떤 보편성이 한사람에 발견될수 있다하더라도 그가 그의 권위를 우리에게 강요하는게 더낫다 생각한다면 우리는 그를 우리의 사회에서 추방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그의 권위는 다른이들의 노예와 우둔함의 상태로 불가피하게 추락시킬것이기 떄문이다. 나는 결코 사회가 지금껏 그랬왔듯 천재적인 사람들에 대해서 학대를 해야한다고는 생각치 않는다.그러나 그와 같이 나는 그들에 대해서 너무 멀리까지 빠지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하물며 그들에게  어떤때라도 특권이나 베타적인 정의가 허락되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 이에는 세가지 이유가 잇는데 첫째로 누군가가 천재이다를 판단하기에는 너무많은 실수가 잇으며 두번째로 사회가 특권을 허락한다면 천재를 타락시킬것이기 떄문이며 마지막으로 이것은 그스스로 주인을 만들것이기 때문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공지 철학 갤러리 이용 안내 [171] 운영자 05.01.06 32219 36
439199 철린이 ㅇㅇ(118.235) 15:52 10 0
439175 mansplain이 성립한다면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도 성립 나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22 0
439101 한글 또는 알파벹으로 적은 글은 신공지능(218.52) 06.10 45 0
439075 헤겔철학은 정반합도 있지만 [1] 신공지능(125.251) 06.10 38 0
439073 게시판이 너무 혼탁해서 중용연재를 중단합니다. 철갤러(222.118) 06.10 31 0
439071 허경영에게 돈 낸 사람들 신공지능(125.251) 06.10 52 0
439070 헤겔은 음양론과 역학원리를 자득한 사람이다 신공지능(125.251) 06.10 43 0
439068 성선의 인간은 의무에서 가장 큰 에너지를 발견한다 [46] 신공지능(125.251) 06.10 73 0
439030 자격증 없이 병 고쳐주는 사람 쌔고 쌨다 신공지능(218.52) 06.10 55 0
439028 전국민 히포크라테스 선서 운동 [2] 신공지능(218.52) 06.10 33 0
439013 모든것은 변한다. 그것이 현실이다. 그것이 종합이다. 철갤러(220.121) 06.10 23 0
439011 사회적으로 억눌린 사람들은 어떻게든 그걸 바꾸고자한다. 철갤러(220.121) 06.10 27 1
439009 사회문제를 바꾸지 못한 자들에게 변명은 필요없다. 철갤러(220.121) 06.10 21 0
439007 대한민국의 교육의 배후에는 사회구조가 있다. 철갤러(220.121) 06.10 24 0
439005 제발 재밌는 주제로 글 올려주세요. 철갤러(121.184) 06.10 26 0
438988 난 학생시절에 [2] 신공지능(218.52) 06.10 26 0
438986 현우진이랑 허준이중에 [17] 신공지능(218.52) 06.10 64 0
438984 3가지 변수를 종합적으로 개혁하여, 철갤러(220.121) 06.10 18 0
438983 3가지 변수를 개혁함으로써, 나와, 사회와, 자연을 이해하고, 바꾼다. 철갤러(220.121) 06.10 18 0
438981 철학박사라고 문신새기고 다니라니까? [7] 신공지능(218.52) 06.10 42 0
438975 의사가 사람죽이고 [1] 신공지능(218.52) 06.10 26 0
438972 근데 생각해보면 조폭도 나쁘지 않아 [1] 신공지능(218.52) 06.10 26 0
438970 칸트보다 마키아밸리가 더 위대한 사상가라 할 놈 [8] 신공지능(218.52) 06.10 35 0
438968 넌 부처의 세계나 전륜성왕의 나라보다는 신공지능(218.52) 06.10 28 0
438961 철학책 백날 읽고 이런 저런 개념어 쓴다 해서 뭐하냐 신공지능(218.52) 06.10 24 0
438957 가난 착함 순수 피해 신공지능(218.52) 06.10 18 0
438953 조폭한테는 자기 조직이 선하게 보이겠지 [1] 신공지능(218.52) 06.10 29 0
438948 조폭 두목이 선하다는데 ㅋㅋ [7] 신공지능(218.52) 06.10 39 0
438942 가난하기만 했던 자들은 순수하다? [1] 선비(1.252) 06.10 26 0
438941 58 자냐 철갤러(211.243) 06.10 26 0
438940 여기 오는 애들은 철학에 관심은 없고 뻘소리만 하러 오는듯 나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6 0
438939 모든사람이 동시에 잠이들면 세계는 존재하는걸까 [2] T^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9 0
438935 철학책 순서 철갤러(39.115) 06.09 57 0
438933 가난한 사람들의 사회개혁은 이유가 필요없다. 철갤러(220.121) 06.09 24 0
438931 사회개혁에 이유는 없다. 할수있기에 한다. 철갤러(220.121) 06.09 21 0
438928 얼마든지 할수있기에 얼마든지 한다. [5] 철갤러(220.121) 06.09 33 0
438923 그렇다 오래된 생각이다. ^^(223.62) 06.09 26 0
438919 인간에게는 바꾸어야 할 3가지 변수가 있다. [3] 철갤러(220.121) 06.09 36 0
438917 너는 반야바라밀이 사회이론으로 귀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냐 [31] 신공지능(218.52) 06.09 62 0
438915 사회개혁과 관련된 유명한 말이 있다. 철갤러(220.121) 06.09 29 0
438914 이래서 근기라는 말이 있나보다 신공지능(218.52) 06.09 17 0
438912 쟤가 하는 말이 어그로라면 신공지능(218.52) 06.09 21 0
438907 가난한 사람들에게 선함을 요구하는 자는.... [15] 철갤러(220.121) 06.09 41 0
438905 철학책순서 ㅇㅇ(211.234) 06.09 51 0
438903 가난한 자와 부유한 자의 대우. [2] 철갤러(220.121) 06.09 35 0
438898 사랑이라는 환각제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한다. 철갤러(220.121) 06.09 23 0
438895 성선설에 따르는 자가 [11] 신공지능(218.52) 06.09 41 0
438878 이시대 가장 기적같은 일은 [4] 신공지능(218.52) 06.09 36 0
438877 돈이없고, 힘이없다면 결혼은 하지않는것이 지혜롭다. 철갤러(220.121) 06.09 2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