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대풍수 최태준 캐릭...... 태종 이방원 인물 한국사.....

썩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3.12.05 20:59:22
조회 383 추천 3 댓글 10

														

 

                    

 

태종(太宗, 1367~1422, 재위 1400~1418)은 새 왕조 개창기에 많은 공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정도전 등에 의해서 견제되었다. 제1차 왕자의 난을 계기로 재기에 성공, 그러나 왕위에 오르는 과정이나 왕위에 오른 뒤 계속된 피의 숙청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한편에서 보면 그는 500년 조선조 국가 운영의 밑그림을 완성한 군왕이었다.

 

 

“이런들 어떠하니 저런들 어떠하니”, 하여가에 담긴 야망

고려의 마지막 기운이 느껴지던 어느 날 이방원과 정몽주가 술상을 앞에 놓고 자리하였다. 자신의 야망 실현에 걸림돌이 되었던 정몽주를 회유하기 위해 이방원은 먼저 시 한 수를 읊었다. 우리네 세상살이 중간 중간에 부딪치는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잠깐 짬을 내어 감상해보기를 바란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서 백 년까지 누리리라

 

이른바 ‘하여가(何如歌)’라고 하는 것이다. 정몽주에게 고려 왕조에 대한 절개를 굽힐 것을 전한 것이며, 자신의 뜻에 동참하라는 것이었다. 이방원다운 솔직하고도 직설적인 표현이다. 그러자 정몽주가 이방원이 따라주는 술 한 잔을 받아 들고는 다음과 같이 화답하였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이른바 ‘단심가(丹心歌)’라고 하는 것이다. 정몽주의 고려 왕조에 대한 일편단심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이전부터 정몽주의 마음을 돌리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던 이방원이었기에 더 이상의 설득은 무의미하였다. 그로부터 얼마 후 이방원은 심복 조영규를 통해 선지교(후에 선죽교로 이름이 바뀜)에서 정몽주를 살해하며, 이로써 새로운 왕조의 건국은 급물살을 타게 되었다.

 

이성계의 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난 이방원, 그는 무장 가문이었던 이성계 가문의 유일한 문과급제자로 어려서부터 부친의 희망이었다. 이방원은 정몽주을 처치하는 거사가 성공한 뒤 남은∙정도전∙조준 등 52인과 이성계의 추대를 협의하고, 공민왕비 안씨를 움직여 수창궁에서 즉위하게 하였다. 새로운 왕조의 시작으로, 이방원은 중요한 고비마다 그 중심에 있었다.

 

 

개국의 공로가 묻혀 버린 좌절의 순간들

 

새 왕조를 개창한 뒤 아마도 이방원은 부왕의 등극에 절대적인 공헌을 하였고 개인적인 능력이나 중망으로 보아 자신이 후계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세상은 그에게 좌절의 아픔을 주었다. 그 첫 좌절이 태조 초에 이루어진 개국공신의 선정과정에서 누락된 것이었다. 개국공신의 선정을 주도한 태조가 공은 인정하되 친자(親子)이기 때문에 공신 선정에서 제외시켰다. 왕자 신분이 되면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누릴 수 있는 특권을 가졌을 것이지만 개국공신의 선정에서 제외된 것은 그것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를 두고 볼 때 이방원에게는 서운한 일이었다. 그래서인지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종이 즉위한 뒤 자신을 비롯해 방의∙방간 두 형을 개국 1등 공신에 추가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이방원은 이후에도 계속 정치에서 소외되며 정도전 등에 의해 견제되었다. 새 왕조가 들어선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392년 8월, 정도전 등이 중심이 되어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막내 아들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였다. 방석을 세자로 책봉할 당시 배극렴은 “시국이 평온할 때에는 적자를 세우고, 세상이 어지러울 때에는 먼저 공 있는 자를 세워야 합니다.”라고 하여, 이방원을 지지하는 듯한 발언을 하기도 하였으나, 끝내 이방원은 세자 책봉에서 소외되었다. 더하여 정도전은 중국의 예를 들어 모든 왕자를 각도에 나누어 보내자고 청하기도 하였고, 명나라와 외교적이 마찰이 생기면서 진법 훈련을 실시하면 왕자 및 공신들이 거느리고 사병을 혁파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방원을 비롯한 정적들이 보유하고 있는 무력 기반을 약화시키려는 차원이었다.

 

 

 

새로운 왕조 조선의 기틀을 마련하다

 

좌절의 순간은 그러나 그리 길지 않았다. 제1차 왕자의 난으로 그야말로 이방원의 시대가 열렸다. 새로운 시대는 그냥 오지 않는 것, 준비된 자만이 얻을 수 있는 영광이었다. 이방원과 그 주위 사람들은 좌절의 시기에 앞으로 다가올 재기의 순간을 위해 철저하게 준비하였다. 먼저 본인과 부인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사병을 육성하거나 후일을 도모할 준비를 하였고, 여기에 당대 최고의 책사라고 할 수 있는 하륜과의 만남은 이방원에게 큰 힘이 되었다. 하륜을 통해서 의형제를 맺은 이숙번과의 만남도 이루어졌다.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권력의 대세는 이방원에게로 옮겨갔다. 이방원으로서도 바로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자칫 오해를 불러올 수 있었다. 정도전 등의 제거가 권력욕으로만 비추어진다면 여론이 좋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방원은 일단 당시 생존하고 있던 형들 가운데 맏형인 영안대군 방과(제일 맏형은 진안대군 방우였으나 이미 사망한 상태임)에게 왕위를 양보하니, 그가 조선 제2대 왕인 정종이었다. 영안대군에게는 많은 아들이 있었음에도 적장자가 없었던 점이 이방원에게 후일 자신의 입지를 다지는데 유리한 요소였다. 정종 즉위 후 방원은 세자로 책봉되었고, 정종이 재위 2년 만에 왕위에서 물러나면서 그 자리를 이방원이 차지하게 되니, 그가 바로 태종이었다.

 

태종은 왕세자 시절 사병을 혁파하였다.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앞서 정도전이 사병을 혁파하려고 할 때 반발하던 그가 왕위에 올라서는 이를 혁파하였으니 말이다.


태종의 친필

태종의 친필

 

 

 

그러나 권력을 가진 사람들의 사병은 왕권에 위협되는 요소였으므로 태종도 자신의 권력 강화를 위해서는 혁파해야만 하였다. 왕위에 오른 태종은 왕조국가에 맞는 여러 시스템을 정비하기 시작하였다. 이어 국가의 행정체계를 정비하여 6조 중심의 행정체계를 완성하여 자신의 국정 장악력을 강화하였다. 이 밖에도 오늘날 지방제도의 근간이 되는 8도 체제를 정비하였고, 서얼의 관직 진출 등을 제한하는 서얼차대법을 제정하였으며, 국가 운영의 필수인 인구나 군적 파악을 위해 호적법을 정비하였다. 이러한 제도들은 이후 조선조 운영의 근간이 되는 것이었다.

 

 

 

피의 숙청과 수성을 위한 비장한 선택

 

태종은 국가 운영을 위한 제도를 정비함과 동시에 자신의 왕권에 도전하거나 또는 도전할 소지가 있는 세력들을 하나둘 축출하였다. 가장 먼저 태종의 눈에 가시가 되었던 인물이 이거이였다. 태조 대 무장으로, 그리고 태종과 혼인관계가 있던 이거이였으나 사병혁파에 반대했다는 이유에서 제거되었다. 이거이는 당대 가장 많은 사병을 거느렸던 인물이었다. 이어 태종의 공격 화살은 자신을 그토록 도왔던 원경왕후의 집안으로 겨냥되었다. 외척으로 그리고 태종을 도와 왕위에 오르는데 큰 공을 세운 이들이었기에 그 권력은 하늘 높은 줄 몰랐다. 그러나 1406년(태종 6년)과 1409년 두 차례 왕위를 넘겨주겠다는 전위 표명 과정과 1415년을 거치면서 결국 원경왕후의 4형제가 모두 죽음을 맞이하였다. 세자를 끼고 권력을 행사한다는 이유에서였다. 그야말로 피의 숙청의 연속이었다.

 

태종은 생전인 1418년(태종 18년) 8월에 왕위를 세종에게 물려주었다. 이 과정에서 태종은 아버지로서 비장한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왕위를 물려주기 2개월 전에 있었던 일로, 장자인 세자 양녕대군을 폐위시키고, 대신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을 세자로 책봉하였던 것이었다. 당시 의정부를 비롯해 6조 등 조정의 많은 관원들이 양녕대군의 잘못을 논하면서 “만세(萬世)의 대계(大計)”를 위해 폐위시키기를 요청하였다. 어렵게 세운 왕조의 수성을 위해서라는 것이 그 이유였다. 관리들이 세자의 폐위에 대해 논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목숨을 담보로 한 위험천만한 일이었다. 국왕과 교감이 없었다면 쉽지 않은 일이었으리라. 신하들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왕세자의 폐위에 대해 태종은 천명임을 강조하면서 후계자를 어진 이로 삼는 것은 고금의 대의라고 하며 그 정당성을 말하였다. 그 일이 비록 정당하다고는 하지만, 아비되는 입장에서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실록에서는 당시 태종의 심정을 “임금이 통곡하여 흐느끼다가 목이 메이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아무리 냉철한이라도 이 상황에서 심적인 동요가 없을 수 없었다.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436 오글 다 채웠따 ㅋㅋㅋㅋㅋㅋ [10] har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66 4
435 오늘은 역호횽을 꿈에서 만나고 싶은데 [7] har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25 2
434 공원에서 씨엡찍고 계시는 공형제 한번 보자 [9] har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07 4
433 밑에 글에 힘줄얘기가 나와서 [5] har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59 3
432 와 이거봐!!! [11] 아름다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14 6
431 저기....이런말 하기 좀 그렇지만 [16] har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55 2
430 [본격금소니양성프로젝트-태준대학 1강] 환하게 보정하기 [44] GGy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449 11
429 ◀▶∇◀▶ ← 이거 최태준 눈빛 ;) [14] 마슨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414 13
428 멍현석('.') [8] 마슨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85 5
427 뉴비신고합니다^^ [19] 오렌지카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10 3
426 백팔번뇌, 77회 눈 내리깔았다 올리는 움짤 [11] 마슨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55 5
대풍수 최태준 캐릭...... 태종 이방원 인물 한국사..... [10] 썩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383 3
422 35회 이방원 .. 태준편집 [4] 썩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94 3
421 34회 이방원 .. 태준편집 [3] 썩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34 3
419 33회 이방원 .. 태준편집 [8] 썩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53 5
417 32회 이방원 .. 태준편집 [5] 썩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42 3
414 31회 이방원 .. 태준편집 [8] 썩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19 6
413 내가 현석에게 스며들다 벼락맞은날 [13] 풍경(221.155) 13.12.05 462 16
412 빠담빠담_ 랩하는 정이 (다시 수정) [9] GGy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517 12
411 어린 태준이^^ [8] 백팔번뇌(14.138) 13.12.05 224 8
410 갤 생긴거 축하해♥ [8] 동대문 노민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63 6
407 음성 원하는거 있는 사람있나? [12] 아름다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54 3
406 77회 부탁한 현석이 움짤 [6] 풍경(221.155) 13.12.05 323 5
405 소율배우 단막극 기사 검색하다가..ㅎㅎㅎ [2] 공검지인(205.250) 13.12.05 289 3
404 못주 77회에서 움짤 좀 부탁해 횽^^ [4] 백팔번뇌(14.138) 13.12.05 148 3
403 내 볼도 꼬집어주라 [8] 풍경(221.155) 13.12.05 176 4
402 못주갤에서 주웠던 짤들~ [5] As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01 4
401 피아노에 몇회까지 나와? [4] 질문(211.36) 13.12.05 136 1
400 갤신갤 흑역사 하나 보여줄까 [10] haru(112.185) 13.12.05 256 9
399 1일오글이 오글거리는구나 [4] haru(112.185) 13.12.05 136 3
398 횽들아 밥은먹고 달리니? [7] 이쁜서기(59.17) 13.12.05 150 3
397 감독님이 족집게 과외도 해주셔서 촬영을 잘했던 것 같아 기억에 남아요ㅋ [10] 사채쓴여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54 3
396 벽밀키때 쇟 허걱~~ 했던것.. [12] 공검지인(205.250) 13.12.05 587 13
395 못난이 보면서 최배우에게 좀 아쉬웠던 점 [11] 사채쓴여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306 2
394 나르시시즘에 빠진 역을 해도 용서가 되는 훼이스여 [9] 사채쓴여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73 5
393 최배우한테 관심이 가는 이유가 어떤 케릭터를 떠올려도 싱크가 맞아 [8] 사채쓴여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00 5
392 이번엔 제대로 보여드립니다 [9] haru(112.185) 13.12.05 187 7
391 못갤 갤복하다 보니까 [7] GGy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78 2
390 후드역호 보시겠슴돠~~ [12] haru(112.185) 13.12.05 179 7
389 오늘은 역호로 달리겠슴돠~~~ [16] haru(112.185) 13.12.05 210 6
388 흔들리는 우정 영화장면중 2.JPG [10] GGy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53 4
387 못난이 주의보는 최배우가 정말 잘 선택했어 [14] 사채쓴여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32 6
386 흔들리는 우정 현석이랑 철수 이때였어 둘이 ㅋㅋㅋㅋ [8] 으흥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33 7
385 흔들리는 우정 영화장면중.JPG [10] GGy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35 4
384 역호 보고 싶다는 글보니 나도 역호가 땡긴다 [11] haru(112.185) 13.12.05 134 5
383 횽들에게 편지왔숨둥!! 아~ 새벽에 심심해서 또했어 ㅋㅋㅋ [17] 으흥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71 7
382 이거 마수리 때 모습 맞지? [6] GGy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57 1
381 그래도 이렇게 인터뷰 계속 올라오는거 보니 [6] haru(112.185) 13.12.05 147 5
380 매직키드 마수리 다시 보고싶다 [4] GGy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179 1
379 태준님은 소위말하는 옷빨이 쩌러 [11] 사채쓴여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05 232 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