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연예술 관점에서 프로레슬링 보기 (6 )- '관객'

14.36(182.227) 2021.12.03 17:36:17
조회 2189 추천 50 댓글 20
														




3eb5df25eed73c997bb1d2b004c52536e0d4855e174932b450a5f004b97acfbb523e8592404963





0편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2100507&exception_mode=recommend&page=1


1편


공연 예술 관점에서 프로레슬링 보기 1 케이페이브(1)

- 다큐멘터리 씨어터, 렉처 퍼포먼스의 관점에서 프로레슬링 읽기.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2100913&exception_mode=recommend&page=1


2편


공연 예술 관점에서 프로레슬링 보기 2 케이페이브 (2)

- '제 4의 벽'을 중심으로 프로레슬링 읽기.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2101129


3편


공연 예술 관점에서 프로레슬링 보기 3 케이페이브 (3)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2101617&exception_mode=recommend&page=1


4편


공연 예술 관점에서 프로레슬링 보기 (4) 안티 리얼리즘 (1)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2102488&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A%B3%B5%EC%97%B0&page=1



5편


공연 예술 관점에서 프로레슬링 보기 (5) - 구술성






꽤 오랜만에 다시 돌아옴.


일이 좀 많이 바빴고,


백신 2차 접종 이후 후유증 때문에 거의 실신 직전까지 갔음.


죽을 뻔 함.


그러는 와중에도 꾸준히 프갤 눈팅하고, 레슬링 보고 있었음.


일하다가 좀 쉬는 와중에 글씀.


취했음 ㅋㅋ 횡설수설과 오타 양해 바람...




어쨌거나 이번에 해보려는 이야기는 '관객'에 관한 것임.


무엇보다 이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서 "에디 킹스턴은 이 자리에 있을 자격이 없다" 


번역 글은 한번 읽고 오면 좋을 것 같음.


이 글을 쓰는데 많은 착안점을 제시함. 





고대 이후부터 근대 이전까지 연극에서 주로 연구되었던 것은 '극작술'에 관한 것임.


시학을 위주로 공연 내용(텍스트, 희곡)의 완성도에 주로 주목했었는데,


이는 현대의 기록 기술이 과거에는 없었기 때문에,


남는 것은 글 밖에 없다는 점 때문에 더욱 그러했음.


따라서 현대에 들어서기 전까지, 공연 예술에서 '텍스트' 이외의 것들은 


생각보다 사유의 대상이 된 적이 없었음.


하지만 20세기로 진입하게 되며, 연극에서 중요하게 사유되었던 것이 바로 '관객'임.


무엇보다도 기록술이 발달하게 되면서.


공연을 공연이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 대두하게 됨.


여기서 발생하는 질문들이 꽤 많이 있는데, 대충 생각나는 대로 정리해보면,


1. 공연은 텍스트의 재현의 한 예시일 뿐인가?


2. 공연은 텍스트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가?


3. 텍스트가 없는 동양과 제 3세계의 공연은 어떻게 설명해야하는가?


등등이 있었음.


이 과정에서 세계적인 현대 연극 연출가인 피터 브룩은 '공연'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관객이 보고 있는 무대를 배우가 지나 가는 것"


고로, 


현대적으로 공연 예술의 3요소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1. 배우. 2 무대. 3 관객.




그렇기 때문에 현대의 공연 예술에서는 관객에 대한 실험들이 그만큼 중요해졌는데,


그것을 잘 보여주는 예시 중 하나가, 재작년에 노벨 문학상을 받았던 페터 한트케 같은 작가의 <관객모독> 같은 작품임.


이 희곡은 대사나 상황을 정확하게 제시하지 않고,


관객을 어떻게 모독할 것인가를 중점적으로,


많은 부분을 연출가의 해석에 맡기고 있음.




여튼간에 이렇듯이 현대 연극에서 관객의 역할을 점점 중요하게 다뤄졌는데,


프로레슬링에서의 관객은 연극에서의 관객에 비해 특이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생각이 듬.


무엇보다도 프로레슬링의 관객은 허구/진실의 구분이 연극에 비해서 모호함.


프로레슬링의 관객들은


눈 앞에서 일어나고 있는 경기에 대한 판단이 되게 이상함 ㅋㅋ


그것을 허구라고 알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그것을 진실이라고 믿고 있기도 함.


그렇다 보니 그들은 다른 공연에 비해서 허구/진실의 경게를


보다 더 모호한 측면에서 관람하고 있음.


나는 이 점이 공연에술학의 관점에서 프로레슬링을 주목할 가장 주요한 부분 중 하나라고 생각함.




에디 킹스턴의 칼럼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주목했던 것은,


그가 언급한 '중년 여성 관객'에 관한 부분이었음.


에디 킹스턴은 8명 밖에 없었던 그 경기에서


자신을 향해서 온갖 욕설을 퍼붓고, 자신 역시 '힐'로서 온갖 욕설을 퍼부었던 그 관객의 일화를 소개함.


그녀는 에디가 경기를 마치고 나왔을 때,


에디를 만나서 이렇게 말했다고 함.


"당신은 정말 끝내주는 경기를 보여줬어요."


그녀는 경기에서의 선수와 실재의 선수를 구분하는 것은 물론,


관람자로서의 자신과 실재의 자신을 구분하고 있음.


즉, 여기서 중요한 것은,


레슬러가 링 위에서 연기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관객 역시도 '연기'하고 있었다는 사실임.




한국은 공연 문화가 그렇게 주류가 아닌데다가,


관람 문화라는 것이 영화를 통해서 정착하다 보니


관객이 서구에 비해서 기계적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음.


실제로 인기 있는 뮤지컬 공연을 가보면,


같은 장면에서 똑같이 반응하고 있는 매번 오는 관객(회전문 관객이라고 함 ㅋㅋ)들을 관찰할 수가 있는데,


그들은 자신이 관람하고 있는 공연이 이전과 다른 것을 극도로 싫어하는 경우가 많음.


어쨌거나 나 자신은 내 연극이나 다른 사람의 연극의 스태프로 참여하며,


같은 공연을 여러번 관람할 기회가 있었는데,


공연의 내용이 같다고 하더라도,


관객의 반응에 따라서 미묘하게 달라지는 그것을


정확하게 '무엇'이라고 참 말하기가 힘듬.


어쨌거나 정말로 공연이라는 것은 관객을 만나기 이전에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것이


이 바닥의 쓴물단물 다 맛본 중견 연출가들의 견해이기도 함 ㅋㅋ




그렇다보니, 이렇게 특이한 '프로레슬링 관객'의 관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개인적으로 참 궁금했는데,


이것은 자연히 프로레슬링이 "진짜인가 가짜인가?"라는 질문이


언제부터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하는 질문과 유사함.


즉, 자신이 '이 경기를 사실로 믿고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얼마만큼 연기해야 하는가? 의 질문이기 때문임.


관객들이 프로레슬링의 "진위여부" 문제를 언제부터 인식하고 있었고,


그로부터 관람의 관점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는


이러한 "관객 문제'의 큰 질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음.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바로는


1962년에 개봉된 영화 <헤비급을 위한 진혼곡>에서


프로레슬링의 진위여부가 서사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되었다는 것임.


이 영화에서 주인공은 


단 한 번도 승부조작을 한 적이 없는 것을


유일한 자랑으로 삼고 있는 프로복서인데,


프로모터로부터 프로레슬러로 전업을 권유 받게 됨.


주인공은 이에 굉장한 거부 반응을 보이지만,


결국은 삶의 무게에 짓눌려서 프로레슬러가 되는 것으로


영화는 마무리 됨.


여기서 알수 있듯이


프로레슬링의 '진위여부'라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상당히 오래된 인식인 것을 알 수 있음.


생각해보면 이미 70년대에 전두환이 박정희 앞에서


"각하 짜고치는 프로레슬링이 뭐가 재밌다고 보십니까?"라는 얘기를 했다는 일화를 보면


레슬링의 관객은 정말 오래전부터


허구/현실의 경계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음.




오늘날의 프로레슬링 단체들은 이 점을 잘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오가는 맥락을 아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그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 이번 샬럿, 베키의 일전이 아니었나 싶음.




어쨌거나 프로레슬링에서 관객의 관람 태도는


다른 공연 매체의 감상법에 비해서 굉장히 특이한 것이 사실.


허구와 진실의 경게 속에서,


관객 역시도 그 경계에 있어야 한다는 인식 때문일 것임.


레슬링 변방에 위치한 한국 같은 경우는


직관해본 관객이 소수여서 이 문제를 피부로 느끼는 사람들이 적기야 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역시


다른 매체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프로레슬링을 관람하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 아닌가 싶음.






세줄 요약


프로레슬링에서는 레슬러만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들도 연기한다.


고로 레슬링 관객들의 관람 태도는 진일보한 것이다~~


이야~~~ 프로레슬링 짱~~~~



추천 비추천

50

고정닉 6

2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공지 프로레슬링 갤러리 이용 안내 [414/12] 운영자 05.07.13 342136 150
3501122 월헤챔 위상이 덥덥이 암흑기의 부작용임 ㅇㅇ(115.21) 16:28 3 0
3501121 유니챔은 그래도 생각보다 라인업 괜찮네 ㅇㅇ(106.101) 16:22 33 0
3501119 이젠 사라진 유니버셜 챔 보유기간 [4] 프갤러(223.38) 16:13 114 3
3501118 근데 스타덤 세대교체 잘 되었는데? [1] 프갤러(211.235) 16:13 81 0
3501117 가요형 테마중에 구린거 뭐 있냐 ㅇㅇ(115.21) 16:11 19 0
3501116 작년 2024년 스타덤 굿즈판매 순위 TOP10 프갤러(221.150) 16:07 61 2
3501115 삼치에계획 프갤러(106.101) 16:05 29 0
3501114 현재 확정된 스타덤 챔피언쉽 경기 일정 [1] Wweㅂㅔ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2 87 3
3501113 시나 통산 PLE 승률이 60%가 안되던데 그게 무적선역 맞나? 프갤러(153.243) 15:55 43 0
3501112 데프레벨? 그 테마곡 ㅈㄴ못만드는 븅신있자나 [1] 프갤러(106.101) 15:53 55 0
3501111 빠까 거르고 로만은 아이콘 자리에 들어간다고 봐야함? [5] 프갤러(117.111) 15:52 60 0
3501109 치아누정 중계 아예 내려놨구나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1 281 3
3501108 이와타니 마유=무릎 박살남+슬렌더라 미국에선 힘듬 [1] 프갤러(222.109) 15:49 124 2
3501107 정승사자 골더스트 내기약속 내일 하네 프갤러(175.114) 15:37 145 6
3501106 이와타니 마유도 미국진출하나? [2] 프갤러(211.235) 15:37 93 0
3501105 레매40 메인은 데프 레벨 잭팟 동시에 터진게 지림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34 250 2
3501104 리벨리온 재밌었음? 프갤러(116.33) 15:29 24 0
3501103 시나 원사는 누가 운영을 해야하는거냐 [3] ㅇㅇ(124.59) 15:28 170 0
3501102 한프에 근데 180넘는 사람 없냐 [3] 프갤러(223.38) 15:26 80 0
3501101 신일본 스타덤 티켓팔이되는애들 디떠났네 ㅋㅋㅋ [1] ㅇㅇ(211.36) 15:24 83 0
3501100 개인적으로 사본 티셔츠중에 가장 ㅆㅅㅌㅊ인애 [1] ㅇㅇ(14.43) 15:23 150 1
3501099 적어도 스타덤이 신일본보다 미래 걱정이 덜한 이유 [2] ㅇㅇ(126.158) 15:21 101 1
3501098 로만은 방탄입던 시절이 별로였음 [2] 프갤러(118.235) 15:20 97 1
3501097 어쩌면 얘도 억까 아닐까? 프갤러(121.170) 15:18 108 0
3501096 제이랑 헨드리 페투페하면 볼 만하긴 할 듯 ㅇㅇ(117.111) 15:16 30 0
3501095 올해의 병신 vs 올해의 병신 [2] 프갤러(121.170) 15:13 237 0
3501094 시나 랜디 관중 반응은 예술일듯 [2] ㅇㅇ(106.101) 15:10 123 0
3501093 비앙카도 나이 생각보다 많네 ㅇㅇ(218.146) 15:02 87 0
3501091 로만 레인즈는 더락을 못넘었지 [3] 조아킨노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9 129 1
3501090 시호 일본단체 밸트 먹은거 코멘트에 긁힐 사람 하나 있긴한데 [1] ㅇㅇ(223.38) 14:57 104 0
3501089 현 헨드리보다 호응좋은 레슬러 있냐 [1] (222.100) 14:56 135 0
3501088 스타덤 마이카도 팔꿈치 수술로 장기 결장 [3] ㅇㅇ(126.158) 14:52 79 2
3501087 피켓든애가 금수저집안에서 태어난거 맞음? ㅇㅇ(121.55) 14:51 38 0
3501086 스타덤 진짜 인재 다 사라지네 [7] 프갤러(123.142) 14:46 228 2
3501085 군자의 복수.mp4 눈물찔끔ㅠㅠㅜ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9 171 6
3501084 이와타니 마유 스타덤 퇴단 선언 [29] ㅇㅇ(126.158) 14:36 1159 23
3501083 이와타니 마유 스타덤 퇴단 발표 프갤러(210.113) 14:35 64 0
3501082 애들아 로만 레인즈가 진짜 고트야 ? [17] 조아킨노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4 167 0
3501081 샬럿은 보면 입체적인 사람같음 프갤러(211.234) 14:33 72 1
3501080 토니 칸: 목슬리의 그 대못 스팟으로 애우 관심 높아졌어욧.news [5] ㅇㅇ(126.158) 14:33 303 3
3501079 와 근데 시나 원사 경기는 ㄹㅇ 기대하고 보면 안될듯 [2] ㅇㅇ(124.59) 14:32 122 0
3501078 브로디리 아들 보니 벤와 아들은 머하냐 [1] 프갤러(86.48) 14:30 88 0
3501077 니들 혹시 프로레슬링의 신이라는 웹소설 암? [7] 프갤러(222.116) 14:28 136 0
3501076 조헨드리 기믹이 뭐냐 프갤러(211.246) 14:27 45 0
3501075 카미타니 대 쿠라라의 스타덤 월챔전 발표 [2] ㅇㅇ(126.158) 14:22 133 2
3501074 트릭샷 좆구린데 [2] 프갤러(124.28) 14:18 85 0
3501073 어훌락 프갤러(106.101) 14:17 55 1
3501072 니들 리브모건이 그렇게 좋냐?? [1] 프갤러(211.114) 14:09 107 1
3501070 이제 썸슬전까지 위클리 생방 중계하는 새끼 병신 아니냐? 프갤러(222.109) 13:57 56 0
뉴스 ‘노무사 노무진’ 설인아, 정경호 잡는 처제 떴다…스틸컷 공개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