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11.09.13] 초가을(X) 늦여름 지리산 - (1) 화엄사--노고단

닉은무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1.09.19 19:06:22
조회 614 추천 0 댓글 15

8월 29일. 노고단대피소 예약.
8월 30일. 연하천 및 벽소령대피소 예약.
8월 31일. 장터목대피소 예약완료 및 용산발 구례구행 기차 좌석 예매.

9월 12일. 엄니 댁에서 차례를 마치고 처가에 어린이를 던져둔 채 부리나케 귀가.-_-v;;;


126B024D4E75F4111793C9

처음 가방을 쌀 땐 마나님 배낭 무게 6kg, 남편 배낭 무게 20kg였는데,

마나님께서 하해와 같은 아량을 베푸시어 짐 약간을 나누어 들었더니만,

마나님 배낭 9kg, 남편 배낭 20kg-_-;;;


1304AF4E4E75DF12043CB4

어쨌든 출발~~


1104AF4E4E75DF1C05458B

이번 산행 일행은 울 부부 2명에 마나님 회사의 29세 처자.

전라선 새마을호 특실 한칸에 손님이라곤 우리 3명 뿐.

출발 직전에 웬 수녀님께서 우리 셋 앉은 (좌석을 돌려놓은) 자리에 오시더만,

\'이렇게 앉고 가고 싶진 않은데요... 빈 자리 많으니 일단 제가 다른 데 가서 앉지요.\'

하셨다가 출발 직전 방송을 들으시더니 허겁지겁 내리심-_-;;;;;;ㅋ


1104AF4E4E75DF27065A48

12시 10분 경 구례구역 도착.

날씨 조오~쿠나~~


1604AF4E4E75DF2E0777E4

역앞 식당 아무데나 들어가서 점심 삼아 먹은 참게탕.

역전식당 답게 특별하게 개성 있는 맛은 아니었으나, 워낙 기본은 하는 동네이니.

택시를 타고 화엄사로 이동한다.

구례에서 지리산으로 들어가려면 화엄사로 올라가든, 성삼재로 올라가든 조계종에서 징수하는 \'나와바리 관리비\'를 뜯겨야 한다.

화엄사는 가볼 수라도 있으니 그렇다 쳐도, 성삼재 가는 이 중 천은사 들를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을 텐데, 뭔가 되게 손해보는 느낌.

기왕 뜯긴 3500원, 안 가 볼 수도 없는 노릇-_-;




196D00214C5ED022DB8582

대륙 산서성 대동시에 있는 유명 사찰인 또다른 화엄사는 말 그대로 시장 바닥 한가운데 있는 반면,


1304AF4E4E75DF3608B13F

우리네 화엄사는 이렇게 산자락에 고요히 자리잡으셨다.

146D00214C5ED025DD3119

과연 대륙답게 붉은색이라면 환장을 한다.

멀쩡한 절을 상/하화엄사로 두조각 내 입장료를 두번 받아먹는 센스는 대륙인의 기본.


156B024D4E75F413186612

올 때마다 봐도 새로 칠한 듯한 우리네 화엄사 사천왕.

116D00214C5ED023DC8F78

대륙의 향로. 과연 스케일 甲.


1204AF4E4E75DF43090D27

작년까지만 해도 이곳 보제루에 북을 두었는데 이젠 양쪽으로 종루, 고루를 새로 싹 지은 관계로 이곳은 전시장으로 활용하고 있는 듯.


1604AF4E4E75DF650CECCD

저 탱화는 국보로 지정된 그 작품의 복제품일까??


1804AF4E4E75DF4E0A3006

작년에서 올해 사이 새로 올라간 고루. 너무 새 것 같아 보여서 주변과 좀 안 어울린다, 아직은.


1704AF4E4E75DF580B83BF

한국 불교 미술의 걸작 중 하나인 각황전의 위세에 눌려 상대적으로 초라하게 보이는 대웅전(그래뵈도 보물)을 배경으로 깔고 서 있는 동오층석탑.


1475DD224C5ED0A92F4F52

반면 대륙 화엄사의 대웅보전은 척 보기에도 어마어마한 규모로 참관인의 기를 짓누른다.


1575DD224C5ED0AD31BF43

대륙에서도 국보로 지정된 대웅보전 안의 금박 불상.

거대한 금색 부처님 다섯 분이 앉아계신 걸 실제로 보면 입을 다물기 어렵다.


19155C204C5ED287D2C57C

온갖 색으로 찬란한 대웅보전 천정 문양.


150F211F4C5ED188574E82

사방 벽에 빽빽한 탱화와 온갖 아름다운 색이 덧입혀진 저 소상들.

딴건 몰라도 저 소상은 정말 부러웠다.

다시 우리 화엄사로 돌아와서,


1304AF4E4E75DF700D3EF5

동오층석탑이 전체적으로 민무늬의 소박한 모습이라면 이곳 서오층석탑은 화려한 무늬가 가득하다. 불국사의 석가탑 및 다보탑도 그런 대조가 있는 걸 보면 그리 짓는 게 원래 있는 관습인지도...


1804AF4E4E75DF830ECD6E

화엄사에서 가장 인상 깊은 작품인 석등.

각황전 현판 아래 꼴보기 싫은 문구가 보여 그거 가리려고 애썼다-_-;;;;;


195A6E4C4E75E1F205B660

계미년 열라 더운 여름, 형참 이진휴 영감께서 쓰셨다고 옆에 나와 있는 각황전 현판.


196B024D4E75F4181AA5ED

각황전 내부 부처님 및 탱화. 20세기 작품이라 대륙 화엄사에 계신 부처님만큼의 위엄은 안 느껴지지만 그런 거와 관계 없이 그거이 또 대륙과 우리네 부처님의 차이일지도.

이곳저곳을 배경으로 저 아름다운 석등을 몇 방 더 찍어본다.


175A6E4C4E75E2000693BA


165A6E4C4E75E20B0737CC


185A6E4C4E75E22609CA2C

아, 그러다보니 저 꼴보기 싫은 문구, \'백일관음기도도량\'을 가리지 못했다.

일견 별 문제 없어 보이는 저것이 보기 싫은 이유는, 저 아래 가면 \'기도\'에 대한 구체적인 가격이 적힌 \'메뉴판\'이 있기 때문.

명색에 대한민국에서 손꼽히는 대가람에서 저런 장사하는 티 좀 안 낼 수는 없는지, 원. ㅉㅉㅉ


196B024D4E75F4161957F4

짙푸른 산자락에 완벽히 은폐엄폐된 색채의 지붕. 저런 걸 가리켜 자연과의 조화라 하는 건지-_-;; 암튼 멋지다.


115EC3184C5EC9FF3E4139

멀쩡한 절을 두조각 내 입장료를 두번 받아먹는다고 아까 그랬다.

각각 20元의 입장료. 요즘의 무시무시한 위안화 환율을 생각하면 하나만으로 이미 우리네 화엄사 입장료를 찜쩌먹는다.


120A780B4C5ECD27609009

상화엄사의 핵심이 대웅보전이라면, 하화엄사의 핵심은 박가교장전.

요나라 때 지어진 천년 된 건물로 \'요나라 건축의 신비\'라는 호들갑 섞인 찬사를 받고 있다.


116D00214C5ECE45D5A321

박가교장전 내부.


146D00214C5ECE47D6B17B

역시 찬란한 불상, 보살상 등으로 가득 차 있다.


155689224C5ECEB9357796

오른쪽에 계신 분은 \'중국의 비너스\'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는 노치보살상이라고 한다고.


125689224C5ECEB7349AFE

천년의 때가 씌워져 있지만 섣불리 저걸 걷어낸다고 설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다시 우리 화엄사로.


175A6E4C4E75E21A08C4CD

각황전 뒤쪽 언덕에 오르면 나타나는 아름다운 사사자석탑. 딱 보기에도 국보의 뽀쓰가 느껴진다.


196B024D4E75F41A1BC6E1

누천년에 걸친 대가람답게 주변 나무의 풍모도 멋지다.

자, 대략 둘러보았으니 이제 산행을 시작해야지.


136B024D4E75F41D1CDBDB

산행 전 마지막 맛보는 속세 음식. 화엄사표 팥빙수 한 그럭.


166B024D4E75F41F1D65B5

화엄사에서 노고단대피소로 오르는 6.6km에 달하는 산길 입구.


145A6E4C4E75E2330AB702

화엄사를 끼고 돌고 있는 계곡. 요새 가물었는지 물이 별로 많지 않아 보인다.


145A6E4C4E75E2410BAA48

이쪽 길이야 뭐, 터덜터덜 올라가는 수밖에 더 있나.


155A6E4C4E75E2500C2ACD

2km 정도 걸으면 나타나는 첫번째 포인트 연기암.

여기까지 나 있는 차도를 보면 은근슬쩍 열을 받기도 한다. 실제로 관계자 아니면 여기까지 차를 타고 오진 못하더라도.


135A6E4C4E75E2570D8260

다시 터덜터덜.


18453D494E75F2B60C0654

계속해서 터덜터덜. (2)

화엄사길에서 특별히 사진을 찍을 만한 포인트가 없는 건 여기 와본 분들은 모두 인정하는 사실-_-;;;


196B024D4E75F4231E7884

계속 터덜터덜 (3).


16453D494E75F2C20D3F2F

화엄사계곡길에서 그나마 좀 그럴싸한 포인트.


17453D494E75F2CF0E6431

규모는 크지 않아도 나름 \'선녀들이 모이는 절벽\'이라고 이름까지 붙여놓았다-_-;

전체 6.6km 중 좀 가파르고 힘든 코스는 잘해봐야 이곳 집선대를 전후한 1.5km 구간 정도?


15453D494E75F2DB0F99C4

\'탐방로\' 팻말을 타고오르는 버섯들.

14453D494E75F2E710B06F

한 3-40분 용을 쓰니 어느덧 성삼재-노고단의 포장도로에 도착.


19453D494E75F2FC127085

지도에는 코재라고 나오는 지점일 터인데, 무넹기는 무슨 뜻일까.

13453D494E75F2F411FBF8

그냥 한번 찍어봤음.


12453D494E75F311133337

집 잃은 달팽이?


20453D494E75F31814D9E7

우아한 자태의 토룡. 역시 지리산 사시는 분답게 풍채도 남다르다.


16453D494E75F32E168B42

무이파의 흔적으로 이 탄탄대로는 당분간 이용 불가. 물론 이용할 생각도 없지만.


15453D494E75F32115F6B1

대피소로 향하는 마지막 돌계단.


146B024D4E75F4271F0F7F

어둑어둑해지는 대피소 앞에서 승천하는 용 같은 구름을 배경으로 셀카 본능을 발휘하시는 마나님.


13453D494E75F345176ECE

대피소에 자리 펴놓고 엎드려 잠잘 준비를 하면서 V~~~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공지 등산 갤러리 이용 안내 [140] 운영자 05.10.27 77600 28
197672 못생긴 사람에 대하여 -니체- [1] ㅇㅇ(58.29) 01:09 29 0
197671 이번주말은 설악산 혼자 기온이 낮네 [1] ZEN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7 39 0
197670 형제봉 [1] 등갤러(222.111) 00:52 43 0
197669 물은 여름철 기준 시간당 250ml 잡으면 됨. [1] ㅇㅇ(223.62) 00:33 58 0
197668 살로몬이 등산브랜드야 런닝 브랜드야? [3] 등갤러(182.224) 06.20 58 0
197667 등산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특히 좋은 취미인 이유 [2] 등갤러(211.186) 06.20 116 3
197666 금정산 4시간코스 스틱필요하까여?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5 0
197665 내가 등산 고수임 등갤러(118.235) 06.20 42 0
197663 반달곰은 무등산으로 전부 옮기면 됨. 등갤러(14.35) 06.20 43 0
197662 소모임 어플에사 등산동호회 활동 해본사람? [3] 등갤러(39.7) 06.20 87 0
197661 등산에도 고수찾는거 존나 병신같네 [6] 등갤러(220.78) 06.20 327 8
197660 반달곰 단속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 [14] 등갤러(182.224) 06.20 89 0
197659 살로몬 등산복 어때? [4] 등갤러(182.224) 06.20 83 0
197658 토요일날 서울에 비가 올까 [3] 등갤러(106.101) 06.20 71 0
197657 관악산 자운암 능선에 다녀왔습니다...@.@... [1] 투어(223.62) 06.20 85 3
197656 백두대간 수목원 가본 사람 있음? [2] 등갤러(211.186) 06.20 39 0
197655 찐따들 아가리 해라 ㅊ 쳐맞듣다 [2] 유니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67 0
197654 비브람 tc5 밑창은 어때? [1] 등갤러(124.57) 06.20 66 0
197653 등갤에서 좆목질하는 고닉 명단 추려봄 [9] 등갤러(46.165) 06.20 372 7
197652 등산용 간이 정수 시스템 간단글 [6] ㅇㅇ(223.38) 06.20 147 1
197651 제주도살면 훈련하기좋겠다 매일 오름만 올라도 [2] ㅇㅇ(121.155) 06.20 97 0
197650 업힐빌런. 솜잠바빌러. 전라도빌런 [7] 등갤러(124.57) 06.20 256 3
197649 미친듯이 업힐 치고 올라갈 때 [10] ㅇㅇ(116.34) 06.20 131 1
197648 요즘 등갤에서 꼴보기 싫은 글 ’다녀올께‘ ’밥먹자‘ [9] 등갤러(39.7) 06.20 157 2
197647 퓨처라이트 방수자켓 써보고 싶은데 후기가 아예 없네 [2] 등갤러(147.47) 06.20 80 0
197646 (진지) 그래도 북한엔 2000M 이상 고봉들이 좀 있네? [3] 훈남노노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55 2
197645 보덕암에서 신륵사 택시 타보신분 있나요? [5] 등갤러(220.120) 06.20 95 0
197644 하남검단산 정상 찍었다 [7] 등갤러(119.70) 06.20 109 2
197643 등력 평가 좀 [8] 등갤러(39.7) 06.20 316 3
197642 이번 주 토욜 산행 결정했따 [2] 등갤러(39.7) 06.20 115 0
197640 날 더우니 입맛은 분명 없는데 [6] 1111(222.238) 06.20 102 0
197639 1000고지 이상 산 하산 후 공감 .txt [3] ㅇㅇ(223.39) 06.20 163 3
197638 약수물 아무거나 먹고 싶으면 브리타 휴대용 정수기 물병사라 [1] 등갤러(118.235) 06.20 123 0
197637 요즘 사람들은 진짜 약수터물도안마심? 나어릴땐 아빠랑 같이 [4] ㅇㅇ(59.30) 06.20 110 0
197636 여기 틀딱들은 밥처먹는거 왜 올리는거냐 [8] 등갤러(223.48) 06.20 314 8
197635 우울증 1년만에 완치 했습니다 제 경험 공유합니다............. [16] ㅇㅇ(118.235) 06.20 735 19
197634 이번 주말 백운대 vs 신선대 [5] ㅇㅇ(117.111) 06.20 102 1
197633 바람막이, 레인쉘, 소프트쉘, 하드쉘의 차이 등갤러(172.226) 06.20 89 2
197632 근데 김일성이 박정희 쿠데타 처음에 존나 좋아서 공중제비 돌았다는데 등갤러(211.36) 06.20 60 0
197631 습도 높으면 정말 힘든게 [4] 1111(222.238) 06.20 155 0
197630 지리산 (언제 올라간지 까먹음) [3] 등갤러(118.235) 06.20 114 2
197628 님들 약수터 물 마심? [10] ㅇㅇ(61.39) 06.20 141 0
197627 비올때 흘림골 어떰? [2] 등갤러(49.1) 06.20 104 0
197626 오늘 종로5가 구경갈건데 [2] 등갤러(39.7) 06.20 79 0
197625 이번 토요일 설악산 기온이 낮은데 바람막이 두꺼운거가져갈가? [4] 등갤러(218.150) 06.20 104 0
197624 서락산 대종주 눈치게임중 등갤러(172.226) 06.20 62 0
197623 주말마다 비와서 서락산 릴레이에 브레이크 걸림 [1] 등갤러(172.226) 06.20 57 0
197622 밥먹자 [9] 똥자루B(211.234) 06.20 665 6
197621 아크테릭스 슘잠바 사러간당 [3] 유니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1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