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연구/토론] 에임의 분류와 연습 방향성

듀레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2.01 16:51:30
조회 8630 추천 24 댓글 13
														

 아직 갈 길이 멀은 사람이지만 오늘도 팁글 남기고 간다. 이 갤에서 내가 딱 중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나보다 아직 초보인 갤럼들을 도와주기 위해서 쓴다. 


 들어가기 전 midrange long strafes invincible 18900점 정도에 1w6t small 1090점. 파수 99점(초기화 전)정도에 코박스 플레이 전 중 고등학교 시절 오버워치 그마를 찍었었고 지금은 코박스랑 롤만 하고 있는 사람이다.


 본인은 나름 그래도 strafe류에 강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코박스 100시간 중 70시간을 strafe류에 투자했기 때문에 그렇다. 그러나 트래킹은 크게 움직임의 예측과 정확한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류와 좌우 반응성을 필요로 하는 류 두개로 나눌 수 있는데 strafe류는 그 중 좌우 반응성에 해당한다. strafe류가 기본적인 트래킹이라고 할지라도 전부가 아니기 때문에 strafe류만 연습하는 것으론 부족하다. 


 트래킹만 해도 이렇게 다양한데 전체적인 에이밍 스킬은 너무나도 많다. 동적 클릭킹 정적 클릭킹 프리에이밍(조준점 두기) 미세트래킹 반응트래킹 스위칭 등등. 각각 분류를 해보고 전체적인 연습 방향성을 적어보려고 한다.


 우선 에임 연습이란 것은 '강점을 키우는 것'과 '약점을 보완하는 것' 두가지가 있다. 모든 게 다 그렇지만 강점과 약점을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strafe류를 많이 한 나는 strafe류가 강점이고 그것이 아닌 pasu나 정밀트래킹(smoothbot, popcorn등)은 약점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티어(실제 게임)가 보통 다이아 아래라면 강점을 키우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기본기가 안 잡혀 있거나 잘못 잡혀있거나 수준이 미달인 경우가 많다. 나도 4년만에 마우스를 다시 잡았을 때 그정도 수준이라고 판단했고 strafe류부터 시작해 강점 키우기에 들어갔다. 


 다이아 이상이라면 기본기는 잡힌 상황이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이 안되는 에임을 찾아내야 한다. 예를 들어 오버워치에서 솔져로 파라나 메르시는 잘 잡는데 좌우무빙 치는 맥이나 솔져 1대1을 못이긴다면 좌우무빙 반응 훈련을 해야하고 그 반대라면 정밀 트래킹을 연습해야 한다. 만약 솔져로 둘다 잘 되는데 맥이나 애쉬로 안된다면 동적 클릭킹을 연습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한 플레이어는 약점 보완 훈련이 필요하다. 지난 팁글에서도 말했지만 인게임에선 정말 말도 안되는 수준의 움직임보다는 조금 뻔한 움직임을 정확히 맞추는 게 더 중요하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강점 하나로 다이아에 왔다면 이미 그 강점있는 부분에선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1. 프리에이밍


pre-aiming 혹은 crosshair placement라고 부르는 이 능력은 CSGO, VALORANT같은 ttk가 극단적으로 짧은 게임에서 특히 중요한 능력으로 사실 에임연습보다는 수없이 게임을 해보면서 뇌로 습득하는 것이다. 적이 나올 위치를 예측하고 헤드라인, 즉 머리가 위치한 부분에 미리 조준점을 두고 있는 능력. 카스 같은 게임에서 특히 중요하지만 배필이나 에펙에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고 필요한 능력이다. 피킹의 위치에 조준점을 미리 대고 있는 것. 스나이퍼를 하고 싶은 사람은 특히 더 중요하다.


카스 프로들과 발로란트 프로들, 그리고 안산 스나이퍼가 이 부분에 강점이 있다.


 필요 능력 : 맵의 숙지, 색적, 위치 예상, 일정한 위치에 에임을 유지시킬 수 있는 수준의 트래킹.

 연습 방법 : 인 게임 플레이 다수, centering I 같은 좌우 무빙이 적은 thin 류(CSGO나 VALORANT를 위함) 


 2. 동적 클릭킹


 움직이는 타겟을 연발 무기가 아닌 단발 무기로 쏘는 것을 말한다. 오버워치의 캐서디(맥크리), 애쉬, 위도우메이커. 에이펙스에서 윙맨과 대부분의 지정사수 소총과 저격소총. 배필의 저격소총 등이다. 움직이는 타겟을 맞추면 일단 동적 클릭킹이긴 하지만 csgo 수준의 속도는 동적 클릭킹에서 필요한 능력보다는 정적 클릭킹에서 사용하는 능력을 더 필요로 한다. 사실 모든 능력치를 필요로 하기에 에이밍의 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 부분은 아마 사람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내 말이 꼭 옳다는 것은 아니다. 

 움직임을 예측하는 프리에이밍, 빨리 적에게 조준점을 가져다 붙이는 플릭, 움직임을 따라가는 트래킹 셋 다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셋 모두 수준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고 사람마다 강점에 따라 주된 움직임이 다르다. 트래킹 기반 에임을 하는 사람은 일단 트래킹을 하다가 좋은 타이밍에 클릭을 하고 플릭 기반 에임을 하는 사람은 순식간에 가져다 쏘기도 한다. 뭐가 더 우월하다곤 말할 수 없고 전부 잘하는 것이 좋다는 것. 


Pine 선수가 이 부분에 강점이 있다.


 필요 능력 : 프리에이밍, 플릭, 트래킹, 미세조절

 연습 방법 : 인게임 총기 플레이, pasu류. popcorn clicking류 등


 3. 정적클릭킹


 CSGO, VALORANT류와 가끔 스나이퍼를 하면서 멈춰있는 적들을 쏘는 상황에서 필요한 능력으로 우리가 보통 '와 개쩌는 플릭' 하면 생각나는 선수들이 출중한 능력이다. 기본적으로 빠르게 조준점을 옮기는 'Flick'과 'micro aiming'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Flick 후 micro aiming 혹은 micro adjustment로 정확하게 쏘는 것이다. 처음엔 정확도를 목표로 빠른 플릭 후 정확한 미세 조절을 연습하는 것이 좋고 이게 몸에 체득이 되면 속도를 올려도 좋다. 더 자세한 것은 bardoz 유튜브 참조. 그리고 색적 능력도 당연하지만 매우 중요하다. 잠깐 갤에서 떡밥 돌았던 중앙시 주변시에서 주변시로 적을 잘 파악하는 것이 좋다. 


ww3t 에서 큰 플릭을, 6 sphere 에서 미세 조절을, 1w4t나 1w6t small에서 종합적 능력을 키우는 것이 좋다. 셋 다 병행하는 것이 좋다. 

TenZ, bardoz가 이 부분에서 유명하다.


 필요 능력 :  Flick, Micro Adjustment, 

 연습 방법 : 원래 볼테익 시나리오는 별로 추천하지 않지만 유일하게 static류는 볼테익을 추천한다. 1w4t, ww3t, 6 sphere hipfire등 모두 좋은 시나리오다.


모두 노력하면 1w6t small 1000점은 누구나 기본적으로 찍는다고 생각한다. 트래킹처럼 피지컬로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수준이 아니다. 


4. 정밀트래킹


정밀 트래킹이라고 하는, 반응트래킹보다 어떻게 보면 괴랄하고 어떻게 보면 뻔한 움직임을 하는 타겟을 맞추는 능력이다. 부드럽게 마우스 움직임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미세조절 능력이 중요하다. 그리고 타겟의 움직임 예측이 중요하다. 겐지 더블 점프나 에이펙스 슬라이드 점프 움직임 등이 보통 이곳에 속한다. 그리고 중장거리 AR사격도 마찬가지다. 

 코박스 기준으로 smoothbot이나 pgti, ascended tracking등이 여기에 속한다고 생각하고 far long strafes, kindafar long strafes 등등도 정밀 트래킹 안에 속한다고 본다. 특정한 움직임을 하는 타겟과 작은 타겟을 트래킹하는 능력 모두 정밀 트래킹이라고 부르는 셈이다. 


 보통 일반적인 close, midrange strafe류를 벗어난 움직임들이 여기에 속하기 때문에 다양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부드러운 움직임과 미세조절. 그리고 여러번 강조하는 눈이다.


 아마 에펙 프로들은 전부 잘하리라 믿는다. 


5. 반응 트래킹


 그냥 가장 유명한 트래킹. 코박스 strafe류와 같은 좌우반응 트래킹을 말한다. 이에 대해선 앞 팁글에서 여러번 이야기 했다. 잘 멈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오버슈팅이 안나도록 하는게 중요하다. 그리고 움직임 잘 눈으로 읽을 것. 빨리 멈춰서 내가 다시 적에게 빗나간 조준선을 맞추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 목표다. 최종적으로 이상적인 상황은 동시에 움직이는 것이고.(대충 치타가 가젤 쫒는 짤)


78ea8475b0856ca03eeed4b64281756ea094d39d7e78d20257e3b7d106685bc1b4dead8686d151bebcc398478459ce5b91

필요 능력 : 눈, 잘 멈추는 힘조절. 부드러운 움직임.

연습 방법 : Midrange long strafes invincible류를 시작으로 strafe류 다수.


6. 타겟 스위칭


 색적 능력이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에 플릭 능력이다. 나중엔 소리만 듣고 에임을 가져다 대는 경지에 이를 것. 


relaaa, irrpa(사랑해요) 등 배필, 콜옵 유저들이 강점이 있다.


 필요 능력: 색적, 플릭

 연습 방법 : ts 360 close range, ts 360 static extra thin 이외 다수 타겟스위칭 시나리오 조금, 인게임 다수.


시험 공부와 과제에 지치다가 글 남기고 간다. 초보자들이 어떤 방향으로 연습해야 할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다시 말하지만 내 분류 방법이고 다르게 분류하는 사람도 많다. 그리고 잘하는 사람들 중에는 이런거 생각 안하고 한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후발 주자로서 따라잡을려면 분류를 통해 약점을 잘 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끄적여 봤다.


 다들 즐거운 에임 생활 되기를! 

추천 비추천

24

고정닉 3

2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871 AD 뉴진스, 배틀그라운드로 데뷔 준비 완료! 운영자 24/06/21 - -
2874 AD 현물 경품 획득 기회! 아키에이지 지역 점령전 업데이트 운영자 24/06/20 - -
28889 일반 노장은 죽지않는다 단지 사라질뿐 [8] Misfit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9 1146 7
28868 기록/ Close Tappy Strafes 1등 찍었어 우효 [20] PlayerKangm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8 796 7
28847 일반 close tappy strafes 107.1 78.19% 영상 [13] PlayerKangm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8 602 7
28836 일반 스무스봇 잘하면 할수있는 직업 [11] 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8 1194 27
28805 일반 Extra Smoothsphere Pure 1041 [13] 두노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605 8
28784 일반 재능 쿨돌렸으니 이제 코박스가 인게임에 필요한가 떡밥이 구를때가 된듯 [17] 비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119 20
28774 일반 플릭은 노력 트래킹은 재능이라고 생각하는사람들은 그래도 희망이 있는거다 [9] ㅇㅇ(58.122) 22.01.07 3490 22
28750 일반 ㅈㄴ야함 후방주의 [5] ㅇㅇㅇㅇ(211.228) 22.01.07 1996 10
28740 일반 코박스 핫키 보구가 [3] 4661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511 12
28715 기록/ Voltaic Diamond Complete [13] BulgN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507 9
28703 일반 30대 프로게이가 쓴 글 보고 많이 배웠다 [13] 휩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836 17
28682 일반 07년생 에임갤 유망주 불멸 찍었다... [14] ㅇㅇ(175.202) 22.01.05 1758 9
28678 일반 코박스 총알자국 남는거는 못없앰? [9] ㅇㅇ(118.45) 22.01.05 622 21
28596 일반 오랜만에 옵치했다가 핵무새만남 [31] 파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1960 17
28527 일반 오늘부로 31살, 30살 1년간 도전기 (가독성주의) [90] 두노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1 6369 77
28487 일반 와씨 원효대사 해골물 들이키던중이였음 [14] 피자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1187 13
28481 기록/ 연말 정산 기록 모음집 [4] 듀레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703 7
28449 연구/ 마우스 감속에 대해서 [10] 듀레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7287 24
28360 일반 Fps 최고의 재능은 백수다 [15] ㅇㅇ(117.111) 21.12.28 1996 35
28348 기록/ 볼테익 15일차 제이드 컴플릿 [12] AiK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730 13
28342 일반 오랜만에 에임갤에 왔습니다. 반갑습니다. [8] ㅆㅇ(211.44) 21.12.28 1078 8
28330 일반 ㅁㅌㅊ? [5] ㅇㅇ(222.114) 21.12.27 682 6
28264 일반 내가 에임폼이 좋을때의 특징을 적어놓은 기록 [4] ㅇㅇ(222.237) 21.12.25 1656 13
28253 일반 인싸 에붕이들 좆됐음ㅋㅋ [8] ㅇㅇ(58.225) 21.12.25 1428 28
28244 일반 직접 만든 코박스 에이펙스 루틴 던지고 감 듀레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5 2083 15
28234 기록/ 이게 야스지 [5] 비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5 1078 6
28205 일반 고감도 쓰는 이유 [8] 파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4 2025 7
28193 일반 혹시 딸치면 그날 연습한거 다 날아감? [13] ㅇㅇ(211.59) 21.12.24 1591 23
28160 일반 에임 연습시 정말 조심해야 할 것들 [8] 귀타귀(124.49) 21.12.23 1681 9
28123 일반 에붕이 에임 ㅁㅌㅊ?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946 7
28122 일반 에임아메바새기 에펙영상 [2] ㅇㅇ(61.74) 21.12.22 859 7
28111 일반 의자와 책상 그리고 자세에 대한 글(링크) [5] zr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3020 14
27975 일반 트래킹 연습 결과물 [6] ㅇㅇ(211.104) 21.12.20 1174 8
27927 일반 코박스 상위권의 에펙 무빙 [8] ㅇㅇ(39.119) 21.12.19 1341 6
27924 기록/ 연말 코박죽 기록 정산(+에펙 마스터 찍었다) [19] 코박죽트레이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9 993 20
27921 기록/ TKL [3] 비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9 732 6
27876 기록/ 볼테익 다이아 컴플리트 [14] 달빛여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9 730 6
27869 일반 와 씨발 ㅋㅋ 역대급 깨달음 얻었다 ㅋㅋ [10] ㅇㅇ(223.39) 21.12.19 1928 26
27805 기록/ 팝콘 십련 다이아 땄다 [15] DoomSlay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891 6
27758 일반 에펙잘쏜거!!!!!!!!!!!!!!!!!!!! [2] 러시안에이펙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266 5
27734 일반 (손캠) Smoothbot 볼테익 이지 3329점 졸업 기념 [10] DoomSlay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625 5
27653 일반 고수와 초보의 결정적 차이! "어딜 보는가" [15] ㅇㅇ(61.79) 21.12.15 3752 22
27645 일반 퀘이크 투사체랑 트래킹짤들 [8] YAT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5 935 7
27603 일반 코박 일주일동안 무료에 50퍼세일 [3] ㅇㅇ(175.197) 21.12.15 875 13
27585 일반 볼테익 멤버중에 맛있는 트래킹 친구찾음 [4] ㅇㅇ(117.111) 21.12.14 1011 8
27548 일반 비인기겜 영상 [1] ㅇㅇ(220.76) 21.12.14 629 5
27539 일반 잘쏜클립 [8] 즐거운하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4 931 9
27524 일반 따귀 에임법 [2] ㅇㅇ(121.137) 21.12.13 1389 9
27510 일반 코박 800시간이 조금 끄적여본다 [1] ㅇㅇ(223.38) 21.12.13 1262 11
27460 기록/ 해냈다 해냈어! ㅋㅋ 이 요망한 스무스년 [8] DoomSlay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2 1040 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