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한은 준비하는 지방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모바일에서 작성

ㅇㅇ(61.42) 2021.02.15 10:06:18
조회 2765 추천 16 댓글 42
														
친한 선배가 한은 16년도에 입행했습니다. 기간은 기본 베이스 상태에서 1년정도 소요됐었고 학부 때 수학과와 통계학과 3학년, 경제학 석사교재까지 독학으로 선행해서 졸업직전 본격 대비 들어갈 때는 다른 교과서 개념을 더 본다든지 그러지 않았다더군요.


(전 한은 쪽을 준비하지 않는지라 어느정도 준비했냐고 물어보니, 로머, 위켄스, 베리안, 그린, 루빈슈타인 저서 수준까지 완독했고 시간재고 문풀하면서 스스로 변형문제를 계속 만들었다네요)


타지에서 사는데 개인 사정으로스터디도 하지 않았다길래 궁금해서 물어봤습니다. 저도 소문으로 들은바 한국은행 준비할 방법이 수도권 스터디말고는 따로 없다고 들었거든요.

대비 초반에 서칭해보니 한국은행은 기출도 모의고사도 따로 없는 것 같아 마침 대비시작하자마자 지원서 접수기간이었어서 서류합격에만 최대한 신경썼고 다행히도 서류통과되고 필기를 치러갔답니다. 시험치는 동안 문제를 풀지 않고 그 기출문제를 빠짐없이 달달 머릿속에 외워가는 거에집중했대요. 2시간반동안. (진짜 미친 사람...오죽하면 필기치러갈 때까지 20문제 분량을 외워서베껴쓰는 연습까지 했다더라고요...)

그래서 어째저째 다 외워서 쉬는시간이랑 경제논술시간 시험지까지 동원해가면서 달달 외운 기출문제 복기한 다음 논술 두문제 유형파악하고 메모한 내용 외우는데 집중했대요. ㅋㅋ 그렇게 제출하고 시험장 근처 카페에서 복기한 기출자료 다듬고 소중히 가져갔다네요 ㅋㅋ

그걸로 어떤 방식으로 출제되는지를 최대한 세심하게 파악하고 변형지점을 발굴하는 방식으로계속 꼬았다네요. 단순히 수치만 바꾸기도 하고 역으로 교과서 문제나 해외대 기출, 오답노트 기반으로 기출문제패턴 따라서 변형해보기도 하면서요. 그렇게 한달동안 다양하게 실험해보면서 큰문제당 열문항 정도 변형시켜서 복제했답니다. 저는 이 얘기들으면서 솔직히 전혀 감이 안 온다고 말하니까 베이스 탄탄하게 준비한 사람들은 알거라고 하더군요.  

그렇게해서 준비한 문제는 한동안 제쳐두고 (자기말론 김장 담궜다고 합니다 ㅋㅋ) 나머지 연습문제 시간 내 푸는데 집중했다고 합니다. 사실 연습문제도 첨부터 한번에 다 풀지 않고 교과서는 단원별 연습문제를 네다섯문제씩 띄엄띄엄 풀었고 해외대 기출문제도 그렇게 띄엄띄엄 풀었다네여혹시나 몰라서. 그래서 자기 기준에는 풀 문제가 자필 모의고사 치기전까지 차고 넘쳤답니다.

그러고 다음해 봄부터 본격적으로 모의고사만 3순환돌고 순환돌면서 수치 오류 정도만 수정하고꼬을 수 있으면 더 꼬와가면서 돌았답니다. 그리고 서류 접수한 후 시험치기 전전날까지 자기가 만든 모의고사 다시 같은 방식으로 돌리고 오답노트 마무리 정리했다네요. 전날은 1년동안 묵혀둔작년 기출을 풀었다고 하더군요. 사실 마지막은 너무 많이 풀어서 그런지 별 의미가 없었다고 해요.

그러고나서 필기시험을 제대로 치러갔고 그 결과 필기합격이었답니다. 사실 선배는 준비기간을 2년 정도 잡아서 기대도 안했는데 덜컥 붙은 거라고 하던데 믿거나 말거나 ㅋㅋㅋㅋ

그리고 면접은 1년동안 병행해서 한국은행 발간자료 조사하고 이코노미스트, 매경, 경제지표해설보고서 등등 바탕으로 준비한 거 정리했고 특히 토론에 대비하기 위해 변증법 구조로 시사이슈를 경제 원리로 양면 분석하는 데 집중했다네요. 자소서 기반으로 예상 시나리오는 짰지만 대본까지만들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자연스럽게 답하는 방법은 계속 스스로 연구하고 고민했다네요.

그렇게해서 1년만에 최종합했답니다. 워낙 이 선배가 말을 조리있게 잘해서 그런지 저도 모르게인터뷰어가 돼서 귀기울여 듣게 되더군요. 분명 그냥 합격후기인데 부럽다기보다 무용담처럼 재밌었습니다 ㅋㅋ

그래서 지방러가 스터디없이 한은 준비한다면 제일 중요한 건 뭐인거 같냐고 물으니, 모 아니면도라고 요약하겠다고 합니다.

일찍부터 맘먹고 흔히들 요구되는 수준까지 완독해서 개념 베이스를 탄탄하게 준비하는데다 기출을 제외한 나머지 출처의 각종 문제들을 미리 풀고나서 기출문제를 확보하고 분석하든가,

아니면 일찍부터 한은 시험 치면서 기출문제 외우는 방식으로 휴학까지 하면서 4개년까지 확보하든가 둘 중 하나라네요. 특히 남자면 병역때 휴가내서라도 하나더 추가해서 5개년은 확보하라더군요.

그러면 자기만큼 방대한 베이스 요구하지 않고도 대충 기출성향이 보이고 그걸 기반으로 큰 문제 하나당 4개 이상 자체 모의고사문항으로 좀 더 수월하게 만들 수 있고 그거면 충분할꺼라고 하네요. 답이 어떨지 생각하지도 않는데도 꼬아내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다고 하네요. 있는 호기심이란 호기심, 실험정신(?), 알고 있는 유형패턴 등등 다 끌어모아야 한다더군요.

일과는 짧막한 개념복습, 문제풀이, 격일주기로 각각 한은 조사 또는 시사 정리, 논술 대비 이렇게만 했다네요. 2년간 한은에만 순공시간 11시간 이상 거의 올인할 계획이었답니다. 마지막으로 수면시간이랑체력관리도 강조하던데 이거야 뭐 다른 시험이나 공시생들한테는 기본이니까요.

녹음내용을 있는 그대로 담다보니 길어졌네요. 사실 저도 한은 지원에 대해 마음 한켠에 욕심이생겨 적극적으로 녹음까지 해가면서 인터뷰한 이유가 없잖아 있습니다.

하지만 녹음 내용을 실제로 타이핑하면서 정리하다보니, 제가 할짓도 아니거니와 시간도 부족할거 같더군요. 특히 이 선배도 약간 특이한게 연구는 하기 싫은데 대학원 수준의 고급경제학은 공부하고 싶은 걸 정당화하고 싶어 시작한 동기도 있답니다. 여튼 그래도 글은 거의 완성되었으니 저말고 스터디에 관해 고민하는 다른 지방러들에게 조금은 도움되었으면 좋겠네요.

아, 제일 중요한 걸 빠뜨렸네요!! 스터디 없이 하는 전략은 최후순위로 고려하라고 합니다. 나이대, 서울까지 가서 스터디할 비용, 현재 베이스 수준, 여타 진로계획 등등 복합적으로 심사숙고하고,(못해도 일주일?? 이라는데 막연하지만 멋모르는 저도 솔직히 이정도 올인한다면 그정도 시간은필요할 거 같애요) 스터디 가입여부를 결정하라고 하네요. 역으로 머리 아프기 싫으면 편하게 스터디하는 걸 권한다는 말이겠죠 ㅋㅋ 한은대비라는 게 사람마다 분명 개인차가 극명할 거 같기도 하고요. 저만해도 이얘기들으면서 누가 나 스터디원으로 스카우트 해주면 참좋겠다는 생각만 들었습니다 ㅋㅋㅋㅋ

장문의 글 읽어주셔서 다시 한번 더 감사드립니다. 제가 한은 대비에 대해 이 이상 아는바가 없이그저 전달만 하는 입장이라서, 피드백이나 답변은 달아드릴 수 없는 점 감안해주시기 바랍니다ㅠㅠ 그래도 최대한 녹음내용 그대로 적어봤으니 참고에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추천 비추천

16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7474 일반 맑경이랑 오스트리안 둘 다 공부해봤는데 놀란 점 [3] ㅇㅇ(223.39) 21.04.29 807 10
17466 일반 상당수 대학원 진학 경제학부생한테 수학과목수강은.. [3]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8 1668 12
17463 일반 밑에 영어 강조한 틀니다. [2] ㅇㅇ(223.38) 21.04.28 486 8
17460 일반 수학보다 영어가 중요함. [13] ㅇㅇ(223.62) 21.04.28 1563 19
17437 일반 (좋은 질문 답변)경제동학에서 균형 경로를 찾는 이유 [8]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6 567 13
17403 일반 스윗한ㆍ남이 미국 재산세를 다시 친절히 설명해줌 [5]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3 518 14
17351 현실경 부동산)미국에 있을때 재산세율이 1~1.2프로였다 [3]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21 511 9
17334 일반 밑에 노동경제학 질문(feat.카드-크루거) [3] PaulRo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9 543 12
17303 일반 여기 경제학도들은 쓰리썸 게이 포x노를 찍고 있다고 생각됨 [14]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7 1257 31
17222 일반 충분한 답변이 되었나요? [2] ㅇㅇ(147.47) 21.04.10 422 8
17176 일반 경영학 교수들이 회귀 알못인가에 대한 견해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6 392 5
17139 일반 통계학 전공자가 보는 통계학과 계량 차이점 [1]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668 7
17136 일반 왜 교수놈들한테는 디씨에서도 님자 꼬박꼬박 다냐 [5] MJXM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3 610 12
17122 일반 한국만큼 경제학이 헤게모니(?)를 쥔데가 어딧다고 [3]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01 812 13
17104 일반 최근 등장한 경제학 패러다임 혁명 [13] ㅇㅇ(110.44) 21.03.31 1227 34
17077 일반 싱글벙글 사회주의 계획경제에 대한 계산 [6]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28 734 9
16984 일반 설문조사 결과 및 이미지 업로드 제한 안내 [4] Erud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21 236 9
16980 일반 학설사)완전경쟁시장과 중앙계획경제의 개념적 유사점 [3]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21 642 10
16938 일반 다중아. 공매도 같은 이슈는 행간을 읽어야된다 [5]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16 438 9
16936 일반 드디어 이 땅에도 천재 경제학자 나오셨다! [1] ㅇㅇ(121.166) 21.03.16 992 12
16924 생활이 게임 속 경제는 어떻게 다루는가? [1] ㅇㅇ(39.7) 21.03.14 550 8
16877 일반 부산대 경제학과 쓰레기임 [4] ㅇㅇ(14.55) 21.03.09 1472 11
16874 일반 경제학의 쓸모에 대한 고찰 [6]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08 1685 10
16862 일반 수리경제학 글 클릭 ㄴㄴ [2] ㅇㅇ(223.39) 21.03.08 586 8
16860 일반 경제학이 실용적인 학문임? [5] ㅇㅇ(59.25) 21.03.08 889 6
16844 일반 맨큐 어려워 [1] ㅇㅇ(223.39) 21.03.06 565 9
16812 일반 내가 경제학도한테 선형대수를 강조하는 이유 [3]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04 2021 22
16807 일반 수학보다는 사회 현상을 엮어서 바라보는 눈이 더 중요하다 생각 [4] MJXM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03 509 6
16805 일반 책 하나 추천한다 [2] MJXM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03 666 9
16787 일반 바로 밑 42.22 <- 얘가 고어 혐짤임. 속지말자. [5] ㅇㅇ(211.109) 21.03.02 251 6
16777 일반 이준구 교수님 정말 존경하지만 [24] ㅇㅇ(211.36) 21.03.02 1599 16
16755 일반 글이 길수 밖에 없는 이유:경붕이는 아가라서 [1]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27 293 8
16750 일반 집합론을 경제학에서 어떻게 써먹나? (사전편찬식 선호) [6]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26 1131 15
16729 일반 내가 동적 최적화 글을 꽤 많이 썼는데... [3]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24 621 11
16705 일반 아래 파생상품과 시계열 공식 증명 포스팅 고어물 혐짤이니 클릭하지 마세요 [3] ㅇㅇ(98.164) 21.02.23 425 7
16690 현실경 실생활 속 코즈 정리 [2] ㅇㅇ(223.62) 21.02.21 625 16
16679 일반 논문들 보면서 제일 놀란 예외: 헤지펀드 ㅇㅇ(118.235) 21.02.19 612 11
16678 일반 확실히 현 정부 들어서 통화정책 독립성이 무참히 훼손되고 있는듯 [14] ㅇㅇ(58.233) 21.02.19 886 35
16656 일반 진짜 왜 교과서를 여러번 보라는건지 알겠다. [4] ㅇㅇ(223.38) 21.02.18 1265 10
16653 일반 대학원 코스웍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도움 되기를 바랍니다. [15] 도움이되기를바랍니다(211.228) 21.02.18 8432 52
16631 일반 설대 필답고사 정보 물어본 사람 [9] ㅇㅇ(223.38) 21.02.17 577 12
16625 일반 여담)농경제학과가 독립된 까닭 [2]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7 960 10
16599 일반 익명 커뮤니티에 뭘 바라노 ㅋㅋ [2] ㅇㅇ(27.179) 21.02.15 591 16
16598 일반 여기서 한은 소리 나오면 정신이 혼몽해진다 [12]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5 1283 12
16590 일반 한은 갈거면 무조건 스카이가라..금공은 정보력싸움이고 자신감싸움임. [7] (39.7) 21.02.15 1564 17
16587 일반 동태적 거시경제학 책 옴 [4] ㅇㅇ(118.223) 21.02.15 774 10
일반 한은 준비하는 지방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42] ㅇㅇ(61.42) 21.02.15 2765 16
16557 일반 다중이는 왜 저리 EJMR에 꽂힘? [3] 김파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3 442 14
16544 일반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소개 [25] ㅇㅇ(223.38) 21.02.13 3614 15
16538 일반 한은 정보에 대해 : 스터디 들어가기 위한 준비 방법 [6] 경제초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2 3732 2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