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팁] 레진프린터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법

ㅇㅇ(175.124) 2023.07.24 20:37:45
조회 8093 추천 44 댓글 31
														

나도 취미용으로 레진프린터 쓰는 사람이고, 피규어나 뽑아보는 수준이라 전문가는 아님.


그래도 혼자 구글링하면서 얻은 정보, 대가리랑 지갑 깨져가면서 얻은 정보라도 정리해서 공유해보고자 함.


1. 기본 준비물

레진프린터, 세척/경화기, 에어건, 니트릴장갑, 방독마스크, 레진, 거름망깔때기


1-1. 레진프린터

왠만하면 애니큐빅이나 프로즌같은 이름 좀 들어본 회사걸로 구하길 바람. 사용자가 많으니깐 슬라이서에서도 신제품나오면 상대적으로 빨리 지원해주고, 트러블슈팅 정보 찾는데도 굉장히 큰 도움이 된다. 난 프로즌은 비싸서 못사고 애니큐빅으로만 3대째 쓰고있는데, 가격이 프로즌 반값이라 그런가 생각보다 손볼 일이 좀 있었다. 그래도 원체 쓰는 사람이 많으니깐 먼저 고통받았던 사람들이 해결책을 다 제시해놨더라.


1-2. 세척/경화기

먼저 시판되는 세척경화기에 기본옵션으로 달려있는 세척기능을 사용할 경우, 출력물을 꺼내자마자 세척경화기 통에 넣고 돌리는건 뒷수습이 안되므로 절대 비추천함. IPA는 레진에 정말 쉽게 오염되고, 오염된 IPA는 출력물 표면에 얇은 레진막을 형성해서 나중에 공차가 안맞거나, 크랙이 생기거나, 디테일이 망가지는 등의 문제를 만든다. 때문에 다른 락앤락통 1~2개를 준비해서 출력물을 먼저 헹궈낸 뒤 세척기에 넣고 돌려야한다. 애니큐빅, 프로즌같은데서 나오는 세척경화기는 밑에 달아둔 팬을 회전시켜서 통돌이 세탁기처럼 출력물을 세척한다. 밑의 회전팬에 출력물이 직접 닿지 않게, 그러면서도 충분히 잠기게 IPA를 넣어야해서 생각보다 많은 양이 들어간다. 때문에 자주 교체하면 낭비가 너무 심하니 저렇게 초벌세척을 해서 세척기에서 쓰는 IPA의 오염을 최소한으로 하는거임. 실제로 2차까지 밖에서 헹구고 나서 돌리면 IPA를 훨씬 더 오래 쓸 수 있다. 1차 세척에 쓰는 IPA는 진짜 순식간에 똥물이 되어버리지만, 2차는 그것보다 훨씬 양호하고, 3차쯤 되면 진짜 바닥에 서포터 떼고 남은 고형물 가라앉는거 말곤 거의 오염되지 않는다.


초음파세척기의 경우 초음파세척기에 IPA를 바로 담아서 쓰기보단, 초음파세척기에 물을 담고 락앤락통에 IPA를 담아서 물중탕같은 개념으로 세척하는 방법이 낫다. 역시 락앤락통 여러개에 IPA를 각각 담아서 1차, 2차, 3차로 나눠서 세척하면 IPA의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나는 칫솔로 손세척함. 락앤락통 3개 구해다가 IPA를 담아두고, 출력물 첫 세척, 2번째 세척, 마무리 세척 이렇게 3회를 초음파 전동칫솔로 살살 문질러가며 씻음. 칫솔로 물리적으로 닦아내기 때문에 세척이 위 두 방법에 비해 정말 빨리 끝난다. 초음파 전동칫솔로 표면을 살살 쓸어내듯 닦아내주는거라 출력물 표면에 크게 상처가 나지도 않음. 대신 이건 속비움하면 못쓰는 방법임.


경화는 그냥 세척경화기 경화기능 갖다가 돌리는거 추천한다. 이건 진짜 다른거 눈돌릴 필요가 없다고 봄. 재료 직접사서 자작경화기를 만들어보고싶다면 해도 괜찮지만, 그냥 경화기 사다 쓰는거에 비해 너무 번거로워서 개인적으론 추천하고싶지 않음.


그리고 IPA는 인터넷으로 구할 수 있는 99%에탄올로 대체해도 별 문제 없다. 플루이드워시? 같은 레진세척제도 요즘 나오던데, 이건 내가 안써봐서 모르겠음.


1-3. 에어건

이거 진짜 중요한게, IPA로 세척이 끝나고 바로 경화기에 돌리면 출력물 퀄리티가 떨어진다. 세척 후 반드시 에어건으로 표면의 액체를 전부 날려버려야한다. 그래야 출력물의 샤프한 디테일이 살아나고, 경화도 깔끔하게 잘된다. 집에 에어컴프레셔+에어건이 없다면 컴퓨터 청소할때 쓰는 먼지제거제 캔을 갖다써도 된다. 다만 요즘 충전식으로 쓰는 먼지제거용 무선에어건은 비추다. 노즐이 너무 넓어서 풍압이 약해 표면의 IPA를 날리기엔 힘이 모자라더라.


1-4. 니트릴장갑

최소한 니트릴장갑, 비싼거 쓰고싶다 그러면 일회용 네오프렌장갑 사라. 마트에서 파는 투명한 비닐장갑은 알코올이 그냥 침투한다. 애시당초 이거끼고 치킨먹으면 손에 기름기 느껴지지 않냐? 이거 생각보다 되게 쓸모없는 장갑이다. 손에 짝짝 달라붙는 니트릴장갑 쓰는게 여러모로 안전하고 편하다. 게다가 이런 일회용 니트릴장갑, 이젠 대형마트에서 어렵지않게 구할 수 있다. 소모품으로 그냥 막 써도 된다.


1-5. 방독마스크

건프라 도색하는 사람들이 쓰는 방독마스크 구해다가 쓰면 된다. 그쪽이나 이쪽이나 ㅋㅋㅋ


1-6. 레진

용도에 맞게 사라. 예를 들어 프로즌 아쿠아 8k 이거 해상도 좋다고 막 추천하는 사람도 있는데, 어떤 레진을 쓸지는 니가 뭘 뽑을거냐에 따라서 다른거다. 아쿠아 8k는 선명하고 샤프하게 출력되지만 유연성이 없고 유리처럼 깨지는 레진이다. 간단하게 미니어쳐를 뽑을거면 좋을거다. 하지만 니가 피규어를 뽑겠다 이러면 자석넣을 구멍, 황동선 꽂을 구멍을 뚫어야하는데, 이렇게 유연성없이 깨지는 레진에 구멍뚫는거 쉽지않다. 이런 경우에는 abs-like나 터프레진계열을 써야한다. 특히 피규어 머리카락이나 장신구 이런거는 안그래도 얇은데, 후가공하다가 손가락 살짝 스쳤다고 툭하고 깨지면 얼마나 슬프겠냐? 그렇다고 저런 터프레진계열이 만능은 또 아닌게, 이쪽은 출력 직후 유연성이 커서 출력과정에서 왜곡되거나, 수축이 심한 경우가 많다. 분할해서 뽑아놓고 나중에 조립하려고 보니 단차보이고 아다리 안맞아서 안들어가고 이런 일들이 왕왕 생김. 레진마다 물성이 확연하게 다르므로 레진 후기들 보면서 자기 목적에 맞아보이는 레진을 구입해가며 시행착오를 직접 겪어보는 수 밖에는 없다.


1-7. 거름망깔때기

수조에 남은 레진을 재사용할때 사용한다. 아마 레진프린터 사면 뭔 플라스틱망이 달린 종이깔때기가 딸려왔을텐데, 인터넷에 페인트여과지 검색하면 나오는 물건이다. 사용하고 남은 레진을 따로 모아둘 때 커다란 깔때기에 이거 올려놓고 걸러서 쓰면 된다. 이거 말고도 예전엔 다이소에서 파는 스탠거름망 달린 깔때기 그거 사다가 썼었음.


2. 출력과정

간단하게 요약하면 "모델링에 서포터달고 슬라이싱해서 출력, 세척-경화-후가공" 으로 줄일 수 있다.


2-1. 서포터 달기

서포터 다는건 진짜 자기가 시행착오 겪어보면서 "이게되네" "이게 안되네" 하면서 성장해나가는거라 뭐라 팁을 주기가 애매하다.

그래도 뭐라 말을 붙이자면 기둥은 굵어도 상관없으나, 가느다란 팁의 서포터를 많이 박는게 좋고 접촉부위는 구형 팁을 다는게 좋다. 서포터를 그냥 달면 제거할때 출력물 표면을 파먹으면서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면 후가공 난이도가 급상승함. 근데 구형팁을 달면 서포터가 떨어지는 부분이 그 구형팁의 아랫부분이 되므로 서포터를 제거하면 닭살마냥 오돌토돌 올라온 꼴이 되는데, 이런건 사포질로 간단하게 제거가 된다. 뭐 출력물 퀄리티를 위해서는 45도로 기울이는게 낫다던가, 평평한 면을 배드와 평행하게 배치하면 안된다던가 하는 내용들은 하도 여기저기서 많이 나와서 생략함.

슬라이서는 치투박스, 리치, 복셀댄스 등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나는 복셀댄스(유료임) 1달치 구입해서 이걸로 서포터달아서 내보내고 그걸 치투박스로 슬라이싱하는 식으로 쓰고있음.


2-2. 슬라이싱

유료슬라이서라고 뭐 대단하게 슬라이싱해주는거같진 않더라. 유료슬라이서가 가장 빛나는 순간은 자동서포터로 서포터 개쩔게 붙여줄때였다. 그래서 위에서 말한 것 처럼 복셀로 서포터달고 치투로 슬라이싱한거 ㅋㅋ 이상하게 복셀로 슬라이싱까지 하면 모노x에선 에러가 나더라고.....

그리고 속비움. 난 속비움은 비추천함. 속비움 한 뒤에 내부까지 깔끔하게 씻는게 힘들고, 그렇게 씻고나서 내부까지 깔끔하게 말리는 것도 힘들고, 출력 난이도도 꽉채워서 뽑는 것보다 더 높게 느껴졌었음.


2-2. 출력

왠만하면 배드용량 이상의 크기는 출력하지 말자. 레진을 중간에 첨가하는게 귀찮기도 하고, 수조에 있던 레진과 첨가하는 레진의 온도차이등, 생각보다 영향을 줄만한 요소가 많다.


2-3. 세척

세척하기 전에 서포터를 제거한다. 장갑끼고 출력물을 서포터에서 제거한 뒤 장갑 갈아끼고 왼손으로는 출력물만 만지고, 오른손으로는 세척도구만 만지는 식으로 하면 도구를 깨끗하게 쓸 수 있다. 경화 후 서포터를 제거하는건 쉽지않다. 서포터가 달린 상태로 세척하는 것도 부피가 커서 골치아프고 말이다. 왠만하면 먼저 서포터를 제거한 뒤 세척하는게 여러모로 편하다. 그리고 3차까지 세척한 뒤 고압으로 표면의 잔여액체를 전부 날려버리는걸 꼭 기억하자.


2-4. 경화

나는 경화기 60분 갈기고 뒤집어서 다시 60분을 갈긴다. 근데 몇년동안 레진프린터 돌리면서 여태 터진거 하나도 없음. 레딧에서 레진프린터 출력물 야외에서 수개월 방치하는 실험이 있었는데, 그냥 존나게 딴딴해질 뿐, 갈라지거나 터지지 않았다. 갈라지거나 터지는건 세척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게 실험의 결과였음.


2-5. 후가공

서포터 떼고 난 뒤의 닭살마냥 오돌토돌 올라온 구형팁을 사포질로 제거해준다. 분할출력한 경우 아다리가 딱 맞아떨어지면 좋지만 출력과정에서 z축 방향으로 왜곡되거나, 수축으로 아다리가 안맞는 경우는 퍼티질, 사포질로 열심히 맞춰주는 수 밖엔 없다.

드레멜은 확실히 도움은 되지만 표면정리는 힘든게, 회전하면서 틱틱 튕겨서 표면을 파먹기에 깔끔한 표면정리를 하는데는 쓸 수 없다.

표면정리는 pen sander라고 일마존에 검색하면 드레멜 비슷하게 생겼는데 끝에 뭔 모종삽같은게 달린 도구가 나오는데, 그걸 써야한다. 끝부분이 좌우로 빠르게 진동하면서 자동으로 사포질을 해주는 도구다. 무선제품을 사도 괜찮지만 dc전원으로 작동하는 모델을 산 뒤 거기에 맞는 어댑터를 여기서 구입해서 쓰는게 싸다. 심지어 일마존 직배송도 된다. 다만 이게 사포 수명을 미친듯이 빨리 소모하기 때문에 갓핸드 사포처럼 수명이 긴 사포를 양면테이프로 붙여서 써야한다.

그러고 나서 캔서페이서나 서페이서를 에어스프레이로 뿌려가면서 표면확인/정리하는거.


3. 출력 후 뒷처리

일단 출력하고나면 왠만하면 수조를 비우는걸 추천한다. 수조 내에 경화된 작은 부스러기가 있을 수도 있고, 수조에 레진을 오래 담아놔봐야 침전만 되지 득볼게 거의 없다.


3-1. 잔여레진의 회수

거름망깔때기로 수조에 남은 레진을 레진통 (왠만하면 새 레진통에 섞지 말고 빈 레진통 하나에 몰아넣는게 낫다. 한번 반응을 시켰던 레진은 상태가 처음과 다르다더라. 그렇다고 재사용을 못하는건 아니지만...) 에 담는다. 레진이 점도가 높아서 쭉쭉 들어가지 않으니 상황 봐가면서 부어라. 안그러면 깔때기에서 넘친다.


3-2. 수조와 배드의 청소

물티슈와 키친타올로 수조와 배드를 닦아주면 된다. 배드를 진짜 깔끔하게 닦고싶으면 IPA에 담궈서 닦아주면 되긴 하는데, 장기간 안쓸거 아니면 그렇게까지 닦아줄 필요는 없었다. 수조의 경우 물티슈로 레진을 먼저 대충 닦아준 다음, 마트에서 극세사천 몇개 사다가 불스원샷 레인ok? 발수코팅제? 이거 뿌려가면서 닦아주면 된다. 어차피 처음처럼 반짝반짝 투명하게는 안닦인다. 수조의 필름은 소모품이다. 이렇게 닦아가면서 필름 상태를 확인하고, 눌린 자국이 지나치게 많다던가, 출력이 잦은 부위가 희끄무레하게 떴다던가 하면 필름을 갈아주면 된다.


3-3. 씨발 출력 조졌는뎁쇼?

레진프린터에서 출력실패로 제일 골때리는 경우는 90% 이상 완료되었을때 막바지에서 조져서 재료비는 재료비대로 다 나가고, 결과물은 없는 상황이다. 근데 그거 못지않게 골치아픈게 출력물이 수조 바닥에 달라붙은 상태로 실패하는 경우임. 이 경우 수조 바닥에 붙은 출력물들을 긁어서 떼어내려고 하지 말고, 레진을 수조 전체에 얕고 넓게 퍼지게 만든 뒤 lcd테스트로 전체노광 1분을 갈겨버려라. 그러면 수조 전체가 경화되고, 모서리부분을 필름 뒷부분에서 손가락으로 살살 밀면서 틈이 벌어졌을 때 플라스틱 헤라로 긁어내면 필름에 붙은 실패작들을 한번에 뜯어낼 수 있다. 누군가는 전에 출력했던 서포터를 모서리에 세워서 같이 경화시켜 손잡이처럼 쓰기도 하더라.


4. 만약에 "저거 틀린데?" 혹은 "이렇게 하는게 더 나은데?" 하면 댓글로 걍 적어주셈. 나도 배우게

추천 비추천

44

고정닉 1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4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75811 공지 [유입/입문]🔍🔍🔍[정보팁모음]🔍🔍🔍 [5] InfoBo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29 60180 42
84486 공지 출력대행 질문 전 보시면 좋은 글 [11] 때제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9 13165 36
75761 공지 갤러리 부매니저 모집 공지 [31] Sangp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28 2942 20
57734 공지 갤러리 내 이벤트 관련 공지 [2] Sangp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1 3569 3
57747 공지 갤러리전용 메일 만듬 [5] Sangp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1 4156 9
129137 일반 P1 노즐 청소용 실리콘 브러시?? 다이소에 있어? EasternClou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3 1 0
129136 일반 클리퍼 하면 배드온도 150도 할수 있음? [2] 콧수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2 43 0
129135 일반 타오바오에서 pla+사려고하는데 어느업체껄 많이씀? 3갤러(106.102) 12:49 20 0
129134 질문 필라멘트 오븐 건조해도 괜찮아? [5] 3갤러(175.112) 12:42 36 0
129133 일반 보론 300 너무 커 [2] 주시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4 41 0
129132 질문 서울 강동이나 송파쪽에 거주하면서 14k이상 프린트 출력 의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2 46 0
129131 질문 Pla필라멘트 킹룬 뱀부 차이가 큼? [4] Gerhm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4 50 0
129130 일반 애니큐빅도 레진 플라잉 수조 나왔나 [1] 때제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3 51 0
129129 일반 PB스위스툴은 티타늄 렌치세트를 판매 한 적이 있음 [2] ㅇㅇ(39.7) 11:42 68 1
129128 질문 자요 무배 질문(해결함) [4] 교촌은한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77 0
129127 일반 어차피 멀티컬러 안쓰는데 ams lite 팔아버릴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3 70 0
129126 모델링 극악무도한 싸이코패스 범죄자 모델링해옴 [2] 도색하는망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1 137 4
129125 일반 바이럴 당해서 삼 3갤러(211.235) 10:41 119 0
129124 일반 뉴비 첫 생프 [8] ㅇㅇ(222.110) 10:24 84 2
129123 일반 베라는 툴 사면 주는 스티커도 간지 [3] 3갤러(175.213) 10:06 125 0
129122 일반 알루미늄 와이어 샀는데!! [3] 3갤러(59.3) 09:55 117 0
129121 일반 베라 육각렌치 쓰면 체질이 바뀜 [5] ㅇㅇ(221.153) 09:41 167 0
129120 일반 P1S 출력전에 유리 문 앞에 쿵 부딪히는건 머임 [4] 3갤러(112.163) 08:49 98 0
129119 일반 바이럴 하러 왔습니다 ㅋㅋ [13] 냐냥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6 240 0
129117 일반 A1 미니 인클로저 만들었어 [4] doctor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8 132 0
129116 일반 능지 이슈로 불필요한 투자함.. 무한리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5 137 0
129115 일반 실리카갤 2세트 산 친구가 또 있구나 [4] 3갤러(140.248) 02:15 193 2
129114 출력물 간단한 진열대 만들어봄 [2] DE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149 0
129113 일반 연마봉 저품질이라 떨림심하고 뻑뻑하면 어차피 저품질 싸구려 [3] ㅇㅇ(58.232) 01:09 121 0
129112 일반 여름 지나고 입문하는 뉴비면 천천히 사도 된다고 생각함 [1] 광붕이기야노데스웅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2 112 0
129111 일반 뱀부랩 A1] 출력할때 보면 베드 앞쪽에 노즐 청소하는 거 같은데 맞아? [1] 3갤러(59.16) 00:34 114 0
129110 일반 a1미니 프린팅 도중에 구석으로 가는거 머임? [5] doctor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3 112 0
129109 일반 프린터사고 처음으로 힘든 하루였다 [1] ㅇㅇ(220.117) 00:33 137 0
129108 일반 PLA만쓰면 베드온도올려놓고 뚜껑덮어서 구워도되지않음? [3] ㅇㅇ(58.226) 00:11 108 0
129107 일반 갤럼들이 왜 건조에 목숨거냐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80 0
129106 일반 요새 가성비 3d프린터기 1황 누구임?? [4] 3갤러(118.235) 04.23 201 0
129105 질문 이런 현상은 왜 생기는 거임? [6] DE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67 0
129104 일반 p1s 출력 전에 헤드가 챔버에 부딫히는디 이거 왜이럼 [6] 3갤러(118.235) 04.23 94 0
129103 질문 출력 대행 관련 질문 [5] SilicaG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93 0
129102 질문 큐라 스케일 별로 출력물 일부분이 사라짐 도와줘형들 [3] 3갤러(223.39) 04.23 73 0
129101 질문 형님들 이거 슬라이서 설정으로 해결 가능한가요? 3갤러(175.119) 04.23 65 0
129100 일반 삼디프 뉴비입니다.. 근데 프린터 말고 더 필요한듯하네요? [7] 첨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26 0
129099 일반 아래 큐비콘 필라 3갤러(211.219) 04.23 37 0
129098 일반 뱀부 p1 x1이랑 a1 평가 보면 a1이 안좋다는데 [4] ㅇㅇ(223.38) 04.23 122 0
129097 일반 필라건조기 추천과 고민글들이 좀 있던데 솔직히 이해를 못하겠음 [9] 3갤러(14.58) 04.23 131 0
129096 일반 애니큐빅 에이스 프로 밀폐성능 3개월 관찰 [2] 3갤러(121.160) 04.23 119 1
129095 일반 레진프 뭐 사지 고민이네 [4] 액정A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42 0
129094 일반 오랜만에 생프 [8] 삼린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32 3
129093 질문 A1 조명킷 [2] ㅇㅇ(39.7) 04.23 122 0
129092 질문 자요 무광 PETG 매트 써보신 분? [3] 3갤러(121.160) 04.23 119 0
129091 일반 테라스에 삼프 놓고 돌리면 안된다더라 [3] 3갤러(106.102) 04.23 143 0
129090 일반 큐비콘 필라 당근올라왓는데 살까 [6] 핫초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33 0
129089 질문 A1 삿는데 건조기도 필수구매제품 맞나요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07 0
129088 일반 레진 후가공 드레멜쓰면 안되는거였네 [10] 3갤러(118.32) 04.23 146 0
129087 일반 오늘의 생프 [3] 에틸렌글리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11 3
뉴스 데뷔도 전에 ‘사계의 봄’ 주연… FNC 신예 하유준, 누구? [후IS]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