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문5] [문명5] 초대형 대한민국맵 제작 - 전라남도 제작 완료

oo(58.231) 2020.02.24 22:27:19
조회 4095 추천 45 댓글 30
														

1편: [문5] [근황 추가] 문명5 초대형 대한민국(남한)맵 제작중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ivilization&no=110014&exception_mode=recommend&page=1

2편: [문5] [수정]문명5 초대형 대한민국(남한)맵 제작중 - 전라남도 제작중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ivilization&no=110314



음.. 일단 엉성하게나마 전라남도를 완성해보았습니다.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6cced27c644a310ac66b4d2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7549f3fdf763223d69afe04e1e8c45c9ad7fb5dde250768d

해안선이나 강줄기에는 딱히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

이번 작업으로 가장 많이 변화된 부분은 소백산맥과 2차, 3차 산맥의 구현, 그리고 각 지역적 특징을 살린 자원배치였습니다.


[산맥]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1cdef759744522c45c3f5c7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7549f3fdf763223d69afe04e4bdf4196fc098386253a42f8


우선 국토연구원 새산지도를 참고하여 산맥을 구성해 보았습니다.


1차 산맥인 소백산맥 끝자락의 지리산과 남서쪽의 백운산을 우선 산으로 추가하였습니다.

월출산에서는 2차 산맥의 가지가 2가닥이 나와 한 가닥은 광주광역시 옆의 무등산을 지나쳐 전남과 전북의 경계쯔음에 있는 내장산에 닿도록 하였고, 나머지 한가닥은 동해안을 따라 진행하며 장흥, 보성, 순천을 거쳐 광양까지 이르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내장산에서의 2차 산맥과 3차 산맥도 최대한 위성지도를 참고하며 그리려 노력해보았습니다.



[강]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939fbf21c64a9ea919d8c61f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7549f3fdf763223d69afe04e198b4a9ca5b6e1dde28b9811

강은 정말 그대로입니다.

섬진강과 영산강 줄기를 구현하였고, 감조구간또한 비옥한 범람원으로 대체하고 밀을 배치하여 나주평야의 드넓은 논밭의 생산성을 나타내어보았습니다.


나중에 언제 시간이 된다면 전라남도만 따로 초대형 맵을 만들던가도 해보고 싶네요... 마음으로만...



[자원 배치]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498ee259e4185e6522060e3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7549f3fdf763223d69afe04e188f15caaf36bd7cba5830e1


한국의 간략한 자원배치에 있어서는 한국광물자원공사가 2008년에 발표한 지도를 바탕으로 1차적으로 광물을 추가하였었습니다.


석회석 대신 대리석과 석재를 추가하였고, 부안과 곡성에 금광을 하나씩.

그리고 전남과 전북의 경계선인 내장산 남부와 광주 남동쪽 화순군과 장흥군 지역에 무연탄 대신 석탄을 배치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정도로만 자원 배치를 끝냈더라면 저 위의 지도는 완성할 수 없었겠죠. 그래서 저는 새로운 방식을 고안해내었습니다.



[공업지역]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96ccea729e17cc9e339bf98e

사실 이게 문명5 지도 제작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호남 공업지역과 남동임해공업지역. 문명5 게임 플레이에도 핵심이 되는 전략자원 배치에 가장 큰 기여를 한 부분이죠.


우선 자원의 위치 선정에서 가장 많이 고려했던 점은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를 합친 호남 남부지역에는 군과 시의 위치에 따라 지역의 발전 정도와 인구밀도의 차이가 심각하게 난다는 것입니다.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5c9ef24924bd820d067864f


전라남도 전체 인구가 2020년 1월 기준 186만명, 하지만 그보다 훨씬 면적이 좁은 광주광역시는 무려 145만명의 인구를 자랑합니다.

또한 호남 남부지역 인구 밀도의 분포를 보았을 때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은 3군데로 추릴 수 있죠.


서부권의 목포시, 광주권의 광주광역시와 나주시, 그리고 동부권의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


나머지 지역들은 사실 지형이 지형인지라 1차산업이 위주가 될 수 밖에 없어 상대적으로 매우 낙후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자원을 기존 무작위 지도의 문명5와 달리 공업단지가 위치하고 인구가 많은 대도시권역에 집중 배치하기로 하였습니다.




1.여수-순천-광양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7cbea72934700eb0ac171f9


먼저 여수-순천-광양으로 대표되는 전남 동부권의 남동임해공업단지입니다.


우선 일반 사람들이 여수를 생각한다면 모두들 여수밤바다를 생각하겠지만, 여수에는 생각치도 못한 엄청난 공업단지가 있습니다.

바로 여수국가산업단지가 그것입니다.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7c9e92fc4403a11dbfbbd7f


여수국가산업단지는 나무위키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거대한 석유화학단지로 단일 규모로는 세계 1위 규모이며, 산업단지로서도 동양에서도 최대의 크기이고 국내에서도 울산산업단지와 나란히 최대 크기지만, 다른 지역 사람들은 모른다고 합니다.


여수는 상상 외로 석유화학공업이 발달한 도시였고, 따라서 여수에는 석유와 염료를 추가하였습니다.

또 전남에 알루미늄을 놓을데가 없어서 여수 끝자락에 하나 추가해보았습니다.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79cea7290153aa33e79c597

또한 고흥반도와 여수반도로 둘러싸여있는 순천만 지역에는 광대한 습지가 있기에 습지 2타일을 추가하였습니다.

하지만 습지는 문명5에서 잉여타일. 저는 습지의 충만한 생명력은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행복을 줄 수 있다 여겼기에 순천만에 설탕을 배치해보았습니다.


네.. 사실 제 마음대로 배치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러분의 의견도 항상 반영하고 있으니 댓글으로 의견 많이 주세요 ㅎㅎ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7549f3fdf763223d69afe04e498a469ca52cb25f23bc43dd

송광사입니다. 순천시 조계산 기슭에 위치하며, 대한민국의 3대 사찰 중 하나로 꼽히죠. 종교적으로 매우 큰 가치가 있는 문화재입니다.

절의 전체 면적이나 전각의 수가 전국에서 손 꼽힐 정도로 크며, 따라서 향을 2개 배치하여 타일에 배치된 시민들이 종교적 교양감으로 행복함을 얻도록 유도하여 보았습니다.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19ae52ec245a43be5428ee3

대망의 광양 제철소입니다. 광양시에 위치하죠.


제철소 부지가 굉장히 크다 대지 넓이가 무려 2,080만㎡(630만평)[16]로 세계 최대 규모의 제철소이며 대한민국 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생산공장 중 단일부지로는 제일 넓다.[17] 1992년 제철소가 세워진 이후에도 잦은 간척 사업이 이뤄지면서 넓이가 더 넓어졌다. 넓이 만능 측정기 여의도 면적의 7배에 달하며 기초자치단체서울 성동구의 경우 면적이 1,684만㎡ 정도인 것을 볼 때 일개 제철소 규모가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철소 견학을 가 보면 공장 안내를 해주는 간부직원이 "포항제철소는 주조부터 압연까지의 공정이 U자 형태로 돌아나오게 배치되어 있지만, 광양제철소는 그보다 뒤에 지은지라 신기술이 적용되었고 부지도 훨씬 넓어서 용광로 주물부터 압연까지 전체 공정이 일자형으로 설계되어 있다"고 설명해주는 것을 들을 수 있다. 제철소 뒤에 있는 금호동 사원 주택단지까지 합치면 조그마한 신도시[18]라 불릴 정도.


-나무위키-


저는 제철소는 포항, 산업단지는 울산만을 생각했는데, 광양제철소... 엄청나더군요.

8철 2개와 6석탄 1개를 배치하였습니다. 제철소 하나가 거의 신도시급의 위엄을 자랑하다니... 포스코, 대단한 기업이었군요.


[여수-순천-광양 결과]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4c0eb749244cf8d8f671916




2.광주-나주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90cbea729f10974983416535

광주와 나주평야입니다.


호남공업지역은 풍부한 노동력, 풍부한 농산물 자원, 국토의 균형 발전 정책 등이 입지조건이며, 군산, 장항, 전주, 익산, 광주, 나주, 목포 등이 분포합니다.


약간 사실은 슬픈 지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옛 부터 나주평야 등 드넓은 평원 아래 풍부한 농산물자원과 그로부터 얻어지는 인구 증폭으로 나주가 전'라'도 에 포함될 정도로 호남자역은 번성했습니다.

하지만 철광석과 석탄, 지하자원은 완전히 멸종한 상태였죠.


산업 발전을 못한 겁니다.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7549f3fdf763223d69afe04e1e8b4098ac82f8aee0ce4b01


현대에 들어서 전라남도가 뒤쳐지는건 아쉽지만, 요즘에는 국토의 균형발전정책 등으로 광주광역시가 호남지역에서 큰 위세를 자랑하고 있고, 광주에는 광주첨단산업단지도 들어서게 되며 현대에 들어서는 여수-순천-광양으로 대표되는 호남 남동부 임해공업지역을 따라 호남공업지역이 나주-광주지역에 구성되게 되었죠.


그래서 알루미늄을 하나 추가해 주었습니다.



드넓은 평야와 범람원, 농촌의 정겨운 소 울음소리와 드넓은 밀... 논 밭이 펼쳐질게 상상이 되네요.

저 위의 석재와 황금은 이-전에 1차로 추가한 자원들입니다.


[광주-나주 결과]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4cfbb2791454db52c3b4c36




3.목포-신안-진도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90cae473c612b76b51337619

목포와 신안군, 진도군입니다.


저 맨 위에는 영광군이 굴비를 잡는 중이며, 목포시 아래로 내륙으로 들어간 바다부분에는 전라남도의 특산품 중 하나인 홍어를 배치하였습니다.

천사섬신안군에서는 3소금이 주는 3식1망1금에 행복에 주체를 못한 시민들이 열심히 땀을 흘리며 노동을 하고 있겠죠.


진도에는 진돗개가 유명하죠? 그런데 개는 문명5 자원에 없더라고요. 그래서 진도의 꽃게를 개 대신 배치해주었습니다. 드립 ㄴㄴ 구글에 치면 진도 꽃게 나와요.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bc1ef76924acd01b80b5c13

목포항입니다.


목포항은 대한민국의 무역항으로 전라남도 목포시에 위치하고 있다. 전라남도 서부 지역의 관문이며 호남의 관문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리고 단연 목포의 마스코트이자 랜드마크. 항만 규모로는 광양항에 이어 호남 두번째 규모이며, 지리적 위치로 인해 국가적으로도 아주 중요한 항구이다. 다도해 근처 여러 섬을 잇고, 위치상 중국과 일본을 잇는 데 적합하다.

-나무위키-


목포는 해상 무역과 상업으로 '목포항'이 유명하죠.

하지만 해상교역로를 자원으로 배치할수는 없으니, 저는 다른 방식을 찾아보았습니다.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90caea75c44b1373fd82dc70

목포에는 목화가 유명했던 겁니다! 물론 자료화면은 제동이 걸린다는 내용이긴 하지만...


https://jnilbo.com/2018/12/06/2018120416063847414/

-목포에 육지면 재배 시험장이 들어선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150호 전후만 사는 한적한 목포가 개항되었던 것도 전라도 지역이 목화의 주요 생산지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항 이후 목포 항구를 통해서 목화가 다량 일본으로 유출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전라도에서 생산된 목화의 80%는 목포항을 통해 일본으로 나갔다는 통계도 있다. 요즘의 산업박람회에 해당되는 ‘물산공진회’가 1926년에 목포에서 열렸을 때에 목화가 주요 상품으로 전시되었다.

목포에 목화가 집산됨으로써, 목포에는 목화에서 씨를 제거하여 솜을 만드는 ‘조면(繰綿) 공장’이 많았다.


또한 19세기 초 전라감사 서유구가 쓴 ‘완영일록’을 보면, “남원과 광주, 옥과는 전라도에서도 목화가 가장 성행하는 곳이다. 이들 고을엔 산이고 들이고 목화밭이 없는 곳이 없을 정도이다.”는 구절이 있다. 이처럼 대체로 노령산맥 이남이 우리나라 목화 주산지였다.

-전남일보-



따라서 저는 광주와 목포에 목화를 추가하였습니다.

문명5에서 사치품=>경제력의 증가가 될 수 있죠. 따라서 목포 주변에는 사치품을 3개를 넣었고, 빨리 성장해서 경제력과 행복을 뿜뿜 풍겨내는 해양무역도시가 되기를 기원하는 마음에 영광굴비 2개 아래에 물고기 1마리를 더 추가해 주었습니다.


[목포-신안-진도 결과]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398ec27c340567b01770775





따라서 결과물은 이렇게 됩니다.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979ced729542e5cd724aa849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90ccbf249211694c5eda438d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0ceb92390408b5562f22ee9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18ded9ec288f36f137a3c8c39ce522c34321919ae5bd82

그래서 사실 제 마음대로 만들긴 했다만... 일단 전라남도를 완성했습니다!


전라남도에 직할을 펼친다면 아마 광주-나주-신안/ 혹은 순천-여수-광양 즈음이 될 것 같습니다.

광주-나주-신안은 인구가 폭발하겠지만 노동력이 약-간 딸릴 수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신안 3소금도 좋(...?)은 자원이죠.

광양-순천-여수에서는 광양 제철소와 여수 석유화학공업단지로 많은 자원을 통해 생산력을 뿜어내고 순천의 송광사 향 사치와 순천만 습지의 행복한 설탕, 석유화학공업으로 만든 염료로 행복하기까지 하겠지만... 언덕이 많아서 내부교역로 돌리면서 인구펌핑하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사실 지도는 초대형이지만 도넛맵으로 80*128에서 80*80이 되었고, 거기서 또 바다 면적이 넓으니 대형으로 치고 10문명을 하는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그럼 대강 문명 하나 멸망한다 치면 각 플레이어가 각 도 하나씩 차지하고 전국대전을 펼칠 수 있겠죠.




viewimage.php?id=2eb4c62fe9db22a77ab6d9bb&no=24b0d769e1d32ca73fed83fa11d02831dd6ec24037e3c20ed8a76c8572d5aa305f99962537689f20f1547d88d489e17549f3fdf763223d69afe04e188e4b9cfb38c581cfb4c36c


아무튼 이렇게 전라남도를 끝냈습니다. 사실 더 수정할 부분은 많을거라고 생각해요.

그 부분은 이제 댓글을 통해 피드백을 받도록 하고, 저는 이제 부울경(부산-울산-경남)으로 넘어갈 생각입니다.


많은 피드백 부탁드리고요, 우포늪같은 경우는 대강 6식 주는 빅토리아 호수에, 독도에는 대보초, 또 인천 마니산은 신앙 8주는 시나이산 등등 자연경관 의견도 많이 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부울경 특색도요.


암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꾸벅)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45

고정닉 9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6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344147 공지 문명 시리즈 통합 공략 공지 [11] 다키스트던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9 69404 18
336173 공지 문명 갤러리 이용 방침 [5] 다키스트던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3 6187 4
335956 공지 <<신고용 글>> [3] ㅇㅇ(58.123) 23.07.11 6416 7
416800 일반 문린이)) 도시국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음? [2] ㅇㅇ(1.224) 13:33 14 0
416799 문6 다시보니 스팀덱 리더패스가 적용이 안되네 [1] Biur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0 9 0
416798 VP 도국 역전 세계.jpg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0 23 1
416797 일반 문6모바일 호주 개사기내 [2] ㅇㅇ(223.39) 13:23 14 0
416796 VP 추가 문명 중 권위문명 재밌는거 추천 좀 팀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4 17 0
416795 문6 프엘 좀 더 빠르게 특성 터뜨리고 싶은데 [2] 해방된유인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7 22 0
416794 문6 무슨 선성지/선캠 인접 보너스를 3이나 쳉기냐 [7] ㅇㅇ(58.29) 11:56 71 0
416793 문6 문린이 짐바브웨 질문좀 [1] ㅇㅇ(124.50) 11:54 47 0
416792 VP 존나 재미있게 했던 판은 계속 기억에 나더라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5 59 2
416791 문6 오랜만에 게임하는데 왜 두툰밸런스 적용안된거같지 Biur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3 25 0
416790 문5 쇼숀 오랜만에 하는데 재꽃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 26 0
416789 일반 킹만인 이거 이길 수 있음? [5] ㅇㅇ(121.136) 10:57 61 0
416788 문5 러쉬각(소형, 빠름 기준) 프랙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4 19 0
416787 문6 그래 한판 뜨자 ㅅㅂ [1] ㅇㅇ(58.225) 10:22 44 0
416786 문6 콩키로 찍을수있는 최고 전투력이 몇이지 ㅇㅇ(172.225) 10:18 20 0
416785 문6 문6 가장 약한 문명/군주 누구임? [5] ㅇㅇ(221.161) 09:57 95 0
416784 문5 영구적 외교 패널티 좆같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9 43 0
416783 문5 빨간색만보면 야만인같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78 0
416782 일반 넷플 버전으로 하다가 컴 입문해보려고 124.5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33 0
416781 문6 위인점수라는게 중요함? [2] ㅇㅇ(14.37) 07:55 70 0
416780 문6 두툰 공략 만화 지금도 유효한 정보들임?? [3] 불건전유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1 94 0
416779 문6 뉴비 황제 클리어 + 첫 암흑기 [4] ㅇㅇ(124.50) 04:05 115 0
416778 VP 확실히 권위가 머리는 제일 편한듯 [2] lecoq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7 69 2
416777 문5 그 할카스의 마우솔레움 그거 성능 어떰? [4] ㅇㅇ(115.128) 02:07 126 0
416776 문5 문5)야만인 부흥 개꿀이네 ㅇㅇ(203.229) 02:02 54 0
416775 일반 문명 한국 이게 맞나 [1] ㅇㅇ(121.179) 01:49 90 0
416774 문6 율리우스 카이사르 재밌는데 어렵다 [2] ㅇㅇ(1.250) 01:46 48 0
416773 문5 높은난이도 폴란드 상대하기 너무 힘듬.. ㅇㅇ(120.17) 00:59 35 0
416772 일반 조지아 시발새끼 죽여버리는 방법 없냐? [4] ㅇㅇ(211.234) 00:47 110 0
416771 문6 약탈 문명 추천좀 [9] ㅇㅇ(180.182) 00:18 109 1
416770 일반 문명7도 하다보면 나름 재밌고, 장점이 없진 않는데 [6] NoNaM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7 145 3
416769 VP 이거 이시바야 왜 안 지어지냐 [1] ㅇㅇ(119.69) 05.03 92 1
416768 문5 솔직히 한폴쇼바에서 쇼숀은 좀 아니지 않냐 [7] ㅇㅇ(218.157) 05.03 173 4
416767 일반 문린이)) 도국 씨발 없애고 해도됨? [4] ㅇㅇ(1.224) 05.03 92 0
416766 VP 이거 산출량 차이가 왜 나는 거지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116 1
416765 일반 문6 재밌냐 짐까지 문5만해봤는데 [3] ㅇㅇ(121.160) 05.03 88 0
416764 문6 불멸자200턴넘겨서 깨는 문린인데 [3] 문린이(211.193) 05.03 56 0
416763 일반 예전무료배포한거 어제하다가 현타와서 접었는데... [1] ㅇㅇ(223.39) 05.03 40 0
416762 문5 문명 5 멀티플레이 종류 설명 HANDAN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53 3
416761 문6 산업구역 질문좀 [3] ㅇㅇ(211.222) 05.03 130 0
416760 문6 이거 뭐임? [1] ㅇㅇ(112.170) 05.03 51 0
416759 일반 이 시발 비난무새들 [4] ㅇㅇ(210.123) 05.03 92 0
416758 문6 댐이 왜 안 지어지는지 알 수 있을까요? [5] ㅇㅇ(203.234) 05.03 147 1
416755 일반 문명 연맹의시대랑 문명 6 [2] ㅇㅇ(27.124) 05.03 39 0
416754 문6 6은 지도 기본설정 변경 못함? ㅇㅇ(1.231) 05.03 25 0
416753 VP VP 4.21.1 한패 업뎃함. [3] HANDAN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72 5
416752 일반 문6이 문5보다 왜 지루한지 생각해봤는데 [12] ㅇㅇ(220.93) 05.03 220 4
416751 일반 해안 스타팅 ㅇㅇ(118.235) 05.03 21 0
416750 VP 이건 또 무슨 좆버그지 했는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3 71 1
416749 문6 왜 다들 저에게 비난을 날리는 거죠? ㅇㅇ(58.225) 05.03 86 1
뉴스 ‘하하♥’ 별, 안면 대상포진으로 활동 중단 “스케줄 취소” 디시트렌드 05.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