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상속의 이해

ㅍㅍㅇ(175.123) 2018.12.01 00:44:12
조회 11427 추천 17 댓글 3
														

덜렁 땅 한 조각짜리를 가진, 실로 한미하고 연줄도 없는 백작으로 시작했다고 하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신은 당신의 가문을 최대한 빨리 키우고 싶다면! 뭘해야 할까? 그것은 바로 "결혼 설계"라고 생각한다. 뭐,,, 외교력 15 이상 되는 재상으로 클레임 돌리는 것도 필요하겠지만은.


피를 하나도 흘리지 않거나, 피를 "약간만" 흘려도 큰 전쟁을 치룬 것만큼의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이 바로 결혼 설계! 클레임 조작만 주구장창 기다리지 말고 결혼을 잘 해보자, 근데 뭘 어째야하는데? 일단 먼저 "상속법" 부터 이해하면 되겠다.


플레이에서 많이 보이는 스탠다드한 상속법만 이야기 할거다. 왜냐면 보통 여성 지위 높여서 찍거나 하는 건 플레이어의 좆간질 아니면 거의 보기 힘든...바스크? 이런 애들 문화 특성인데 아니면 그나마도 평등상속 이고 여성 상속, 여성 우선 상속은 구경하기도 매우 힘들기 때문이지.


1. 남성 상속 / 남성 우선 상속

영어는... 잘모르겠는데 계승서열에 남자만 있으면 남성상속이고, 여자도 섞여 있으면 남성 우선 상속 이다. 남성이 우선이라니까 남자가 먼저 아니야? 응 아니다

일단 무조건 남자는 먼저가 되는게 이 중세의 룰이었던 것이다.

-남성 상속: 남성만 상속 대상에 포함된다. 사실 결혼을 통한 찬탈적인(?) 상속이 불가능하다고 보면 됨(찬탈적인 상속이 어려움/불가능?).

-남성 우선 상속: 남성이 있으면 남성(들)이 상속대상이지만, 남성이 없을 경우 여성들도 상속자가 될 수 있다(찬탈적 상속이 가능).


1066 정복왕이 된 윌리엄의 잉글랜드 왕국의 상속법은 "남자 장자 상속제" 이다. 남성 상속 + 장자 상속 인데 장자 상속은 잠깐 미뤄두자.

viewimage.php?id=2eafc535e4d63db465b6d8b205&no=24b0d769e1d32ca73fee86fa11d028310f26c7ac70778cce12f3e45986efe892b95e93087d7ac943dcf50d684a312bf1e337061dff3050ae88e2a73aefdefd5347172098cb582dd3

보면 아들이 셋, 딸이 셋이고 다 적자녀 이다.

viewimage.php?id=2eafc535e4d63db465b6d8b205&no=24b0d769e1d32ca73fee86fa11d028310f26c7ac70778cce12f3e45986efe892b95e93087d7ac943dcf50d684a312bf1e337061dff3050ae88e2a73ae48cf405a2089bb0407a87df

계승 서열을 보면 그런데 딸이 없네~? 아까 말했다시피 계승서열에 여자가 코빼기도 안보이면(무려 왕의 자식인 공주들이 있는데도!) 남성 상속이다.

딸들은 나가리가 되는 상황이고, 결혼 설계에서 방어력이 "좀 더 높은" 것인데 조금 뒤에 말하겠음.


그러면 이번엔 남성 우선 상속을 채택한 케이스를 보자.


viewimage.php?id=2eafc535e4d63db465b6d8b205&no=24b0d769e1d32ca73fee86fa11d028310f26c7ac70778cce12f3e45986efe892b95e93087d7ac943dcf50d684a312bf1e337061dff3050ae88e2a73aefd8f203d2cf443652fd0929

아풀리아 공국은 "남성 우선 분할 상속제", 즉 남성 우선 상속 + 분할 상속제 이다. 분할 상속제는 잠깐 패스~

viewimage.php?id=2eafc535e4d63db465b6d8b205&no=24b0d769e1d32ca73fee86fa11d028310f26c7ac70778cce12f3e45986efe892b95e93087d7ac943dcf50d684a312bf1e337061dff3050ae88e2a73ab88ba252cf0461ef819f3edd

계승 서열을 보니 아까와는 달리 저 자식이 많은 로베르 기스카르의 아들과 딸들로 계승서열이 꽉 차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남성 상속 과 남성 우선 상속은 그런데 어느게 꼭 맞다, 더 좋다 할 수는 없고 상황마다 다르기 때문에 유연하게 적용시켜야 한다고 봄.

그리고 무려 한 플레이어 시대에 딱 한 번밖에 못 바꾸니 상속법은 매우 신중하게 건드려야 해. 대개 분할 상속을 장자 상속으로 바꾸는 데 너무 집중하다 보면 상속권이 나가리 되는 수가 있거든.


그러면 남성 상속 과 남성 우선 상속의 장단점을 보자


- 남성 상속의 장단점

장점: 여성 후계자의 배제 및 그에 따르는 부수적인 영향

사실 이게 굉장한 장점이지만 물론 양날의 칼이긴 한데, 장점을 먼저 이야기하면 일단 중세다 보니 여성 군주는 임신 그 자체가 큰 위협이며... 신하들도 여성 군주나 후계자를 기본적으로 싫어하는 걸로 셋팅 되어 있음. 잘 죽기 쉽고, 내부적으로 왕권 자체가 취약하다는 것임. 또한 여성 군주는 강한 명분을 들고 있는 것들은 물론이고 약한 명분을 들고 있는 남성 놈들에게도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외부적으로도 나라가 잠재적 위험에 처한 상태임. 아무리 어린 남자 군주라도 최장 16년이긴 하나, 섭정 시기만 지나면 강한 명분 아니면 영역 권리 명분으로는 약한 명분 따위로는 거의 덤빌 수 없기 때문에... 시도 때도 없이 외세에 치힐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는 여성 군주 자체가 등극하지 않게 막는데 효과적이지.

단점: 양날의 칼이라고 말했는데, 적합한 남성 상속자가 없으면 호로록 하고 작위가 날아가버림. 예를 들어 아들 하나 딸 하나 적자녀로 있어도 남성 상속인데 아들 죽고 내가 급사하고 나서 이어받을 놈이 내 가문이 아니라면(대개 아주 작은 가문일 때 발생하는데) 걍 게임 오버인 겨. 이럴땐 어떻게해서든 아들을 얻던가, 아니면 남성 우선 상속으로 법을 바꿀 궁리를 해야겠지.

단점: 짧게 쓸게 어차피 위에서 말했으니. 여성 후계자가 가지는 단점에 노출된다. 그리고 결혼 설계의 타겟이 되기 쉽지. 여성 군주나 여성 후계자는 일반적인 혼인을 하면 상속에 의해 자연스레 그 가문은 권력을 잃는다.


2. 장자 상속 / 분할 상속

남성 상속/ 남성 우선 상속 말고 큰 축을 이루는 게 장자 상속이냐 분할 상속이냐 이다.

viewimage.php?id=2eafc535e4d63db465b6d8b205&no=24b0d769e1d32ca73fee86fa11d028310f26c7ac70778cce12f3e75985eee892de47bb307287e0bbb9fc08918bc7c039961bebd000810f2494f0cf898f27e2dccfe269fe920a7d73

잉글랜드 왕국은 "남성 장자 상속제" 이니 남성인 후계자(장자)가 플레이어의 현재 모든 작위 및 직할령을 이어받는다. 설명 끝.

viewimage.php?id=2eafc535e4d63db465b6d8b205&no=24b0d769e1d32ca73fee86fa11d028310f26c7ac70778cce12f3e75985eee892de47bb307287e0bbb9fc08918bc7c039961bebd000810f2494f0cf89de22e088ee45fab7e68f1bc6

분할상속제는 위의 경우와 다르게, 카스티야 레온 갈리시아 왕국으로 세 쪽이 나있는데 현재 세 나라의 왕의 아빠가 가진 나라가 3개 였기 때문에 아들들 3명한테 나라가 하나씩 돌아간 모습이다.

만일 아들이 2명이었으면 둘 중 하나가 왕국 2개를 받고 하나가 왕국 1개를 받았을 것이고, 아들이 4명이었으면 4번째 아들은 작위 없이 손가락만 빨던가 공작위 정도 하나 받든가...? 대충 그런 식으로 상속된다.


크킹이 단 하나의 "플레이어"로 진행되는 이상 사실 장자 상속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 분할 상속은 직할령 보유한도에 어드밴티지를 주고 장자 외 자식들한테 우호적의견을 줄텐데 결국에 하등 쓸모 없다. 분할 상속제 상에서는 자손이 번창할 수록 지속적으로 직할령이 줄어들게 되거든. 샤를마뉴나 바이킹시대 시나리오에서는 분할 상속제를 피하기 힘든데, 요령은 "최고작위는 1개로 유지하면 비록 직할령은 감소/분봉되어 버리지만 최소한 내 세력에서 독립은 못 한다." 히메나 왕조에서 아들 셋에 왕국 셋이니까 땅이 3쪽 난게 보통 플레이어가 피해야 하는 분할상속제 상황의 예시가 된다. 플레이 하다가 왕작위 제국위 먹었다고 너무 좋아만 하다가 급사하면 다시 쪼개질 확률 높으니 경고 창 잘 보고, 계승서열 잘 보고, 상속 설계 잘 하고.

viewimage.php?id=2eafc535e4d63db465b6d8b205&no=24b0d769e1d32ca73fee86fa11d028310f26c7ac70778cce12f3e75985eee892de47bb307287e0bbb9fc08918bc7c039961bebd000810f2494f0cf89df71e389c4a7dbdf135f6a90

물론 관리라고 하기에도 애매한게 공작위는 1개고, 백작위는 2개인 초라한 상황이긴 한데, 이 상태에서 로베르 기스카르가 죽어도 직할령은 하나 줄겠지만 최소한 독립은 안한다. 왜냐하면 공작위가 1개니까. 후계자가 공작위랑 백작령 하나를 가지고, 2순위 후계자(노랑)가 나머지 백작령 하나를 가지고, 3순위 후계자는 받을게 없어서 논다. 분할 상속제 상에서는 가장 높은 작위는 하나로 해두면, 계승 발생시 아예 독립해버리는 일을 막을 수 있다는 것.


3. 결혼 설계


상속법 이야기하다 길어졌는데 드디어 결혼설계 이야기한다. 만약 땅 한조각 짜리 백작이면, 남성 우선 상속법이 채택된 여공작 또는 공작의 영애(공녀)와 일반적인 결혼을 성사 시키는 것이 결혼 설계의 처음이자 끝이 된다.


viewimage.php?id=2eafc535e4d63db465b6d8b205&no=24b0d769e1d32ca73fee86fa11d028310f26c7ac70778cce12f3e75985eee892de47bb307287e0bbb9fc08918bc7c039961bebd000810f2494f0cf89df72b3d50fe9f4b8b4d7c6ef

일반적인 결혼 이 있고 모계 결혼이 있는데, 우리는 여성 우선 상속법을 채택한 공작령과 일반적인 혼인을 해서 자연스러운 상속을 노리는 것이다.


일반적인 결혼이 결혼해서 낳은 자식이 아버지의 가문에 속한다 니까 모계 결혼은 결혼해서 낳은 자식이 어머니의 가문에 속한다 겠지?

왜 백작일때는 공작가와의 일반적인 결혼을 노리냐면, 작급 2칸 이상 위는 상대를 거의 안해준다고 보면 됨. 백작 후계자로는 공주랑 결혼하기 쉽지 않고, 공작이나 공작 후계자로 황녀랑 결혼하기 쉽지 않단 소리임. 물론, 결혼하면 큰 이득을 볼 수 있는 건 작위가 높을 수록인 건 당연하지. 위의 케이스에서도 여왕이랑 공작이랑 일반적인 결혼을 해서 그 자식이 히메나 가문이 아닌 디베리아 가문으로서 왕위를 계승한 모습이다. 결혼 설계에서 노리는 것이 이런 것이지.


viewimage.php?id=2eafc535e4d63db465b6d8b205&no=24b0d769e1d32ca73fee86fa11d028310f26c7ac70778cce12f3e75985eee892de47bb307287e0bbb9fc08918bc7c039961bebd000810f2494f0cf89df76e6d510e5132e0d1af425

여차저차 해서 알폰소 6세의 계승자가 우라카 라는 여왕인데 걔가 일반적인 혼인을 해서 왕위가 다른 가문에 넘어간 상황인 것. 플레이어가 히메나 왕조로 저랬으면 우라카 여왕이 죽으면서 게임이 끝나린단 소리다. 즉, 게임오버 되기 싫으면 여성 플레이어는 위에서 말한 조건 들 하에선 모계 결혼이 필수적이지.


그런데 모계결혼은 일반적이지 않다라고 말했으니, 결혼 자체의 메리트가 적은 편임. 왕국이든 공작령이든 백작령이든 후계자들은 거의 대부분 모계결혼에 응해주지 않기 때문에 아무리 황제국이라고 해도, 모계결혼을 하려면 그냥 적당히 천매강이지만 신분은 한미하거나 사생아거나 대충 그런 애들하고밖에 결혼을 못함 아니면 천매강이지도 않든가. 모계결혼에 너무 집착하지 말길 바람. 차라리 권신들이나 권신들 후계자한테 딸을 시집보내라. 불가침이라도 맺게. 물논 딸이 하나 둘밖에 없고 아들 없고 가문도 매우 작다면... 그럴 땐 모계결혼하는 게 맞음. 일단 내 가문원 수는 불리는게 좋으니까. 다만 후계자도 이미 넘치고 그런 상황에서는 아무리 딸이 천매강이든 뭐든 굳이 할 필요 없는게 모계 결혼임....유전자 교배하는 경우는 배제하고. 클래스 맞는 상대 찾기도 어렵고 그렇다.


디베리아 가문이 보여준 게 결혼 설계의 정석적인 예시이다. 공작인데 일반적인 결혼 설계를 잘해서 아들 대에 왕국을 꿀-꺽한 것. 만약 알폰소 6세에게 장성한 아들이 있었다면 상황은 달랐겠지만 그렇지 못했던 것이 "패착"이겠다. 그리고... 상황이 저렇게 완벽하게 딱 맞아 떨어지지 않더라도... 계승 서열에 걸리적 거리면 암살해버리면 될 일("약간의 피"를 흘려서 원하는 것을 얻는다.). 그런 식으로 권모술수도 섞어가면서 결혼 설계를 하면 백작으로 시작했더라도 몇대 안에 공작, 왕, 황제도 될 수 있는 것. 주구장창 클레임만 기다리지 말고, 매의 눈으로 적당한 결혼 대상을 찾아서 남자 가문원들을 장가보내면, 운 좋으면 상속으로 인해 계승되어 가는 가문원들이 늘어나고 그러면 가문이 점점 번창하게 되는 것이다.


글이 엄청 길어졌다. 상속 이야기만 하고 직접적인 찬탈/명분 쓰기 같은 건 나중에 써야겠다.

추천 비추천

17

고정닉 2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871 AD 뉴진스, 배틀그라운드로 데뷔 준비 완료! 운영자 24/06/21 - -
2874 AD 현물 경품 획득 기회! 아키에이지 지역 점령전 업데이트 운영자 24/06/20 - -
221358 공지 크킹갤 신문고 [4] ㅇㅇ(118.235) 22.09.02 10741 10
106635 공지 크루세이더 킹즈 3 정보글 모음(08/19) [12] 디가니까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1.04 269447 82
46974 공지 크킹3 번역 피드백에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39] ㅇㅇ(1.246) 20.09.04 19644 124
1176 공지 뉴비부터 고인물까지, 크킹 공략의 모든 것! [07/27] [21] 거대나무늘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19 154110 66
297641 일반 봉신 전쟁 중지 승전 점수 신경 안씀? 비지주(49.143) 10:32 12 0
297640 일반 DLC 세일 안하나 로얄에디션만 있음 [1] ㅇㅇ(211.119) 10:19 13 0
297639 일반 난 수도에 무장병 강화 안지음 비지주(39.124) 10:00 29 1
297638 일반 인공지능 개선 필요하다 캡틴리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36 0
297637 일반 ㅅㅂ 아들래미 땅 몇개 주니까 죽어버리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3 44 0
297636 일반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했다고 정신나간자라니.. [1] reu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3 68 0
297635 일반 플스로 치트 못씀? ㅇㅇ(211.107) 07:57 20 0
297634 일반 외교범위 정복 말고 방법 없나? [7] 비지주(58.123) 03:56 141 0
297633 일반 궁기병있는 문화는 토너먼트 뭐 열어야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1 49 0
297632 일반 크킹2도 할만한거같다 ㅇㅇ... ㅇㅇ(220.65) 02:37 58 0
297631 일반 크킹3 수니파는 뭔가 종류가 이상하게 나뉜 거 같음 [3] 비지주(112.158) 02:32 175 0
297630 일반 신롬에서 영향력있는 봉신은 뭘 기준으로 정해지는거임? [2] 비지주(114.202) 01:58 69 0
297629 일반 이겜 dlc필수임? [3] 비지주(106.101) 01:20 100 0
297628 일반 명분구매랑 지하감옥 이동 인터페이스 변화 있으면 좋겠다 [1] 비지주(218.154) 01:16 53 0
297626 일반 개발딸 OP인 궁정정원사 [3] 카렌(112.165) 00:15 210 0
297625 일반 행차돌면 나도모르게 구실 막내주던데 정상임? [3] 비지주(211.213) 06.21 146 0
297624 일반 정조대 어떻게 구해야 함? [1] 비지주(218.154) 06.21 166 0
297623 일반 잉글랜드 문화결단 말인데 [2] 비지주(122.44) 06.21 173 0
297622 일반 오오 AEP 오랜만에 켜봤는데 비지주(121.139) 06.21 188 0
297621 일반 유전확률 이게맞나 [2] 비지주(182.220) 06.21 130 0
297620 일반 무장병 바꾸는 방법 있나요? [2] 비지주(175.209) 06.21 152 0
297619 일반 섬겜룰 모드 게임 도중에 적용 안되네 [3] 비지주(78.159) 06.21 85 0
297618 일반 이런 모드 쓸 사람있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12 0
297617 일반 867로 진득하게 하고싶은데 막상 돈 모이는 거 보면 팍 식어버림 [7] 비지주(39.124) 06.21 313 0
297616 일반 [질문] 왕국작위는 세력약한놈한테 주면됨? [12] 비지주(182.227) 06.21 245 0
297615 일반 씨족제(이슬람)는 비밀 알아서 어따씀? [2] 캡틴리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83 0
297614 일반 행차 결혼식 구실 체감 너만의쥬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93 0
297613 일반 섭정이 마냥 좋은건 아니구나 [2] 비지주(211.185) 06.21 227 0
297612 일반 viet 한글번역 끝냈는데 이미 있었노... [6] ㅇㅇ(220.79) 06.21 233 6
297611 일반 대규모행차 구실퍼주는거때문에 안쓴지 반년넘은듯 [1] 비지주(1.233) 06.21 158 0
297610 일반 제국 이름이 왜 자꾸 바뀔까 [4] 비지주(218.150) 06.21 174 0
297609 일반 교권보호로 내가 보호하는 이교도 봉역엔 십자군 못걸지? [1] 비지주(210.94) 06.21 80 0
297608 일반 역병 저항력 100 이라 해봤자.... [1] 카렌(112.165) 06.21 189 0
297607 일반 자꾸 신관으로 내직활령 명분 가져가는새끼 가만둠? [2] 비지주(14.45) 06.21 103 0
297606 일반 공식적 이슬람 제국이라는게 있었다고 봐야하나? [4] 비지주(125.247) 06.21 305 0
297605 일반 '실크로드' [6] 비지주(1.241) 06.21 416 2
297604 일반 이거 첫번째 내가 죽고 난 뒤에는 어케 겜 해야하는거임? [12] 장수말B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03 0
297603 일반 ㅅㅣ이발 가족 처형 ㅈ같네진짜 관계도 -뜨는거 [4] 비지주(14.45) 06.21 197 0
297602 일반 반역 일으켰던놈 동생이랑 아들이 또 파벌 만들었네 [2] 비지주(59.12) 06.21 163 1
297601 일반 크킹3이 크킹2보다 나은이유 [11] 비지주(211.194) 06.21 436 0
297600 일반 크킹 근황..ssibal [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81 0
297599 일반 일지 번역을 잘못했는데 가문사유지,귀족가문 시스템 [1] 뢰흐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22 3
297598 일반 아일랜드 왕국 완성하면 통일한 걸로 쳐주냐? [3] ㅇㅇ(39.118) 06.21 215 0
297597 일반 '방어전술' << 이거 어케 먹음? [7] 비지주(1.241) 06.21 211 0
297596 일반 적어도 암살모략 세울수 있는놈은 좀 한정되어야한다고 생각 [6] 뢰흐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12 3
297595 일반 고증? 게임? 하나만 쳐 해 씨발련들아 [16] ㅇㅇ(121.146) 06.21 428 6
297593 일반 병 걸려도 결혼 좀 해라 [5] 비지주(1.231) 06.21 179 1
297592 일반 암살 얘기 나와서 말인데 [4] 비지주(121.139) 06.21 133 0
297591 일반 비밀신앙 폭로해도 캡틴리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6 0
297590 일반 이런 팁/글은 거의 리포트/논문 수준이네. 비지주(121.139) 06.21 209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