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떠오르는 와인+음식 페어링

임승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5 20:39:27
조회 213 추천 5 댓글 0
														

도갤 이용자분들 중에 와인 좋아하시는 분들이 제법 계셔서 이번에도 와인을 하나 소개합니다.

특별히 봄이면 떠오르는 로제 와인, 그리고 오일 파스타의 기막힌 궁합에 대해 다뤘는데요.

저는 이 조합에서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이 떠오르더라고요.


많이 부족한 내용이지만, 도갤분들께 조금이라도 재미를 드릴 수 있기만을 바랍니다.

바쁘신데 시간 내어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가 언론사에 기고한 글인데요. 원문 주소는 아래에 옮기니 참고하세요.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32751


작가로 오래 활동하다 보니 깨달은 사실이 있다. 책이란 원래 안 팔리는 물건이며, 잘 팔리는 게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는 점이다. 이토록 안 팔리는 것을 굳이 공들여 편집해 주고 책의 꼴을 갖춰 시장에 내놓는 출판사(편집자)에게 항상 고맙고 미안할 따름이다. 패배할 줄 알면서도 함께 싸워나가는 전우, 그것이 작가와 출판사(편집자)의 관계가 아닐까.


이런 동고동락의 동지적 관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건 술이다. 차마 맨정신에 할 수 없는 일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역시 알코올의 힘을 빌릴 수밖에. 지난 4월 22일 월요일도 그런 타입의 날이었다. 작가와 편집자 모두 작정하고선 편집회의를 구실로 오전부터 술판을 벌였으니까. 작가 측 참가자는 부부 작가인 나와 아내, 출판사 측 참가자는 편집자 3인이었는데, 거사 전날 편집자와 주고받은 카톡 대화는 이 모임의 진정한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최 과장: 네. 오늘 안주 뭐 먹을지 마 과장님이랑 머리를 맞대고 회의했습니다. ㅋ

나: 가져갈 와인도 고민 중입니다. 혹시 미리 귀띔해 주시면 어울리는 와인으로다가 ㅎㅎ

최 과장: 도토리전, 도토리묵, 채식 레스토랑에서 파스타류, 탕수육, 볶음밥 요정도입니다~ 혹시 이전에 먹었던 것 중 그리운 메뉴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 ^^

나: 네에~ 감안해서 와인 가져가겠습니다~


(도토리묵에 어울리는 와인을 물색하던 중에, 다시 문자가 왔다.)


최 과장: 메뉴 변경이요 ^^ 팟타이, 봄나물 파스타, 들기름 소바, 채소구이, 탕수육입니다~

나: 넵~ 접수했습니다~


무슨 와인을 들고 갈지 고민하다가 무심코 냉장고 문을 열었는데 작년 8월에 서울 마포구의 와인 성지 ‘빅보틀’에서 사놓은 3만 원대 이탈리아 로제 와인이 눈에 들어왔다. 라벨에 인쇄된 코뿔소가 인상적인데 미술에 조예가 깊은 아내 말로는 알브레히트 뒤러의 판화라고 한다. 내가 이름을 들어봤을 정도면 상당히 유명한 화가인 건 분명하다.


라 스피네타 일 로제 디 카사노바

La Spinetta Il Rose di Casanova


0490f719b28b6fff20b5c6b236ef203edbea4d29878ab002ec


적포도 품종인 산지오베제, 그리고 산지오베제의 클론인 프루뇰로 젠틸레 품종을 반씩 섞어서 양조했다고 한다. 로제 와인의 그 은은하다면 은은하고 어정쩡하다면 어정쩡한 양파 껍질 색깔은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침용(Maceration)이라는 와인 제조 공정을 통해서다. 적포도의 껍질, 씨앗, 줄기 등을 포도즙과 접촉하게 해 색소, 타닌, 향기 성분 등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침용을 길게 가져가면 레드 와인, 하지 않으면 화이트 와인, 어정쩡하게 하면 로제 와인이 된다.


로제 와인은 레드나 화이트와 비교해 생산량 및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비율로 따지면 대략 5~10% 정도다. 레드처럼 진득하지도 않고 화이트처럼 마냥 경쾌하지도 않은, 그 경계인과도 같은 어정쩡함 때문이 아닌가 싶은데.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이 녀석을 꼭 데려가겠다고 마음먹은 이유가 있다.


잔에 담긴 로제 와인의 은은하고 투명한 붉은 빛깔은 산들바람에 살랑살랑 흔들리는 연분홍 철쭉만큼이나 봄을 떠오르게 만드는 구석이 있다. 그러니 4월의 모임에는 안성맞춤이 아닐 수 없다. 더군다나 최 과장이 카톡으로 알려준 메뉴에는 봄나물 파스타가 등장하는데, 분명 오일 베이스의 파스타일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4월 14일에 영접했던 로제 와인과 오일 파스타의 그 미칠듯한 저세상 궁합은 4년 가까이 흐른 지금에 와서도 여전히 뇌리에 생생하다.


그래! 이 녀석을 가져가면 친애하는 전우들이 분명 만족할 거야. 하지만 아무래도 성인 다섯 명에 와인 한 병은 턱없이 부족하니 다른 두 병을 더해서 총 세 병을 가져갔다.


드디어 4월 22일 오전. 와인 세 병을 들고서는 아내와 파주 출판사 사옥에 도착했다. 우리 부부를 포함해 다섯 전우가 둘러앉은 탁자에는 전날 카톡으로 전달받은 예의 그 음식들이 즐비하다. 준비한 로제 와인을 개봉해 각자의 잔에 따라주고서는 기름기 좔좔 흐르는 파스타로 냉큼 젓가락을 가져갔다. 입에 넣고 꼭꼭 씹으며 음미하는데, 너무나도 익숙한 맛이 아닌가.


0490f719b28b60f520b5c6b236ef203e73e32b47338aaca311


“이거 혹시 베지앙의 고사리 들기름 파스타 아닌가요?”

“오! 맞아요. 거기서 방금 사 왔어요.”

“제가 이 파스타를 두 번이나 먹어봤거든요. 여기 진짜 맛집이죠.”


고사리 특유의 담백하면서 졸깃한 식감에다가 시골 가마솥 누룽지를 떠올리게 만드는 들기름 특유의 구수함이 이미 맛있음 기준 초과지만, 거기에 ‘마카로~니’, ‘모짜렐~라’ 같은 찰진 이탈리아어를 떠올리게 만드는 쫀득한 파스타 면 또한 기대 이상이다.


한참을 파스타 맛에 홀려 있는데 잔 속 와인이 동향 친구(파스타)를 만나고 싶다며 얼른 구강 내로 투입하라고 성화다. 마, 알았다! 타지에서 친구를 만나니 그리도 반갑드나. 이리 온나. 한 모금 머금으니 입 안에서 화사한 산딸기 향이 퍼져나가면서 상큼한 신맛이 침샘을 자극한다. 콧노래가 절로 흘러나올 정도로 흥겹고 발랄한 맛이다.


폭발한 침샘을 달래기 위해서 들기름 고사리 파스타를 투하하고, 다시 로제 와인을 들이붓는 행위를 몇 번이나 반복했을까. 문득 이 만족스러운 미식의 리듬에 어울리는 곡이 떠오른다. 바로 왈츠의 왕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대표곡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이다.


a14438aa3d12b4538b34056158db343ab56973bc4dd4b65a07959552


악보를 보면 진노랑색으로 표기한 저음부 선율과 주황색으로 표기한 고음부 선율로 구분했다. 진노랑색으로 표기한 선율은 오케스트라에서 주로 바순, 호른, 첼로, 바이올린이 담당하는데, 바이올린을 제외하면 대체로 묵직한 저음의 악기다. 나에겐 이 선율이 고사리 들기름 파스타의 담백하고 고소한 맛과 겹쳐서 들렸다


주황색으로 표기한 스타카토 선율은 오케스트라에서 플롯, 오보에, 클라리넷, 바이올린 등 상대적으로 고음을 내는 악기들이 담당하는데, 재잘재잘 새소리 같은 청량한 가락이 상큼하고 화사한 로제 와인을 떠올리게 한다.


그렇게 파스타 한입 로제 와인 한 모금 마시기를 반복하다가 순식간에 로제 와인이 바닥나 버렸다. 왈츠 연주가 중간에 강제 종료된 셈이다. 무척이나 아쉽다만 아무래도 다섯 명이 나눠 마시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하긴 왈츠 리듬에 맞춰 계속 마셔댔다가는 인사불성이 되어 독거미(타란툴라)에 물렸을 때 춘다는 타란텔라(이탈리아 전통춤) 리듬을 타게 될지 모르는 일 아닌가. 전우들에게 민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음주 속도를 조절하며 천천히 두 번째 와인을 열고….


오후까지 계속된 이날의 모임에서 책 제작과 관련된 구체적인 얘기는 거의 없다시피 했다. 그저 눈앞의 음식과 와인을 섭취하며 인생만사와 희로애락을 가감 없이 나누다 보니 서로에 대해서 좀 더 이해하게 되었다고나 할까. 목표 지상주의적이고 성과주의적인 사람은 이런 시간을 소모적이고 낭비라고 여길지도 모른다. 하지만 비생산적인 시간을 일부러 함께할 수 있다는 건 이해타산을 뛰어넘는 소중한 관계라는 증거가 아닐까? 생산적인 시간만으로 채워진 삶은 로제 와인 없는 파스타처럼 삭막할 테니 말이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9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15621 공지 도갤 이용 규칙 및 조성진, 임윤찬 언금 공지 (23.12.10) [6] Fantas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0 4271 16
115236 공지 KBSSO 2024 시즌공개 [2] 당켓예언가(121.125) 23.12.04 1628 20
113061 공지 도갤 <명예의 전당> 좋은 글 모음 (업데이트중..) [11] Fantas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2344 26
113675 공지 서울시향 2024 시즌공개 [32] 00(220.121) 23.11.15 3264 20
94983 공지 부적절한 글, 댓글 신고 [3] Fantas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6 8857 10
130847 일반 부아센 첨가보는데 자리 좀 추천해주세요 [2] ㅇㅇ(211.177) 06.23 42 0
130846 일반 로렌조 비오티는 한국안오나?? 갤러(119.202) 06.23 37 0
130844 일반 모슈코프스키 피협은 정말 한국에서 연주된적이없음? [4] ㅇㅇ(39.123) 06.23 114 0
130843 일반 카시모토 ㄹㅇ 동안이네 [2] 데미안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137 0
130842 일반 슈완트너 자유의 여명을 들어보자 [2] ㅇㅇ(115.138) 06.23 62 0
130841 일반 빈필 x 틸레만 x 하델리히 x 카푸숑 [1] ㅇㅇ(118.235) 06.23 117 0
130839 일반 클린이인데.. 공연 보러 가도 될까? [5] 디지디지(220.72) 06.23 216 1
130838 일반 모피협 27번 들을 때마다 모교 40번 생각남 [1] ㅇㅇ(118.235) 06.23 83 0
130837 일반 개인적으로 쇼바협 노잼이었는데 [2] ㅇㅇ(59.1) 06.23 169 7
130836 일반 브루크너 4번 추천받음 [6] ㅇㅇ(175.199) 06.23 143 0
130835 일반 지나바카우어 신효진?이사람뭐냐 입상할거같은데 [1] ㅇㅇ(183.103) 06.23 296 0
130834 일반 파딱 한분 탈퇴하셨는데 충원 안합니까? [9] ㅡ,,ㅡ(118.235) 06.23 359 5
130833 일반 여러분들은 1주일에 음악을 얼마나 듣나요? [10] Bruckn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22 0
130832 일반 궁금한게 유자왕 랑랑 내한때 중국인 관크 많았음? [6] ㅇㅇ(118.235) 06.23 342 0
130831 감상 6.23(일) 프레디 켐프 - 코리아쿱오케 베피협3, 프피협2 감상 [6] ㅇㅇ(118.235) 06.23 281 3
130829 일반 엘아센 생각보다 나쁘지 않은데? 악평보다는.. [2] ㅇㅇ(118.235) 06.23 229 2
130828 일반 정마에 참 좋은 지휘자임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548 21
130827 일반 서울대 수시 2차시험 서류평가가 뭐에요? [7] ㅇㅇ(223.39) 06.23 301 0
130826 일반 연주도중 소프라노랑 싸우고 고함치는 사이먼래틀 ㄷㄷ [5] DeutscheGrammoph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661 4
130825 일반 이번에 롯콘에서 빨간 우산 or 깃발 볼 수 있나요?? ㅇㅇ(117.111) 06.23 182 0
130824 일반 이번 레이첸 공연 중국인 관크 감안하고 가라 [5] ㅇㅇ(118.235) 06.23 404 2
130820 일반 설샹 이번주꺼는 뭔데 이틀다 매진임??? [5] ㅇㅂㄱㅎ(118.235) 06.23 470 0
130819 일반 이번 설샹 드보르작 8번이랑 잉키넨 k향 8번 둘다 들은 사람 있어? [1] ㅇㅇ(59.6) 06.23 214 0
130818 일반 H대 계자들 많다는거 진짠가 [10] dd(210.182) 06.23 924 7
130817 일반 녹음 엄청 실감나게 하는 마이너 레이블들은 ㅇㅇ(14.4) 06.23 224 1
130813 일반 산송장이 된 바렌보임 [7] ㅇㅇ(39.123) 06.23 990 3
130812 일반 보로딘 교향곡 2번 왜 이리 좋냐? [3] ㅇㅇ(118.235) 06.23 175 0
130810 감상 쇼스타코비치 듣기 시작했는데 눈이 번쩍 뜨이는 느낌이네 [22] 페.라.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506 4
130808 일반 아트센터인천 피레스 혜자네 [4] ㅇㅇ(118.36) 06.23 628 3
130806 일반 현대음악 입문하기 좋은 책좀 추천해줘 [6] DeutscheGrammoph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3 280 0
130805 일반 설샹 영생 자리추천 [3] ㅇㅇ(14.53) 06.23 324 0
130804 일반 아무것도 안 바뀐다 [3] ㅇㅇ(211.234) 06.23 514 4
130801 일반 억지뽕 없는 곡 추천좀 [8] DeutscheGrammoph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344 0
130800 일반 아 진짜 요엘레비 개불쌍하네ㅋㅋㅋㅋㅋ [2] ㅇㅇ(118.36) 06.22 802 3
130799 일반 부흐빈더 당켓 할까? [5] ㅇㅇ(61.73) 06.22 356 0
130798 일반 관악콘퍼런스 가시는 분 있나요? [3] ㅇㅇ(218.158) 06.22 205 0
130797 일반 도갤러들은 모르는 봄의제전 숨겨진 명반 [1] 취히로아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261 1
130796 일반 와... 유진박 이사람 기억나???? [5] ㅇㅇ(211.36) 06.22 1120 9
130795 일반 공연 프로그램 예습할 때는 잘 모르겠다가 다녀온 이후 꽂힌 곡들 석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218 0
130794 일반 ㅇㅈㄱ [2] ㅇㅇ(220.74) 06.22 922 27
130792 일반 베토벤 장엄미사 앨범 비교 감상기 [6] Bruckn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346 13
130791 일반 이 그림을보고 떠오르는 협주곡 또는 피아노곡은? [1] 11(121.125) 06.22 190 0
130790 일반 베토벤 장엄미사 전곡 감상문 [5] Bruckn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2 381 18
130789 일반 지휘자 콩쿨에 대해 00(211.234) 06.22 333 5
130787 일반 어제 설샹 [6] ㅇㅇ(211.207) 06.22 388 0
130786 일반 안드레아스 오텐잠머 혹시 결혼했음? [3] ㅇㅇ(175.206) 06.22 591 0
130784 일반 여자경 개인적으로 호감이었는데 [3] ㅇㅇ(223.62) 06.22 889 0
130782 일반 여자지휘자는 성시연이 근본 [1] ㅇㅇ(118.235) 06.22 760 21
130781 일반 베피협 예습하고 가려는데요 [5] ㅇㅇ(58.122) 06.22 256 0
130779 질문 드바협 명반이나 실황 추천좀 [10] ㅇㅇ(175.199) 06.22 15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