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시점에서 유격대의 장비는 상당히 도태된 것으로 묘사됨. 무겁기만한 실속없는 쇳덩어리로 여겨지는 것을 보아 경량화가 잘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임.
현실로 비유하자면 이런 방편복을 사용하던 2차대전 시기와 유사할 듯.
•
- 방독면은 우르수스군 및 감염자 조사대의 상징으로서 여겨질 정도로 보급률이 높다. 장비 자체가 감염자 차별 정책을 연상하게 할 정도. 켈시는 이를 걱정한다.
+ 황칼은 원래 모자를 쓰고 다니는데 급하게 오느라 실외탈모함.
•
- 코트를 끔찍히 사랑함. 군 소속이 아닌 조사대부터, 이미 도태된 장비를 쓰는 유격대, 그리고 근위대인 황제의 칼날까지 전부 트렌치 코트를 입고있음.
이 역시 2차대전기의 소련군의 복제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보임. 계급장 역시 러시아제국 말~소련군과 유사함.
•
- 8지의 우르수스군이 사용하는 장비들은 최신형이다.
「이미 한참 도태된 장비를 사용하는 탈주 특수전 부대」와 「탈주한 보병부대로 위장한 중앙군의 특수부대」를 비교하자니 어불성설이긴 하지만, 재미로 장비의 변화를 한번 비교해보자.
우르수스 돌격자와 유격대 전사의 군장을 비교해보자면, 고증면에서 꽤 신경을 쓴 걸 알 수 있다.
좌측의 스메르시는 1990년대에 처음 등장한 사제 군장으로, 실제로 러시아군과 FSB 등의 국가기관에서 사용된 역사가 존재하며 - 당연히 스페츠나츠에서도 사용되었다.
우측의 체스트 리그는 총기의 등장 전후로 비슷한 형태가 꾸준히 개발되었던 고전적 형태의 군장이다.
(가장 유명한 형태는 중국의 56식 탄입대인데, 이 미친놈들은 이걸 아직도 쓴다.)
러시아에서는 립찌끄(브라지어 비슷한 가슴 속옷)라는 별명으로 불리우며, 냉전기 중후반에 일반 보병용 군장으로 적극 운용했다.
이 둘을 비교하자면 유격대 측이 훨씬 좋은걸 쓰는거다. 스메르시의 개발 배경중 하나가 체스트 리그의 치명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였는데,
구조상 무게중심이 쏠려 어깨와 허리에 무리가 간다는 것이었다. 스메르시는 탄입대를 분산시키고 무게중심을 안정화하여 이를 보완했다.
연대만 따지자면 큰 발전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스메르시는 90년대에 처음 등장했고 체스트 리그는 80년대 말까지도 꽤 운용했으니까.
그래도 돌격자 쪽은 드디어 트렌치코트의 굴레에서 벗어나 적절한 동계용 전투복을 구했으니 1대 1 로 할 수 있겠다.
다음은 강습병을 비교해보자.
유격대 강습병과 우르수스 강습병의 차이는 군장보다는 장구류에서 좀 더 드러난다.
유격대 강습병의 제트팩을 보면 외부로 돌출된 부분들과 연료관으로 추측되는 부품이 보인다.
반면에 우르수스 강습병의 경우 단순히 세부적인 묘사가 생략된 것 뿐만이 아니라, 추진기 자체 길이는 증가했으나 돌출된 부품들이 정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했던 우르수스군의 필수장비인 방독면 역시 개선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눈에 가장 띄는 부분은 산소통의 소형화이다.
재호흡기 수준으로 거대했던 장비의 크기가 화재용 방독면 수준으로 감소했다.
추가로 무장도 석궁이다, 1대 2.
이번엔 군사 동물들을 한번 비교해보자. 유격대측은 군견을, 우르수스군은 「크래커」 라는 명칭의 동물을 운용한다.
여기서 잠시 군견의 등에 달린것을 설명하자면
실존하는 것으로, 고프로 같은 기업들이 만드는 동물용 액션캠이 그 모델이다. 동물을 제어하는 기능은 없지만.
각설하고, 다시 장비 비교로 돌아가보자.
특수전 부대인 유격대의 특성을 생각하면, 군견은 아주 탁월한 선택지다. 곰에 비해 덩치가 상당히 작고, 기동력이 좋아 정찰과 경비용으로도 쓸 수 있다.
반면에, 곰은 덩치가 커 은밀성은 떨어지지만, 압도적인 파괴력을 갖추고 있으며 적의 사기를 꺾는데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전면전이나 진형을 짜고 치루는 대규모 교전에서 유용한 특성이다.
이 둘을 비교하면 꽤 흥미로운 점을 많이 찾을 수 있다.
군견의 경우는 하네스로 보이는 것에 액션캠이 고정된 단순한 형태이며, 머리부분에만 장갑이 존재한다.
반면에 곰의 경우는 몸 부분에 아예 들어맞는 장비가 장착되어 있고, 다리로 이어진 골조와 외골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니까 곰 따위가 보병도 못입는 엑소슈트를 끼고 있다고
1대 3. 당연히 우르수스군의 승리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