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퍼옴) 고승덕 공부법앱에서 작성

진인사대천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5.01 07:56:16
조회 195 추천 0 댓글 0
														

799c8470bdf36d85239af4e2469c706d7bc65fe6f363e6c481ff78b23e14b258749087de9dab6e992394972e0e665bebfbf393



고승덕 변호사의 공부방법

 


1. 공부...특히 시험공부를할려면 하루17시간은 해야한다.

2. 물론 순수공부시간이 17시간이란말이다.

3. 고시생들 밥먹고나서 산책하거나 일주일에 하루쉬는건 이해할수없는행동이다.

4. 고시생들 하루10시간만공부해도 진이 빠진다하는데 자기합리화일뿐이다.

5.밥먹을때도 책보면서먹으면서 하루17시간집중공부하면 그래도 7시간이나 남는다.

6. 그럼 6시간자고 1시간동안 이동하고 씻고 다 할수있다.

7. 할려면 제대로해서 빨리 끝내야지 어영부영 쉴거 다쉬고하는건 시험에대한 예의가 아니다.

8. 나도 공부하는건 예나지금이나 고통스럽다.

9. 공부는 하면할수록 더 하기싫어진다.시험이 다가올수록 고통이 더 심해져갔고 구토증세가
있을정도였다.
하지만 내가 이렇게 고통스러우면 경쟁자들도 마찬가지일거라생각했다.
경쟁자들은 이쯤에서 강도를 약하게하거나 포기할거라생각했다.
즉,난 여기서 더 참고견디면 무조건 합격할거라생각했다.

10.책을 읽을때는 이렇게 한번 생각해봐라.
시험직전에 읽을때와 시험이 끝나고 다음날 책을 읽을때...
속도가 같을까?
아니다...
속독법이고뭐고 다 필요없고...책읽을때는 긴장하면서 읽어야한다...
항상 벼락치기한다는마음으로 읽어야한다...
읽다가 지루하다고...몸이 뻐근하다고...쉬는시간을 갖는건 사치다...
남들도 다 그렇게 읽다가 쉰다...
하지만 남들이 그렇게 틈틈히 쉴때 넌 안쉬고 계속 죽어라고 책본다고생각해봐라...
과연 누가 합격가능성이 높을까?

이것을 반드시 명심해라...
수많은 공부방법론에서 공통적으로 지적하는것이 적당한 휴식과 스트레스해소다.
하지만 난 이것에 동의하지않는다.
휴식은 하루6시간정도의 수면으로 충분할것이며 스트레스는 공부가안되서 스트레스받는것인데
이건 공부로 풀어야지 다른걸로 풀려고하면안된다.
살면서 죽을각오로 노력해본적이있는가?
나보고 머리좋다고하는사람중에 나만큼 노력해본사람은 단 한명도없었다.
머리탓하기전에 일단 죽도록 노력을해보고 머리탓을해라.

분명한건 남들보다 더 많이하면 남들보다 더 많이 성취할수있다는것이다.
자본주의의법칙이자 시험의 법칙이기도하다.


1)공부는 시간 * 집중도이다.
그러나 시간은 모두에게 공평하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도를 높여야 한다.
책을 읽을 때는 벼랑 끝의 밧줄에 매달려 있는 심정으로 읽어야 하고 글을 읽을 때는 중간 중간에 쉬는 타이밍이 없을만큼 끊이지 않게 읽어라. 내가 테스해본 결과 최대집중력으로 했을때와 그렇지 않았 을때는 무려 5배 가량의 효율성의 차이가 났다.

2) 바이오리듬을 바꾸기 위해서 1달만 버텨라.
처음에 1달만 버텨내면 그 다음부터는 관성으로 밀어붙이는게 가능하다. 처음 한달만 열심히 매진 하도록 노력해라. 한번에 공부하는 시간을 점차적으로 늘려라. 나는 처음에 1시간으로 시작해서 연습끝에 하루에 밥먹는 시간과 화장실 가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하루종일 공부만 할 수 있었다. 최고 7~8시간을 한번도 일어나지 않고 공부한 적이 있었으며 하루에 평균 17시간 이상을 공부한 적도 있었다.

3) 1% 영감도 노력하는 자에게 오는 것이다.
뉴턴이 99%의 노력으로 항상 그것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지 않았다면 어떻게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생각해낼 수 있었겠는가?
결국 천재는 100% 노력이 만들어내는 것이다. 참고로 내 IQ도 공개할 수는 없지만 다른 이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좋지 않고 건망증도 심각한 수준이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

4) 시험의 성공
모든 시험은 시험전 1주일이 가장 중요하다. 승패는 시험전 1주일을 어떻게 공부하느냐에 달려있고 그 1주일에 모든 시험과목을 최종적으로 볼 수 있기 위해서는 미리 6~7번은 읽어놓아야 한다. 난 고시책 50권을 한번 읽는데 5달을 소요했지만 여러번 읽음으로써 시험전에는 그 50권을 일주일만에 다 읽을 수 있을정도로 체계화시켜놓았다. 아무리 천재와 대결한다고 할지라도 1주일전에 읽은 보통사람이 2~3달전에 읽은 천재에게 질리가 없다.




 
수험생을 위한 효과적인 공부방법

새벽 또는 아침(공복시)에는 어문계열 학습이 효과적이다. 예) 국어, 외국어, 사회 등 암기과목
밤 늦은 시간 학습에는 수리계열이 효과적이다. 예)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목표의식을 갖고 공부하자.
10분이든, 30분이든, 1시간이든 책을 들었으면 반드시 목표의식을 갖고 공부합시다.
목표의식을 갖고 공부할 때와 그렇지 않을 경우 공부할때의 차이가 적어도 효과면에서 2∼3배 이상의 차이가 생깁니다.

치밀한 학습계획을 세웁시다.
계획없는 행동은 무모하고, 계획만 짜고 실천을 못하면 탁상공론이 된다.
치밀한 계획과 결단력 있는 행동의 조화만이 학습의 승리자가 됩니다. 예) 연간계획 ; 1년동안 00 참고서 2번 독파 계획
총 280 쪽, 2번 독파하면 560 쪽, 월간계획 ; 560 쪽을 12월로 나누면 약 47 쪽 주간계획 ; 47 쪽을 7주로 나누면 약12쪽 일일계획 ;12 쪽을 6일로 나누면 약 2 쪽


수면 관리는 승패의 열쇠이다.
잘 때는 편한 자세로 푹 자자.다리는 따뜻하게 머리는 시원하게 잠자리를 마련하자.


두뇌회전을 빨리하는 요령
환기를 자주해서 뇌에 신선한 산소를 자주 공급하자. (공부방에 온도계를 설치하여 적정 온도 16∼17도를 유지하자)
가끔 찬물로 세수해서 머리를 식혀주자.
적절한 휴식으로 뇌에 생기를 불어넣자.
밥을 많이 먹어 위에 부담을 주는 것은 곧 머리에 부담을 주는 것이다.
※ 에빙하우스 망각 곡선: 30분후 50% 기억. 1시간후 42% 기억, 1일후 33% 기억


공격적 학습과 방어적 학습의 효과
학습에도 공격과 방어가 있습니다.
공격적 학습 ; 점수를 얻기 위한 적극적 활동
방어적 학습 ; 아는 문제를 틀리지 않기 위한 신중한 학습, 산만하게 학습한 내용을 차근차근 정리
예습은 공격적 학습이고, 복습은 방어적인 학습이다.
공, 수의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집중적 입체적 학습을 합시다.
눈으로 읽고, 입으로 읽고, 귀로 듣고, 손으로 쓰며 공부한다.

학습시 나쁜 습관을 버립시다.
한 손으로 볼펜을 돌리며 공부한다거나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들으며 공부한다거나
다리를 흔들어 가며 공부한다거나
비스듬히 눕거나 엎드려서 공부한다거나
이방, 저방, 거실 등을 왔다 갔다 하면서 공부한다거나
단 10분도 책상에 앉아 있지 못하는 등의 나쁜 습관은 버립시다.



집중력과 바이오 리듬

집중력
기억력이 좋다고 좋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는 괴로운 일을 잊을 수 있다. 나는 기억력이 좋은 편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 반대로 친구들에 비해 기억력이 떨어졌다. 기억력이 부족한 사람이 학습할 때는 남보다 더 노력하는 자세와 더불어 한 가지를 추가한다면 ' 집중력 ' 이다. 집중을 잘 하면 남보다 적은 시간을 투여하고도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나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하루에 17시간씩 공부를 했지만 시간보다도 '집중력'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계속 집중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천천히 오랜 시간을 두고 공부하는 것이 최선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벼락치기 하는 마음으로 1년간 공부한다면 어떤 고시라도 패스할 수 있다는 것' 이 나의 생각이다.

집중력있는 사람은 남들과 같은 시간에 공부를 할 때 남들 한 번 볼 때 2번 볼 수 있다. 사법고시 합격한 후 합격자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니 그들도 역시 비슷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나는 여유롭게 공부하는 사람이 시험에 합격하는 것을 거의 보지 못한 것 같다. 나에게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은 늘어날 수 있을 지언정 집중도는 1 / 2 로 낮아진다. 따라서 공부계획을 세울 때는 시간배분도 중요하지만 집중도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 달만 정말 죽어라고 열심히 살아봐라. 그러면 인생이 달라진다."


"하루를 열심히 살면 한 주가 달라진다. 한 주를 열심히 살면 한 달이 달라진다. 한 달을 열심히 살면 1년이 달라지고, 1년을 열심히 살면 인생이 달라진다."


좋은 공부 습관이 기적을 만든다!

1. 콩나물 시루법

시루에 물을 부으면 구멍이 뚫린 시루에 물을 부으면 구멍이 뚫린 밑으로 물이 다 빠져 나가는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나고 살펴보면 어느새 싱싱하게 자라있는 콩나물을 발견하게 되는 것처럼 공부도 그와 같다는 것!
처음 한번 읽고, 두 번 읽고, 네 번 반복해 읽으면 처음엔 별로 다르게 느껴지지 않지만 콩나물이 자라듯 어느새 머릿속 지식은 쑥쑥 자라있는 걸 발견하게 된다!

2. 한권의 책을 교과서로 삼고 새로운 정보를 추가 기록하는 단권화!!

여러 가지 책을 보는 것이 아니라 단 한권의 책에 모든 정보를 모아놓고 그 책이 반복해서 봄으로 자연스레 그림처럼 남도록 각인시킨 것이다!
(학창 시절, 교과서가 가장 기본이기 때문에 교과서를 중심으로 단권화한 것이다.)

3. 포기하지 않으면 불가능이 없다!
습관을 잘 배워서 끈기있게 해나가야 한다!



고승덕 변호사 - 고시는 자신과의 싸움

고승덕 - 사법시험 최연소, 외무고시 차석, 행정고시 수석 합격
수필집 「포기하지 않으면 불가능은 없다」저자
“내가 졸리면 남도 졸린다 -고시는 자신과의 싸움”


1. 시험도 상대성 게임이다.

"대학 1학년 겨울방학때 고시공부를 하기로 마음먹고 고시서적을 구입해서 몇 장 읽었을 땐 3년을 1차시험에만 매달려도 이 방대한 양을 다 공부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나 내가 이런 생각을 할 때 남들 역시 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가정했고, 완벽한 고득점이 아닌 남들보다 조금만 더 맞으면 성공한다고 다짐했고, 결국 3개월만에 1차시험을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인생에서도 홀로 완벽함이란 없듯이 고시공부 역시 타인과의 경쟁인 만큼 타인도 나와 비슷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조금더 열심히 하는 것이 상대방을 앞서는 방법일 것입니다.

2. 공부는 시간과 집중도의 싸움이다.

24시간 중 수면 7시간을 제외한 평균 17시간을 공부했습니다.
시간 절약과 집중력 유지를 위해 비빔밥에 숟가락 하나로 떼우는 식사 중에도 책을 보면서, 하루 4번이상 엉덩이를 떼지 않았습니다.
모두에게 공평하게 한정되어 있는 시간을 누가 충분히 활용하는가 또 얼마만큼 집중력을 갖고 몰입을 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요건이 될 수 있다는 판단하에 책을 읽을 때는 절벽의 소나무를 안고 있는 심정으로 읽었고, 중간 중간에 쉬는 타이밍이 없을 만큼 끊이지 않게 읽어내려갔습니다.
이렇게 공부할 땐 그렇지 않았을 때와 무려 5배가량의 효율성에 차이를 보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3. 1차 3개월, 2차 1년만에 합격

이렇게 하다 보니 1차시험을 단 3개월만에 합격했습니다.
결코 저의 두뇌가 남들처럼 뛰어나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다만 남들보다 좀더 공부해야겠다는 집념의 결과였을 뿐입니다.
2차시험 역시 1년만에 합격했습니다. 당시 2차 과목 역시 8과목이었는데, 가장 많이 보는 2권을 각각 선정 단권화시키는 절차를 거쳤습니다.

8과목 1회독만 하는데도 5개월 소요됐고 2번째 회독을 시작할땐 하나도 기억이 나지 않았지만 남들도 동일할 것이다는 생각을 갖고 7회독 과정을 밀어붙였습니다.

그 결과 2회독부터는 2배의 속도가 붙었고 2차 시험 10일 전에 6회독이 끝났습니다.
시험 직전의 7회독때에는 4시간만 수면을 취하면서도 바람소리처럼 책장을 넘겨갈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막판에 1회독을 벼락치기를 할 수 있는 실력과 정력을 갖춘다면 능히 합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대다수의 합격생들의 동의하는 내용입니다.”

4. 삶에는 ‘T1 T2 판단법’이 필요하다.

삶이란 선택과 갈등의 연속입니다.
또한 고시공부 중에도 주변환경, 내적갈등 등으로 무엇을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하며, 어느 쪽에 우선권을 두어야 하는지 갈등이 심할때가 있습니다.
'T1 T2판단법' T는 시간의 약자, T1은 지금, T2는 미래, 따라서 인생은 시간의 지배를 받게 되기 때문에 지금 하지 않으면 안되는 일부터 먼저 하라는 법칙으로 매사에 우선순위를 매겨서 실천하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 연애는 나중에도 할 수 있지만 고시는 지금이 아니면 평생을 매달려보지 못할 수 있듯이 지금 하지 않으면 나중에 못하는 중요한 일을 먼저 선택하고 최선을 다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고승덕 변호사의 공부 방법

“주어진 환경은 누구나 다 똑같습니다. 남들과 똑같이해서는 절대로 공부를 잘 할 수 없습니다”라고 명쾌하게 답변했다. 누가더 참고 견디냐가 승패를 가릅니다. 이것이 공부의 첫 번째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고변호사는 하루가 24시간 밖에 안되는 게 안타까웠다고 한다. 따라서 공부 이외의 시간을 최대한 줄여야 했다. 밥먹을 시간마저 아까워 여러 가지 반찬을 칼로 잘게 썰어 넣어 여러번 씹지 않아도 소화가 잘 되도록 한 ‘특제 비빔밥’을 개발할 정도였다고. “비빔밥을 책상에 놓고 먹으면서 책을 봤습니다. 소화가 잘되 식곤증이 없더라고요. 식곤증으로 버리는 시간조차 아까웠어요.”

인터뷰 전 고 변호사에게서 그만의 공부방법을 기대했지만 사실 그에게서 남들보다 뛰어난 공부 테크닉은 발견할 수 없었다. 오직 ‘이사람 정말 독하게 공부했구나’라는 인상만 받았다.고변호사는 “공부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누구나 다 아는 것이지만 누가 남들보다 더 많이 노력하느냐가 공부의 왕도입니다”고 강조했다.

고 변호사는 젊은이들에게 ‘노력이 기적을 만든다’고 강조한다. 성공은 거저 오는 것이 아니며 포기하는 순간 불가능해진다고 강조한다. 남이 닦은 길을 가기 보다는 새로운 길을 만들면서 살아가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말도 잊지 않는다.

“인생의 중요한 고비마다 혼자 결단하면서 헤쳐 나가야 하죠. 인생은 상대성 게임이며 위기는 기회입니다. 공부에도 이런 논리가 똑같이 적용되지 않을까 싶어요.”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9 설문 논란을 반복해서 진정성이 의심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5/12 - -
2962 AD 학점은행제 1위 해커스 이수율 99%! 운영자 25/02/01 - -
558614 공지 정병권갤러리 운영 가이드라인 [4] appos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06 1245 0
558610 공지 2025 정병권갤러리 열품타 (1,2,3,캠스터디) [3] appos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06 1160 0
558605 공지 2025 정병권갤러리 명예의 전당 [3] apposi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06 1129 4
547267 공지 갤 신문고 / 완장호출 [5] 시골청년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13 1911 0
373593 공지 영어기출 전학교답지 [7] 미사카미코토공부법으로최초합달성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13 11252 11
186577 공지 편입 갤러리발 정보 모음 [2] 경민탈출기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24 5830 8
239171 공지 [최종본] 2024년 정병권 갤러리 고닉 명예의전당 [32] ⭐+명예의전당⭐+(118.235) 24.02.15 10097 81
572825 질문⁉ 올림피아 경기대 김준혁 대답하라고 [2] 정붕이(223.38) 16:01 27 0
572824 질문⁉ 불고기보지 아다년 vs 핑크보지 걸레년 [1] 정붕이(223.38) 16:00 28 0
572823 일반 강단 갤주수업듣는 노란머리 여자한테 고백해야겠다 정붕이(14.42) 15:57 13 0
572822 일반 토익갱신 ㄷㄷ [4] 단단풀고단단해지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2 42 0
572821 일반 님들 근데 전공선택은 진짜 신중하게하셈 [1] 스파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47 39 0
572820 일반 신촌 독학센터 없는게 좀 아쉽네...ㅠ 정붕이(106.101) 15:36 14 0
572819 일반 ㅈㅎ 화이트 나중에 회독 돌릴때 블랙은 문풀만 들어도댐? [2] 애플은영어로사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34 29 0
572818 일반 withal<-- 이 새끼는 ㄹㅇ 뭐임?? [3] 올킬하이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9 45 0
572817 일반 아래 선대명제 글쓴이 들어오라 [4] dłuz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9 65 0
572816 일반 와 커피 < 이거뭐냐??? 고졸개백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7 32 0
572815 일반 체화 뒤지게어렵네 체화고수 들어와라 [4] 조던식동기부여및호날두식자기관리로공부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3 40 0
572814 일반 한아름은살아있다 << 연고대 연막인 이유 [6] 정붕이(115.145) 15:12 114 6
572813 일반 일공 서성한 영단어 푸3뮤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4 27 0
572812 일반 땡킹 올킬하이머 [3] 고졸개백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5 80 0
572811 일반 씨발씨발개씨발 [1] 탈청은지능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5 36 0
572810 일반 편입도 기숙이있다는게놀랍네 [2] 스파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3 58 0
572809 일반 선대 명제 좀 친다 들어와바 [12] 정붕이(220.67) 14:51 138 0
572808 일반 속보)기프티콘 스토킹에 조심하세요 [1] Hu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1 63 0
572807 일반 작년충인데 끝까지 열심히해라.. [7] 정붕이(211.235) 14:47 103 0
572806 일반 단단,유형별플러스, 유형별 문제풀이 중에 뭐가제일어려움? [1] 정붕이(211.222) 14:46 20 0
572805 일반 강단 자습실 안그래도 없는데 자리 맡고 가는 놈들은 [1] 정붕이(183.98) 14:46 40 0
572804 일반 다들 왜이렇게 점심 메누가 좋냐 [2] 아좀열심히해보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8 39 0
572803 일반 작년충 한양대 경영붕이 이거 뭐냐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8 83 0
572802 일반 다들 커피 안마시노...? 아무도 안쓰노 [9] 올킬하이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2 110 0
572801 일반 졸립덩 멍청한편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8 11 0
572800 일반 엽떡 한통 다먹음 ㅎ [2] 료료룡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6 36 0
572798 일반 1학기 끝나고 입갤할건데 [3] cartesi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9 45 0
572797 일반 깊티)먹고 인증해줘 [4] 올킬하이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8 72 0
572796 일반 냥대 정갤 톡방 왜터짐? 정붕이(223.38) 14:16 42 0
572794 일반 편입생을 패는 그들. Jpg [8] 정붕이(58.227) 14:13 167 0
572793 일반 뭐노 삼성 업데이트 하니까 ㅈㄴ 아이패드 같아짐 고졸개백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6 52 0
572791 일반 다들영어공부하네 강키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 40 0
572790 일반 김플은 뭐가 다른거? [2] 정붕이(27.102) 13:59 46 0
572789 일반 맛점 [3] 2026일문재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8 32 0
572787 일반 아 단어 다 까먹었네 [1] 아주대탈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1 34 1
572786 일반 미사카만 복귀하면 정갤 완전체 아니냐 [1] 정붕이(223.38) 13:51 61 0
572785 일반 와... 속옷 다비추네 [8] 한아름은살아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7 193 5
572784 질문⁉ 논리 굳이 강의 들어야하냐? [4] 정붕이(106.101) 13:47 64 0
572783 일반 류승민은 왤케 따봉 싫어함?? 오늘도좋은하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4 39 0
572782 일반 이건 노베인거임? 아니면 베이스있는거임? ㅇㅇ(211.108) 13:41 61 0
572781 일반 일공 질문 [4] 정붕이(106.244) 13:41 72 0
572779 일반 냥융크앙 빗치년… 정붕이(128.134) 13:38 44 0
572778 일반 경희대 난리났네 정붕이(118.235) 13:35 96 0
뉴스 남현희 속인 전청조, 교도소 수감자에 사기 “임신한 척 좋은 대우 받아” 디시트렌드 05.1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