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논평/성명] [노동당 논평] 민영화가 아니라 공공화를!앱에서 작성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1.09 22:27:03
조회 31 추천 0 댓글 0
														

3fb8c32fffd711ab6fb8d38a46f70602c0a7b7e267e880ef058135a572fc6b1ae7c7a2b01309fd4e211d53db573b940cae


민영화가 아니라 공공화 확대가 필요하다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도 공공화가 더 강화되어야

김동철 한전 사장이 신년사에서 한전의 민영화를 검토하는 듯한 발언을 함으로써 논란이 되고 있다. 한전의 막대한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기업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발언한 것이다. 논란이 되자 이 발언은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일뿐 민영화를 추진하겠다는 것은 아니라고 물러섰지만, 당장 추진하는 것은 아니더라도 일종의 분위기 조성으로 볼 수 있음은 그간의 정책방향을 봐도 충분히 개연성이 있다.

우리 노동당은 민영화가 아니라 오히려 민간 대기업이 소유한 민간LNG발전소의 공공화 등 에너지 관련 분야 전반에서 공공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민영화는 이미 낡았음이 판명된 신자유주의의 도그마일 뿐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민영화는 서민용 요금의 대폭 인상 등으로 귀결되었다. 특히 단순히 요금 인상 때문만이 아니라,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분야의 종합적인 전환을 위해서라도 민영화가 아니라 공공화 확대가 필요하다. 탈탄소 에너지 전환을 위해서는 종합적인 계획 하에서의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데, 민간 기업은 이런 산업정책적인 고려보다는 당장의 이윤추구에만 집중하게 된다. 이는 결국 에너지 전환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므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라도 공공화가 오히려 강화되어야 한다.

사실 지금도 이미 상당 부분 민영화가 진행되었다. 앞서 언급한 민간 대기업의 LNG발전소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여러 가지로 특혜를 받으면서 막대한 이익을 남기고 있다. 가스 구입시 시장가격과 가스공사 가격 중 유리한 쪽을 선택할 수 있다든지, 생산된 전기를 한전에 비싸게 팔고 산업용으로 소비하는 전기는 싸게 살 수 있다든지 등 민간 기업에 매우 유리한 시스템이 이미 정착되어 있다. 한전은 막대한 적자를 감당하고 있는데 민간 대기업은 막대한 이익을 남기고 있는 이 시스템을 그대로 놓아두는 것이 더 문제이지 않은가.

전기요금 문제도 실제 핵심은 기업 특히 전기를 대규모로 소비하는 대기업에 대한 각종 특혜이다. 반도체, 철강, 화학 분야 대기업이나 호텔, 백화점, 물류센터 등 전기를 많이 쓰는 상위 0.4%의 사용자가 우리나라 전기의 60%를 쓰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값싼 산업용 전기요금을 적용받고 있거니와 고전압이라는 이유로 추가할인까지 받는다. 그럼으로써 이들에게 받는 전기료는 원가의 70%도 되지 않는다. 전기의 절반 이상을 쓰는 대기업 사용자에 대해 원가에 한참 못 미치는 전기요금을 받는 것이 적자의 주원인임에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별로 없다.

산업용이 아닌 경우에도 핵심은 비슷하다. 저소득 노동자나 빈민의 경우 필수적인 전기조차 제대로 쓰지 못하는 반면 일부 부유층은 지나친 과소비를 하고 있다. 일정한 수준까지는 에너지 기본권으로서 무상으로 공급하되, 누진제를 강화함으로써 부유층의 에너지 과소비에는 합당한 책임을 물려야 한다. 단순히 요금 인상 찬반이 아니라, 필수 에너지는 모두에게 무상으로 하되 지나친 과소비에는 강력한 책임을 묻는 식의 보다 계급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산업용 전기에 대해서는 기업의 소재지에 따른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전기 생산은 대부분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 생산되는데 소비는 대부분 수도권 기업 등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대규모 송배전망을 건설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고 이 비용은 국민 모두가 부담하며, 밀양 송전탑 반대투쟁에서 보여지듯이 해당 송배전망이 지나가는 곳의 사람들에게 집중적인 피해를 입힌다. 수도권 기업을 위해서 지역의 가난한 이들이 고통을 받는 현재의 시스템이 과연 정당한가. 적어도 그에 따른 비용은 수도권 기업이 더 많이 부담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은가.

결국 전기를 비롯한 에너지 공급체계는 단순히 적자 내지는 요금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책임을 누가 더 많이 져야 하는가 및 대기업과 부유층 및 수도권에 더 유리한 현재의 시스템을 그대로 인정해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현재의 불평등한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혁하기 위해서라도, 불평등을 더 악화시킬 민영화가 아니라 에너지 관련 분야 전반의 공공화를 지금보다 더 강화해야 할 것이다.

2024. 01. 05.

노동당 대변인실

노동당 공식 텔레그램 채널 링크


 

민영화가 아니라 공공화 확대가 필요하다

민영화가 아니라 공공화 확대가 필요하다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도 공공화가 더 강화되어야 김동철 한전 사장이 신년사에서 한전의 민영화를 검토하는 듯한 발언을 함으로써 논란이 되고 있다. 한전의 막대한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기업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발언한 것이다. 논란이 되자 이 발언은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일뿐 민영화를 추진하겠다는 것은 아니라고 물러섰지만, 당장 추진하는 것은 아니더라도 일종의 분위기 조성으로 볼 수 있음은 그간의 정책방향을 봐도 충분히 개연성이 있다. 우리 노동당은 민영화가 아니라 오히려 민간 대기업이 소유한 민간LNG발전소의 공공화 등 에너지 관련 분야 전반에서 공공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민영화는 이미 낡았음이 판명된 신자유주의의 도그마일 뿐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민영화는 서민용 요금의 대폭 인상 등으로 귀결되었다. 특히 단순히 요금 인상 때문만이 아니라,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분야의 종합적인 전환을 위해서라도 민영화가 아니라 공공화 확대가 필요하다. 탈탄소 에너지 전환을 위해서는 종합적인 계획 하에서의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데, 민간 기업은 이런 산업정책적인 고려보다는 당장의 이윤추구에만 집중하게 된다. 이는 결국 에너지 전환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므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라도 공공화가 오히려 강화되어야 한다. 사실 지금도 이미 상당 부분 민영화가 진행되었다. 앞서 언급한 민간 대기업의 LNG발전소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여러 가지로 특혜를 받으면서 막대한 이익을 남기고 있다. 가스 구입시 시장가격과 가스공사 가격 중 유리한 쪽을 선택할 수 있다든지, 생산된 전기를 한전에 비싸게 팔고 산업용으로 소비하는 전기는 싸게 살 수 있다든지 등 민간 기업에 매우 유리한 시스템이 이미 정착되어 있다. 한전은 막대한 적자를 감당하고 있는데 민간 대기업은 막대한 이익을 남기고 있는 이 시스템을 그대로 놓아두는 것이 더 문제이지 않은가. 전기요금 문제도 실제 핵심은 기업 특히 전기를 대규모로 소비하는 대기업에 대한 각종 특혜이다. 반도체, 철강, 화학 분야 대기업이나 호텔, 백화점, 물류센터 등 전기를 많이 쓰는 상위 0.4%의 사용자가 우리나라 전기의 60%를 쓰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값싼 산업용 전기요금을 적용받고 있거니와 고전압이라는 이유로 추가할인까지 받는다. 그럼으로써 이들에게 받는 전기료는 원가의 70%도 되지 않는다. 전기의 절반 이상을 쓰는 대기업 사용자에 대해 원가에 한참 못 미치는 전기요금을 받는 것이 적자의 주원인임에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별로 없다. 산업용이 아닌 경우에도 핵심은 비슷하다. 저소득 노동자나 빈민의 경우 필수적인 전기조차 제대로 쓰지 못하는 반면 일부 부유층은 지나친 과소비를 하고 있다. 일정한 수준까지는 에너지 기본권으로서 무상으로 공급하되, 누진제를 강화함으로써 부유층의 에너지 과소비에는 합당한 책임을 물려야 한다. 단순히 요금 인상 찬반이 아니라, 필수 에너지는 모두에게 무상으로 하되 지나친 과소비에는 강력한 책임을 묻는 식의 보다 계급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산업용 전기에 대해서는 기업의 소재지에 따른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전기 생산은 대부분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 생산되는데 소비는 대부분 수도권 기업 등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대규모 송배전망을 건설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고 이 비용은 국민 모두가 부담하며, 밀양 송전탑 반대투쟁에서 보여지듯이 해당 송배전망이 지나가는 곳의 사람들에게 집중적인 피해를 입힌다. 수도권 기업을 위해서 지역의 가난한 이들이 고통을 받는 현재의 시스템이 과연 정당한가. 적어도 그에 따른 비용은 수도권 기업이 더 많이 부담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은가. 결국 전기를 비롯한 에너지 공급체계는 단순히 적자 내지는 요금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책임을 누가 더 많이 져야 하는가 및 대기업과 부유층 및 수도권에 더 유리한 현재의 시스템을 그대로 인정해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현재의 불평등한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혁하기 위해서라도, 불평등을 더 악화시킬 민영화가 아니라 에너지 관련 분야 전반의 공공화를 지금보다 더 강화해야 할 것이다. 2024. 01. 05. 노동당 대변인실

www.laborparty.kr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58 설문 SNS로 싸우면 절대 안 질 것 같은 고집 있는 스타는? 운영자 24/05/06 - -
758 논평/ 숫자만 늘린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9 43 2
757 소식 대 윤 카 설날 인사 보고 가라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9 37 1
756 논평/ [노동/녹정/진보당 공동성명] 사람을 강제로 철거할 순 없습니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76 0
755 논평/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는가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61 0
754 논평/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면장우피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1 0
753 논평/ [충남도당] 사필귀정, 그러나 만시지탄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4 20 0
752 논평/ 대통령 거부권이 무슨 도깨비방망이인가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4 24 0
751 논평/ [경기도당 성명]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말하는 국민에 장애인은 없는가?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46 0
750 논평/ 이미 시행된 법을 유예하자는 게 검찰 출신이 할 말인가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22 0
749 소식 2024 노동당 정기 당대회 예고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4 28 0
748 일반 20여년전 박카스 광고속 말은 쓰레기같게 느껴짐 ㅇㅇ(220.83) 01.22 46 0
747 논평/ 오태원 북구청장은 장애인 인식 교육 이수 및 발달장애인에게 사죄하라!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2 72 0
746 논평/ 트랜스젠더 여성 징집 시도를 규탄한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2 42 0
744 소식 노동당 지금 전국위원회 하는 중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22 0
743 소식 오늘 열린 적록포럼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9 35 0
742 일반 촘갤 주딱의 인사 [2] 임을위한행진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9 44 0
741 논평/ 이태원 참사 특별법 거부권을 거부한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9 36 0
740 논평/ 국회의원에게 폭력을 행사한 윤석열 정부의 경호원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9 38 0
739 실천 [탄원서 연서명] 해성운수 정승오 보석기각 엄벌 촉구탄원서 서명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36 0
738 일반 노동당 역사는 생각보다 객관적으로 써있네 노갤러(125.177) 01.17 49 0
737 논평/ 국가적 과제는 내팽개치고...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44 0
733 소식 14일날 이백윤 동지께선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34 0
732 논평/ [노동당 성명] 화석연료 로비스트들의 연회장으로 변질된 COP28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37 0
731 논평/ [충남도당 성명] 학생인권조례 폐지안 통과, 충남도의회 규탄!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30 0
730 논평/ [노동당 논평] <검찰의힘>으로 당명을 개정하라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32 1
729 논평/ [노동당 논평] 정치가 변하려면 먼저 선거제도가 바뀌어야 한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55 0
728 논평/ [노동당 논평] 문제는 젠더갈등이 아닌 성차별이다 [2]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52 1
727 논평/ [노동당 소식] 마리아노 바스케스 동지가 한국 노동당원들에게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40 0
726 소식 [노동당] 울산 동구 국회의원 후보 이장우 동지 출마선언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77 0
725 논평/ [노동당 논평] 반복되는 핵발전소 사고, 이대론 안 된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34 0
논평/ [노동당 논평] 민영화가 아니라 공공화를!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31 0
723 해외 서방과 우크라이나가 범한 실수들 rk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7 35 0
722 실천 [노동당] 노동당과 함께하는 팔레스타인 연대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24 0
721 논평/ [노동당 신년 논평] 안개 속을 항해하는 대한민국호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124 0
720 논평/ [노동당 성명] 행정이란 이름의 폭력. 오세훈을 규탄한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30 35 0
719 논평/ [노동당 논평] 천주교 신부의 발달장애인 혐오를 규탄한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7 60 0
718 논평/ [노동당 논평] 경주 지진이 일깨운 노후 핵발전소 폐쇄의 필요성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2 29 0
717 논평/ [노동당 논평] 손가락 사건의 핵심은 노동자에 대한 갑질이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47 0
716 논평/ [노동당 성명] 노란봉투법 거부하는 대통령을 거부한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26 0
715 정보 윤석열을 지지한 운동권 근황 (사회진보연대) 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4 54 0
714 논평/ [노동당 논평]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험에 빠뜨린 윤정부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65 1
713 정보 이 시대의 지성 홍세화 선생님이 말해주는 사회주의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26 1
712 정보 불세출의 정책위원장 장혜경 선생님이 설명하는 사회주의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27 1
711 정보 박노자 교수가 설명하는 사회주의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29 1
710 논평/ [노동당 논평] ‘비뚤어진 강자’는 서울시청 높은 곳에 앉아 있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27 1
709 논평/ [노동당 논평] 총선 위해 일회용품 규제 내팽개친 윤석열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111 6
708 논평/ [노동당 논평] 부족하지만 진일보한 노조법 개정안은 즉시 공포되어야 한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57 6
707 정보 2023 노동당 사회주의 대회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86 9
706 논평/ [노동당 논평] 서울교통공사 노동자 파업은 서울시민과 함께하는 투쟁이다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46 11
705 일반 [민주노총] 중대재해처벌법 개악 분쇄 10만 서명 운동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43 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