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성글] 중동의 스위스에서 베네수엘라로: 레바논의 몰락앱에서 작성

라파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1.09 01:33:47
조회 1821 추천 40 댓글 27
														

2be4d372bc866fa23fec8eed1087213e3bd4b17cd4018d4c44bb12edd549a0093735e2ea80a281a63c8d56abd848b0

7ce99d12cdf7758b418df89c38f66913ffaf3b3fc8b39f8f41aa75651d33c3354c44d29e6c4d6e0580d5c2a060798e75962e449dffd2df67







"옛날에 잘 살았으나 순식간에 빈국으로 몰락한 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문장을 듣자마자 베네수엘라를 떠올릴 것이다. 한때 좌파 진영에서 찬사를 받았으나 지금은 우파 진영의 조롱거리가 된 이 나라는 실패한 국가로 너무나도 유명해졌다.



하지만 최근 이 나라보다도 더 빠르게 무너져가는 나라가 있다. 한때는 중동의 스위스라는 별명도 들었던 레바논이다. 레바논은 2019년에 7%, 작년에는 20%의 역성장을 보이며 베네수엘라보다 더 가파르게 침몰하고 있다. 이 나라가 마주한 문제들은 한둘이 아니며, 그 기원이 매우 복잡하다. 레바논이 곧 내전에 돌입할 수 있다는 불안한 관측들도 서서히 튀어나오고 있다.



무엇이 어디서부터 잘못됐을까? 레바논이 현재 어떤 위기에 쳐해있으며, 이 위기가 더 심화될 수 있는가? 그리고 만약 심화된다면 주변 국가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








7be98036fd9f14a36cbed8ba18ee36383078d4104126723f37d8a395716d31f3402ef29054fd2c1e0b2a4fab255299850508f244b0d5c40bfec75e

(레바논의 종교 분포 지도)


레바논의 비극은 1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 식민 시절부터 시작된다. 1913년 기준 기독교인들이 8대2로 다수던 기존 레바논 지역은 주변의 베카 계곡 등의 행정구역과 통폐합되면서 1932년에는 기독교인들과 이슬람교도들의 비율이 엇비슷해졌다. 그러나 프랑스인들은 종교별 의석 배분에 있어서 기독교인들에게 유리한 6대5 비율로 줬고, 이는 무슬림들에게 박탈감을 선사했다.



설상가상으로 레바논은 단순하게 기독교/이슬람으로 딱딱 나뉘어지지 않는 나라다. 이슬람교도들은 수니파와 시아파가 거의 비슷한 비율로 있으며 여기에 알라위파와 드루즈파까지 있다. 기독교는 동방 가톨릭교의 일종인 마론파가 다수나 동방정교회와 말키트 가톨릭, 아르메나아 정교회와 아르메니아 가톨릭, 소수의 개신교도들도 존재한다. 종파들 간의 사이는 거의 타 종교만큼 안 좋고, 이는 과거에나 현재에나 레바논의 정세 불안정에 기름을 붓기만 한다.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도중, 레바논은 독립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프랑스의 식민 잔재는 여전히 남아있었다. 기독교인들과 이슬람인들, 그리고 정교회 종파와 마론파 종파, 수니파와 시아파 사이에는 긴장감이 흘렀다. 중동전쟁과 팔레스타인 난민들의 유입은 국가 내부의 긴장이 더 심해지게 만드는데 공헌했다.





79b88471e7d66cf46cef84ec4fd5203fc06b7faef7677b0bc9425dee3d0a514eb3f8996190aa361213bb56446b667a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레바논은 전성기를 구가했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걸프 국가들의 자본이 성공적으로 유치되고 관광업과 금융업이 발달하면서 레바논은 전세계에서 제일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나라들 중 하나였다. 이 당시 레바논은 중동의 스위스, 수도 베이루트는 중동의 파리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였다. 천연자원이 희박한 국가로서는 엄청난 성과였다



그러나 이런 경제성장으로 대변되는 밝은 면의 반대쪽에서는 민족 갈등이 있었다. 종교에 기반한 민족 갈등은 이따금씩 불이 붙었고, 1958년에는 전면 내전 직전까지 가기도 했다. 팔레스타인 난민들의 존재와 레바논과 시리아 양 국가 모두에 존재하던 레바논-시리아 통합주의자들은 내부 갈등을 더 골치아프게 만들었다.



레바논의 내부적 갈등은 경제성장 덕분에 겨울철의 살얼음마냥 표면적으로나마 얼어붙어있었다. 경제성장이 멈추게 된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지 뻔했다. 그리고 1966년, 레바논 최대 은행이던 유스프 베이다스 인트라 은행이 파산하면서 경제성장이 주춤하고 갈등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3dbcc434ecd133eb62bad4b418d43738cd62145fc5ce49f7f46cf89a41654d33f089b5bbc04936b39e203c94d9a3a79f



그 다음해에, 3차 중동전쟁의 여파로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추가로 들어왔다. 거기에 팔레스타인 무장단체들이 요르단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행패를 부리다가 축출된 이후 레바논으로 넘어오면서 긴장은 가중되었다. 레바논의 국민들은 곧 팔레스타인에게 호의적인 사람들과 그렇지 못하던 사람들로 나뉘었다.



경제적 정체와 난민 유입으로 쌓여가던 민족 갈등은 1975년에 불이 붙었다. 마론파 기독교도들과 수니파 무슬림들, 시아파 이슬람교도들과 정교회 기독교교도들 등이 서로 뒤엉켜 싸우면서 정부는 와해되었고 국가는 기능을 정지했다. 나중가서는 시리아와 이스라엘 같은 외세까지 개입했다.





78e9857fb5d43ea438e6d4b012d5273f3c07e4f823d6d097d759d8f16897d839bc9af0f98597e0030eddf2ae



약 12만명의 목숨을 앗아간 기나긴 전쟁은 1990년에 가서야 끝났다. 타이프 조약은 기독교-이슬람 의석 배분을 기존의 54대45에서 64대64로 조정하면서 그 안에서도 종파별로 다양하게 배분하였다. 대통령은 마론파로, 총리는 수니파로, 국회의장은 시아파로 한다는 암묵적인 협약은 유지되었다. 또한 전쟁 당시에 활약하던 민병대들은 (헤즈볼라를 제외하면) 전부 무기를 버리게 되었다.





79ee8874b28607af63b880e046c9706fef2306991cba592c6f0983058ab883ec88028a83e9dacbf5f83c847384edda3280


그러나 새로운 레바논 국회의원들은 대부분 전직 민병대 지도자들이었고, 그들은 종파에 따라 움직였다. 이 정치인들은 정부에게 그들만의 정부 권한 할당을 요구했고, 공공예산은 곧 종파 정치인들에 의해서 좌지우지 되었다. 이 때문에 레바논은 2015년에 쓰레기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전국적인 문제가 되던 우스운 상황에 처한적도 있었다.





78ed8036fd9f14a36cbed8ba18ee302fb1c5597d4c89edd2043c7ef3f5b2e87a2280e0805ed27a



아랍 국가들과 국제 기구들은 막대한 자금 지원과 해외 동포들의 투자는 레바논의 전후복구를 이끌었다. 그러나 레바논은 기존의 황금기와 똑같이 또다시 관광업과 금융업에 의존한 경제를 구축했다. 1,2차 산업은 거의 전무한 수준이었다. 척박한 산지 투성이인 국토와 전쟁으로 인해 제대로 된 교육을 못 받은 사람들의 국가로서는 어쩔 수 없었더라고 해도, 이런 경제 구조는 한창 발전중인 개도국에게 어울리는 형태가 아니었다. 그러나 레바논이 처음에 이런 3차 산업을 키워야 했던 이유가 바로 그것이었다.



당연하지만 레바논은 상기한 문제 때문에 식료품과 제조품의 대부분을 수입해야하는 반면, 수출량은 매우 적다. 그 덕분에 이 나라는 엄청난 무역적자에 시달렸다. 결국 그 무역적자를 메꾸기 위해서 관광업과 금융업으로 외화를 벌어와야 했던 것이다.





0ab8c432fcfb35a769bac5f84f83726df90b603d69458e490c61751501c0fb68c40e911a2978370a2d8394ff426f9c36618b5f0080b3811cd872b7c28f



후자에는 큰 문제가 있었다. 레바논의 은행들은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서 최소 5%, 최대 20%나 되는 비정상적인 높은 이율을 유지했다. 이런 엄청난 이율 덕분에 수많은 해외 투자자들ㅡ레바논계 외국인들도 많았다ㅡ들이 이 조그마한 나라에 자신들의 돈을 보관했다. 레바논 국민들도 돈을 쉽게 벌기 위해서 은행에 많은 재산을 저축했다.



이렇게 은행들이 모은 달러(와 레바논 화폐인 리라)는 곧 다시 중앙은행으로 옮겨졌고, 중앙은행은 그 돈을 다시 정부와 정치인들에게 빌려줬다. 레바논 정부는 달러를 통해서 필요한 물품을 수입하고 고정 환율을 유지하며, 리라를 이용해서 각종 사업들을 펼쳤다. 그러나 이런 사업들은 대부분 정치인들이 그들의 권한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지역구민들과 같은 종파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기 위한 정책들이었다. 필요 이상으로 공무원들을 고용하고 보조금을 나눠주는 그런 비효율적인 정책들 말이다. 이 부패한 정치인들은 종종 그 돈을 자신들의 주머니에 넣기도 하였다.





24b0d121e09f6cf220b5c6b0119f2e2dae660b656a9fd5734c69034f



결국 레바논 정부는 일종의 거대한 폰지 사기 시스템을 통해 막대한 돈을 빌렸으나, 그것을 새로운 산업에 투자하면서 국가경쟁력을 기르는데 쓰는 대신 일회용으로 낭비했다. 이런 정책들은 언젠가 반드시 안 좋게 돌아올것이 분명해보였다.




2aafdf35f6ed28b36cb3dfb629d5213f8dd5e77e6a5f23eb70a4308442112e7aedc34649c0e5

이런 비효율적이고 부패한 시스템은 정부부채의 증가를 야기했다. 원래부터 높았던 레바논의 부채는 계속 증가하여 2006년에는 GDP 대비 180%까지 올라갔다. 레바논은 해외 원조와 기괴한 금융 구조, 그리고 급성장하던 관광업으로 잠시동안 버텼지만, 곧 역내 정세의 거대한 파도에 휩쓸리게 되었다.




1ea4c22fe49f14a36cbed8ba189c36388c65e121eb4c6a06e5d0af558bc37b8993f9b2af9e753bce762571e056

2010년에서 2011년, 누적되온 독재와 경제위기의 여파로 중동 전체에 독재 정권들에 대항한 시위들이 일어났다. 불안정하고 불완전하기는 해도 민주주의 국가였던 레바논은 별 탈 없었지만, 이웃 국가 시리아는 그러지 못했다. 시리아는 곧 끔찍한 내전에 빠져들었다.



시리아와 중동 전역이 혼돈에 빠지면서 레바논도 무사하지 못했다. 주변국들과 덩달아 레바논의 경제도 흔들렸다. 시아파 무장단체자 정당인 헤즈볼라는 이란의 명령에 따라 시리아의 아사드 정권을 지원하러 나섰다. 그리고 시리아에서 무장한 군인들과 거의 150만명에 달하는 난민들이 국경을 넘고 몰려들었다(레바논의 인구는 600만이다).





75ee8775b68a07af63b880e046c9706f7015bdf78f4e204fc9c60a09c3471a0ae0d55732a860f07a517151f151d22b55


이때부터 레바논의 몰락은 시작되었다. 인구의 25%에 달하는 시리아 난민들은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켰고 치안 악화와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다. 페르시아만의 수니파 왕정들은 이란과 시리아의 하수인 역을 하는 헤즈볼라를 보고서는 레바논에 대한 지원을 칼같이 끊었다.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관광업도 큰 타격을 받았다. 일부 국내외 투자자들은 이 나라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조금씩 돈을 빼내가기 시작했다.



부패행정과 취약한 경제구조로 저성장에 허덕이고, 투자자들이 조금씩 신뢰를 잃어가자, 레바논 정부는 다급해졌다. 예산의 3분의 1을 정부부채를 갚는데 쓰고 선거철마다 재정 지출을 늘리는 나라는 새로은 투자자들의 유입 없이는 무너지는게 뻔했다. 2016년 금리가 다시 한번 올라가면서 이 추세는 잠깐 반전되었다. 하지만 이미 몇몇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경제성장률이 1~2%인 나라가 이렇게 비정상적인 이율을 유지하는 상황이 지적받았고, 뭔가 대단하게 잘못 돌아가고 있다는 기류가 서서히 형성되고 있었다.








7deff807d7fb0a8f23ef87f800d820386cdbba3514ecee0981c716d00fc244ba366fff08f3ad2930087183a1acd1f5f043950d8ed0d1f3



그러다가 2017년 말, 기어이 큰 사건이 터졌다. 헤즈볼라에게 암살당한 전직 총리의 아들이자 당시 레바논 총리던 사드 하리리 총리는 헤즈볼라에 대한 미지근한 태도로 사우디아라비아의 반감을 샀고, 2017년 사우디 방문 도중에 사실상 억류되었다.



사우디 왕실에 의해 그는 사임을 강요받았고 가택연금 상태에 쳐해졌다(사우디아라비아가 하리리 총리의 자리를 그의 동생으로 대체하려 했다는 주장도 있다). 결국 프랑스 대통령이 직접 비행기를 타고 날아가 억지로 하리리를 석방시킬수밖에 없었다.






25a9c436f6ed07996aeed3e546d42f6936c16b211e2498e184c42e4ed59ec4ff70f82794d118eb230c9dbdb7b2562aa4064106c3feb7ad7deca72ac6c7eac52e1b4088dfb8688be1e7a5cb5473e5307eea8b8855973d556cc33c2b746fec7e192b288a811870c9bddf


하리리 총리는 무사 귀국한 후에 즉시 사임을 철회하였다. 그러나 이미 레바논이라는 나라에 대한 신뢰는 본격적으로 무너지기 시작했다. 역내 지정학적 역학 관계에 대한 우려가 고이율 정책의 유혹을 앞섰고, 국내외 투자자들이 그들의 돈을 회수하기 시작했다. 레바논의 금융과 경제가 무너지고 있었다. 폰지 사기 시스템이 아래에서부터 무너지고 있었다.






7bead37fe1d76af238bad2e54287266d5c827331da24ff8cccaebb4f5170571442924927f350a2a0b865cdab59362804e76068b7



2019년이 되자, 레바논의 은행들은 끝내 못 버티고 계좌들을 동결시켰다. 레바논 리라는 급격하게 폭락했고 이에 따라 생필품들의 가격이 치솟아올랐다. 실업률도 크게 증가하였다. 수십만명이 정치권에 항의하며 시위했다.




a65614aa1f06b3679234254958db3438f656a540403f6c9d50b60e97fe13985bf6e6



거기에 2020년에는 코로나19 대유행과 베이루트 폭발 사고까지 겹쳤다. 레바논의 경제는 와르르 무너졌다. 2021년 11월 현재, 레바논은 화폐 가치가 기존 대비 90% 넘게 폭락했으며 전국민의 78% 이상이 빈곤층이다. 정부부채는 GDP 대비 170%가 넘어가며 정부는 2020년 4월에 디폴트를 선언했다. 하루 22시간이 정전이며 2017년 이후 경제규모가 30% 이상 수축했다. 수많은 국민들은 물, 에너지, 음식, 의약품, 주거 등등의 기본적인 것들조차 없다. 세계은행은 레바논 경제위기가 1800년대 중반 이후 세계사 3위급 규모의 경제위기라고 진단을 내렸다.








이런 상황 속에서 레바논의 오래된 종파 갈등이 다시 불붙고 있다는것도 문제다.






3eb8d332ecdd36eb3ceb838a4482776cf28bb30b63c204372d56ba6215a64c2b



수많은 다른 중동 국가들처럼 레바논의 정확한 인구 통계는 누구도 모른다. 정파 분포가 정치적으로 민감한 주제인만큼 이 나라는 1932년 센서스 이후로 한번도 인구조사를 한 적이 없다. 이슬람교도들이 기독교인들보다 많다는건 확실하지만 수니파가 최대 종파인지 시아파가 최대 종파인지, 혹은 마론파 기독교가 둘보다 거대한지는 불분명하다.



베이루트 폭발사고에서 가장 피해를 입었던 것은 기독교인 공동체였다. 이들은 현재까지도 규명되지 않은 베이루트 폭발사고의 진실을 누구보다 강력하게 원한다. 수니파는 최근 헤즈볼라와 친한 마론파 대통령이 그들을 무시하고 있다는 사실에 분노하고 있다. 현재 헤즈볼라가 베이루트 사건에 큰 책임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는 사실은 시아파의 심기를 긁는다.







0198f207cbfd16eb469aec9739fd081c756e7c67028d208d03cbab5c53a8d9d7e1d9f19f7ac1d91c4c8ad74eebd7c5a3fa859bb59277f076aac63f8f98ad3776ba



한달전에 벌어진 레바논 총격전은 민족 갈등의 고조를 보여준 사건이었다. 기독교 동네에서 스나이퍼들이 시아파들을 저격했고, 이후 헤즈볼라 병력들과 몇시간동안 교전을 벌였다. 헤즈볼라는 즉각적으로 기독교 정당 겸 민병대 세력을 배후로 지목하면서 동시에 현재 이뤄지고 있는 베이루트 폭발에 대한 수사가 정치적으로 편향된 상태라고 주장했다. 기독교인들이 이를 전혀 좋게 받아들일리가 없다. 갈등은 지금 이 순간에도 조금씩 쌓이고 있다.











이렇듯 레바논은 경제가 침몰하면서도 동시에 점점 종파갈등의 수렁에 빠지고 있다. 이 나라의 몰락에 주변 국가들은 어떻게 반응할 것이고, 또한 지역 정세에 어떤 영향을 줄까?









3ea4c22fe49f2aa368aad1b013c26a37d83c4e0c3a1aac6bea1d26401830




국제적으로 또다른 난민 위기가 일어날 수 있다. 레바논의 지식인들과 인재들은 이미 수천명 단위로 탈출하고 있고, 경제위기가 지속되고 종파갈등이 폭발한다면 또다시 수백만의 난민들이 생겨날수도 있다.









3eb4c43ce0c034a760bb9bba109c303575cca41ca95a7b4435f28756c79e3bd8c0ba36f9719cfc3d108e49822169578a276d15c0a9c1db6c99



이란은 아마 레바논에 제일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이다. 이미 헤즈볼라의 요청에 따라 구호품을 보내던 이란은 중동의 패권 유지를 위해서 그런 지원을 지속할 것이다.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을 견제하기에도 적합한 동시에 시리아를 안정화시키는데도 유용하다.






0c8d8277b6826df236e686ed4088726b4a71428a02c1ac818d0157d1444acc02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란에 맞서기 위해서 레바논의 몰락을 지켜볼 것이다. 지난 15년간 사우디아라비아는 레바논 내에서 헤즈볼라를 견제할 동맹 세력을 찾지 못했고, 현재는 레바논이 우선 그 댓가를 치르게 하는 방향의 외교 전략을 수립했다. 왕국은 이 나라가 무너지는게 헤즈볼라와 이란의 책임과 부담이 될거라는 냉혹한 계산을 완료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고에 돈이 넘쳐나고 레바논과 거리가 멀기 때문에 과감하고 과격하며 무책임한 행보를 보일 수 있다.





7c82e929d4fb11bf58f1dbb40e9c736b7b3331a9a5043c293408bbf497e4d283f00c08cd



터키는 예전부터 레바논 지역에 별로 전략적 관심이 없었던 나라다. 하지만 최근 동지중해에서 가스전이 여럿 발견되면서 터키는 이에 대한 접근을 목표로 하며 레바논에 적극적으로 개입할수도 있다. 물론 터키 경제가 현재 좋지 못하고, 터키 자체가 레바논에서 지난 몇년간 영향력과 이미지를 잃어온만큼, 과연 터키가 제대로 개입할지는 미지수다.





78ed8877b79c32b6699fe8b115ef046bc5fe5d79e1



프랑스는 최근 마크롱 행정부 들어서 구 식민지 국가들과 좀 더 사이좋게 지내려고 노력해왔다. 작년 베이루트 참사 직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엄청난 환대를 받으며 레바논을 긴급 방문했다. 현지 비호감도가 약한 프랑스는 향후에 특정 세력을 밀어주기보다는 레바논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 편이 추가적인 난민사태도 막는 동시에 프랑스의 긍정적인 이미지와 영향력을 유지하기에도 좋다.




3fbedd21e9d6609967acc4b413dd693cdfdf57164e8dcc8ab81eed11c34b7cd571c262fd88613bd06ba81587ed7079baf8306978


이스라엘도 아마 사우디와 비슷한 기조의 "강 건너 불구경" 정책을 펼칠 것이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의 하마스와 레바논의 헤즈볼라, 그리고 이란의 우호 관계를 절대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올해 하마스, 헤즈볼라 모두와 교전을 한 바가 있는 이스라엘은 두달 전 레바논의 새로운 총리에게 엄청난 욕을 먹었다. 두 나라는 공식적으로 수교한 적도 없다.











78ee877ebc8769f051ec86e658db343a29b505368104b17f758b48



한때 중동의 금융허브였던 레바논. 부패한 정치인들의 잘못된 정책들은 이 나라에 재앙을 불러왔다. 오늘날 레바논의 모습은 베네수엘라의 그것에 종파갈등과 복잡한 국제 이익관계를 섞은 모습이다. 적어도 단기간 내에 레바논이 다시 이전의 모습을 회복할 가능성은 없어보인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40

고정닉 8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4490340 공지 유입 필독)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방문을 환영합니다. [1] 한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0 361 14
3278425 공지 ⚠+신문고⚠+ [11] ㅇㅇ(223.38) 22.06.19 81526 68
4230953 공지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관리규정 - 2024.02.13 수정 [21] 희망2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9986 13
2724969 공지 정성글 등록신청 사무소 [54] 공지(39.7) 22.03.13 29824 30
4452239 공지 새보갤 갱신 차단자 목록 [7] Imperishab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17 2356 4
3848304 공지 정치성향 테스트 모음 [3] 물냉면비빔냉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5 20116 24
4495976 일반 아무도 안 쓰니까 갑자기 쓰고 싶어짐 [1] 처칠식마티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50 39 0
4495974 일반 요즘들어 왜 윤석열이라는 끔찍한새끼가 대통령이되었는지 생각하게된다 [3] ㅇㅇ(124.197) 03:48 86 0
4495973 일반 중보갤은 미사카미코토게이 있지 ㅇㅇ.. 황고환불알대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6 42 1
4495972 일반 "내새끼 45년만 젊었어도 아이돌 시키는건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117 4
4495971 일반 내가 한동훈이라면 재보궐 때 낼름 뱃지먹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9 35 0
4495970 일반 이준석 따릉이 논란때도 어이없었던게 [2] spinbik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7 82 0
4495969 일반 애초에 24일 동안 진짜 단식을 했다면 찢은 이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24 0
4495968 일반 또 천공 너야? [1] 알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246 1
4495967 일반 준돌이 하나만 기억해주세요 rogu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7 44 0
4495965 일반 국힘갤은 호감고닉도 없네 생각해보니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9 44 0
4495964 일반 용인병 주민인데 고석이 누군지도 모르고 뽑음 [4] 황고환불알대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7 113 0
4495774 ⭐정보 원래 이준석은 지하철 기관사를 꿈꾸던 철도덕후였어요 [6] 한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931 39
4495963 일반 홍산가리가 오히려 국정운영은 윤두창보다 훨 잘했을듯 [1] 황고환불알대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5 64 1
4495962 일반 애초에 이준석 때문에 크게 이길걸 작게 이겼다는 소리도 개소리지 [2] 새보계의사악한음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1 113 2
4495961 일반 걍 민좆 코미디언 투탑 기억하셈 ㅇㅇ [9] 황고환불알대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39 121 1
4495960 일반 프리렌에 이상한거 묻히네 Vertin199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39 290 0
4495959 일반 철덕보고 쇼라고하노 ㅇㅇ(1.243) 02:34 37 0
4495958 일반 쇼는 이런게 쇼 아닐까 [7] 새보계의사악한음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3 146 1
4495957 일반 만리타향 새붕이 집에 가고싶어요 [5] ㅇㅇ(119.56) 02:16 53 0
4495956 일반 서민대결이라면 질수없다 [5] 모스크바의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115 3
4495954 📕문학 !!긴급 상황 발생!! [1] 반야월맨이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9 83 4
4495953 일반 더 웃긴건 저 글 쓰고 바로 다음에 쓴 글 [6] 7%못해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71 13
4495952 일반 이재명이 대체 뭐 얼마나 대단한 철학을 보여줬다고 [3] 새보계의사악한음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20 0
4495951 일반 한국시장 한정 트와이스 vs 블랙핑크 누가 더 유명? ㅇㅇ(121.130) 01:59 41 0
4495950 일반 쇼는 재판 무서워서 억지 단식하는게 쇼 아님? [5] ㅇㅇ(112.214) 01:54 80 2
4495949 일반 저게 쇼라고 하는 것도 이해가 안가는데 새보계의사악한음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2 71 2
4495948 일반 이준석 지하철 타는걸로 떠들어대는게 참 웃겨 [8] 7%못해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6 255 16
4495947 일반 10월 강화군 재보궐도 민심 확인용으로 좋을듯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8 75 0
4495946 일반 요즘 두창이폼보면 10월 강화군 재보궐도 걱정되는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6 55 0
4495945 일반 한동훈이랑 같이 뛸 러닝메이트 대체 누구 있냐 새보계의사악한음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2 48 0
4495944 일반 난 북한 멸망이 너무 두렵다 [3] 부제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84 0
4495943 일반 새보갤판 폴란드볼 만들었는데 개허접하네 [3] 카리스마겁나큰자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101 2
4495942 일반 섹시샤워하고 자야겠다 [1] 탈원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41 0
4495941 📕문학 여러분! 절대로 그들의 소리를 듣지 마십시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261 10
4495939 일반 한동훈 용산이랑 기싸움 않겠다가 립서비스일지 [3] 황고환불알대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80 0
4495938 일반 실베는 참 신기해 [4] Sodiu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1 75 0
4495937 일반 민주중국이 어땟을지는 모르겠지만 [4] 모스크바의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109 0
4495936 일반 한동훈은 당대표 돼도 지선까지 절대 못갈거같은데 [3] 황고환불알대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99 0
4495935 일반 가발이가 무슨 각세우기임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47 0
4495934 📕문학 긴급 사태(타이완 ver) 야스행새쾌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79 0
4495933 일반 술 마시고 머리 어픈거 어캄 [6] Odbd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3 67 1
4495932 일반 슬슬 완장이 다른 떡밥을 원하나보다 부제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29 1
4495931 일반 북한이 어떤 식으로 멸망하게 될지가 궁금 [3] ㅇㅇ(58.120) 01:09 73 0
4495930 📕문학 긴급 사태 (북한 ver) [3] 야스행새쾌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113 0
4495929 일반 훈련소 옆생에서 자살한 동기 한명있었는데 [2] 안희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109 2
4495309 📰소식 “오세훈이 만들었다고?”…이 라면 4개월새 100만봉 팔렸다 [7] 육세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593 10
4495549 📰소식 아동병원協 휴진 불참… 의협회장 "멀쩡한 애 입원시키는 사람들" 비난 [5] Imperishab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409 10
4495542 📰소식 구혁모 페북업 [1] 미카공주님사랑해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35 7
4495540 📰소식 [채널A] 한동훈 “대통령실과 기 싸움 않겠다”.. 다음 주 출마 전망 [4]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335 8
4495527 📰소식 [단독] ‘이첩 보류’ 이종섭 지시 이틀 묵힌 김계환 [2] 희망2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24 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