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소식] [조간 솎아보기] 정부 ‘해외 직구 규제’ 사흘만에 철회앱에서 작성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0 08:26:53
조회 694 추천 16 댓글 2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34c83d3dfc9b1b5c8c41446088c8bcc3515adbe4f0d13e4e4fe3dee94d89f736fc4579d59c0009965

정부가 80개 품목에 국내 안전인증을 받지 않은 해외 제품의 직접구매(직구)를 금지하는 방안을 내놨다가 사흘 만에 뒤집어 논란이다. 소비자의 선택권 침해라는 반발이 거세지자 한발 물러선 셈이다. 정부의 반복되는 정책 시행착오에 20일 아침신문에선 고민없는 대책으로 정책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보수·진보 성향 관계없이 '탁상행정', '우왕좌왕 국정', '졸속 추진-철회' 등의 단어가 관련 지면을 채웠다.

정부는 지난 16일 해외 직구 제품의 안전성 우려가 커지자 국내 안전 인증인 국가통합인증마크(KC)를 받지 않은 제품의 해외직구를 사실상 금지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후 값싼 해외 제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이라는 반발이 이어졌고, 결국 정부는 19일 발암물질 등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에 대해서만 직구를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7ded8076b4806bff36eee9e546841b6fd244e7d299e6ca4b25b9cbe1a29a46f1dc8ebb9e8e1e13af318d315c3118892c

정부의 정책 번복에 신문들은 정부가 스스로 정책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1면 머리기사 <정책 실패 교과서 된 '직구 금지령'>에서 전문가들은 "이번 '해외 직구 금지령' 번복은 '정책 실패' 교과서에 대표 사례로 들어갈 만하다"고 했다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중앙일보도 1면에서 "'C커머스(중국 e커머스) 공습'에 정부가 섣부른 대책을 내놨다가 혼란만 부추겼다"고 했다.

동아일보도 마찬가지로 1면에서 "정책 수요자인 국민 눈높이에서 정책 입안과 발표가 이뤄지지 못하면서 되레 소비자 혼란이 가중됐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했다. 경향신문도 1면에서 "섣부른 정책 발표와 번복이 이어지면서 소비자 혼란을 부추기고 정책 신뢰도를 떨어뜨린다"고 했고, 한겨레도 1면에서 "중국계 온라인 유통 플랫폼의 시장 침투를 의식해 설익은 규제를 내놨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7ded8076b4806bff36eee9e546871b6f26a5bd3551575556d0c180143b372c37d59154d41778aeb40fccc93a5f0feb6a

정부가 실질적 대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경향신문은 "정부가 결국 정책을 사실상 백지화하면서 해외 직구는 기존처럼 제한 없이 가능하게 됐지만,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과다 검출되는 해외 초저가 제품의 안전성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 과제로 남게 됐다"고 했다. 중앙일보도 "위해성이 검증되면 직구를 차단하겠다고 했지만, 이는 지금도 하는 조치"라며 "이미 위해 상품을 구매한 피해자가 나온 이후에야 대응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한겨레는 사설에서 "해외 직구 제품에 대한 위해성 검사를 확대하고 소비자 피해 구제 방안을 서둘러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그러나 국민 불편이나 규제의 실효성 등에 대한 고려 없이 '닥치고 금지'와 같은 설익은 대책을 내놓는 것은 무책임한 행태가 아닐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는 지금까지 국민 삶과 밀접한 정책을 졸속 추진하거나 손바닥 뒤집듯 태도를 바꾸는 일이 잦아 비판을 받아왔다"며 "정책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아마추어 행정을 언제까지 지켜봐야 하나"라고 했다.

유승민 전 국회의원, 나경원 국회의원 당선인,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등이 SNS에서 해외 직구 규제 방안을 연달아 비판하자 동아일보는 사설에서 이를 "뒷북 비판 경쟁"이라고 꼬집었다. 동아일보는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인사들이 대책 발표 때는 가만히 있다가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앞서거니 뒤서거니 뒤늦게 한마디씩 보태는 것도 모양새가 좋아 보이진 않는다"고 했다. 예산 깎더니 예타 폐지, R&D 정부 정책에도 '오락가락' 비판

정부의 연구·개발(R&D) 분야 예비타당성 조사(예타) 전면 폐지 방침에 대해서도 '방향성 없는 정책'이란 비판이 나온다. 정부는 올해 R&D 예산을 지난해보다 4조6000억 원 일괄 삭감했다. 경향신문은 "과학계에선 지난해까지만 해도 '과학 이권 카르텔을 잡겠다'며 R&D 예산을 대폭 삭감한 정부가 갑자기 R&D 예타 폐지로 급선회한 것은 앞뒤가 맞지 않고, 정책에 대한 신뢰성과 예측 가능성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했다.

예타 전면 폐지에 대해서도 부정적 목소리가 나온다. 신명호 전국과학기술노조 정책위원장은 경향신문에 "오히려 예타를 일괄 폐지하면 엉망진창인 사업들을 걸러낼 수 있는 거름망이 사라진다"며 "이는 예타를 내실화하라는 과학계나 시민사회의 요구와도 맞지 않다"고 우려했다.

7ded8076b4806bff36eee9e546851b6fc477357ba25dc3644b802f622115964866b351547c4d50d017af4b98a5f07782

동아일보도 사설에서 "이 같은 방침은 11개월 전 같은 회의에서 나온 대통령의 발언과 180도 달라진 것"이라며 "내년도 예산 편성 방향과 4년 뒤까지의 중기재정운용 계획을 논의하는 회의에서의 대통령 발언이 이렇게 뒤집히면 정책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글로벌 기술 경쟁에 대비하기 위해 예타 규제를 손보는 것은 필요하지만 예산 낭비가 우려되는 '묻지 마 사업'에 대한 통제 대책 없이 덜컥 예타부터 폐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며 모든 예산 사업의 타당성을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정부 방침과도 모순된다"며 "지난해 R&D 예산을 삭감할 때와 마찬가지로 예산 증액과 예타 폐지 과정이 현장 연구자들의 의견 청취 없이 일방적으로 이뤄진 것도 문제"라고 했다.

동아일보는 "정부가 긴축재정과 재정지원 확대 사이에서 원칙 없이 오락가락하면 비슷한 일이 반복될 수 있다. 무턱대고 예산을 깎았다가 반발이 커지면 원상 복구하거나, 전폭적 지원을 약속했다가 돈이 없다며 무르는 식"이라며 "정부의 널뛰기식 경기 대응을 경제학에선 '샤워 실의 바보'라고 빗댄다. 수도꼭지를 온수 쪽으로 끝까지 돌렸다가 뜨거운 물이 쏟아지면 깜짝 놀라 찬물을 트는 과정을 반복한다는 것이다. 정부의 R&D 정책이 딱 '샤워 실의 바보'를 연상케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했다.

7ded8076b4806bff36eee9e546821b6fde14e069d3ba270840461bba26ebea222769cbb872c837ea858a0036fad32aa0

조선일보도 <반복되는 정책 시행착오, 국민이 실험 대상인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해외 직구 금지 규제 철회와 R&D 예타 폐지 방안을 함께 언급하며 정부의 정책 번복을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 백년대계 정책이 이렇게 냉·온탕을 오가도 되나"라며 "정부의 정책 설계가 오락가락하며 혼선을 빚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尹 '채 상병 특검법' 거부권 예고에 한겨레 "국가지도자 자격 의심"​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21일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방해 의혹 특검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다. 이에 한겨레는 "공수처 수사를 핑계 삼지 말고 신속히 특검에 수사를 맡겨야 한다는 게 변함없는 다수 민심"이라며 "윤 대통령이 더 이상 민의를 거스르지 말고 특검법을 지체 없이 공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겨레는 사설에서 "윤 대통령 자신의 수사 불법 개입 의혹을 다루게 될 채 상병 특검법에마저 거부권을 쓴다면, 국민적 불신은 임계점을 넘어설 것"이라며 "자신과 가족의 사익을 위해 공적 특권을 휘두르는 대통령이라면 국가지도자의 자격을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경찰과 공수처 수사를 앞세우는 거부권 논리도 궁색하다. 현재 경찰은 대통령실과 국방부 외압을 받고 애초 해병대 수사단이 이첩했던 조사 결과를 무리하게 반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그 자신 수사 대상"이라며 "공수처가 수사를 해도 기소권은 검찰이 갖고 있다. 검찰이 받는 불신을 고려하면, 특검에 맡겨야 국민이 결과를 납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향신문도 사설에서 "야당은 채 상병 특검법이 재표결에서 부결될 시 22대 국회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함께 재발의한다는 입장이다. 두 특검법은 윤 대통령 자신과 가족이 연루된 사안이다. 거부권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국민 다수가 지지하고 의혹도 쌓여가는 특검법을 거부하면 국정과 협치는 앞으로 나갈 수 없음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했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6

고정닉 13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4490340 공지 유입 필독)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방문을 환영합니다. [1] 한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0 221 12
3278425 공지 ⚠+신문고⚠+ [10] ㅇㅇ(223.38) 22.06.19 81224 68
4230953 공지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관리규정 - 2024.02.13 수정 [21] 희망2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9893 13
2724969 공지 정성글 등록신청 사무소 [54] 공지(39.7) 22.03.13 29742 30
4452239 공지 새보갤 갱신 차단자 목록 [7] Imperishab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17 2255 4
3848304 공지 정치성향 테스트 모음 [3] 물냉면비빔냉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5 19954 24
4493413 일반 창원인데 밖이라 못느낌 Poch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8 3 0
4493412 일반 흔들림 느낀사람있음? ㅇㅇ(210.106) 08:48 2 0
4493411 일반 이러다 수도권쪽에 진도 6.5정도 지진나면 ㄹㅇ 큰일나겠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6 16 0
4493410 일반 4.8이면 윤카 어퍼컷 보는거임? ㅇㅇ(182.31) 08:46 15 0
4493409 📰소식 BTS 진 오늘 전역...오세훈 “반칙과 특권 없이 모범”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5 20 0
4493408 일반 광주인데 배 까놓고 자다가 흔들려서 당황함 정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5 12 0
4493407 일반 충청도인데 잠깐 꿀렁하는 느낌 들었음 리준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5 10 0
4493406 일반 이준석 시발년이 밥먹고 뛰지말라니까 ㅇㅇ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4 26 4
4493405 일반 경기 부천 경주때 말고는 느낀적 아예없음 ㅇㅇ(122.128) 08:44 8 0
4493404 일반 대전인데 흔들림 못느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4 16 0
4493403 일반 eas ptsd오네 Vertin199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4 23 0
4493402 일반 전주 사는데 와... [4] ㅇㅇ(1.250) 08:43 74 0
4493401 📰소식 독선과 무능, 공멸의 정치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3 17 0
4493400 일반 광주게이인데 건물 ㅈㄴ 흔들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3 23 0
4493399 📰소식 與 단일지도체제 사실상 확정… 견제 없어진 한동훈, 당권행보 시동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1 53 0
4493398 일반 지진은 예측 못하나 [2] ㅇㅇ(121.166) 08:40 36 0
4493397 일반 울나라도 이제 지진 무풍지대가 아니구나 ㅇㅇ(114.200) 08:40 27 0
4493396 일반 서울인데 여기서는 진동 못느낌 돡붕이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9 39 0
4493395 일반 나만 문자 안울린건가? [1] まつり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9 52 0
4493394 일반 근데 방송사들 재난방송 안 하네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7 41 0
4493393 📰소식 기상청피셜 지진영향도 [1] Ronald.Reag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7 183 9
4493392 일반 ?? 지진 있었음? 모스크바의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6 31 1
4493390 일반 몇년전에 강화도에 지진 났을땐 느껴지던데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5 39 0
4493389 일반 광주사는데 순간 벙쪘네 [5] ㅇㅇ(211.186) 08:35 128 0
4493387 일반 4.7인데 보낸다고 옆에사람 개짜증내네 ㅇㅇ(39.115) 08:34 76 0
4493386 일반 준석아 왜이리 쿵쿵 뛰어다녀싸. [2] 정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3 51 0
4493385 일반 다들 살아계신가요 [2] Ronald.Reag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3 68 0
4493383 일반 수도권도 느껴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2 26 0
4493382 일반 아니 시발 호남사는데 개놀랐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1 53 0
4493381 일반 엘리베이터 타자 마자 보리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1 32 0
4493380 일반 부산은 안흔들리네 ㅇㅇ(114.200) 08:30 24 0
4493377 일반 경기도인데도 흔들리네ㄷㄷ ㅇㅇ(211.209) 08:30 45 0
4493376 일반 시추못하갰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34 0
4493375 일반 삼성은 올해 와일드카드전은 갈 수 있을까? 김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11 0
4493374 일반 너희들도 진동이 재난문자보다 먼저옴? [4] ㅇㅇ(118.219) 08:29 136 0
4493373 일반 출근길 지하철인데 예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60 0
4493372 📰소식 [긴급] 기상청 "전북 부안 규모 4.7 지진 발생" 포만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102 2
4493371 일반 지진 뭐노 [1] 위대한체리노수령동지의혁명정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66 0
4493370 일반 슈카 석유방송 댓글 진짜 ㅈㄴ 웃기네 ㅋㅋㅋ ㅇㅇ(39.115) 08:29 107 0
4493368 일반 오 흔들린다 [2] yewjean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79 1
4493367 일반 와 지진 씨바 sOwO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18 0
4493366 일반 지진 ㅅㅂ 폴란드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13 0
4493365 일반 아친주터 지진이야 시밯 ㅇㅇ(1.247) 08:28 10 0
4493364 일반 어우 깜짝이야 희망갈매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16 0
4493362 일반 끼야아악 지진이야 칸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38 0
4493361 일반 지진났노 중력부엉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21 0
4493360 일반 지진났네 전북 부안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90 0
4493359 일반 지진 입갤 새보수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39 0
4493358 📰소식 부안군 지진 Imperishab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231 1
4493357 일반 어우 시발 지진 뭐노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4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