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뻘글🗑️] 테스트

중증정신질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4 03:10:25
조회 84 추천 0 댓글 0
														

3) 현대 동기이론


▶ 현대 동기연구의 특징은 다양한 접근이 공존하는 것을 볼 수 있음

- 이들 중 가장 최근의 인지적 접근은 1970년대 이후 급격한 발전을 이루고 있는 현대 동기이론에 기반을 제공하여 각 이론이 사고의 어떤 측면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이론, 귀인이론, 내재동기이론, 목표설정이론, 성취목표이론 등의 다양한 동기이론을 발전시킴


(1) 성취동기이론


성취동기이론(Achievement Motivation Theory)은 맥클리런드와 동료들(McClelland et al., 1953)의 연구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음

- 성취동기(Achievement Motive 혹은 Motivation)라는 개념은 원래 헨리 머레이(Henry Murray)가 개인의 성격을 판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적 욕구를 연구하면서 성취욕구(Need For Achievement)라는 개념을 제시한 것에서 시작됨


▶ 머레이(Murray, 1938)는 스무 가지 심인성 욕구들(Psychogenic Needs)의 욕구분류체계(Taxonomy Of Needs)를 구성하였는데 그중의 하나로 성취욕구를 포함시키면서 "어려운 일을 달성하려는 것, 숙달하려는 것, 탁월하려는 것, 다른 사람과 경쟁하고 이기려는 것, 장애물을 극복하고 높은 기준을 달성하려는 것에 대한 욕구" 라고 정의함(pp. 80 - 81)

- 이러한 욕구를 측정하기 위한 투사적 측정 기법인 주제통각검사(Thematic Apperception Test : TAT)를 개발함

- TAT의 기본 가정은 애매한 자극에 대한 공상적 반응(Fantasy Response)을 하는 상황에서 개인은 자신의 내부에 있는 접근 - 회피 경향성을 무의식적으로 투사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성취동기는 평가가 요구되는 장면에서 성취를 강조하는 이야기 주제로부터 추론할 수 있다는 것

☆ 통각 : 과거의 경험과 새로운 경험을 통합하여 총체적인 경험을 갖게 됨


▶ 맥클리런드와 동료들은 머레이의 기본적 욕구 개념을 가지고 성취욕구를 성취동기라는 용어로 명명하고 탁월하려는 욕구 그리고 우수함과 성공을 향한 욕망으로 정의하면서 체계적인 동기이론으로 발전시킴


▶ 성취동기이론은 앳킨슨(Atkinson)에 의해 맥클리런드와는 다른 경로로 발전됨

- 앳킨슨(1964)은 성취동기이론을 기대 × 가치이론체계를 적용하여 발전시킴

- 앳킨슨은 성취행동을 성취경향성(Tendency To Achieve)이라는 말로 대치하고 수학적 공식으로 모형화하였음


▶ 성취경향성 = (성공에 대한 접근 경향) - (실패를 기피하려는 경향)

- 성공에 대한 접근경향성은 개인의 성취욕구, 개인이 지각하는 그 과제에서의 성공 가능성 그리고 그 과제에 성공하였을 때의 유인가가 곱해져서 나타나는 결과

- 실패를 기피하려는 경향성은 개인의 실패를 기피하려는 동기, 실패 가능성 그리고 그 과제에서의 실패에 대한 부적인 유인가가 곱해져서 나타나는 결과

- 성취 경향성은 두 대립된 경향의 강도 차이로서 이것을 앳긴슨은 결과성취동기(Resultant Achievement Motivation)라는 용어로 표현함(Atkinson, 1964)


▶ 그러나 대부분의 실증적 연구에서 모형이 예측하는 바대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또한 TAT를 사용한 성취동기의 측정에 대한 부적절성의 논란으로 새로운 측정방법과 요소들을 포함시킨 수정모형이 등장하였으나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 해서 성취동기이론에 대한 연구는 정체기에 들어감


(2) 학습된 무기력이론


▶ 학습된 무기력이론(Learned Helplessness Theory)은 실수나 실패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주는 이론으로 셀리그먼과 마이어(Seligman & Maier, 1967)가 조건화 학습 실험을 하는 중에 나타난 현상을 체계화한 것임

-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통제불능성(Uncontrollability)에 대한 기대(Expectation)를 학습한 것 같았음 → 무기력을 학습하다


▶ 히로토와 셀리그먼(Hiroto, 1974; Hiroto & Seligman, 1975) 그리고 드웩과 동료들(Diener & Dweck, 1978; Dweck, 1975)에 의해서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검증되었음


▶ 그러나 학습된 무기력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많은 연구결과가 실패경험이 항상 학습이나 동기, 정서의 장애를 초래하는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서는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음(Kuhl, 1985; Roth & Bootzin, 1974; Wortman & Brehm, 1975)

- 그에 따라 실패의 건설적 효과를 주장하는 건설적 실패이론이 대두되기도 하였음(Clifford, 1983; Kim & Clifford, 1988)


(3) 귀인이론


▶ 귀인(Attribution)이란 어떤 사건의 결과에 대한 원인을 찾는 것임

- 동기에 관한 귀인이론은 어떤 행동의 결과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그 원인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후속 행동이 달라진다는 것으로 개인의 행위 결과에 대한 설명이나 정당화가 어떻게 후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는 것임(Weiner, 1972)


▶ 와이너(Weiner, 1972)는 성취동기이론에 귀인이론을 접목시켜 교육현장에 적용하고 체계화하여 많은 시사점을 제공함

-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귀인을 세 가지 차원에서 특정지을 수 있다고 함

- 행동의 원인을 개인 내부에서 찾는가 외부에서 찾는가에 관한 인과소재(Locus Of Causality) 차원, 원인이 얼마나 안정적인 것인가 즉 변하지 않는 것인가 쉽게 변하는 것인가에 관한 안정성(Stability)차원, 통제가 가능한 원인인가 가능하지 않은 원인인가에 관한 통제 가능성(Controllability) 차원의 세 가지 차원에서 결과 행동을 구분할 수 있음



내적

외적

안정

불안정

안정

불안정

통제 가능

절대 공부를 안 함

그 시험을 위해 공부하지 않았음

교사가 편파적임

친구들이 도와주지 못 했음

통제 불가능

낮은 적성

시험 당일 아팠음

학교의 요구사항이 너무 높음

운이 나빴음


※ 스마트폰으로 읽을 때 표가 잘려보이시는 분들은 가로로 보세요


▶ 한편 귀인결과는 정서적인 반응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음(Weiner, 1985; Weiner, Russell, & Lerman, 1978)

- 실패를 낮은 적성에 귀인하는 학생은 수치심과 우울을 경험할 것이며 성공을 많은 공부에 귀인하는 학생은 자부심을 느낄 것

- 이러한 정서반응은 후속 유사과제 수행상황에서 과제의 유인가에 영향을 미치고 수행수준에도 영향을 미칠 것임


(4) 내재동기이론


▶ 내재동기는 심리적 욕구, 개인적 호기심 그리고 타고난 성장을 향한 노력으로부터 자발적으로 생기는 것(Reeve, 2005)

- 어떤 과제를 수행하는 데 내재적으로 동기화된 사람은 과제에 대한 흥미 때문에, 그 과제를 하는 자체가 즐거워서, 그 과제가 제공하는 도전감과 행위에 대한 느낌 때문에 수행함

- 연구자마다 내재동기를 유발하는 결정인가를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혹은 내재동기를 어떻게 측정하느냐 즉, 조작적 정의를 어떻게 내리느냐에 따라 다양한 이론이 제시됨


▶ 효능동기이론 : 개인의 유능성(Competency)을 핵심 요인으로 개발한 동기이론으로 화이트(White, 1959)의 효능동기(Effectance Motivation)이론이 있음

- 화이트는 인간이 자신의 삶이나 환경의 어떤 측면을 변화시키고 수정하거나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행동한다고 하였음

- 또한 주변에 있는 사물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인간은 유능감(Perception Of Competence)을 획득한다고 주장함


▶ 인지평가이론 : 디시(Deci, 1971, 1972, 1975)는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에서 개인의 내적 통제 소재와 능력에 대한 지각이 높아질수록 내재동기가 증가한다고 하였음 즉 디시는 보상이 유능감과 통제감에 대한 지각에 두 가지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함

- 첫째, 보상은 수행의 질이 높다는 것을 알려줄 때는 정보적 기능을 하고 이런 경우 보상은 지각된 유능성과 내재동기를 증진시킴

- 둘째, 보상은 행동에 대해 통제적 기능을 할 수도 있음 예를 들어 행동을 하면 상을 주겠다는 제안을 하는 경우로 이런 경우 보상은 지각된 내적 통제감과 내재동기를 감소시킴

→ 디시는 내재동기가 개인의 유능성과 자율성에 대한 욕구로부터 자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개인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언어적 보상은 내재동기를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함(Deci, 1972)

- 인지평가이론은 사람들이 자율성과 유능성에 대한 심리적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전제로 하며 외부 사건들의 통제적 측면은 자율성에 대한 욕구에 영향을 주는 반면 정보적 측면은 유능성에 대한 욕구에 영향을 준다고 함


▶ 과정당화이론 : 과정당화이론(Overjustification Theory)은 원인귀인 혹은 인과적 설명을 적용해서 내재동기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보상이나 다른 외적 제약이 행위자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해석되며 또 그러한 해석이 내재동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가짐(Lepper et al., 1978; Lepper & Greene, 1978)

- 내적으로 동기화된 과제에 외적 보상이 더해지면 그 행동에 대해 다중인과 스키마(Multiple Causal Schema)가 형성됨(Kelley, 1971)

- 이러한 다중인과 스키마가 형성되면 원인요인 중 가장 현저한 외적 요인을 그 행동의 원인으로 받아들이는 과정당화가 일어나게 되어서 내적 요인은 최소화하거나 절감하게 된다는 것임

- 켈리는 이러한 현상을 절감의 원리(Discounting Principle)라 하였음

☆ 일을 제대로 해보겠다, 자발적 포부, 외적인 지나친 제약, 일방적인 방향 결정, 일을 해야할 정당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시 내적 요인은 절감 또는 최소화


▶ 자기결정성이론 : 디시와 라이언(Deci & Ryan, 1985; Ryan & Deci, 2000)은 동기를 내재적 대 외재적의 이분법적으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고 자기결정성(자율성)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외재적 이유가 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자기결정성이론(Self - Determination Theory)을 제시함

- 자기결정성이론은 인본주의적 접근으로서 인간은 심리적 성장을 위한 욕구와 보다 정교화되고 통합된 자기(Self)를 발달시키려는 능동적인 경향성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전제함(Ryan & Deci, 2000)


viewimage.php?id=23b2d12bec&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2decfb4c8c53b0665d9534afdaac9801a66fb0e6bad52f4c74515a1ed5fd8f2217e6b49


- 자기결정성의 정도가 달라짐에 따라 각기 다른 유형의 외재적 동기가 하나의 연속선상에 놓이며 아무런 자기조절도 개입되지 않은 무동기(Amotivation)로 시작하여 극단적인 외재동기와 내재동기 사이에 각기 다른 종류의 외재적인 동기가 존재함(Deci & Ryan, 2000; Ryan & Deci, 2000)

- 또한 자기결정성의 연속선상에 위치시킨 다양한 유형의 동기와 각각에 해당하는 조절양식, 인과 소재, 관련된 조절과정 등을 보여줌

-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라 분류한 다섯 가지 자기조절 유형은 외적 조절(External Regulation), 내사된 조절(Introjected Regulation), 확인된 조절(Identified Regulation)의 세 가지 외재적 조절과 내재적 조절이기는 하지만 과제 자체에 대한 흥미 때문만은 아닌 통합된 조절(Integrated Regulation)과 과제 자체에 대한 흥미에 의한 내재적 조절(Intrinsic Regulation)임


viewimage.php?id=23b2d12bec&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2decfb4c8c53b0665d9534a90c7c28d176af80fcefb6bc36d5454dd70e34275c45846ce22


▶ 출현동기이론과 플로 경험 : 칙센트미하이(Csikszentmihalyi, 1978)가 제안한 출현동기이론(Emergent Motivation Theory)

- 출현동기이론은 많은 활동이 예상하는 목표나 보상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없고 진행되는 행위 속에 직접 관여함으로써 나타나는(출현하는) 목표와 보상의 관점에서 설명해야만 한다고 전제함

- 목표와 보상이 행위로부터 '흘러나온다(Flow)' 는 것을 함의하는 '플로' 혹은 '깊은 흐름(Deep - Flow)' 활동이라고 이름이 붙었음

- 플로란 그 활동이 주는 즐거움 때문에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그 활동을 하려고 하는 것으로 행위에 완전히 몰입한 집중상태를 말하며 개인이 어떤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기술을 사용할 때 도전의 수준과 자신의 기술 간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면 플로 상태로 들어가며 이러한 상태에 들어가면 계속 흘러가게 된다는 것(Csikszentmihalyi, 1975; Csikszentmihalyi & Nakamura, 1989)

☆ 중독과는 다름, 건설적, 생산적인 활동


viewimage.php?id=23b2d12bec&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2decfb4c8c53b0665d9534afdaac9801a66fb0e6bad52f4941747fab008dfa9217e6b49


- 플로 모형을 보면 자신의 기술도전수준적절한 조화가 이루어질 때 특히 최적수준의 도전적인 활동을 할 경우 플로 경험을 하게 되고 도전수준이 너무 높고 기술수준이 너무 낮은 경우는 불안(Anxiety)에 빠지고 반대로 도전수준이 자신의 기술수준보다 너무 낮은 경우는 지루함(Boredom)을 느끼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5) 자기효능감이론


자기효능감이론(Self - Efficacy Theory)은 반두라(Bandura, 1977, 1986, 1997)가 발전시킨 사회인지적(Social Cognitive) 동기이론임

- 사회인지론적 관점에서 인간은 내부의 힘이나 외부 자극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종되는 존재가 아니고 자신이 속해 있는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행동하는 자기조절자로서 기능함

- 인간의 행동은 자기조절체계(Self - Regulatory System) 속에서 이해되어야 함(Bandura, 1986, 1997)

- 자기조절체계란 개인의 인지구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체계(Self - System)로서 외부의 자극을 상징화하고 학습하고 다양한 행동전략을 계획하고 자신의 행위를 조절하고 자기반성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임

- 반두라는 또한 인간 기능에 대한 기본 모형으로 삼자상호작용론(Triadic Reciprocality)을 제시함 즉,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 개인요인, 행동 세 가지가 상호적으로 결정한다는 인과관계에 대한 모형을 제안함


viewimage.php?id=23b2d12bec&no=24b0d769e1d32ca73de983fa11d02831c6c0b61130e4349ff064c41af2decfb4c8c53b0665d9534afdaac9801a66fb0e6bad52f49d1547a1e00c8bae217e6b49


▶ 반두라(1977)는 자기효능감을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활동을 조직하고 실행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 (P. 3)이라고 정의함

- 따라서 자기효능감은 특정 성취상황에서 자신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가에 대한 기대 혹은 신념으로 수행수준을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임


▶ 반두라(1997)가 제시하는 자기효능감은 자기개념(Self - Concept)이나 자존감(Self - Esteem)과는 구별되는 개념임

- 자기개념은 개인의 자신에 대한 전반적인 지각이고 자존감은 자기 가치에 대한 판단결과라고 할 수 있으나 자기효능감은 특정한 과제에서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으로 자기개념이나 자존감보다는 구체적 상황이나 과제에 국한된 능력에 대한 신념임 <성취상황에서의 수행수준에 대한 강력한 예측변인>


▶ 반두라는 개인이 자신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정보를

① 자신의 수행을 관찰함으로써

② 모델이 수행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③ 타인의 설득을 통해서

④ 생리적 지표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고 하고 이러한 정보원을 통해서 효능기대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함


(6) 성취목표이론


- 생략




☞ 다음 게시글은 정서




참고문헌


- 현대 심리학의 이해 - 현성용 외 17명 공저 학지사

- 개인 노트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7983 공지 정신병동 마이너 갤러리 공지(24년 06월 15일 업데이트) [17] 중증정신질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4 4353 34
29128 공지 파딱 권한 수정 및 삭제 내역 공개 처리 [13] 중증정신질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4 313 9
24441 공지 방학을 한 달 정도 남기고 써보는 정신병동 후기 [8] 정상수언니(61.73) 24.02.07 575 20
19837 공지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 [9] 중증정신질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6 692 30
18601 공지 질문 후 답변 받은 게시글은 웬만하면 삭제하지 말아주세요 [1] 중증정신질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1 353 11
18315 공지 19살 f322 환자가 정신병동 갤러 들에게 보플로 한마디 할게 [10/1] F322(182.221) 23.08.26 487 14
18330 공지 여기 주딱보면 참 능력자같음 [3] M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7 630 35
17984 공지 부매니저에 관심이 있는 환자 [22] 중증정신질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4 613 8
18296 공지 우주인 panebianc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4 272 6
33834 일반💬 이제 약 먹어도 잠이 안 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1 0
33833 일상🖋 전화할사람 서이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8 0
33832 일반💬 안자는사람 [5] 교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3 25 0
33831 일반💬 학교가기싫다 인생재밋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4 5 0
33830 일반💬 억울한게, 병동환자(39.113) 06.20 5 0
33829 뻘글🗑 우울장애 증상을 2주마다 뷔페마냥 즐기는중ㅋㅋㅋㅋ [2] 사탐이범죄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4 0
33828 일반💬 얼리버드 취침 [2] 태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3 0
33827 일반💬 친구때문에 학교 가기가 너무 싫음 [6] 인생재밋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7 0
33826 일반💬 기분좋아뎟다가자살마려워짐 [1] ラブは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0 0
33825 노래🎵 오늘도 술 드링킹 해야겠다 [6] 쵸텐이너무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4 0
33824 일반💬 좆같다 정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3 0
33823 일반💬 대회준비중 [2] 태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0 0
33822 일반💬 디코로 하자 아저씨,파딱게이 [5] 천사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6 0
33821 일반💬 that's life 들으면서 인생은 원래 이러구나 하고 한탄해 천사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4 0
33820 일반💬 나랑 전화할 사람..? [5] 천사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56 0
33819 일상🖋 우우라다 [2] 서이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4 0
33817 일반💬 절망스럽다 나는 사실 어딜 가든 적응 하지 못 하는거 아닐까? [3] 새벽3시지하실공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7 0
33816 일상🖋 이겨내야지 [1] 서이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8 0
33815 일반💬 방금 필요시약 먹었는데 [2] F32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1 0
33814 일반💬 공익 끝내고싶다 [5] 쵸텐이너무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7 0
33813 일반💬 오늘 팀장이 악지르고 물건 발로 참 [6] 새벽3시지하실공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0 0
33812 일상🖋 전화할사람 [9] 서이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71 0
33811 일상🖋 내 계획 [4] 서이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0 0
33810 일반💬 주말에 비오네 [3] 쵸텐이너무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7 0
33809 일상🖋 잠으로 인생도피할래 [3] 서이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3 0
33808 일반💬 아침약 깜빡하고 안먹으니 너무 우울해 [1] 쵸텐이너무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1 0
33807 일상🖋 3시간만 죽자 [4] 동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9 0
33806 일반💬 오늘은 학원갓다오자마자자야지 [3] ラブはん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3 0
33805 일반💬 사람은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준다 [4] 중증정신질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25 5
33804 일반💬 친구도 없고 능력도 없고 소심하고 [3] 쵸텐이너무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7 0
33803 일반💬 어제 너무 비참했음 [2] 천사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8 0
33802 일반💬 낳음당했다 [4] 천사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4 0
33800 일반💬 찡찡거리고 싶은데 딱히 이유없는 우울이라 [4] 쵸텐이너무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4 1
33799 일반💬 하 좆같다 [3] 인생재밋네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8 0
33798 일반💬 아침약 빼먹었다고 이렇게 졸리네 [1] 쵸텐이너무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2 0
33797 일상🖋 이새끼 뭔데 어제 하루종일 해킹하냐 [5] depressi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42 0
33796 노래🎵 해비스모커 태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7 0
33795 일반💬 일 싫어 [2] 동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2 0
33794 일반💬 너무 서러워서 잠이 안온다 [2] 천사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2 0
33793 일반💬 임산부석,틀딱석 왜 만듬 [1] 천사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9 0
33792 일반💬 칼이 답임 [5] 천사에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26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