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빅토리아 3 뉴비 가이드 - 2. 정치와 인구

ㅇㅇ(118.36) 2023.01.02 01:08:02
조회 13279 추천 31 댓글 20
														




좌측 첫 번째 메뉴인 [정치]부터 살펴보자 (단축키 F1)


1. [정치]-[개요] 탭


7fed8274a8836aeb3dee96fd42986a2d7f214fbd484be0017bc438a3114404


이 탭은 말 그대로 개요라, 여기서 볼 수 있는 내용은 대부분 나머지 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그래서 이 탭은 거의 볼 일이 없는데, 개인적으로 유일하게 이 탭을 볼 때가 있다면
노란색 박스 부분에 뜨는 ‘다음 선거일’이다

시작할 때 오스만은 권력분배 법으로 ‘전제정치’를 채택하고 있어서
선거가 없기 때문에 공란으로 보이는데
선거권이 도입되면 저 영역에서 다음 선거일과 이전 선거 결과 등을 확인할 수 있음

법을 제정할 때 여러 상황에 따라 다음 선거일까지 존버할지,
또는 지금 어떤 법을 제정할지를 고민할 때가 있는데
그 때 체크하면 도움이 된다



7fed8274a8836aeb3dee96fd43986a2d545f2d316b7b5d021b4270fe1ce898


번호가 10번까지 달릴 정도로 여긴 중요 정보 투성이다
뉴비 입장에서 뭐부터 순서대로 봐야 할지 정리해 봄

① 지도자 특성
엄청 중요하다. 지도자가 어떤 특성을 달고 있느냐에 따라 플레이의 쾌적도가 달라진다.

예시에서 오스만 스타팅 지도자의 두 번째 특성은 ‘도적’인데
빅토 좀 해본 갤럼들이라면 아마 공감할 테지만
모든 지도자 특성들 중에서 제일 쓰레기 같은 특성이다…
바로 ‘악명 감쇠 -50%’ 페널티를 달고 있기 때문
(‘악명’ 개념은 [외교] 메뉴에서 설명할 예정이라 뉴비는 아직 모르겠지만
일단 ‘악명은 빨리 감쇠될수록 좋다’는 것만 기억하자)

암튼 이렇게 지도자마다 특성을 달고 있는데 오스만의 예 외에도
시크제국 지도자는 전쟁에 유리한 특성을 여럿 달고 있어서
대놓고 동인도 회사와 정복전쟁을 권장하고 있고,

네덜란드 스타팅 왕은 노련한 식민지 행정가 (식민지 성장속도 +20%) 를
달고 있어서 초반 식민지 확장에 유리함

이렇듯, 내가 처음 선택한 국가라면
스타팅 지도자의 특성을 잘 확인한 후 초반 플레이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사족이지만 오스만처럼 스타팅 지도자에게 도적 특성이 있다면
하루빨리 대통령제/의원내각제를 도입하기로 결심해야 한다
빅토3는 철인哲人+鐵人들의 세계라
지도자들이 뒤지게 안 죽는다 수명이 80, 90세는 기본임
자연사로 갈아치워지기를 기다렸다간 게임이 이미 후반부에 접어든다)



② 정통성

정통성이 100%에 가까울수록 법 제정속도가 빨라진다
정통성 %에 따른 보다 구체적인 보너스/페널티는
막대 바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확인가능하므로 생략
25% 미만의 불법정부일 땐 입법이 불가능하니 주의하자

원래 1.0.6, 1.1.1 등 이전 버전들에서는 정통성 구간별
페널티/보너스가 따로 없었는데 1.1.2로 오면서 패치되었다


급진파가 많아지면 내전 및 분리독립 가능성이 높아진다
첫 플레이 때 멋모르고 하다가 급진파가 50%가 넘어간 적이 있었는데
그 때 공산주의 혁명 내전으로 나라 풍비박산남...
경험상으로는 급진파는 총인구의 30% 미만 수준으로만 관리해주면 큰 문제는 없다

반면 충성파는.. 있어도 딱히 뭔가 혜택이 있다고 체감한 건 없음. 있으면 제보바람



③ 억압/후원

해당 이해집단의 마크를 오른쪽 클릭해서 억압/후원을 할 수 있다
억압하면 해당 이해집단의 정치력이 감소하고
반대로 후원하면 증가하는데 여기엔 권위가 소모됨

이 때 후원은 어디까지나 후술할 '정치력'의 근간이 되는 ‘재산’이 있을 때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기업가의 주된 정치력은 산업 공장에서 나오는데
공장이 하나도 안 지어져 있을 땐 후원해봤자 큰 의미가 없다
그럴 땐 기업가 후원에 아깝게 권위를 낭비하지 말고 지주를 억압하든가,
다른 더 유의미한 부문에 권위를 사용하자


④ 이해집단 특성

매우매우 주목 & 관리해줘야 하는 부분 중 하나다
지도자에게 지도자 특성이 있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다만 왼쪽부터 순서대로 만족도가 -5 이하, +5 이상, +10 이상일 때 발동된다
(+10 이상이면 두 번째, 세 번째 특성이 모두 발현)
뉴비라면 이해집단별로 일단 한 번씩은 읽어보자


그렇다고 모든 이해집단별 특성을 달달 외우고 있을 필요는 없고,
아래의 가장 중요한 2가지만 기억하면 된다

1) 지식인의 +10 특성인 이주유치 +25%,
2) 군부의 +10 특성인 공격력 및 방어력 15%

현실도 그렇지만 이 게임에서는 특히나 인구가 깡패다
산업화가 고도화되면 인구가 부족해서
성장이 정체되는 구간이 생길 정도라,
‘이주 유치 +25%’로 인구를 수혈해 주는 건 매우 중요하다
(물론 이것도 이따 살펴볼 법들 중에 ‘국경 폐쇄’가 제정돼 있다면 의미가 없다
국경이 폐쇄돼 있는데 이주를 어떻게 오겠는가)

또 군부의 공격력&방어력 상승 보너스는
전쟁 시작과 동시에 챙겨주면 좋다
평시에, 전쟁하고 있지 않을 때는 굳이
군부의 만족도를 +10로 만들어줄 필요는 없다



⑤ 만족도

만족도가 산정된 근거는 마우스를 갖다대면 확인할 수 있다
가장 큰 원인은 해당 이해집단이 지지하는 법이 제정돼 있으면 +, 그 반대면 -다

지금 보고 있는 왼쪽은 ‘정부’에 속한 이해집단들인데,
정부에 속해 있을 때 만족도가 -10이 되면 ‘분노’ 상태가 되면서
멋대로 정부를 이탈해 야권으로 가 버리니
만족도 관리 시 유의하자

’분노’ 상태일 때는 정부에 넣을 수 없고
해당 이해집단이 싫어하는 법을 제정하면
혁명(내전)을 일으키기도 한다


⑥ 정치력

정치력 퍼센트는 당연하게도 인구비율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마우스를 갖다대면 정치력이 어떻게 산정됐는지 알 수 있다
이 '정치력' 개념은 매우 중요하므로 툴팁 스샷을 첨부함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ae241df9de52f6ce6d5854534a69be6a48432a2305d


초반에 1순위로 정치력을 박살내야 할 이해집단인 지주의 정치력 세부설명이다
근대화되지 않은 대부분의 국가는 군주정+세습 관료제+소작농 부역 등
지주에게 정치력 보너스를 주는 전근대적 법을 달고 있어서,
이따가 [법] 탭에서 살펴보겠지만 우선적으로 해당 법들부터 철폐해 줘야 한다


찬찬히 읽어보면, 정치력은 ‘재산’을 기본 수치로 하여
여러 요인들에 의해 %로 보너스 또는 페널티가 붙는 구조다

그렇다면 ‘재산’은 어떻게 계산되는가? 이건 밑에서 [인구] 메뉴 보면서 자세히 알아보자
지금은 일단 ‘아 내가 밀고 싶은 이해집단의 재산은 높이고
반대의 경우는 줄이는 쪽으로 국가 경제를 굴려야겠구나’ 정도만 생각하면 됨


한 가지 더. 정치력이 5% 미만이면 ‘소외’, 20% 미만이면 ‘유력’,
20% 이상이면 ‘권세’ 집단이 되는데,
특히 ‘권세’ 집단이 되면 특성의 효과를 2배로 받는다.

군부를 예로 들면, "정치력이 20% 이상이면서 & 만족도가 +10 이상(충성)"이면
특성에 의한 공격력/방어력 향상 보너스가 +15%가 아니라 +30%가 된다
그래서 중요한 전쟁을 앞두고 있을 때는
이 상태를 미리 세팅해 주고 전투에 돌입하는 게 국룰


⑦ 이념

각 이해집단들은 고정으로 갖고 있는 이념들이 있고
해당 이념별로 반대/동조하는 법률이 다르다
이해집단별 특성을 하나하나 살펴봤듯
이념도 마우스를 갖다대고 하나하나 읽어보면 된다

지식인/군부 특성처럼 외우고 있어야 할 건 딱히 없고
각 이해집단이 대충 어떤 애들인지 감만 잡고 넘어가자
어차피 법 제정할 때 누가 지지하고 반대하는지 보여줌



⑧ 이해집단 지도자 이념

특별히 지금 있는 지도자가 지지하는 이념이다
즉 얘가 죽고 다른 놈이 지도자가 되면 다른 이념이 붙는다

이 때 한 가지 팁은, 시작할 때 (국가) 지도자 이념은 안 바뀌지만
이해집단 지도자 이념은 매번 달라진다는 것
그래서 좋은 이해집단 지도자 이념이 뽑히길 염원하며 리세하기도 함


예를 들어, 시작할 때 군대 모범법이 ‘소작농 부역’인 미개국이
지주의 정치력은 높고 초반부터 영토전쟁을 해야 하는 경우라면
지주의 스타팅 지도자가 ‘호전적 국수주의’를
달고 나올 때까지 리세를 하면 유리하다
(호전적 국수주의 = 전문직업군 법과 식민지 이주/수탈 법을 지지)

지금 오스만이 그렇다… ㅅㅂ 이 유럽의 병자놈은 법이 죄다 적폐 투성이라
소작농 부역 법도 달고 있는데 탄지마트 이벤트상 이집트와 전쟁을 해야 한다
그 전에 전문직업군 법 제정이 제일 시급하니 나도 리세를 할 예정
ㅅㅂ 다시 생각해도 뉴비한테 이것저것 설명하기에 오스만만한 예시가 없다…


⑨ 야권

야권에 있는 이해집단의 찬성/반대는
법 제정 성공/실패 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래서 내가 통과시키려는 법을 반대하는 놈은 야권에 빼고
지지하는 놈은 정부에 넣는 플레이가 기본이다

다만 맘대로 넣고 빼고만 할 수는 없는 것이,
한 이해집단을 정부에서 야권으로 빼면
그와 관련된 인구의 일정 비율만큼
급진파가 늘고 충성파가 감소한다

급진파 숫자를 잘 보면서, 아직은 괜찮은 수준이라면
필요에 따라 넣고 빼고 해도 괜찮지만
그게 아니라면 주의하자

야권에 있다고 해서 법 제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때때로 야권에 있는 놈들이 랜덤으로 특정 법 제정 운동 OR
철폐/보존 운동을 벌이기도 하는데 이것까지 글로 일일이 설명하긴 그렇고
이 부분은 직접 부딪혀보면 금방 이해할 것



⑩ 소외 이해집단

정치력이 5% 미만인 집단들인데, 이 때는 만족/불만족 특성 효과가 무시된다



2. [인구] 메뉴

[정치]의 [법] 탭으로 넘어가기 전에 [인구] 메뉴를 먼저 살펴보자
이해집단들을 쭉 본 김에 이해집단들의 정치적 힘이 어디서 나오는지 알기 위함이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4db98e52f6ce6d56cf427a82a170734fc0f4d6d


본격적으로 [인구] 메뉴를 보기 전에 재산’ 툴팁을 자세히 보자
내용을 요약해보면 재산 = 정치력이 증가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해당 인구층의 수입 (= 고용된 건물에서의 임금, 복지급여 등) 은 증가하고 (+)
  2. 해당 인구층의 주된 욕구를 충족해주는 물품을 소비하고 (-)
  3. 남는 금액이 재산으로 축적됨

이 개념을 숙지한 상태에서 이제 [인구] 메뉴의 [개요] 탭을 보자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4dd98e12f6ce6d500ddd90df5cd823edb51d264


① 정치 참여/정치 비활동 인구

[법]에서 살펴보겠지만 지주선거권-제한선거권-보통선거권이나
여성참정권 등 선거권의 범위를 넓힐수록 정치 참여 인구는 증가
당연하겠지만 후자의 선거권을 채택할수록
노동조합 등 상대적으로 하류층인 인구층/이해집단의 정치력이 향상됨
자세한 건 [법]에서 설명


② 평균 생활수준

이 수치 자체는 대개 크게 의미는 없는 편
평균은 그냥 대략적인 국가 경제수준을 가늠하는 어림일 뿐

단, 몇몇 이벤트의 조건에 평균 생활수준이 있긴 함
예를 들어 ‘두 팔을 활짝 벌리고’의 충족요건으로
평균 생활수준이 12 이상이어야 하고,
부정적 이벤트인 ‘대흉작’은 평균 생활수준이 8 이하로 떨어지면 발동함

평균 생활수준 말고, 각 인구층/계층의 생활수준은 매우 중요함
생활수준에 따라 각 팝들의 욕구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
이에 대해서는 이 글만큼 잘 정리한 글이 없다
나도 지금까지도 거의 경전처럼 끼고 참고해가면서 보는 아주 좋은 팁


③ 하류층/중산층/상류층

여기는 마우스 갖다대서 툴팁만 읽어도 충분히 이해됨
각 계층을 구성하는 인구층이 누구인지 확인하고 넘어가자



④ 욕구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각 인구(팝)들은 생활수준에 따라 욕구가 달라진다
나는 모드를 쓰고 있어서 수요하는 물품과 그 가격수준을
저렇게 아이콘으로 보여주는데 바닐라에선 안 보여줌

특정 계층의 생활수준을 높여주려면
그 계층이 주로 수요하는 물품의 공급량을 늘리고 가격을 낮춰주면 된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6df9de02f6ce6d5474fbded5d5eb7fc9fa4c734


스크롤을 내리면 직종별 인구층이 나와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게 소작농이다
쉽게 생각해서 소작농은 다른 직종들로 전환되는 줄기세포(??) 같은 놈

소작농에 마우스 올려보면 툴팁 설명이 있는데
이놈들은 자경지에 서식하고 있음
자경지의 생산성은 건물의 생산성에 비해 현저히 낮다

그래서 건물을 꾸준히 지어줘서 소작농들이
해당 건물에 고용돼 다른 직종들로 변신하도록 유도하는 게 핵심

즉, 궁극의 경제에서는 소작농들이 전부 다른 건물에 취직돼
소작농은 0%가 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임


소작농이 없어져야 할 직종이라면 노예는 뭐냐 싶을 텐데
노예가 어떤 건물에 주로 고용되는지를 살펴보고
노예를 두는 게 이득이라면 노예를 그대로 둬도 되긴 하지만
(그래서 노예를 게임 끝까지 두는 컨셉플 하는 사람들도 있더라)

일반적인 경우/상식으로는 노예를 해방시켜서
소작농으로 만들고 이들이 다시 건물에 취직되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왜냐면
1) 노예제는 산업화의 걸림돌인 지주의 정치적 힘에 보너스를 부여하고
2) 다른 직종에 비해 노예의 생활수준은 매우 더디게 증가하므로
장기적인 경제성장 및 평균 생활수준을 생각하면
얘네가 다른 직종으로 전환되는 게 더 낫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7df99e72f6ce6d586b5603f149004a80e47e5a6


더 내리면 문화와 종교가 있는데 이건 그냥…
차별받는 문화나 종교에 속한 인구층은 급진파가 되기 쉽다는 정도
그리고 그게 심해지면 내전이 날 수 있다는 거 정도만 체크

솔직히 이 부분은 그 이상 자세한 거 몰라도
몇 백 시간 플레이하는 데 딱히 지장 없었음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7d299e12f6ce6d5ea546f84d7f5dbe652ecf9c5


[상세목록] 탭으로 넘어가면 각 직종의 생활수준,
지지하는 이해집단, 욕구 등을 볼 수 있다

각 직종 이름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툴팁으로
당 직종이 지지하는 이해집단의 비율을 볼 수 있다

이름 밑에 있는 이해집단 아이콘은
가장 대표적으로 미는 이해집단이고.

이제 ‘인구층(직종)’과 ‘이해집단’의 개념을 확인했으니
이 두 개념을 합쳐보자

여기서는 뉴비들이 가장 많이 오해하거나
헷갈리는 이해집단인 ‘소시민’을 예시로 살펴볼 것
나머지 이해집단은 같은 방식으로
스스로 살펴보면 쉽게 이해된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1d898e12f6ce6d5e6063187d51d24cfd9875292


이해집단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이해집단의 세부 정보를 살펴볼 수 있다
소시민의 인구구성을 살펴보면 인구 수 기준
자영업자-직원-관료 등이 주된 지지 인구층이다
단 이것이 반드시 정치적 힘(=재산) 순은 아니다
노예는 인구는 많지만 재산이 없어서 정치적 힘이 0인 걸 생각하면 됨


어쨌든 종합해 보면, 소시민을 밀어주고 싶으면

  1. 자영업자, 직원, 관료가 주로 고용되는 건물의 수를 늘려
    소작농들이 해당 직종으로 전환되도록 유도하고

  2. 해당 건물들의 임금수준을 높여 그들의 수입을 늘리고

  3. 이들이 주로 수요(소비)하는 상품의 공급을 늘리고
    가격을 낮춰 재산 축적을 촉진하면 된다


번역이 ‘소시민’이라 뉴비들이 흔히 쩌리로 오해하는데
원어는 ‘쁘띠 부르주아’ (소부르주아)

기업가처럼 대규모의 생산시설을 소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자영업자, 직원, 관료 등 어느 정도 중산층에 해당되는 애들임

그러면 위 직종들이 주로 고용되는 건물이 뭐냐 할 텐데
이건 나중에 [건설] 메뉴에서 살펴보도록 하고
이제 다시 [정치]-[법]으로 넘어가자


3. [정치]-[법]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bea46da9ce62f6ce6d5dba6a08fa5a88c014da900a6f7


일단 법 제정을 시도하게 되면 성공/진전/논란/정체 각각의 확률이 표시된다
해당 확률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계산 원리가 나오는데
이건 읽으면 뉴비도 쉽게 이해 가능하니 패스
(수정 추가) 념글에 다른 갤러 분이 자세히 설명한 글이 괜찮아서 여기 링크 걸어봄

들어가기 전에 염두해야 할 것은, 일부 열강/강대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들에서는 지주가 제일 정치력이 강한데
이 지주가 제일 적폐 이해집단이라는 것

’초반에 산업화를 하려면 지주는 조지고
지식인 및 기업가에게 힘을 주어야 한다’

이거는 모든 나라 공통사항이다 명심 또 명심하자

지주에게 정치력 보너스를 주는 7대 악법은
세습관료제, 소작농 부역, 전통주의, 토지기반 조세, 농노제, 각종 노예제, 전제 정치다

굳이 따지자면 군주정도 여기에 해당되긴 하지만
후술할 이유로 군주정은 그나마 제일 양호하고
어떤 면에서는 장점도 많아서 제외

이걸 숙지한 상태에서 이제 각각의 법 항목을 살펴보자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ae346d898e62f6ce6d53331416f66bd450030513846e7


먼저 통치원칙이다
군주정은 척결대상 1호인 지주의 정치적 힘을 +25% 시켜준다

장기적으로는 군주정을 철폐해야 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군주정의 대안인 대통령제에서 권위는 +100, 의원내각제는 권위 +0가 되기 때문

권위는 칙령, 물품세, 억압/후원 등등 (특히 초반에) 쓸모가 많기 때문에
지주에게 힘을 주는 법 중에서는 가장 늦게 철폐해야 할 법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철폐를 안 하기도 한다


군주정의 또 한 가지 장점은
가끔 법을 제정할 때 랜덤으로 ‘왕의 정치 절차 개입’ 이벤트가 뜨는 것

이 이벤트에서는 ‘법 제정 성공확률 +20%’를 선택할 수 있는데
초반에 지주는 막강하고 나머지 이해집단들은 허약한 상황에서
단비 같은 가챠가 아닐 수 없다


신정국가는 컨셉플이 아닌 이상 잘 선호되지는 않는다
다만 나는 시암으로 한 번 플레이했었는데
성직자의 정치적 힘을 강화시켜주는 유적(앙코르와트였나? 까먹음)
이 마침 있길래 신정국가+국교+종교학교 시너지로 컨셉플 했었는데 나름 괜찮았다

평의회 공화국은 필수는 아니지만 후반에 은근 선호되는 법
후반부 되면 노동조합의 정치력이 짱짱 세지고
나머지는 무력화되는데 그 때 상류층을 잡아 족치는 대신
평균 생활수준을 끌어올리는 데는 이만한 법이 없다

갖고 있던 투자원천금이 증발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그때쯤 되면 이미 투자원천금이 딱히 쓸모가 없어져서
단점 대비 장점이 더 크다는 이유로 종종 채택되는데 반론도 많다
자세한 건 갤에서 검색해서 찾아보자
(이건 심화내용. 뉴비 단계에서는 그냥 의원내각제나 대통령제 가자)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ae347d39fe42f6ce6d5f9c99e295afd8fdd3002cb6e7a

다음으로 권력분배 관련법
영, 프, 벨기에, 남미, 멕시코 등 극히 일부 국가 아니면
거의 대부분의 나라가 시작할 때 전제 정치를 달고 있다

군주정과 비슷한 결이라고 보면 된다
권위는 가장 많이 주지만 귀족의 정치적 힘을 +50% 시켜준다
‘귀족=지주 이해집단을 지지하는 핵심 인구층’이라
편의상 ‘귀족=지주’라고 봐도 된다

선거권은 국가 지도자를 갈아치우기 위해 꼭 필요한 법이다
내 기억으로는 대통령제/의원내각제를 도입해도
선거권이 없으면 지도자가 안 바뀌었던 거 같은데
갑자기 가물가물하네 한 두 번 빼고 늘 선거권을 먼저 도입하고
군주정은 나중에 철폐해서… 아는 갤럼 있으면 체크 부탁

암튼 어떤 선거권을 어느 시점에 도입할지는 나라에 따라,
정치력 비율 분포에 따라 등등 여러 조건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얘네는 뉴비라도 법 설명과 지지/반대 비율을 꼼꼼히 읽으면
알아서 합리적 판단이 가능한 영역이라 패스

일단 선거권이 도입되면 이해집단들의 정치력 비율에 큰 지각변동이 생긴다
개인적으로는, 지주의 정치력이 난공불락이다 싶을 때
야권에서 지주선거권 제정 운동 이벤트라도 뜨면
개같이 다른 법안 제쳐두고 선거권부터 챙겨주는 편
지주선거권도 지주의 정치적 힘 +25%를
달고 있긴 하지만 전제정치보다는 백 번 낫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bea44dc9ee32f6ce6d5ca62899e7904822fcc869eabfc

시민권은 지금 버전 기준으로는 다문화가 성능이 좋아서
갤에서는 종종 다문화 너프시켜야 한다는 말이 나옴
권위는 하나도 안 주지만 그딴 거 상관 없을 정도로 좋음

’문화가 항상 수용된다’는 간결한 문장인데 이게 왜? 싶을 수 있는데
정확히는 다문화 하나만 있으면 안 되고
‘다문화+이주통제 철폐+생활수준 12 이상+집회의 자유 또는 표현 보장
= 두 팔을 활짝 벌리고 이벤트 = 이주 유치 영구적 +25%’ 의 헤택 때문

현실도 마찬가지지만 인구가 곧 국력이고 자원인 게임인 이상
영구적 이주 유치 버프는 매우 강력한 버프

특히 자원은 많은데 인구는 부족한 나라들에게는 동앗줄과도 같다
개인적으로는 다문화 각 보일 때까지 다른 법은 쳐다보지도 않음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bea45d99ce42f6ce6d53c5722bebfce0cc320cca03c5c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권위는 100씩 감소하고,
종교인의 정치적 힘은 15%씩 감소함

신정국가+국교+종교학교 시너지 컨셉플을 한다면
국교도 나쁘지 않음
종교학교의 ‘개종’이 은근 괜찮아서 ㅇㅇ

그러나 컨셉플이 아니라면 하루빨리 신앙의 자유나 완전분리를 채택
내 경우는 거의 항상 신앙의 자유에서 멈췄음

권위 -100 냐 vs. 종교인의 정치적 힘 -15% 이냐의 경중 문제인데
권위 빠지는 게 더 손해라고 생각함
굳이 완전분리까지 안 가도 지주보다도 빨리 힘이 빠지는 게 종교인이라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bea45d29ee22f6ce6d559bee663670dd2c478fc40e664


다음은 관료제
세습 관료제 역시 지주의 힘을 버프시켜주는 악법 중 하나

문제는 임명 관료제냐 선출 관료제냐인데…
가능하다면 임명 관료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선출 관료제를 제정해 주는 게 베스트이다


이유는 ‘행정력 기관비용 배율 -15%’가 ‘조세역량 +25%’보다
훨씬 더 가치 있는 보너스이기 때문이다


임명관료제는 조세역량 +25%, 지식인의 정치적 힘 +25%인 반면

선출관료제는 행정력 기관비용 배율 -15%, 소시민의 정치적 힘 +25%이다

조세역량 보너스는 각종 사회 기술을 해금하다 보면
오히려 넘쳐서 나중엔 쓸모가 없다
반면에 행정력은 국가가 커지면 커질수록
무역로도 군사도 늘어나서
후반까지도 너무나도 귀한 자원이 된다


그래도 초반에 지주랑 싸우려면
지식인의 정치적 힘 +25%이 중요하지 않나?
일단 지식인 키우고 나중에 넘어가면 안 되나?
싶을 수 있는데 그게 어렵다

지식인은 ‘세습 관료제→선출 관료제’는
‘세습 관료제→임명 관료제’와 동일한 수준으로 지지하지만
’임명 관료제→선출 관료제’로 갈 때에는 반대한다
(당연하다 정치적 힘 +25%가 나한테서 소시민으로 넘어가는 거니까)

문제는 후반부로 갈수록 지식인에 비해
(대개) 소시민의 정치력은 현저히 낮다는 것
임명 관료제에서 선출 관료제로 가고 싶어도 그 때는 이미
‘반대 세력(지식인) > 찬성 세력(소시민)’이라 어렵다

지식인이 지주 같은 적폐면 지식인을 조져서라도
넘어갈까도 고민해 보겠는데
현실은 지식인은 산업화 역군이고 소시민이 적폐임…


결국 처음에 지식인이 임명 관료제와 선출 관료제를
동일 수준으로 지지해줄 때 바로 선출 관료제를 찍는 게 좋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bea40d99fe32f6ce6d592d0da0a3a757184fc88cb100a


마찬가지로 지주 7대 악법 중 하나인 소작농 부역
대체로 갤의 공통된 의견은 ‘전문직업군 미만 잡’

[군사] 메뉴에서 살펴보겠지만 징병소의 징집병은
병영의 전문군인보다 당연히 성능이 매우 떨어진다
그래서 전쟁할 때 징병을 아예 안 하는 유저들도 많음 (그게 다 비용이니)


전문직업군은 사기손실 -10%에 군부의 정치적 힘 +25%,
징병률 +1% 등 버릴 거 하나 없이 좋은 것만 모아놨다

특히 후반으로 갈수록 군부의 정치력도 점차 감소해서,
중요한 전쟁을 앞두고 정치력 20% (2배 버프용) 를 유지하는 게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에 군부의 정치적 힘 +25% 보너스는 매우 소중함

그렇다고 국가 민병대와 대규모 징병이 쓰레기는 아니다
다만 전문직업군의 성능이 너무 확연히 좋아서 묻힐 뿐

도저히 소작농 부역에서 벗어날 각이 안 보이면 꿩 대신 닭도 괜찮음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bea40d39ce32f6ce6d5d27a7fd88500412ce47e97d5aa

개인적으로 제일 있으나마나 하다고 느낀 게 보안법
주로 급진파를 줄여주거나 혁명 진행속도를 줄여주는데
급진파는 혁명날 정도로 높은 비율 아니면
사실 별로 페널티 체감 안 되고
혁명은 진행’속도’를 늦춰줘봤자
어차피 일어날 혁명은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냥 적당히 끌리는 거 찍어주자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bea41d298e32f6ce6d5da5da64717e82bdf81aecdf883


경제체제는 좀 중요하다
할 수만 있다면 제일 급선무로 떼줘야 할 법이 전통주의

이 새끼는 조세역량 -25% 페널티를 달고 있기 때문

얘 때문에 초반에 안 그래도 거지 같은 전근대 국가에서
조세 비효율이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고
(특히 인구 많은 러시아, 대청 등)
그게 아니더라도 얘 때문에 인두 조세를 제정할 수가 없다


다만 스샷처럼 초반에 지주의 힘이 너무 강해서
도저히 다른 법으로 넘어가는 게 버겁기 때문에
그 전에 각종 지주 악법을 철폐해서 지주의 힘을 빼준다


그나마 제일 만만한 게 농본주의
간섭주의나 자유방임주의는 기업가 정도만 지지하는데
농본주의는 전원주민과 기업가가 모두 지지해서
조금이나마 성공확률이 높다

간섭주의, 농본주의, 자유방임주의의 설명을 각각 살펴보면
셋 중에서는 농본주의가 가장 별로다
그러나 전통주의보다는 낫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조세 비효율을 해결하고
인두조세를 제정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과도기성으로 농본주의를 거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전에 탑 바 설명할 때 스킵했던 ‘투자 원천금’ 개념이 중요함
예시로 스샷의 간섭주의 설명을 보면 알겠지만,
각 법에 따라 귀족 또는 자본가가 투자 원천금을 제공하고,
각 법에 따라 해당 투자 원천금은 특정 산업의 건설에 사용됨

이전 연재에서 본 것처럼 정부나 군사 못지 않게
건설도 당연히 비용이 발생하는데,
현재 제정된 법에서 지원하는 특정 산업의 건물을 지을 때는
투자 원천금을 우선적으로 소진한다는 뜻이다

즉, 건설로 인한 주간 비용 발생분에서 투자 원천금만큼이 차감되므로
남는 재정을 건설력에 더 투자할 수 있어 스노우볼을 굴리기가 좋다

농본주의가 (상대적) 쓰레기법인 이유는
기반시설을 제외하면 대부분 농업, 플랜테이션 등
산업화를 역행하는 분야의 건물만 투자 원천금으로 지원해주기 때문

반면 간섭주의는 모든 분야의 건물을,
자유방임주의는 농업 등을 제외하고
흔히 직관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기업가 관련 산업 분야를 지원함

그렇다면 간섭주의가 가장 좋은 것 아닌가? 할 수 있는데 그렇지도 않다
스샷처럼 간섭주의는 투자원천금이 귀족 +5%, 자본가 +25%인데
자유방임주의는 자본가 50%다

뉴비 수준에서 귀족=지주, 자본가=기업가라고 단순화시켜서 이해하면,
후자가 투자원천금 종잣돈 규모도 훨씬 큰 데다가
어차피 산업화 초기엔 농업은 줄이고 공장은 많이 지어야 해서
자유방임주의가 스노우볼이 훨씬 잘 굴러간다

그럼 자유방임주의가 무조건 좋은가? 하면 또 그것도 아니다
’초반에는’ 자유방임주의가 당연히 좋은데, 후반엔 또 상황이 달라진다!

첫 번째로, 농업 및 플랜테이션 관련 건물도 지어야 할 필요가 ‘새로’ 생긴다
산업화 초기에는 소작농은 줄이고 기계공, 노무자 등
공장 노동자를 늘려야 하지만,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담배, 커피, 차 등 기호식품
및 설탕, 과일 등의 수요가 증가한다
그리고 이런 애들은 각종 플랜테이션 및 농장을 지어줘야 공급이 된다

수입으로도 어느 정도 충당은 되겠지만 AI 특성상 건물을 드럽게 안 지어서
(건설을 열심히 하는 모드를 깔아도 여전히 인간 유저보다는 안 지음)
도저히 수요를 완전히 충족할 수는 없기에
결국 답답해서 자급을 위해 건설을 하게 된다

그래서 막상 식민지에 농장 및 플랜테이션을 건설을 하려고 보면,
얘네는 자유방임주의가 후원하는 산업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얘네 건물을 지을 때는 투자 원천금을 소진하지 않고
재정에 (-)가 발생하고 그만큼 투자 원천금이 쌓이게 된다


이게 두 번째 이유랑 맞물리는데, 그건 바로
‘후반엔 투자 원천금이 남아돈다’는 사실이다
고도로 산업화가 되고 나면
‘주당 새로이 추가되는 투자 원천금 > 주당 건설 비용’이 돼서
투자 원천금은 쌓이기만 하고 소진되지 않는다

결국 안 그래도 투자 원천금은 남아도는데
새로 농업 건물을 지을 때 소진이 안 돼서 주당 수지가 (-)가 뜨는 꼴을 보자니
극한의 이득충 입장에서는 ‘간섭주의로 바꿀까?’ 생각하게 됨

자유 방임주의만큼 주당 투자원천금이 많이 쌓이지는 않으면서
모든 산업분야에 적체된 투자원천금 소진이 가능하니 말이다

그러나 이 때에도 마치 ‘임명 관료제→선출 관료제’의 경우처럼
넘어가는 게 쉽지 않다

기업가 입장에서는 간섭주의보다 자유방임주의를 선호하는 데다가
후반부의 과반수 이해집단인 노동조합은 ‘둘 다 ㅈ까 통제경제가 최고야’
이 ㅈㄹ을 해서 둘 다 지지를 안 하기 때문이다


이 이상은 너무 딥하니 각설하고
뉴비 입장에서는 결국 상황 봐서 자유방임주의나 간섭주의 중
적당히 하나를 채택하는 것을 목표로 삼으면 된다

통제경제는 일장일단이 있는 법률인데
뉴비한테는 이미 정보가 포화일 것 같아서 생략
통제경제를 할 지 말 지는 플레이 쭉 하다 보면 감이 옴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beb46de9ee42f6ce6d577f0549735a0e199cc170e850b


무역 정책은 관세의 % 변화에 따른 경제적 영향 차이를
일일이 비교해보지 않아서 뭐가 OP인지 나도 잘 모름

다만 다들 보통 자유무역을 선호하는 편인데
이건 아무래도 현대 사회에서 자유무역이 워낙 진리처럼 받아들여져서
관성적으로 제정하는 경향도 있는 것 같음

자유무역은 무역로 거래량 증가, 행정력 비용 감소, 경쟁력 증가라는 혜택 대신
관세가 아예 없어지는 단점이 있어서 정말 엄밀히 말하자면
’관세로 인한 조세 수입 vs. 무역 자체의 수지’ 간의 수치를 비교해봐야 함

그렇지만 빅악귀 아니면 누가 그렇게까지 일일이 계산하면서 플레이하겠나..
나름 친절하게 저렇게 ‘현재 관세 법에 따른 수익 변화’를 띄워주니
대충 저거 보고 따라가는 게 맘 편하고

또 어떻게 생각하면 조세 수입보다 더 귀한 게 행정력이라
무역로 행정력 아껴준다는 점에선, 복잡하게 생각하기 싫다면 자유무역이 좋긴 하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0c2856d60e5dbeb47d999e52f6ce6d52ba1b1967cafd4be24ea295331

다음은 조세
거의 대부분의 경우 생활수준에 상관없이
세수는 비례조세>인두조세>토지기반 조세다

시작할 때 이해집단 지도자 이념이 잘 떴다면
인두조세를 거치지 않고 비례 조세로 직행하는 것도 가능함


다만 누진세>비례조세냐 하면 이건 반드시 성립하지 않음
누진세를 찍으면 상류층의 생활수준이 폭락하기 때문에
평균 생활수준이 어지간히 높지 않으면 비례조세에 못 비빔


극도로 생활수준이 높으면 소비 기반 조세만으로도
차고 넘치기도 하던데 나는 그 정도 극단적인 경제는 못 해봤네

무역정책과 마찬가지로 뉴비들은 대충 예상 수익 변경 보고 따라가서 찍어주면 됨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4db9ee02f6ce6d581d9eeabbb388b013a9c472308


표현상 ‘식민지’ 이주 및 수탈이라고 돼 있지만
내용을 읽어보면 비편입주를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에 대한 법임

비편입주를 편입시키는 데에는 일정 기간
(문화를 공유하는 정도에 따라 2년-5년-10년-20년)
및 행정력이 소모되는 대신 세금을 걷을 수 있음
(비편입주에서는 아무리 수익이 나도 세금을 걷을 수 없음)


결국 비편입주에는 일장일단이 있는 셈인데,
나는 2년/5년 걸리는 애들은 웬만하면 편입시켜 줌

누구는 스타팅 주 말고 아예 편입 안 시키는 사람도 있던데
그런 플레이도 가능은 한데 뉴비가 따라하기엔 너무 어려운 플레이고
그냥 나처럼 하거나 맘 편하게 판도학적으로 그림 예쁘게 편입시켜야지 해도 상관없음

다만 식민지 이주 vs. 식민지 수탈 둘 중 선택할 땐
미리 컨셉을 좀 생각해야 함

식민지 이주는 비편입 주 내 이주 유치를 늘려주는데,
‘인구가 깡패’라고 거듭 말했다시피 이주 유치 보너스는 아묻따 좋음

식민지 수탈은 식민지 임금수준을 낮춰 수익성은 극대화하는 대신
갈등 완화율 등은 낮아서 말 그대로 “생산성 최대로” 수탈하는 컨셉

이주 유치가 워낙 소중하기 때문에 나는 식민지 이주를 선호하는 편이긴 하지만
식민지 수탈도 나쁘진 않음


단 '임명 관료제 vs. 선출 관료제'의 케이스처럼
한 번 제정하면 다른 하나로 넘어가는 건 어려우니 신중해야 함

덧붙여서 비편입 주에서는 세금이 안 걷히니까,
중요한 산업들은 편입 주에 몰빵하고
비편입 주에는 농업, 플랜테이션, 건설부문, 행정청사, 병영 같은
비산업/비생산적 부문을 몰빵하는 게 좋음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5d99fe02f6ce6d5bfcf462601f96e80beda82c8f0

경찰조직
지역경찰은 지주의 정치적 힘을 (+) 시켜주므로 절대 피하고,
보통 전문경찰로 끝나는 경우가 많음

적폐 청산 과정에서 지주가 지지하는 몇 안 되는 법 중 하나라서,
개혁 과정에서 지주의 만족도가 너무 박살난다 싶으면
중간에 쉬어가는 느낌으로 찍어주면 좋다


경찰 군사화는 군부의 정치적 힘 +10%라는 점에서 좋음

후반부로 갈수록 군부도 점점 정치력이 감소해서
후반에 전쟁할 때 아쉽기 짝이 없는데 그 때 단비 같은 법

근데 문제는 지지하는 게 군부, 지주, 소시민 정도인데
얘네 다 후반부에는 쪽을 못 써서
노조 지도자에게 지지 이념이 붙지 않는 이상 통과시키기가 어려움
(그래서 보통 전문경찰로 끝나는 것)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5d299e22f6ce6d5afa4bf3c54c1a205876f3bf74f

종교학교의 '개종'이 '융화' 못지 않게 은근 효과가 좋아서
컨셉플로 쓰는 사람들도 종종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는 사립학교 아니면 공립학교를 찍게 됨

그런데 이것도 임명 관료제/선출 관료제처럼
초반에 ‘학교철폐와 비교했을 때는’
지식인이 사립학교와 공립학교를 동등한 수준으로 지지하지만
사립학교에서 공립학교로 넘어갈 땐 지식인은 지지 안 하고 노동조합만 지지함


세습 관료제에서는 선출 관료제로 바로 넘어가는 게 권장됐지만
여기서는 그렇지 않음

왜냐하면 후반부에는 자연스럽게 노동조합이 과반수가 되기 때문에
사립학교에서 공립학교로 넘어가는 게 어렵지 않기 때문

사립학교는 지식인의 정치적 힘 +10%을 주기 때문에
지식인의 정치력이 절실한 초반 개혁 상황에서는 꼭 찍어줘야 할 법

관료제에서 임명 관료제의 지식인 버프를 포기했다면
여기서만큼은 사립학교를 거치고 가는 게 좋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

공립학교는 교육 접근성 +10%와 융화 +12.5% 보너스를 달고 있는데
‘융화’가 과연 유의미한 성능을 갖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음
(자세한 건 갤에서 검색 ㄱ)

그렇지만 사립학교의 ‘+0.5% 재산당 교육 접근성’보다는
공립학교의 교육 접근성이 직관적으로 좋으므로
공립학교는 웬만하면 찍어주자
교육 접근성은 식자율에 영향을 미치므로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6d299e22f6ce6d5818e9b9756a36ebfede891e516


교육 체제와 아주 비슷한 구조다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성직자, 기업가, 노동조합이 선호

사립건강보험은 재산당 -0.3% 사망률인데 비해
국립건강보험은 깡으로 -5% 사망률이라
이건 확연히 국립건강보험이 좋다

초반에 기업가가 강할 때 사립건강보험을 거치고
후반엔 노동조합이 깡패 되니 그 때 국립건강보험 찍어주자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7db99e42f6ce6d55ec85711b9ec42c4ff4abd01ee

권위냐 기술전파 속도냐 양자택일의 문제인데
사견으로는 처음에 검열일 때 집회의 자유를 급하게 찍을 필요는 없다

어차피 산업화 하나도 안 된 후진국이면
기술발전 속도를 산업화 속도가 못 따라가는 경우가 많다

기술전파로 기술이 뚫렸어도 새로 뚫린 건물보다
그 전단계의 다른 건물 짓는 게 더 시급할 때가 많다는 얘기

즉 초반엔 기술전파 속도보다 권위를 이용한 칙령이나
후원 억압의 효과가 더 즉각적일 수 있다는 것


그러나 반대로, 초반에 대학도 잔뜩 짓고 기술발전을 최대로 해서
이걸 스노우볼 삼아 후반에 건물을 몰아짓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뭐가 더 낫다고는 선뜻 말하기가 어렵고,
직접 해보면서 본인이 선호하는 플레이스타일을 정하는 게 낫겠다


뉴비 입장에선 이의 엄금은 왜 있지? 싶을 수도 있는데
오히려 극후반부에 의외로 많이들 제정하는 법 중 하나다

후반부 되면 이미 필요한 기술은 다 뚫어서
더 이상 기술전파 +% 버프가 필요 없어지기 때문

다만 앞서 살펴본 ‘경찰 군사화’와 마찬가지로
지지하는 놈들이 지주, 군부, 성직자, 소시민 등인데
얘네 다 후반부에 쩌리라 정치력 다 긁어모으거나
이념 가챠가 잘 떠야 통과 가능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be840da99e02f6ce6d59ec67105dca02fde74f3c5824e


스샷 찍다가 어라? 했음
지주 8대 악법 중에 오스만이 유일하게 농노제는
그래도 안 들고 있네… 불행 중 다행

농노제는 지주의 정치적 힘을 +50% 해주므로
역시 초반에 반드시 철폐해야 할 법 중 하나

농노제 폐지로 한동안 쭉 가다가
노동조합이 강해지는 중후반부에 규제기관 (위험한 근로환경 -20%)
으로 넘어가 사망률을 줄여 인구를 확보하자

평균 생활수준이 충분히 높아져서 복지성 지출을 감당할 수준이 되면
근로자 보호법도 제정하면 되는데 이건 선택사항
(규제기관은 사망률은 줄여주는데 별다른 페널티는 없으므로 후반부 필수)


복지지출 감당할 여력 안 될 때 멋모르고 제정 성공률 높다고
근로자 보호법 통과시켜 버리면 재정수지 박살나니까 신중하자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3e5dae941d89de22f6ce6d58d4e5e7687a1cb8c513b1ae483

아동권은 종국에는 ‘초등교육 의무화’를 필수로 뚫어줘야 한다
그래야 교육부 기관을 최대 단계인 5단계까지 올릴 수 있기 때문
중간에 아동 노동 제한을 찍고 넘어갈지 한 번에 갈지는 순전히 선택
아동 노동 제한이나 초등교육 의무화나 둘 다 똑같은 수준으로
노동조합은 지지하고 기업가는 싫어함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3e5dae941d89ee32f6ce6d5642380f63d741d4913b65695de

여성권은 ‘여성의 재산권’까지는 다들 대부분 찍음
그래야 여성 인구도 생산가능 인구로서
공장에 투입되어 경제성장에 도움이 됨
아래로 내려갈수록 노동 종사자 비율은 더 커지기 때문에
효율 측면에서는 여성 참정권까지도 찍어주는 게 좋음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3e5dae941d898e02f6ce6d5dbd8fe0fbf1fb390f34777eaab


이건 구빈법을 거쳤다가 임금 보조금이나 노령연금으로 가면 되는데
앞서 살펴본 근로자 보호법처럼
재정적으로 복지 비용을 감당할 여력이 없다면
섣불리 통과시키면 안 된다 재정 박살남

복지 급여들이 있으면 통상 임금을 높여
평균 생활수준도 향상되고
잉여 수입이 재산으로 축적되어
정치적 힘을 향상시키는 건 장점이지만
매주 비용을 발생시킨다는 걸 꼭꼭 잊지 말자


중간에 구빈법을 거치는 걸 추천하는 이유는 간단
바로 기업가도 구빈법은 지지하기 때문

후반부 가면 새로 제정하는 대부분의 법들이
노동조합은 지지하고 기업가는 반대하는 법들이다
마치 초반부에 기업가와 지식인은 지지하고
지주는 반대했던 것과 비슷함


그 때 ‘전문 경찰’이 지주의 만족도 관리 차원에서
쉬어가는 느낌으로 찍어주기에 좋았던 것처럼,
구빈법도 기업가를 달래기에 좋은 법이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3e5dae941d99ce32f6ce6d59bcb1728be5e9f3dc8e0cbd711

다문화와 함께 ‘두 팔을 활짝 벌리고’ 이벤트의

발동조건이기 때문에 이주 통제 철폐는 꼭 찍어주자
물론 대청이나 러시아처럼 자국의 인구만으로
경제성장하는 데 지장이 없는 나라라면
게임 끝까지도 국경 폐쇄 등을 유지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나라들은 성장할 때 인구가 부족하다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3e5dae941d99ee32f6ce6d5bde9bb0ec29a4c2cd2640d82e0

[인구] 메뉴에서 설명했다시피
모든 노예제는 지주의 힘을 강화시킨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노예제 금지를 제정해 주자



4. [정치]-[기관]

a15714ab041eb360be3335622983746f11c3866e60e5daeb47da9fe52f6ce6d504c15fc8fb3bba114f69a48c87


오스만은 시작할 때 기관이 하나도 없어서 텅텅 비었는데
각 기관별 효과와 장단점은 사실 아까 [법] 설명하면서
얼추 커버한 데다가 직접 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 패스

여기서 중요한 건 기관을 새로 설립하거나
그 단계를 높일수록 행정력이 들어간다는 것
그리고 툴팁을 보면 그 행정력은 '편입 주'의 인구 수에 비례하여 발생한다

아까 식민지법 설명할 때 비편입 주에서는 세금을 걷지 못한다고 했는데
반대로 편입 주가 되면 세금은 걷히는 대신 그만큼 행정력이 더 발생한다는 것

1편에서 탑 바의 행정력 툴팁에서 살펴본 것처럼
편입 주 인구 수에 비례해서 기본으로 발생하는 행정력이 있고
지금 보듯이 인구 수에 비례해 기관 단계별로 행정력이 또 들어간다


즉, 편입 주 vs. 비편입 주의 문제는 행정력 비용 vs. 조세수입의 문제와도 같다
결국 나의 플레이스타일 및 지금 플레이하는 국가의 특성,
현재 경제수준 등 종합적인 요소에 의해
편입하는 게 나을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다만 이걸 매번 일일이 생각하는 게 번거로우니
나는 대충 2년/5년 걸리는 애들은 편입시키고
그 외는 안 시키는 내 나름대로의 원칙을 세운 것


*

중간에 빼먹은 내용이 있어서 추가했는데
글자 수 이슈가 있는 건지 뒷 부분(정치 돋보기 파트)이 자꾸 날라가서
어쩔 수 없이 다음 챕터로 보냄 ㅠ

추천 비추천

31

고정닉 7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869 AD 딥 블루 호라이즌 사전예약 6.14-7.4 운영자 24/06/14 - -
1011710 📖정보 뉴비들을 위한 해스테인 이집트런 (하편) [1] ㅇㅇ(1.240) 23.01.20 134 2
1011709 📖정보 뉴비들을 위한 해스테인 이집트런 (상편) [2] ㅇㅇ(1.240) 23.01.20 265 3
1008092 📖정보 빅토에 좀 익숙해진 뉴비한테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국가들 [2] 대두등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7 711 1
1007496 📖정보 빅토리아 3 뉴비 가이드 - 5. 문화, 기술, 시작할 때 세팅 [5] ㅇㅇ(118.36) 23.01.05 5970 30
1007118 📖정보 빅토리아 3 뉴비 가이드 - 4. 외교, 군사 [8] ㅇㅇ(118.36) 23.01.04 7768 24
1006449 📖정보 빅토리아 3 뉴비 가이드 - 3. 예산, 시장, 무역 [11] ㅇㅇ(118.36) 23.01.02 5268 29
📖정보 빅토리아 3 뉴비 가이드 - 2. 정치와 인구 [20] ㅇㅇ(118.36) 23.01.02 13279 31
1006233 📖정보 빅토리아 3 뉴비 가이드 - 1. 기본 인터페이스 및 탑 바 [12] ㅇㅇ(118.36) 23.01.01 13276 36
1004920 📖정보 무엇을 할것인가? : 법률 제정은 어떻게 하는가 [15] Grasshoqqer 22.12.28 2658 29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