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Guardian view 240416 - 개발도상국 도와줘야함

통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17 23:01:40
조회 41 추천 2 댓글 0
														

<표현>

1문단 Blight(ed) 말라죽다(황폐화된) / hobble(d) 발을 절름거리다(난처해진) / dollar-denominated 달러 액권의 / fiscal 재정상의 / maneuver 조작 / perfect storm 퍼펙트스톰, 최악의 상황/ distress 고통, 고난, 빈곤

2문단 dismal 암울한 / delegate 대표단, 사절 / eligible 적격인

3문단 hemorrhage(hemorrhaging) 유출, 상실, 출혈

4문단 firepower 화력

5문단 solidarity 연대, 결속 / pivotal 중추적인, 회전축의, 중심의 / avert 피하다, 막다 / jeopardy 위험 / intransigent 타협하지않는, 완고한


<원문>

The Guardian view on debt and developing countries: time to offer some relief


Many low-income nations are having to spend more on interest payments than vital sustainability goals. That needs to change


Blighted by the effects of global heating, beset by food insecurity and rising poverty, and hobbled by dollar-denominated debt that leaves no fiscal room for maneuver, some of the world’s poorest nations are enduring a perfect storm. In the wake of Covid and then the war in Ukraine, inflation and high interest rates have tipped many over the edge: between 2020 and 2023 there were 18 sovereign defaults in 10 developing countries more than in the previous two decades. Others are either in debt distress or close to it.


As the World Bank and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hold their annual spring meetings in Washington this week, this dismal state of affairs should be at the top of delegates’ agendas. Prior to the pandemic, the 2020s had been earmarked as a transformative decade one in which developing nations would make vital progress towards climate targets and eliminating extreme poverty and hunger. Instead, due to events beyond those countries’ control, there has been what a World Bank report this week described as a “great reversal”. In countries classified as eligible for grants and loans from the bank’s Internat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IDA), a quarter of the population is now surviving on less than $2.15 a day the global definition of poverty.


To get back on track, an estimated $2.4tn worth of annual investment is required. But without meaningful debt relief, countries from sub-Saharan Africa to the Caribbean will continue to go backwards, hemorrhaging the cash they need to fund social services and combat the climate emergency. A recent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study found that low-income countries are spending far more on debt repayments to creditors than on social assistance or healthcare. Meanwhile, the fragility of the global economic recovery and higher interest rates in advanced economies have led foreign lenders to back away from extending new loans.


Faced with a crisis that directly impacts on key international priorities, a business-as-usual approach is both unethical and unsustainable. Belatedly, rich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need to step up. Ahead of this week’s meeting in Washington, the World Bank’s president, Ajay Banga, has called for the largest-ever round of funding for the IDA, which needs to be empowered to replace the fiscal firepower that private lenders have withdrawn. The pace of the restructuring of existing debt also needs to be far quicker, and its terms more generous. The UNDP, for example, has called for a “debt-poverty pause’, which would allow governments to divert suspended debt repayments towards neglected social programmes and critical infrastructure.


Such a step would be welcome, but extensive debt relief is also required. A world where a country such as Zambia finds itself locked in endless negotiations over a $13bn debt restructuring, as a catastrophic drought devastates its economy, is unfit for the challenges of the times. In an open letter before COP28 last November, 550 economists called for ambitious debt cancellation to allow global south governments to “respond to their immediate and long-term development needs, including the climate crisis”. At a time when global solidarity is pivotal to averting environmental disaster, that would be both a radical and a realistic approach. The future of entire economies, and the planet, should not be placed in jeopardy at the insistence of intransigent bondholders.


<해석>

부채와 개발도상국: 어느 정도 구제책을 제시할 때(제목)

많은 저소득 국가에서는 필수적인 지속 가능성 목표보다 이자 지급에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이건 변화가 필요하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식량 불안과 빈곤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재정적 여유가 없는 달러 액권 부채로 인해 절름발이가 되는 세계 최빈국 중 일부는 퍼펙트스톰을 견디고 있다.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높은 이자율은 많은 사람들을 벼랑 끝으로 몰아넣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10개 개발도상국에서 18건의 국가 채무 불이행이 발생했다. 이는 지난 20년보다 많은 수치다. 다른 국가들은 부채 고민에 빠져 있거나 가까운 상태다.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이번 주 워싱턴에서 연례 봄 회의에서, 이 암울한 상황은 대표자들의 최우선 의제에 있어야 한다. 팬데믹 이전에 2020년대는 개발도상국이 기후 목표를 달성하고 극심한 빈곤과 기아를 근절하는 데 중요한 진전을 이루는 변혁의 10년으로 지정되었다. 대신, 이들 국가(*개도국)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사건(*온난화 및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이번 주 세계 은행 보고서에서 "대단한(*반어법) 반전"이라고 표현한 것이 있었다. 은행의 국제개발협회(IDA)로부터 보조금과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국가는 현재 인구의 4분의 1이 하루 2.15달러(세계 빈곤의 정의) 미만으로 생존하고 있다.


정상 궤도로 돌아가려면 연간 약 24천억 달러 상당의 투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의미 있는 부채 탕감이 없다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카리브해까지 국가들은 사회 복지에 자금을 지원하고 기후 비상 사태에 대처하는 데 필요한 현금을 잃고 계속 후퇴하게 될 것이다. 최근 유엔개발계획(UNDP)의 연구에 따르면 저소득 국가들은 사회 지원이나 의료 서비스보다 채권자에 대한 부채 상환에 훨씬 더 많은 돈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계 경제 회복의 취약성과 선진국의 금리 상승으로 인해 외국 대출 기관은 신규 대출 확대를 철회했다.


주요 국제 우선순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기 상황에 직면하여 기존 방식의 비즈니스 접근 방식은 비윤리적이고 지속 불가능하다. 뒤늦게 선진국과 국제기구들이 나서야 한다. 이번 주 워싱턴 회의를 앞두고 아제이 방가(Ajay Banga) 세계은행 총재는 IDA에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IDA는 민간 대출 기관이 철회한 재정 역량을 대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아야 한다. 기존 부채의 구조조정 속도도 훨씬 빨라야 하고, 조건도 더 관대해야 한다. 예를 들어 UNDP는 정부가 유예된 부채 상환을 소외된 사회 프로그램과 중요 인프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부채 빈곤 일시 중지'를 요구했다.


그러한 조치는 환영할 만하지만 광범위한 부채 탕감도 필요하다. 치명적인 가뭄으로 인해 경제가 황폐화됨에 따라 국가가 130억 달러 규모의 부채 구조 조정을 놓고 끝없는 협상에 갇혀 있는 잠비아와 같은 나라는 시대의 도전에 부적합하다(*힘들다). 지난 11COP28 이전에 공개 서한에서 550명의 경제학자들은 전 세계 남부 정부가 "기후 위기를 포함한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개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야심찬 부채 탕감을 요구했다. 환경 재앙을 막는 데 글로벌 연대가 중추적인 시대에 이는 급진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접근 방식이 될 것이다. 비타협적인 채권 보유자들의 주장으로 전체 경제와 지구의 미래가 위험에 처해져서는 안된다.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846 AD 지방직9급 합격예측 사전예약 네이버페이 증정 운영자 24/05/31 - -
3397 일반 급 현탐온다 [6] 서녘마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235 0
3396 일반 먼일있었나보네 [1] 기계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66 0
3395 일반 나 8대1 ㅋㅋ 나보다 경쟁률 낮은 게이? [2] ㅇㅇ(223.39) 05.12 101 1
3394 일반 국어 매주 1회씩 풀만한 모고 추천좀 [1] 과갤러(222.110) 05.12 65 0
3393 전산, 여기 군무원 쓴사람있음?ㅋㅋㅋㅋ [3] 과갤러(223.62) 05.12 158 0
3390 일반 갤 폐쇄인건가 [6] 25토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175 0
3388 전산, 국가직 전산 84인데 걍 면접 안가기로 결정했름 [5] 과갤러(1.229) 05.12 313 1
3385 일반 승진이니 처우에 대해 논하는거 [8] 잉어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2 231 0
3382 일반 7급 자체가 5급에서 퇴직하거나 말년4퇴인데 뭘 기대하는거? [26] ㅇㅇ(223.39) 05.12 324 0
3380 전산, 공기업 전산직은 어떰? [11] ㅇㅇ(218.48) 05.11 269 1
3379 일반 과기갤 면접 준비 옵챗방 잉어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1 92 0
3378 일반 행정 기술 합해서 제일 꿀직렬 뭐임? [5] 과갤러(218.48) 05.11 213 3
3377 일반 한국사 셔틀 [4] ㅇㅇ(223.62) 05.11 98 0
3376 전산, 셔틀 2 [4] ㅇㅇ(223.62) 05.11 69 0
3375 전산, 셔틀 [2] ㅇㅇ(223.62) 05.11 81 0
3373 일반 전산 행안부vs 과기부 [9] 과갤러(223.62) 05.11 188 2
3372 전산, 김강현 데이터베이스론 알고리즘 책 독학가능? [15] ㅇㅇ(183.98) 05.11 143 0
3371 일반 실응시80프로 과락률50프로는 국룰인가요? [2] ㅇㅇ(220.122) 05.11 92 0
3369 전산, 서울시7급 전산 기출은 자체출제의 무서움을 적나라하게 보여줌 [8] ㅇㅇ(125.177) 05.11 241 1
3368 전산, 전산 병무 어떰? [1] 과갤러(211.59) 05.10 156 1
3367 전산, ㅂㅁㅈ 진도별로 복습하는거 어때? [10] 과갤러(211.177) 05.10 145 1
3366 일반 지방직의 신선 지방세무직 추천합니다 [5] ㅇㅇ(123.213) 05.10 183 3
3363 농수산 산림자원 면접 준비하시는 분 있나요? [3] 산림청가고싶다(125.141) 05.10 138 2
3361 일반 국가직 영어90인데 수능영어푸니까 80나오네요 ㅋㅋ [6] ㅇㅇ(220.122) 05.10 165 1
3360 전산, 이경우 전산보다 데이터직하는게 나음? [6] 과갤러(218.48) 05.10 280 1
3359 일반 질문있어요 [7] ㅇㅇ(121.184) 05.10 146 0
3358 전산, 내년 9급 준비하는데 전산해도됨? [6] ㅇㅇ(183.98) 05.10 244 0
3357 일반 전산 경쟁률 8대1 이면 할만한건가요? [3] ㅇㅇ(223.39) 05.10 185 0
3356 일반 오늘은 휴일.. 오전 국영 3시간만 때렸다 [3] ㄱㅂㄱㄷ(210.179) 05.10 86 0
3355 전산, 통신형들 정보통신기사 따는거 도움됨? [3] ㅇㅇ(183.98) 05.10 157 0
3354 일반 스카 오면 맨날 나보다 먼저오는 두명이 있어 [2] 과갤러(106.253) 05.10 106 0
3353 일반 면접스터디 하는 비율 얼마나 되려나 [3] ㅇㅇ(39.7) 05.10 117 0
3352 일반 근데 과기부는 예전엔 9급은 본부 발령 안냈음 [4] 컴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144 1
3351 전산, 통신7 수석 받은분 갓던곳이 과기부구나.. [18] 다자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0 323 1
3350 전산, 전산 통신 뭐할까 [4] 과갤러(218.48) 05.09 219 0
3349 일반 가장 최신 트렌드 반영된 한국사 기출 뭘까?? [9] 과갤러(106.253) 05.09 140 0
3348 전산, 전산은 일단 노릴수있는곳이 많지 [5] ㅇㅇ(125.177) 05.09 215 0
3346 일반 한국사 어떻게해야할까요... [7] ㅇㅇ(121.184) 05.09 139 0
3345 일반 너네 면접 절대 쉽게보지마라(인증) [3] ㅇㅇ(223.62) 05.09 563 9
3344 전산, 올해 7급 한국사 토익 [2] 과갤러(218.48) 05.09 75 0
3343 일반 남은 기간 한국사 공부를 어케 해야할지 고민.. [1] 과갤러(106.253) 05.09 52 0
3340 전산, 컴일 계산문제 유형별로 한 문제씩 정리해서 요약집 만들어보니 [3] 과갤러(1.229) 05.09 107 0
3339 전산, 세무 전산 통신 토목 건축 뭐하지 [4] 과갤러(218.48) 05.09 148 0
3338 기타 후. 공부중... 넋두리 [8] 공시가즈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215 0
3337 전산, 통신형들 인강 뭐 들었음? [4] 과갤러(218.48) 05.08 226 0
3336 일반 면접보고 온 기계시설 친구 내일 부터 책핍니다 ㅇㅇ(110.15) 05.08 106 0
3335 전산, 일단 공통책 샀음 [9] ㅇㅇ(218.48) 05.08 203 0
3334 일반 현역때 수능 평균 2~3등급 정도였으면 다시봐도 가망없겠지 [14] 과갤러(218.48) 05.08 189 1
3333 시설, 고닉 팠습니다 [12] 25토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168 0
3332 일반 생성형 ai의 문제점 이거 국가직에서도 나올거같다 [4] 다자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17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