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자 제품으로 입문하는 갤럼들이 많이 늘어난 듯 하여 입문할 때 도움을 많이 받았던 심레갤에 나도 한번 도움글을 투척해볼까싶어 작성해봄
모자에 대한 정보는 갤에서 검색해보거나 구글링 또는 유튜브 리뷰영상 등에서 많이 찾을 수 있기도하지만 정리는 한번 해두면 유용하지않을까싶어서
최대한 아는 내에서 한번 써보겠음.
물론 전문적으로 아는 사람은 아니기때문에 너무 깊게 다루진 못할 듯 하고 기본적인 내용이나 대체로 자주 물어보는 질문의 내용 등을 써보겠음.
오류가 있을 수 있고 수정이 필요한 부분도 있으니 댓글에서 알려준다면 감사
쓰고자하는 내용을 한 글에 다 쓰기엔 당장 무리가 있어서 주제를 좀 나눠서 써볼까하는데 이번 글에서는 장비 위주로 써볼까함.
다른 글에서는 소프트웨어 사용(캘리브레이션, 베타 펌웨어 적용 등)이나 기타 사용하면서 팁 등을 정리해볼까함.
1. MOZA 생태계 장비
- 장비는 큰 범주로 보면 휠베이스, 스티어링휠(림), 페달, 주변기기(쉬프터 등) 로 나눌 수 있으며 해당 글에서는 큰 범주 위주로 우선 다루고
기타 자잘한 주변기기(페달 퍼포먼스킷, 테이블 클램프 등등)는 구매처에서 참고하여 본인이 필요한 것을 찾아볼 것(다 다루기는 양이 많아ㅠ)
1) 휠베이스


- 휠베이스는 모터의 힘(NM)에 따라 R3, R5, R9, R12, R16, R21로 나눌 수 있다.
- 이름에 붙은 숫자가 바로 NM이며 당연히 숫자가 클 수록 더 큰 힘의 모터를 사용한다.
- R3, R5의 경우는 현재 번들로만 판매하여 R3는 XBOX 호환(ESX 림 사용시)이라 X를 본딴 디자인에 크기도 가장 작다.
- R5, R9, R12의 경우 전체적인 디자인은 동일하며 세부적인 수치만 조금 다르다. R12의 경우에는 베이스 측면에 R12라고 적혀있다.
- R16과 R21은 모터의 힘이 쎈 모델이어서인지 기존 베이스와 다른 디자인을 갖고있으며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 입문용으로는 R3와 R5의 가성비가 좋은편이며 이보다 좀 더 높은 토크를 원한다면 R9, R12 정도까지는 토크욕심만 안내면 졸업급으로 써도 좋다.
그 이상의 토크는 필요로 한다면 가는 편이지만 대체로 그 이상급으로 간다하면 모자보다는 심매직이나 시무큐브 등을 알아보기도 한다.
2) 스티어링휠
- 휠은 크기와 디자인에 따라 종류가 많아 본인이 자주하는 게임이나 차량 종류에 따라서 선택지가 다양하다.
- 간략하게 림크기나 용도 등을 소개하고 직접 써본 림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소감을 올려보려한다.
(1) ES / ESX

> R3, R5 번들림, 하단이 D컷형식으로 280mm의 크기
> 포뮬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fomula mod와 좀 더 큰 사이즈의 원형림을 원한다면 12인치 원형림 모드가 있음
> ESX의 경우 엑박과 호환이 가능한 림이기때문에 모자의 어느 휠베이스를 사용하더라도 ESX를 장착하면 엑박과 호환 가능
> 번들림이다보니 대부분 그대로 쓰기보단 12인치 원형림이라든지 포뮬러 모드로 쓰는 경우가 많다.
(2) CS / RS

> 330mm, 전형적인 원형림.
> RS가 CS에 비해 버튼이 좀 더 많고 디자인이나 만듬새가 좀 더 고급진 느낌.
> 랠리나 기타 기본적인 양산차? 느낌의 운전에서 무난하며 RS는 안써봤지만 CS 정도의 버튼박스로도 무난하게 사용하기 좋았음
> 원형 림 부분과 버튼박스는 분리가 가능하기때문에 호환만 된다면 다른 디자인의 스티어링 휠에 버튼박스만 결합해서 사용 가능
(3) KS / GS / FSR / VGS

> KS, GS 300mm / FSR 280mm / VGS 310mm
- KS, GS는 GT와 포뮬러 등에서 사용하기 좋으며 사이즈도 300mm라서 범용으로 좋다.
- KS와 GS 비교시 KS가 더 저렴한만큼 버튼 수나 로터리는 적지만 GS가 부담스럽다면 가성비 GT림으로썬 훌륭한편
- GS가 KS에 비해 디자인적으로나 버튼 수 등이 좀 더 고급스럽고 둘다 사용해봤을때 gs가 좀 더 묵직한 느낌
- FSR은 디스플레이가 달린 포뮬러 림으로 GT용으로도 사용가능하나 사이즈가 280mm라서 포뮬러 전용으로 쓰기 좋다.
- 타 업체의 디스플레이 달린 포뮬러 림과 비교시 가격은 좀 더 낮으나 디스플레이가 모자에서 제공하는 대쉬보드만 사용 가능(심허브 미지원)한 점이 단점
- 내가 f1 게임을 주로하고 포뮬러 차량을 주로 운전하다싶으면 추천
- VGS는 원형 디스플레이가 달린 하이퍼카 컨셉 휠로 가운데 원형 디스플레이가 휠을 돌릴 시 중앙에 맞춰 회전하는게 특징이다.
- 가격은 모자에서 출시한 기본 림들 중 비싼 편에 속하며 디스플레이 회전에 약간의 지연이 발생하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많이 나아지는중.
- fsr과 마찬가지로 모자에서 제공하는 대쉬보드만 사용가능하지만 전용 소프트웨어 편집기가 있어 원하는 디자인으로 대쉬보드를 만들 수 있고
움짤같은 것도 넣을 수 있어서 대쉬보드의 자유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4) tsw

> 400mm 트럭림
> 가장 큰 사이즈의 원형림으로 트럭 시뮬레이터에 특화된 림이다.
> 사이즈가 큰 만큼 무게도 상당히 묵직하며 트럭 전용 클램프를 통해 각도를 눕혀서 사용하면 몰입도가 좋다.
> 내가 모자 베이스를 사용하는데 트럭 시뮬레이터를 주로한다? tsw로 하면 몰입도가 달라짐
(5) 레플리카 림

> 람보르기니 에센자 SCV12 림, 포르쉐 미션R 림
> 모자에서 최초로 실제 차량의 레플리카로 내놓은 림. 현재 람보르기니 에센자는 출시되었고 포르쉐 미션R은 공개만 함
> 레플리카림이다보니 가격대가 가장 비싸다(타오바오 기준 160만원선) 포르쉐도 람보르기니와 비슷할 듯.
3) 페달
(1) SRP lite 페달

> 로드셀이 아닌 홀센서 방식 페달, 퍼포먼스 킷을 구매하면 브레이크에 스프링과 댐퍼 등을 추가할 수 있다.
> 클러치는 별도이며 R3 또는 R5번들에 포함되어 판매된다.
(2) SRP 페달

> 로드셀 페달이며 별도로 판매하는 악세사리 킷을 사용하면 브레이크 답력 조절이 가능하다.
> 클러치없이 2페달만 구매하거나 클러치를 추가해서 구매가 가능하다.
> 입문용 로드셀 페달로는 괜찮은 평이다.
(3) CRP 페달

> SRP보다 윗단계의 로드셀 페달
> 클러치를 포함한 3페달로 되어있고 따로 퍼포먼스 킷은 없으나 동봉된 브레이크 스프링으로 답력 조절 가능
> 디자인적으로나 기능적으로나 무난한 편이지만 비슷한 체급의 좋은 페달이 많은 상황에서 그돈씨.. 급으로 비싸게 책정된 감이 있음.
> 현재 CRP2의 출시 영향인지 타오바오 모자 공식샵에서는 판매를 내린듯 함.
(4) CRP2 페달

> CRP 페달의 개선버전? 로드셀 페달
> CRP에서 단점으로 지적된 부분들이 좀 개선되었으며 디자인은 좀 더 깔끔해졌으나 기존 CRP와 차이가 있어 호불호도 있는 편
> 모자의 SRP나 CRP와 다르게 악셀 패드가 오르간 방식이 아니고 별도로 롱쓰로틀을 출시하였으나 디자인 평이 좋지 않은 편.
> 클러치는 별도로 구매가능하며 퍼포먼스 킷도 별도로 구매하면 좀 더 다양한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5) Mbooster 페달

> 모자에서 공개한 액티브 페달, 별도의 스탠드 얼론 형태로 출시할 예정이며 가격이나 출시 일자 등은 아직 미정인 상태
> 시무큐브의 액티브 페달보다는 확실히 가격은 낮을 것으로 예상되고 기존 모자 CRP v2 또는 CRP2와 호환이 가능하다고 함.
> 나중에 출시되거나 공개가 좀 더 되면 내용 보완이 필요
4) 주변기기
- 클램프나 연장킷 같은 보강품은 따로 다루진 않겠음.
(1) HGP H쉬프터

> R+7단의 H쉬프터, 마감새가 좋고 체결느낌도 좋다고 함.
> 시퀀셜 전환기능이나 시퀀셜 전용 부품 등은 따로 없음
> 알1리나 심잭 쉬프터 등에 비해 디자인이나 기능이 크게 차이가 없지만 가격대가 높은 편
(2) SGP 시퀀셜 쉬프터

> 시퀀셜 쉬프터, 체결감이 좋고 장력도 조절 가능하며 중립기어용 스위치라든지 버튼도 있어서 기능적으로도 유용함
> H 쉬프터에 비해 가격도 저렴한 편이어서 랠리 등을 할 때 사용하면 만족감이 높다.
(3) HBP 핸드브레이크

> 홀센서 핸드브레이크
> 손잡이 각도라든지 길이 조절도 가능하고 핸드브레이크 내부의 스프링도 교체 가능
> 알1리의 저렴한 타 핸드브레이크에 비하면 가격은 높지만 그만한 퀄리티 차이를 보여줌.
> 랠리를 주로한다면 시퀀셜과 함께 몰입감에 대해서는 거의 필수라고 봄
(4) 멀티 펑션 스토크(깜빡이)

> 최근에 출시된 트럭용 깜빡이
> 아직은 리뷰어들만 제품을 받아서 일반 유저의 실사용 후기는 찾기 힘들지만 공통적인 의견으로는 트럭 시뮬에 몰입감을 더해줌
> 모자 휠베이스 외에 다른 휠베이스에도 설치가 가능하게끔 브라켓을 제공함
> 제품에서 제공하는 버튼 방식에 비해 트럭 인게임 내에서의 기능이 제한적이라고하는데 오히려 게임 개발사측에서 수정할 예정이라고 함ㄷㄷ
(5) 퀵릴리즈

> 모자의 장점으로 꼽히는 퀵릴리즈, 심매직과 같은 규격 및 방식이기때문에 심매직 퀵릴을 구매해도 사용 가능하지만 가격은 모자가 좀 더 싸다.
> 같은 규격의 알1리 퀵릴도 사용가능하나 가끔씩 센터가 틀어지는 경우가 있거나 유격이 있는 등 뽑기운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왕이면 정품을 추천
5) 기타 악세사리

> 자세히 다루진 않겠지만 기타 악세사리가 많은 편이다
> 본인이 사용하는(또는 사용할) 모자 제품과 호환성이나 용도를 판단해서 구비하면 될 듯
2. MOZA 휠베이스 및 림 호환성

> 간혹 질문글중에 이 림과 휠베이스 호환되는지 여부를 물어보는 글이 종종 보여서 올려봄
> 모자 공식 디1코에서 제공하는 표이고 각 베이스와 림 호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 휠베이스에 current는 현재 판매되는 버전이라고 보면 되고 up to 날짜 라고 되어있는건 해당 날짜까지 판매된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 예를들어 표에 나온 R9 V2(up to Sept 2023)은 R9 V2 버전 중 2023년 9월까지 구매한 제품에 대해서는 페달, 쉬프터, 핸브 포트가 지원안함 이라고 보면 됨.
> 모자 허브에서 체크가 안된 림들은 다른 베이스와 호환되지 않는 림이라고 보면 된다.
3. 구매처
> 사실 구매처는 다양하지만 크게 나눠보면 두가지 방법이 있다(신품 구매시). 자세한 제품 가격은 할인도 있고 변동도 있어서 언급안함.
1) 지티기어
> 국내에서 배송하기 때문에 빠른 배송이 가능하며 1년 내 제품 이상 및 불량 판단시 무상 A/S도 가능하다.
> 빠른 처리와 간편한 A/S가 장점이지만 보따리상 특성상 직구에 비하면 상당히 가격이 높게 책정된다.
> 내가 직구도 귀찮고 빨리 받아보고싶고(돈도 많고) 초기 불량이나 제품이상이 걱정된다면 지티기어에서 구매하자.
2) 타오바오
> 중국 타오바오 모자 공식샵에서 직구가 가능하다.

> 타오바오 내에서도 모자 제품 검색하면 상점이 많이 나오는데 하늘천 들어간 샵이 공식샵임
> 배송방식은 해운과 항공이 있는데 항공이 더 빠른만큼 가격은 좀 더 비싸며 타오바오 어플로 결제시에는 해운의 경우 무료배송도 가능하다.
> 지티기어에 비하면 확실히 가격이 싼 편이며 배송기간은 7~10일, 길면 2주정도? 보통 국내도착 후 통관이 어떻게 처리되냐 여부에 따라 갈림
> 타오바오 직구 방법까지 자세하게 쓰긴 좀 애매해서 직구 방법은 검색하면 자세히 나와있는데 생각보다 어렵지않으니 한번 해두면 유용함
> 직구의 번거로움이나 배송기간의 답답함을 어느정도 상쇄시킬 정도로 가격적인 메리트가 크지만 초기불량 등이 걸리면 해외 직구다보니 A/S가 상당히 번거로움
각각의 장단점을 보고 판단해서 구매하면 될 듯. 중고거래야 뭐 당근이든 카페든 수단은 많으니까 따로 다루진 않겠음.
4. 기타 장비관련 팁
1) 콘솔 호환성 관련
> 모자는 기본적으로 콘솔 지원은 엑스박스만 정식으로 지원하며 ESX 림을 통해 호환된다(R3의 경우 번들림 사용시 호환가능하나 타 림 연결시 호환 불가)
> 플스의 경우 타 컨버터를 통해서 연결이 가능하지만 공식 지원이 아니기때문에 불안정할 수 있음
- 나같은 경우 brook ras1ution 2 제품을 사용중인데 현재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펌웨어 버전이 버그가 있어서 모자 연결시 림 센터가 안맞음
- https://drive.google.com/file/d/11EvjE46ccu6wQoTsYHEdFwLIbRw_DQTt/view?usp=drive_link
위 URL에서 베타버전 펌웨어 받아서 PC 연결 후 적용하면 림 센터 안맞는 현상은 고칠 수 있음(브룩 기술지원에 요청해서 받은 파일임)
> brook ras1ution 2 연결시 끊김이나 FFB 없음 증상은 예전에 내가 썼던 아래 글 참고
https://gall.dcinside.com/m/sim_racing_game/63385
2) 베타 펌웨어 적용 관련
> 가끔 모자 제품 소프트웨어의 정식 펌웨어 전 베타테스트를 위한 펌웨어 버전을 배포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래 글을 참고해서 적용 가능
https://gall.dcinside.com/m/sim_racing_game/72369
3) 거치대 관련
> 거치대는 사실 나도 모든 거치대를 써본건 아니라서 결정해주진 못하지만 기본적으로 R3, R5까지는 책상 거치가 가능하다고 생각함
그런데 그 이상 또는 SRP lite 이상의 로드셀 페달을 사용한다면 책상거치는 힘들다고 봄.
> 예전 경험으로 R9은 플레이시트 챌린지까지는 가능하지만 토크를 좀 쎄게한다면 챌린지 보강킷은 필수라고 생각.
> 모자뿐만 아니라 모든 제품에 대해서 마찬가지겠지만 거치대는 곧 공간확보가 우선이다보니 공간이 된다면 프로파일이 사실 제일 좋다고 생각함
프파 여건이 안된다면 갤에서 추천하는 짭트가 좋다고 생각.
내일부터 연차라서 일도 하기싫고 월급루팡하면서 쓴거라 두서도 없고 좀 생각나는대로 정리한거라 미흡할텐데 최대한 보완해가면서 작성해볼테니
틀린내용 있으면 알려주고 다음 글에서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다뤄보겠음.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