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뉴비 글이 자주 보이는 데다 앞으로도 계속 들어올 거 같아서 가이드 하나 써볼까 함
스타시드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는 생뉴비용이므로 어느 정도 알고 있다 싶으면 노잼일 수 있음
2024년 7월 11일 기준이고, 이후 시스템이 바뀔 수 있으니 참고

프록시안이란?

스타시드: 아스니아 트리거라는 미소녀 AFK 게임의 주축이 되는 미소녀 AI 호소인들
이미 알고 있겠지만 스타시드는 이런 프록시안들을 뽑아서 키우는 'AI 육성 어반 판타지 RPG', 즉 흔히 말하는 씹덕 가챠겜임

대부분의 콘텐츠는 이 프록시안들 중 5명을 3x3 보드에 놓고, 걔네들이 적을 모두 죽이는 걸 지켜보는 것
(물론 나중 가면 수동 이상의 컨트롤이 필요하지만 지금은 넘어가고)
당연히 3시 방향에 있는 적들(전용 몬스터일 수도 있고 '미믹'이라고 복제 프록시안일 수도 있고 보스일 수도 있음)은 게임을 진행할수록 점점 강해지고, 게임을 계속 진행하려면 이에 맞설 수 있도록 우리 프록시안들을 성장시켜야 함




프록시안의 성장 요소는 크게 프록시안 레벨, 프록시안 등급, 스킬 레벨, 장비(그 안에서도 장비 등급, 강화, 세트 효과), 플러그인(그 안에서도 플러그인 등급, 레벨, 칩셋), 최적화, 아카데미 뱃지, 코어 분석, 스타시드 연구소, 프록시안 링크 등 매우 다양한 편인데,
오늘은 여기서 스탯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프록시안의 레벨과 등급에 대해 알아볼까 함

일단 레벨은 프록시안의 깡스탯을 올리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프록시안 화면 들어가서 우측 하단에 있는 '레벨업 버튼을 누르면 올릴 수 있음
10렙씩 올릴 수도 있고, 현재 올릴 수 있는 가장 높은 레벨로 바로 올릴 수도 있음
(참고로 버튼 길게 누르면 연타 안하고도 올릴 수 있음)
올리는데는 '전술 교본'과 '크레딧'이라는 재화가 필요하고, 매 10레벨마다는 '돌파 마스터 키'라는 재화가 추가로 필요함
수급량은 당연히 돌파석이 가장 어렵고, 크레딧은 게임 후반가면 쓸 곳이 많아져서 나중가면 전술 교본만 잔뜩 쌓임
그래도 한창 올리는 동안에는 셋다 골고루 부족한 시점이 오니 수급을 잘 해줘야 함

얘네들은 기본적으로 자연스럽게 쌓이는 '작전 보상'을 수령해서 얻을 수 있고, 그 외에도 여러 보상으로 주는 재화 패키지를 뜯거나 상점에서 비트/크레딧을 주고 살 수도 있음. 다만 성장 패키지 말고 일반 상점에서 비트 주고 사는 건 효율이 떨어져서 비추.
재화 패키지 중 'x시간'이라 적힌 건 요 작전 보상에서 X시간 방치하면 얻을 수 있는 양을 준다는 뜻인데, 이 작전 보상 획득량이 모험 진척도에 따라 점점 늘어나므로 존버했다 뜯으면 더 많이 받을 수 있음
물론 그만큼 레벨 올릴 재화를 미리 쓸 수 없으니 미는데는 어렵겠지만
레벨을 올리면 스탯 뿐만 아니라 올릴 수 있는 스킬 최대 레벨도 달라짐
1렙: 궁/패시브 스킬 1렙 기본
5렙: A1 1렙 개방
21렙: A2 1렙 개방
41렙: 패시브 2렙 개방
61렙: 궁 2렙 개방
81렙: A1 2렙 개방
101렙: A2 2렙 개방
121렙: 패시브 3렙 개방
141렙: 궁 3렙 개방
161렙: A1 3렙(MAX) 개방
181렙: A2 3렙(MAX) 개방
201렙: 패시브 4렙(MAX) 개방
221렙: 궁 4렙(MAX) 개방
따라서 모든 스킬 1렙을 열려면 21렙, 최대치로 열려면 221렙까지 가야 함
(참고로 스킬 레벨은 스킬 코어라는 또다른 재화로 올릴 수 있는데, 이건 물자 탐색 -> 스킬 코어 탐색에서 얻을 수 있음)


(표는 갤인가 챈인가 누가 정리한 글에서 펌)
모든 프록시안의 레벨업 비용은 등급과 관계없이 모두 동일하고, 1에서 240까지 올리는데 누적 구간별 비용은 위 표와 같음.
(게임이 일정 단위 이상은 K/M으로 반올림 표기해서 조금 오차가 있음)
보시다시피 초반 시점에서는 아주 까마득한데, 결국 꼬박꼬박 작전보상 수령해주고, 필요할 땐 월정액이나 성장 패키지 사면서 오랜 시간 꾸준히 모아주면서 모험을 밀어줘야 만렙 달성이 가능함

이렇게 모험을 계속 밀려면 결국 레벨 분배라는 게 필요한데, 다행히 스타시드에는 '레벨 초기화'라는 편리한 기능이 있어서 버튼만 누르면 지금까지 프록시안 성장에 사용한 모든 재화(+ 장착한 장비)를 온전히 돌려받을 수 있음
레벨 초기화에는 크레딧이 들지만, 오로라의 작전 노트라는 조금 비싼 월정액을 지르면 공짜로 초기화할 수 있음

게다가 프록시안 관리 -> 레벨 동기화에 다른 프록시안을 등록하면, 등록하지 않은 프록시안 중 레벨이 가장 높은 프록시안 5명 중 가장 낮은 레벨로 등록한 프록시안 레벨이 모두 맞춰짐
흔히 공략을 보면 '평렙 얼마로 깼다'는 얘기가 나올 텐데, 이게 여기서 가장 낮은 레벨을 얼마로 맞추고 깼다는 뜻임
지금 상황은 240 4개에 평렙 160이겠지
물론 위 짤처럼 240 여러 개를 처음부터 맞추기는 어려워서, 보통은 메인딜러(유나, 시아, 패트리샤, 괴도 엘 등) 레벨을 먼저 올리고, 그 메인 딜러가 죽지 않을 만큼 나머지 4명의 레벨을 동일하게 맞추는 식으로 평렙을 맞춤
왜냐하면 평렙을 모두 똑같이 맞추는 것보다 메인 딜러의 레벨을 올려 압도적인 스펙으로 적을 녹이는 게 더 편하기 때문임
예를 들어 유나덱 메인일 경우 유나 레벨을 150, 나머지 레벨은 8~90 정도로 맞추는 식으로
이렇게 점진적으로 메인 딜러와 나머지 평렙을 올려주면서, 한번에 2덱/3덱 쓰는 스테이지가 나오면 먼저 나오는 덱은 내가 키운 메인 딜러덱, 나중에 나오는 덱은 친구/길드원의 용병을 메인 딜러로 세운 덱을 이용해 깨는 게 기본임
예를 들어 유나 200에 평렙 2덱 스테이지를 깬다고 했을 때, 1덱에서는 내 유나와 친구들로 덱을 짜고, 2덱에서는 친구의 레벨 200 이상 용병 패트리샤를 빌리고 나머지는 내가 갖고 있는 패트리샤 친구들로 채워서 깨는 거지
갤 공략 보면 뭔 느낌인지 감이 올거임

동기화로 레벨이 고정된 프록시안은 레벨이 파랑색으로 표시됨
이 상태의 프록시안 역시 해당 레벨에 맞게 스탯이 적용되고, 스킬 레벨도 그에 맞게 올릴 수 있음
참고로 동기화 레벨이 중간에 낮아진다고 스킬 레벨이 토해지는 건 아님
예를 들어 지금 에라디카 동기화 레벨이 160인데 221렙에 찍히는 궁 4렙이 찍혀있지
이건 동기화 레벨이 221렙 이상일 때 4렙을 찍어뒀는데, 이후 동기화 레벨이 그보다 낮아졌음에도 계속 유지되는 거야

참고로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프록시안 등급에 따라 올릴 수 있는 만렙이 달라짐
하지만 동기화 레벨은 이런 등급별 만렙 제한의 영향을 받지 않음
예를 들어 지금 메아는 MR1으로, 정상적이라면 200레벨까지만 올릴 수 있어
하지만 동기화 레벨이 240이기 때문에, 240레벨로 반영된 걸 볼 수 있지
실제로 스탯도 240레벨 스탯이고, 스킬도 끝까지 다 찍을 수 있음
다만 등급에 따른 베이스 스탯은 LR보다 낮은 상태라는 걸 감안해야 함
그리고 프록시안 5명의 레벨을 모두 240으로 맞추면 "부스팅"이란 기능이 추가돼서 240 프록시안의 레벨을 동시에 그 이상으로 늘릴 수 있음
근데 이거는 지금 시점에서는 아직 안 열리도 했고, 올240 맞추는 거 자체가 엔드스펙의 영역이라 여기서는 언급 안함 ㅇㅇ
근데 처음 하다보면 재화를 몰빵했는데도 240이 안 찍힐 거임
왜냐하면 레벨 240을 찍으려면 프록시안 등급을 LR 이상으로 올려야 하거든
이제 등급 얘기를 해볼 건데, 모든 프록시안은 3가지 태생 등급을 가짐

1. 태생 R등급 프록시안(아이콘 아래 줄이 회색)
얘네는 꽝카드가 프록시안으로 표시 환생한 존재들임
레벨도 20밖에 못 올리고, 스킬도 액티브 하나 뿐이며, 장비도 3개만 달 수 있음. 애초에 승급 자체가 불가능함
심지어 프록시안 설정 설명도 없어서 캐빨도 불가능함
따라서 실전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고(적으로는 나옴), 대신 '테라 포인트'라는 걸로 갈려서 테라 상점에서 프록시안 시그널(모으면 프록시안 획득 가능)이라는 걸 사는데 사용함
프록시안 관리 -> 프록시안 해산 -> 테라 해산에 들어가면 'R등급 획득 시 자동으로 해산' 체크가 있는데 그거 꼭 체크하자

2. 태생 SR등급 프록시안(아이콘 아래 줄이 파랑색)
얘네는 R등급보다는 상황이 나음
등급도 UR1까지 올릴 수 있고, 장비도 5개 모두 달 수 있고, 뱃지도 달 수 있고, 스킬도 4개 모두 온전히 있고, 최적화도 올릴 수 있고, 비록 남의 것만 있지만 플러그인도 달 수 있음
캐릭터 설정도 있고 호감도도 있어서 캐릭터 스토리 보는 것도 가능함(당장 그 귀엽다는 오로라도 SR등급임)
하지만 지금까지 LR등급만 보여줬는데 UR1까지만 올릴 수 있다고 한 것에도 볼 수 있듯, 얘네도 결국 운명은 재료임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프록시안을 승급시키는데 같은 코어 SSR1/UR1 프록시안이 필요한데, 거기에 쓰라고 만들어진 친구들임
태생 SSR이 없는 극초반에는 그래도 좀 쓸 수 있지만, SSR들이 어느 정도 쌓이고 나면 더 이상의 실전 가치를 상실하고 재료로만 쓰이게 됨
굳이 쓰려고 동기화 슬롯에 넣더라도 등급 관계없이 240까지 오르는 SSR들과 달리 160까지만 올라서 의도적으로 못쓰게 해놓음
그래도 적으로는 꽤나 위협적으로 나와서, 스킬들은 한번 정독하는 게 좋을 거임

3. 태생 SSR 등급 프록시안(아이콘 아래 줄이 보라색)
우리가 주력으로 사용하게 될 메인 캐릭터들이야
지금까지 설명한 것들은 모두 태생 SSR등급 프록시안을 기준으로 설명한 거고, 앞으로도 그럴 거임
최대 등급을 LR5로 늘려서 최대 레벨을 240으로 맞출 수 있음은 물론, 자신만의 플러그인을 장착해 2번째 패시브 스킬과 블라썸 궁극기를 사용할 수 있음
어쨌든 우리는 이런 태생 SSR 등급 프록시안들을 키우게 될 텐데, 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건 바로 '승급'이야
R등급을 제외한 모든 프록시안은 태생 등급 상태로 얻지만, 이 프록시안들을 재료로 쓰면서 최종 등급인 LR5까지 올릴 수 있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rseed&no=9736&page=1
승급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글로 올라온 이 글 보면 되는데, 여기서도 다시 요약하면 아래와 같음


일반 코어(해석(빨강), 결속(파랑), 연산(초록))의 경우...
SR -> SR1: 같은 SR 프록시안 2장(본인 SR 3장)
만렙 40에서 80으로 확장
SR1 -> SSR: 같은 코어 SR1 프록시안 2장(본인 SR1 1장 + 같은 코어 SR1 2장)
만렙 80에서 100으로 확장
SSR -> SSR1: 같은 SSR 프록시안 1장(본인 SSR 2장)
만렙 100에서 120으로 확장, 장비에 모자 슬롯 개방(총 4개)
SSR1 -> UR: 같은 코어 SSR1 프록시안 2장(본인 SSR1 1장 + 같은 코어 SSR1 2장)
만렙 120에서 140으로 확장, 장비에 장갑 슬롯 개방(총 5개)
UR -> UR1: 같은 SSR1 프록시안 1장(본인 UR 1장 + SSR1 1장)
만렙 140에서 160으로 확장
UR1 -> MR: 같은 코어 UR1 프록시안 1장(본인 UR1 1장 + 같은 코어 UR1 1장)
만렙 160에서 180으로 확장
MR -> MR1: 같은 코어 UR1 프록시안 1장(본인 MR 1장 + 같은 코어 UR1 1장)
만렙 180에서 200으로 확장
MR1 -> LR: 같은 SSR1 프록시안 2장(본인 MR1 1장 + SSR1 2장)
만렙 200에서 240으로 확장
이후 본인 SSR1 1장씩 주면 LR1~5까지 승급 가능
LR까지 드는 태생 SSR은 8장, 동일 코어 만드는데 드는 SR은 180장임
여기에 LR5까지 올린다고 하면 태생 SSR 10장이 추가로 들지
출시 초기 전설의 '풀돌 18장'이란 말이 여기서 나온 거임 ㅇㅇ
여기서 주의할 점은 "같은 코어 프록시안"을 쓸 때는 꼭 본인을 쓸 필요가 없다는 거야
(위 그림에서 아이렌이 아니라 코어 아이콘으로 표시된 거)
그리고 태생 SR등급 프록시안은 바로 여기서 "같은 코어 프록시안" 재료로 쓰기 위해 존재하는 거고
물론 다른 태생 SSR을 "같은 코어 프록시안" 재료로 쓰는 게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자신이 자원 관리에 익숙해지지 않았다면(아니 그냥 그 프록시안의 LR5를 찍지 않았다면) 절대 태생 SSR을 "같은 코어 프록시안"에 쓰지 마
나중에 돌파하는데 본인 없어서 못 밀어서 후회할바에는, 그냥 쓰지 않는다고 기억해


흔히 '창파'라 불리는 상위 코어들, 즉 창조(노랑), 파괴(보라)는 태생 SR을 쓸 필요 없이 본인만 1장씩 넣어주면 SSR에서 LR5까지 승급이 가능해
언뜻 보면 쉬워보이지만, 창파는 뽑기에서 아주 낮은 확률로 나오는 말 그대로 종결급 프록시안들이야
공통적으로 자신만의 고유 CC기를 가지고 있고, 그걸로 전투가 뒤집하는 경우도 많아
괜히 창조 코어 2인방 레이호우, 에라디카를 리세나 선택권에서 반드시 뽑으라는 게 아니지, 걔네 있고 없고가 모험 미는 난이도를 결정할 정도니까
(참고로 걔네 뽑았다고 갤에 올리면 비틱으로 갈리니 주의)
참고로 LR5를 찍은 태생 SSR 프록시안은 '에코 해산'이라는 걸 해서 플러그인 칩셋 리롤에 사용할 수 있는 에코로 바꿀 수 있어
하지만 플러그인 칩셋 리롤은 게임 최후반에나 하는 거라 지금은 언급하지 않음 ㅇㅇ
그렇다면 모든 프록시안을 LR5로 올려줘야 할까?
궁극적으로는 그렇지. 등급이 높을 수록 만렙도 높아지고, 기본 스탯도 꾸준히 오르기 때문에 무조건 이득이야
하지만 모두가 서버주는 아니고, 매일 몇십 몇백을 쏟아가며 뽑기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니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해
모집(뽑기)에서는 위시리스트를 설정해 선택한 프록시안의 등장 확률을 늘릴 수 있어
일반 뽑기 기준으로 프록시안 일반 모집에서 SSR이 뜰 확률은 4%인데, 그 안에서 확률을 조작하는 거지

먼저 0.06% 확률로 나오는 창파 2명을 먼저 골라
여기서 선택하지 않으면 선택하지 않은 쪽은 절대 뽑기에서 나오지 않아. 지금은 메아가 안 나오겠지
특별한 일 없다면 무조건 창조 2인방 - 에라디카, 레이호우를 넣어두는 걸 추천해
왜나면 레이호우는 압도적인 단체 힐량 + 블라썸 궁극기 무적으로 덱 유지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릴 수 있고, 에라디카는 블라썸 궁극기로 위협적인 적들을 잠깐 다른 차원으로 보내거나 메인 딜러의 공격력을 끌어올리는 등 그 자체로도 공격적인 지원이 가능해서 있고 없고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야
그리고 이런 기능들은 등급이 SSR~UR로 낮아도 큰 차이 없이 누릴 수 있어서, '명함'이라도 뽑아두는 게 좋기 때문이지
메아도 전역 공포라는 압도적인 CC기가 있긴 하지만, 서포터 성격이 매우 약한 딜러 포지션이라 이걸 온전히 써먹으려면 등급을 최소 LR 이상은 맞춰줘야 해
문제는 메아 LR을 찍는데 엄청난 자본이 소요된다는 거고, 이걸 찍게 되는 상황이라면 나머지 메인딜러들이 LR5가 되고도 남은 시점이란 거지
그래서 메아 우선순위를 낮추는 거야. 물론 컬렉션 목적이라면 존중함

그리고 일반 코어당 5명씩 선택해서, 선택한 캐릭터의 등장 확률을 고정 0.25%로 맞출 수 있어
그러니까 여기다가 원하는 캐릭터를 놓으면 더 빠르게 LR5를 맞출 수 있다는 거지
(사진은 현재 내 상황에 맞춰 놓은 거니까 절대 따라하지 마)
여기다 올려두는 우선순위를 나열하면(모험 기준)...
1. 메인딜러 - 유나, 시아, 패트리샤, 엘, 이드 등
덱을 짤 때 가장 높은 레벨을 맞추는 친구들. 혼자 높은 레벨을 맞춰주는 만큼 당연히 고돌파가 유리하겠지
2. 탱커 - 아이투스, 스노프릴, 앰브로시아 등
메인딜러가 먼저 잘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친구들. 특히 패트리샤나 이드 같이 레인저(원거리 공격)를 메인딜러로 쓰는 경우 물리지 않도록 반드시 막아줘야 해서 2순위로 키우는 게 좋아
3. 서브딜러 - 페이, 베르베타, 라일라, 안젤리카, 프레이야, 에리카 등
얘네들은 사실 딜보다는 메인딜러에게 주는 버프로 두는 친구들이야. 흔히 '발사대'라고 하지
얘네들은 있고 없고가 메인딜러 포텐셜에 큰 영향을 주긴 하지만, 단순 버프 목적으로는 고돌파가 필요 없어서 우선순위를 조금 낮출 수 있어
3. 서포터 - 유리지아, 헬렌, 샤레, 할로나 등
팀의 체력과 각종 버프를 걸어주는 친구들. 덱 유지력에 있어 메인 딜러 다음으로 중요하지만, 사실 얘네들은 스펙보다는 스킬을 보는 경우가 많아서 고돌파가 필요없어
4. 대충 비인기캐들
진짜 특수 목적으로만 쓰이거나(이사벨라 등), 기본 성능이 저열한 친구들(메리샤, 타이나, 클레아스 등)은 최대한 늦게 뽑는게 이득이긴 한데... 걔네가 언제 버프될 지 모르니까 관심을 아예 끊지는 않는 게 좋아
추가로 '분석'이라는 걸 이용해 매일 SSR 1장씩 얻는 것도 나온다고 하는데, 역시 지금은 나오지 않았으니 패스
여기서 '버프 목적 캐릭터들은 고돌파를 안 해도 된다'고 했는데, 왜냐면 버프들은 프록시안 스탯을 크게 타지 않기 때문이야

예를 들어 유나덱의 대표적인 버퍼인 페이 궁극기를 보면 375% 피해에 치명타 피해 저항 감소가 묻는다 나와 있어
여기서 '375% 피해'는 페이의 공격력 기준으로 들어가지만, 'Lv.X 치명타 피해 저항 감소'는 페이의 스탯과 관계없이 고정된 값이 들어가
그리고 '375% 피해'는 메인딜러 유나가 주는 딜에 비하면 무시해도 되는 수준이지
이렇게 페이는 메인딜러인 유나를 위해 각종 버프를 주거나, 기절 같은 CC기를 뿌리는 서브딜러고, 딜보다는 이런 효과들을 보고 덱에 기용돼
그래서 스킬 레벨은 올리더라도, 장비나 최적화 등 깡스펙 강화는 덜 해도 되는 거지

유나덱의 핵심 서포터, 유리지아도 마찬가지야
스킬 설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본인 깡스펙과 큰 관계가 없지
이렇듯 서브딜러나 서포터는 스킬만 열어두면 효과를 온전히 볼 수 있고, 이 스킬이 열리는 기준은 돌파와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돌파 우선순위를 낮추는 거야
그리고 아까 말했지만, 동기화를 걸어두면 돌파와 관계없이 등급보다 높은 만렙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킬 레벨 목적으로 고돌파를 유지할 필요도 없지
+) 참고로 프록시안은 중복해서 넣을 수 없고, 중복 프록시안이 있더라도 전투력이 가장 높은 개체 하나만 덱에 넣을 수 있음
2/3덱 맵에서도 마찬가지라 1덱과 2덱 모두 유나덱으로 굴리는 건 불가능함
이 중복 제한은 용병에도 적용돼서, 1덱 용병 유나에 2덱 우리 유나 쓰는 것도 불가능함(용병을 선택했다면 내 거를 못 쓰고, 그 반대도 성립함)
아무튼 레벨과 돌파 관련해서 정리하면 이정도임
처음 스타시드를 시작한 예비 갤럼들의 레벨링/돌파 전략에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3시간짜리 글을 마무리합니다
쓰는데 오래 걸려서 다음 편이 나올지는 몰?루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