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뉴스] AI로 암과 치매의 비밀을 푼다

특이점 만세!(118.35) 2021.04.14 20:19:00
조회 305 추천 9 댓글 2
														

머신러닝 이용해 질병의 생물학적 언어 예측

넷플릭스, 아마존, 페이스북 등이 사용하는 인공지능(AI) 기술로 암이나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생물학적 언어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세인트존스칼리지의 연구진이 발표한 이 획기적인 연구 결과는 앞으로 병을 일으키는 세포 내부의 문법적 오류를 바로잡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넷플릭스나 페이스북은 강력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해 다음에 시청할 드라마를 추천하거나 누군가에게 친구가 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아마존의 알렉사 같은 AI 기반 음성서비스는 개별적인 사람을 인식해 대화할 수 있다.

인공지능(AI) 기술로 암이나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생물학적 언어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사진은 살아있는 세포 안에서 단백질이 응축되는 모습이다. ©Weitz lab, Harvard University

세인트존스칼리지의 카디 리이스 사어(Kadi Liis Saar) 박사는 체내의 단백질에 이상이 생겨 질병이 발생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알렉사 등과 비슷한 머신러닝 기술을 사용해 대규모 언어 모델을 훈련시켰다. 즉, 수십 년간 연구하면서 생산된 빅데이터를 컴퓨터 언어 모델에 주입한 것이다.

인체에는 정상적인 신진대사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천 가지 종류의 단백질들이 있다. 하지만 그들의 활동도 때로는 끔찍한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단백질이 항로를 이탈해 건강한 신경세포를 죽이기 시작하면서 응집체로 알려진 고체 덩어리로 뭉쳐져 뇌에 심각한 손상을 입힌다.

단백질이 응축물 형성하는 방법 학습해

최근에 과학자들은 단백질이 응집체 외에도 응축물이라고 알려진 거의 액체 상태의 단백질 액적을 형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 액적은 강한 막을 가지고 있지 않아 다른 웅축물들과 자유롭게 합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세포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형태의 변환 응축물에 대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배우도록 요청했다. 즉, 수많은 종류의 단백질에 대해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알고리즘에 주입해 컴퓨터가 그것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배우고 예측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 결과 컴퓨터 알고리즘은 직접 설명을 듣지 않고도 세포 안에서 어떤 단백질이 응축물을 형성하는지 알아내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최신호에 게재됐다.

케임브리지대학 세인트존스칼리지의 투오마스 놀스(Tuomas Knowles) 교수. ©Nathan Pitt(University of Cambridge)

이번 연구를 주도한 세인트존스칼리지의 투오마스 놀스(Tuomas Knowles) 교수는 “암과 신경퇴행성 질환의 연구에 머신러닝 기술을 도입하면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라며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공지능으로 표적형 약물을 개발해 증상을 획기적으로 완화시키거나 치매 발생을 완전히 예방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알츠하이머병은 전 세계 5,000만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치매 질환이며, 파킨슨병이나 헌팅턴병과 같은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도 수백만명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전 세계 치매 인구는 2013년 4,400만명에서 2030년에는 7,600만명, 2050년에는 1억3,50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알츠하이머병만 해도 치료제가 없을뿐더러 여전히 불확실한 것이 많기 때문이다. 치매 원인이 무엇인지, 플라크와 같은 치매 병변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지 등등 많은 것이 베일에 가려 있다.

인간의 한계 벗어난 새로운 치료법 기대

놀스 교수는 “단백질 응축물은 우리의 DNA가 단백질로 변환되는 유전자 발현이나 단백질 합성과 같은 세포의 주요 사건을 통제하기 때문에 최근 과학계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라고 말했다.

단백질 액적과 연관된 어떠한 결함도 암과 같은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질병을 일으키는 세포 내부의 문법적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으려면 단백질 오작동의 분자 기원에 대한 연구에 자연어 처리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실제로 연구진은 빅데이터를 학습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일부 단백질이 세포 내부에서 응축물을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구체적인 문법에 대해 질문할 수 있었다. 그것을 풀 수 있으면 우리가 질병 언어의 규칙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머신러닝 기술은 데이터 가용성의 증가, 컴퓨팅 성능 향상, 그리고 보다 강력한 알고리즘을 만드는 기술적 진보로 인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머신러닝 기술의 사용은 미래의 암과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를 변화시킬 수 있다.

머신러닝 기술이 인간의 뇌가 이해할 수 있는 것보다 이 질병에 대해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이 전혀 이상하지 않은 셈이다.

이번 연구의 제1저자로 참여한 사어 박사는 “머신러닝은 과학자들이 탐구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한계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이는 우리가 아직 생각조차 하지 못한 새로운 연결고리를 AI가 발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ai%eb%a1%9c-%ec%95%94%ea%b3%bc-%ec%b9%98%eb%a7%a4%ec%9d%98-%eb%b9%84%eb%b0%80%ec%9d%84-%ed%91%bc%eb%8b%a4/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9

고정닉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9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58296 일반 난 특이점을 원하는 이유가 단지 지금처럼 가족들이랑 오래살고 싶어서야 [11] ㅇㅇ(221.138) 21.09.25 350 13
58293 일반 지금 바로 노동해방 되는 방법 [3] ㅇㅇ(110.35) 21.09.25 252 3
58292 일반 초지능에 지배 당하기 vs 기득권 세력에 지배 당하기 [3] ㅇㅇ(117.111) 21.09.25 181 8
58291 일반 인간은 자연의 섭리에 따라 살아야 한다.txt [5] ㅇㅇ(14.36) 21.09.25 331 9
58289 일반 일론 또 이혼했네 ㅋㅋ [5] 특붕드래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5 463 0
58288 일반 하루하루가 너무 따분하다 ㅇㅇ(221.138) 21.09.25 75 1
58287 일반 자연의 순리, 운명대로 살아라... [4] ㅇㅇ(49.142) 21.09.24 682 16
58284 일반 자연의 순리에 따르자 [3] ㅇㅇ(221.158) 21.09.24 248 8
58281 일반 스마트TV도 초창기에는 완전 쓸모 없었는데 ㅇㅇ(221.158) 21.09.24 175 1
58278 일반 미래사회 다룬 작품 볼때마다 드는 의문점 [1] ㅇㅇ(221.138) 21.09.24 187 8
58277 일반 연구라는 게 돈만 뿌린다고 다 되는 게 아니야 [1] ㅇㅇ(221.138) 21.09.24 95 0
58276 일반 최초의 전기차 뭐가 맞는 거냐 [3] ㅇㅇ(221.158) 21.09.24 132 1
58275 일반 얼마전에 일 시작한 20대다.. [4] ㅇㅇ(182.210) 21.09.24 299 9
58274 정보/ (재업)지난 100년간의 발명의 역사 [7] ㅇㅇ(221.138) 21.09.24 284 6
58273 일반 3D TV가 진짜 뻘짓이었던 거 같음 [5] ㅇㅇ(221.158) 21.09.24 437 3
58272 일반 암정복은 10년은 지나야 성과가 나올듯 [8] ㅇㅇ(221.138) 21.09.24 294 2
58271 일반 넷플에 있는 굿플레이스라는 드라마 한 번 봐라. 영생라면 어떻게 되는지 [3] ㅇㅇ(14.46) 21.09.24 197 1
58270 일반 요새 느끼는게 자율주행 다음 양자컴 그 다음이 agi출현인거 같다. [2] ㅇㅇ(211.59) 21.09.24 200 1
58269 일반 테슬라 vs 구글 자율주행 경쟁 어떻게 봄? [1] ㅇㅇ(221.158) 21.09.24 165 3
58267 일반 테슬라봇이 노가다 딸배들 싹다 백수 만들 시간 얼마 안 남았지 [4] ㅇㅇ(118.235) 21.09.24 280 8
58266 일반 뭐? 다른 회사가 우리 칩 따라잡는다고? [1] ㅇㅇ(221.158) 21.09.24 159 3
58265 일반 사람들이 특이점에 관심이 없는 이유는 먹고 살기 바빠서 그렇지 ㅇㅇ(221.138) 21.09.24 88 5
58263 일반 내생각에 특이점에 가까운건 구글인데 우리삶을 바꾸는건 일론이라고 확신한다 [2] ㅇㅇ(211.172) 21.09.24 191 6
58261 일반 아니근데 ㄹㅇ 초지능한테 지배당하는게 미래라면 [10] ㅇㅇ(125.177) 21.09.24 202 1
58259 일반 자율주행으로 테슬라는 넘기 힘듦 ㅇㅇ(211.172) 21.09.24 91 10
58258 일반 다들 재주넘기 같은 거 연습해둬라 [7] ㅇㅇ(221.158) 21.09.24 864 25
58257 일반 ASI 든 AGI 든 집사가 되게 해야함 [4] ㅇㅇ(211.38) 21.09.24 141 8
58256 일반 ASI는 누가 보유할 거 같음? [7] ㅇㅇ(182.231) 21.09.24 157 0
58255 일반 이미 테슬라 ai데이때 한창 뜯고 맛보던 떡밥 아니였냐 [3] ㅇㅇ(218.234) 21.09.24 121 2
58254 일반 떡밥 크게 던졌노 [7] ㅇㅇ(211.38) 21.09.24 410 11
58253 일반 초지능만 있으면 끝나 ㅇㅇ(118.235) 21.09.24 93 0
58252 일반 자동차 업계가 테슬라를 왜 못따라옴? [16] ㅇㅇ(211.36) 21.09.24 248 2
58251 일반 그냥 자율주행은 테슬라 미만 잡이야 다른 회사들 절대 못 따라옴 [2] ㅇㅇ(118.235) 21.09.24 117 0
58250 일반 어차피 테슬라 자율주행 뭣도 아니게 됨 [1] ㅇㅇ(182.231) 21.09.24 110 2
58248 일반 확실한 건 자동차 업체는 테슬라 못 따라옴 [3] ㅇㅇ(221.158) 21.09.24 244 10
58247 일반 이세계로 전생하기 vs 그냥살기 [3] ㅇㅇ(211.246) 21.09.24 131 2
58246 일반 agi 안 나오면 한국 망함 [7] ㅇㅇ(223.33) 21.09.24 220 10
58245 일반 시뮬레이션 우주론 보고 든 생각인데 ㅇㅇ(182.231) 21.09.24 124 3
58243 일반 근데 왜 테슬라 얘기할 때 칩 얘기는 빠지냐 [7] 스월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4 188 0
58241 일반 앞으로 자율주행은 테슬라 이길 기업 없다고 본다. [39] ㅇㅇ(211.38) 21.09.24 1328 30
58236 일반 전유물을 특온갤에서? [4] 스월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4 228 1
58232 일반 자유의지는 없다 [31] ㅇㅇ(125.139) 21.09.24 380 4
58230 일반 자기전에 누워서 읽는글 [5] ㅇㅇ(112.144) 21.09.24 750 25
58229 일반 agi가 왔습니다 [1] ㅇㅇ(218.154) 21.09.24 124 0
58228 일반 고엔트로피 합금연구도 ai 덕 크게볼텐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4 141 6
58226 일반 특갤은 어느부분이든 결핍된인간들이 자주올거같은데 [1] ㅇㅇ(218.50) 21.09.24 172 7
58225 정보/ 이산화탄소를 전분으로 합성 연구 [15] 한아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4 500 21
58223 일반 역노화기술 나오면 한국은 전국민 역노화 가능함? [61] ㅇㅇ(116.42) 21.09.24 822 10
58222 일반 지금 가장 발전이 빠른 분야는 ai인데 [6] ㅇㅇ(223.39) 21.09.24 250 11
58221 일반 agi나오면 우선 un이 가져야됨 [7] ㅇㅇ(125.177) 21.09.24 211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