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초기 파리고등법원의 공정성: 공작 vs 소작농들

ㅇㅇ(14.55) 2024.05.01 09:05:09
조회 317 추천 8 댓글 3
														

1dbcc22ae0df3da87af2e6b404d83770246889b77c78bb7721c2946708535bf68cc83c114dbc26f6


이들의 크고도 좋은 사무실은 궁전 북벽에 특별한 출입문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여기에서 처리되는 까다로운 업무들이 고도의 평온함과 완벽한 칩거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고등법원 판사들이라고 부르는 언제나 깨어있는 노련한 인사들이 그들의 법정에 자리하고 있다.

그들은 법과 관습법에 대한 확실한 지식들로 노련하고도 관대하게 소송들에 대해 논의하고 결정적 선고를 벼락같이 내리친다. 이 선고들은 어느 누구도 또 어느 배석자들도 고려하지 않고 오직 신과 법에 대한 관조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백한 자들과 정의로운 자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한다. 그러나 악한 자들과 불경한 자들은 자신들의 불공정함에 비례하여 고난과 불행에 빠져들게 된다.

-장 드 장덩 저, 홍용진 역, '파리 예찬', 1322




유능한 변호사를 고용한 원고는 소송 과정을 수년간 지연시킬 수 있었다.

심지어 패소하는 경우에도, 잠시 후에 예전의 요구에 대한 새로운 근거를 제시하며 소송을 재개할 수 있었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1291년 9월 부르고뉴 공작에게 유리한 판결이 내려졌다.

이 사건은 필리프 3세가 자신의 특별 후견령 하에 두었던 쿠쉬(Couches) 마을에 대한 사법권을 부르고뉴 공작에게 양도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었다.


1299년 2월 이전 파리고등법원은 예전의 판결을 뒤집었으며, 그해에도 뒤집힌 판결이 유지되었다.


하지만 부르고뉴 공작은 여전히 패배를 인정하지 않으려 했고, 이 소송은 1311년 6월 5일에 다시 다루어졌다.


이 소송은 카페 왕조의 역사상 가장 인상적인 소송 중 하나였다.

국왕, 발루아 백작, 생폴 백작, 나르본 대주교 질 아이슬랭, 쿠탕스 주교 로베르 다르쿠르, 피에르 드 라티이, 장 도지, 장 르 뒤, 위그 드 라 셀, 마티외 드 트리, 기욤 드 항제스트를 비롯한 12명의 유력 인사들이 참석했다.


부르고뉴 공작이 프랑스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고, 모든 귀족들 중에서 국왕의 가장 강력한 지지자였으므로, 그가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모든 기회를 얻었다고 말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렇다면 작은 마을 쿠쉬의 주민들은 어떻게 첫 번째 판결을 뒤집을 수 있었으며, 어떻게 20년 동안 공작으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할 수 있었을까?


기록에 따르면, 필리프 왕은 성가신 행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쿠쉬의 관할권을 공작에게 넘겨주고자 했던 것이 분명하다.

쿠쉬 주민들의 오랜 투쟁을 지지한 것은 쿠쉬에 배치된 왕실 관리들이었을 것이다.

어쩌면 그들은 법률 자문을 제공했을 수도 있다.

아마도 그들은 일반적인 법정 비용 일부를 면제했을 수도 있다.

아마도 그들은 파리에 있는 동료들에게 왕실 권위의 전초 기지인 쿠쉬는 포기하기에는 너무 중요하다고 말했을 수도 있다.


그렇게 그들이 마을 사람들을 도울 수는 있었지만, 소송이 적어도 세 번이나 다시 시작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쿠쉬 사건은 파리고등법원의 절차상의 결함과 판결에 내재된 공정성을 모두 보여준다.

최상의 조건에서도 고등법원에서의 소송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전문적인 법률 자문이 필요했다.

가난한 사람들은 고등법원에서 소송을 제기할 시간도 돈도 없었고, 중산층 사람들도 그러한 위험한 투자를 하기 전에 주저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쿠쉬가 지역 왕실 관리들의 도움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은 이유이다.)


하지만 원고가 시간이 있고 유능한 법률가를 고용할 여유가 있었다면, 공정한 판결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현존하는 기록을 보면, 쿠쉬 사건의 판결은 공정한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서로 반대되는 압력, 즉 공작(그리고 아마도 왕?)을 기쁘게 해주겠다는 열망과 왕의 권리를 포기하기를 꺼리는 마음이 상쇄되었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필리프 3세가 쿠쉬를 항상 왕실의 보호 아래 둘 것이라는 약속을 지키는 것이 보다 수월해졌을 것이다.


그 이유가 무엇이었든, 하층 계급에 대해 큰 동정심이 없었던 법원이 대귀족에 맞서 작은 시골 마을 공동체를 보호해준 것은 사실이다.


이와 같이, 파리고등법원은 국왕이 파렴치한 행위를 숨길 수 있는 허울에 불과한 것은 아니었다.


물론, 국왕의 권리를 건드리는 모든 사건에서 국왕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리는 경향이 있었겠지만, 그러한 결정을 정당화하려면 법과 증거에 어느 정도 근거가 있어야 했다.

조사법정(Enquetes)과 대법정(Grand Chambre)에 앉은 사람들 거의 모두는 지방에서 어떤 형태로든 일한 경험이 있었다.

그들은 왕권의 한계를 잘 알고 있었다. 노골적으로 부당한 판결은 폭동이나 왕실 관리들에 대한 공격을 초래할 수 있었다.

설령 공정하지만 엄격하게 집행되었을 뿐인 판결이라도 국왕에 대한 복종이 거부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었다. (아키텐과 플랑드르의 경우처럼)


게다가 이들은 아마도 국왕 자신보다 더 잘 이해하고 있었을 것이다. 왕의 주권이 최종 판결을 내릴 권리로 정의된다면, 그 판결은 공정한 것이 더 낫다는 사실을 말이다.

왕의 사법권이 하위 사법권보다 우월하다면, 처음부터 또는 항소를 통해 국왕 법정을 찾을 충분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만약 국왕 법정, 그리고 무엇보다도 파리고등법원이 단순히 국왕의 권력과 수입을 늘리는 도구로 악용되고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면, 이들을 피해야 할 모든 이유가 있을 것이다.


어떤 경우든, 국왕 법정과 다른 법정들 사이에는 일종의 관할권 경쟁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계약을 집행하고 채무자가 빚을 갚도록 강제할 권리는 왕실, 교회, 지방 자치 법정이 모두 주장할 수 있는 것이었다.

편향된 판결로 악명이 높은 법정은 경쟁에서 이길 수 없었을 것이다.




-Joseph R. Strayer, The Reign of Philip the Fair, (1980)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5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9487 일반 그리스 1인당 gdp가 불가리아 1인당 gdp의 1.5배인데.. [1] ㅇㅇ(1.227) 05.25 134 0
29484 일반 이자성한테 조선이 사대를 했을까?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221 0
29483 일반 그리스가 불가리아보다 잘사나?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48 0
29482 질문 제주도가 2차 대전후 일본에 포함되면 [6] 위그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47 0
29481 일반 로망스어와 게르만어의 경계 변화 Sp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92 0
29480 일반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가 철학에 도달하지 못한 이유 [21] 쇄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291 2
29479 질문 대구는 조선의 모스크바, 평양은 조선의 예루살렘 [4] ㅇㅇ(182.209) 05.25 155 0
29478 일반 신라가 고구려로부터 독립하는 과정 [1] ㅇㅇ(49.164) 05.25 268 8
29477 질문 해방직후 한국이 사회주의 성향 강했음? [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92 0
29476 일반 병인신미양요 수군은 뭐함? ㅇㅇ(175.223) 05.25 67 0
29475 질문 러시아제정 망했을때 조선지식인들 감상 남아있는거 있나? tidor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00 0
29474 일반 인도 지역별 출산율 변화 2001 vs 2021 [6] Sp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165 0
29473 일반 동예의 “예”가 예맥할때 그 예(濊)랑 같았다니…. [2] ㅇㅇㅌ(112.169) 05.24 189 1
29472 일반 메시가 스키피오라면 호날두는 한니발이겠지 [6] ㅇㅇ(121.169) 05.24 147 0
29471 일반 메소포타미아 문명 저작중 고전반열에 오른건 왜케 적음? [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05 0
29470 질문 인더스문명 만든게 드라비다인이었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06 0
29469 일반 가만 생각해보니 [3] ㅇㅇ(1.226) 05.24 100 0
29468 일반 근데 그리스 애들이 그리스 신화 영화 만들면 어떨려나? [6] 플루토양(59.0) 05.24 180 0
29467 일반 그리스애들도 자기네 역사 국뽕 영화 자주 만듬 [3] ㅇㅇ(221.141) 05.24 173 0
29464 일반 역사적 예수 연구는 종교보단 지역 차이가 더 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02 0
29463 질문 현존하는 광개토왕비문 탁본중에 [1] ㅇㅇ(110.70) 05.24 131 0
29462 질문 야 근데 히틀러 짝ㅂㄹ인거 영국 정보부에서 알았을까? 승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64 0
29461 일반 그리스,이탈리아는 고대 그리스,로마사 영화 안 만들어도 됨. [5] 플루토양(59.0) 05.24 200 0
29460 일반 반도일본어 떡밥 재투척 [7] ㅇㅇ(58.238) 05.24 181 0
29459 일반 그리스는 국뽕영화 안만드나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49 0
29458 일반 이번주는 사극을 많이 본 거 같다 [2] 비트-다케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88 0
29456 일반 나치는 왜 그렇게 비판 받은 거임? [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340 4
29455 일반 흑인 사무라이? 좋다 이거야 [7] Sp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225 1
29452 질문 독일 제국이랑 나치는 다구리 맞아도 이기네 [2] ㅇㅇ(221.138) 05.24 148 0
29449 일반 손무랑 오기는 ㄹㅇ 시대를 앞서나간 느낌이네 [1] ㅇㅇ(223.38) 05.23 128 0
29448 질문 중국사 이 정도면 대충 이해한 게 맞나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08 0
29447 질문 유럽 각국 부끄러운 전쟁사 하면 뭐뭐 있냐? [11] 플루토양(59.0) 05.23 301 0
29446 일반 전쟁사 제법 파고 그랬지만 개인적으로 원탑 국가는 [3] Lon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14 0
29444 질문 고조선이나 고구려같은덴 어케 같은 민족일 수 있는거임? [10] ㅇㅇ(211.58) 05.23 284 0
29443 일반 유럽 각국의 유명 대표 이야기들. [4] 플루토양(59.0) 05.23 199 0
29442 일반 결국 비잔티움은 이탈리아 유기로 망한거네 [3] ㅇㅇ(14.46) 05.23 213 1
29440 일반 유럽인들의 사과에 대한 집착은 이유가 뭘까 [3] ㅇㅇ(124.28) 05.23 194 0
29439 일반 유럽에서 오렌지를 부르는 다양한 방식 [6] Sp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62 0
29437 일반 문명이 발전할수록 중앙집권과 탈중앙집권이 같이가는거 아닌가 [9] 승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57 0
29436 일반 근데 왜 3대법전에 함무라비 법전이 들어가는거냐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35 0
29434 질문 과거에는 무슨 돈으로 매번 전쟁한거임? [6] ㅇㅇ(221.138) 05.23 194 0
29432 질문 영미법의 조상은 어떻게 됨?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42 0
29431 일반 근데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내에서도 뛰어난 학자들 많았을텐데 [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36 1
29428 질문 그러고보니 지도도 없던 시절엔 직접통치 어케함? [2] ㅇㅇ(116.126) 05.23 167 0
29426 일반 어쩌다 보니 인도사에 꽂힘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185 0
29425 질문 왜 청동에 대응되는 순우리말이 없는거임? [2] 승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169 0
29424 일반 뭔가 명장보다 졸장을 찾기 힘든 느낌 [5] ㅇㅇ(156.146) 05.22 190 0
29422 일반 내가 좋아하는 건 희랍 전사들인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91 0
29421 일반 21세기 아프가니스탄이 탈레반 재집권을 막기에는 불가능했을까? [15] 플루토양(59.0) 05.22 326 0
29402 일반 일본 세입이 진짜로 청나라 넘었음? [5] ㅇㅇ(218.238) 05.22 22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