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지] 시내버스 여행 초심자용 팁

양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6.02 12:52:47
조회 7973 추천 17 댓글 6
														


viewimage.php?id=2fa8c332f7db28&no=24b0d769e1d32ca73fea80fa1bd8233c4367e7b2e2827e8ba57c8042246992ae2cb5067205728d5a791c7bdc4f0532ed4b2f61cde24f6601ddf98dbfd1eac27e858e63ca

* 기본적으로 수도권과 대도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나 대부분의 내용은 다른 군소/중소도시에도 해당됨

다 읽기 귀찮으면 강조 표시한 부분만 읽어도 됨


-필수 준비물

교통비(귀가 시 사용할 비용 포함), 식비 등 '돈'

시내버스 여행은 시작부터 끝까지 돈으로 돌아감

서울-부산이나 경기도 순환만 해도 단순 시내버스 비용만 최소 2~3만원 이상은 들어가고, 갔다가 돌아올 때 이용할 돈과 식사를 할 때 사용할 돈까지 생각하면

최소한 7~10만원 이상의 돈을 준비하고 가는 건 필수임

이 돈을 단순히 교통카드/신용카드에 모두 넣어놓지 말고 교통카드 사용 제한 지역(봉화 등)을 통과하거나

단말기 고장/카드 분실, 오지 고립 등 변수를 대비해서 5만원 정도는 현금으로 가지고 다니는 걸 권장함

중간 지점에서 숙박을 하는 경로라면 숙박비도 추가로 생각해야됨


'보조배터리'

버스 안에서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는 곳은 생각보다 많지 않고(잘해야 경기도 일부 광역버스, 대전 B1 등이 끝임)

카페같은 곳에서 충전을 할 시간도 웬만해선 잘 나지 않음

핸드폰의 배터리가 떨어지면 당장 온라인에서 버스 시간표/위치를 확인할 수도 없고, 기록을 남기기도 어려워지는 건 둘째치고

버스 막차를 놓쳐 오지에서 고립되었을 때 구조 요청을 할 수도 없게 되는 등 큰 제약이 걸림

중간중간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게 대용량 보조배터리를 가져가는 것을 권장함

자신이 중간중간 노래를 듣는다거나 게임을 하는 등 배터리 소모량이 크다면 여러개 들고가도 됨


그 외에 평소에 먹는 약이 있다면 그것도 준비하고, 출발 전 휴대폰을 완전히 충전시키는 것은 그냥 필수라고 보셈


-권장 준비물


마실 물(식수) 비상식량

특히 단백질바, 초코바/빵 같은건 식사를 하기는 애매한 10분~15분 정도의 환승대기시간이나 장거리 도보 중/후에 체력 회복에도 좋음

근데 대부분 지역에 널린 게 편의점/마트라 급한 게 아니라면 중간에 시간이 빌 때 사도 되서 필수까지는 아님

물이나 커피같은건 너무 먹으면 화장실 이슈가 생길 수 있으니 섭취량만 조절하면 됨


손전등/야광조끼(선택)

이건 야간에 도보를 한다 싶으면 들고 가는 걸 권장함

주로 천안 도보/효리 도보(동절기) 등 시/군경계를 넘으며 도보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경계 지역은 대부분 외진 곳이라 가로등과 핸드폰 플래시로는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곳이 많음


단우산(선택)

아래 날씨 관련 정보 확인



본인이 이용할 버스 시간표는 반드시 확인

시내버스 여행 자체가 시간표에 따라 굴러가는 만큼 여행 전 시간표를 확인하고 계획하는 것은 필수 작업임

최근에 나온 여행기라도 맹신하지 말고 다시 확인해보는 것을 권장함

추가로 천안 등 일부 지역은 조발(시간표 시간보다 일찍 출발)이 잦으니 시간표 시간보다 5분 이상 여유를 두는 것을 권장함

(=뭔 소리냐면 1분 간격으로 환승하는 건 도박에 가까운 행동이고, 가능하면 환승 여유 시간을 5분 이상 두라는 말임)


- 시간표 확인법

서울, 인천, 부산 등 대도시의 경우 일부 노선 외에는 첫/막차만 정해놓고 시간표를 공개하지 않고 운행하는 곳이 많음

심야버스 등 배차간격이 긴 일부는 시간표가 있는 것도 있지만 맹신하지 말고 관련 기관(버스 회사 등)에 먼저 문의한 후 이용하거나

현장에서 버스정보시스템을 이용해 버스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권장함


경기도 한정으로 모바일 '경기버스정보'앱을 통해 과거 버스 통과 시간(기본은 1일, 2일, 일주일 전/설정을 통해 3/4/5/6일 전도 확인 가능)확인이 가능함

대부분 노선이 평일/토요일/공휴일 시간표가 나뉘어져 운행하니 확인 전 요일만 맞추면 어느 정도 통과 시간을 예측할 수 있음


추가로 경기버스정보앱에는 '승차벨'이라는 기능이 있다

버스가 정류장에 사람있는걸 못 보고 통과할 가능성을 원천봉쇄시켜버리는 강력한 효과가 있으니

인적이 드문 곳에서 버스를 탈 거면 "탑승할 버스가 전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승차벨을 미리 눌러놓는걸 권장함

(마을버스, 광역버스 포함 모든 시내버스가 사용 가능하나 "경기도 관할 버스"만 가능, 즉 분당행 9401이나 강화행 800같은 서울/인천버스는 승차벨 사용 불가능)


그 외 지역은 '각 지역의 버스업체'에 문의해서 알아내는것이 가장 안정적임

근데 이걸 다 문의해서 알아내기엔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으니

대부분은 버스정보시스템이나 시내버스 정보 사이트(이건 강원도에 많음),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좋음

저게 없어도 시/군청 홈페이지에서 대부분 시간표를 제공하고 있음(분야별정보-교통/문화관광 사이트 등)


나무위키 버스문서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지도 않고 못 믿을 정보도 많으니

군청이나 회사에서 시간표를 엉터리로 제공하거나(완주 등) '정말 못 찾겠다'싶을때만 후순위로 참고하는 걸 권장


통과 지역의 날씨, 행사, 장날 확인


-장날, 행사

외곽 중소도시 읍내지역의 경우 읍내 시장에서 특정 날짜를 정해놓고 거기에 맞춰서 5일장이 열리는 경우가 많고,

가끔은 도로를 통제하고 마라톤 등 대형 행사를 개최하는 경우가 있음

장날의 경우 유동인구가 많아져 버스를 탑승하는 사람과 근처 지역을 자가용으로 지나가는 사람도 많아지고,

당연히 시내버스의 운행 속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

마라톤 등의 대형 행사로 도로가 통제되면 해당 구간을 지나는 버스 역시 우회운행하고, 이에 따라 버스를 놓치거나 다음 목적지 도착이 늦어지는 일이 생기기도 하니

이것도 여행 전 확인을 하는 것이 좋음

각 지역별 장날 날짜같은건 경로 관련 글에 더 적어놓음


-날씨

태풍같은건 흔하지 않으니 비나 눈 위주로 설명함

둘 다 기본적으로 핸드폰 등 전자기계 사용을 방해하거나 체력 관리에 악영향을 주고, 시내버스의 운행 속도/도보 속도를 크게 저하시킴

홍수나 결빙 등 운행이 불가능하면 그때부턴 시내버스가 단축/우회운행을 하거나, 심하면 아예 결행하는 일도 생겨 연계가 불가능해지거나 오지에 고립될 수도 있음

여행 전 거쳐가는 지역의 날씨를 먼저 확인하고, 소나기 등이 올 수 있으니 날씨가 맑다 나오더라도 단우산 정도는 챙겨가는 걸 권장함



무리한 여행 금물

이건 시내버스 여행 말고 일반 여행, 하다못해 일상생활에서도 적용되는 이야기임

여행 직전/여행 중 갑작스러운 건강 악화가 있으면 무리하지 말고

근처 대도시/읍내에서 정비를 하거나 심한 경우 중간에 여행을 끊고 귀가하는 것도 고려해야됨

여름이라면 일사병/탈수, 겨울엔 감기/저체온증, 공통적으로는 급ㄸ 등 화장실 문제와 발목을 삐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

도보 관련 내용은 아래에 더 자세하게 적어놓음


-대도시 한정 지도앱 수시 활용

노선의 중간 지점에서 버스를 탑승하거나 시간표를 따로 제공하지 않는 대도시같은 곳에선

카카오버스, 카카오맵, 네이버지도, 전국스마트버스 등 모바일 지도/버스앱을 이용해 버스 위치를 확인하고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임

대부분은 내린 곳에서 바로 오는 차를 타면 되지만

비슷한 노선이라도 정류장의 위치가 다르거나 다른 정류장으로 이동해서 버스를 타야하는 곳이 여럿 존재함(대둔산휴게소/대구 동산의료원-섬유회관 등)

이럴 때 본인이 타야되는 곳을 즐겨찾기 찍어놓고 (카카오버스 기준)메인 화면에서

도착 정보를 바로 볼 수 있게 해놓거나 정류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

추가로 네이버지도/카카오맵에 등록된 첫/막차 시간, 운행횟수와 배차간격은 대도시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맞지 않고,

중소/군소도시 등 버스정보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곳의 경우 버스 운행횟수는 커녕 정류장 위치/노선 선형마저 맞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맹신하면 안됨



연계/과속/조발 요청 '하지마'

가끔 버스가 느리게 운행하거나(배차 조절, 혹은 시간표가 널널하거나 도로 정체 등 여러 이유가 있음) 다음 차 연계가 아슬아슬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

아무리 급하더라도 무리한 연계 요청은 절대 금물임

특히 시골 지역은 어르신분들의 버스 이용이 많고, 회차지나 중간지점에서 정해진 시간을 보고 나오는 편인지라

버스가 과속을 하거나 이유 없이 조발하면 차내에서 넘어지거나 차를 놓치는 등 피해를 보는 사람이 무조건 생김

실제로 무리한 연계 요청으로 인해 '안계-의성-탑리' 구간 연계가 막히는 일이 있었음

물론 다음에 탈 버스가 바로 앞에 있을 때 '기사님께 양해를 구하고' 앞문으로 내리는 등 일부 가벼운 요청은 해도 되지만 거부해도 어쩔 수 없음


버스 요금 지불법도 미리 확인

당장 수도권 등 대부분 지역은 탈 때 요금을 내지만 옥천이나 태안 등 일부 지역은 내릴 때 요금을 지불하는 경우도 있고

거리비례요금(시계외요금)도 지역마다 지불 방법이 다 다름

수도권, 대전은 하차태그를 할 때 돈이 자동으로 나가지만

그 외 지방도시의 경우 보통은 탈 때 목적지를 말하고 기사님이 요금 설정을 하면 카드를 찍는 방식이 대부분임


추가로 본인이 청소년/어린이 할인 대상자라면 목적지를 말할 때 이것도 같이 말해야 본인에게 맞는 요금이 지불됨(특히 순천 등 학생 100원 버스 시행 지역에서)

버스를 타서 무작정 카드를 찍으면 미지불된 추가요금을 현금으로 내야하는 참사가 벌어질 수 있음


도보는 필요할 때만 할 것(마라톤 출전한 거 아님 시내버스여행임)

서울-부산 중 효리 구간, 평택~성환~직산~천안 구간 등 시내버스가 없거나 운행이 종료되어 부득이하게 중~장거리 구간을 걸어가는 여행기가 많음

근데 이미 여러 일주기로 증명된 구간(효리/파군교 등)이 아니면 웬만해서는 도보를 하지 않는 경로로 가는 걸 추천함

굳이 도보를 해야겠다면 네이버지도나 카카오맵 등에 표시된 도보 시간보다 여유 시간을 더 길게 잡아야 안정적임

기본적으로 시내버스를 타고 가는 것보다 소요시간도 길고, 여유 시간을 짧게 잡을수록 에너지 소모도 더 클 뿐더러

중간에 고립되는 일이라도 생기면 그때는 되돌릴 수 없는 경우도 있음

꺼무위키같은데서 비전동-대곡리 33키로 도보를 5시간컷하면 당일치기로 통영까지 갈 수 있다는 등 헛소리 적어놓은거 보고

사촌리-상송리 28분컷했다는 누구처럼 헛짓하면 너만 손해다

(파군교 도보 중 정류장 착각으로 택시비 5만원을 날려먹은 사례 - https://gall.dcinside.com/transit/56457 )


여유시간 =/= 노는시간

중간에 환승 여유시간이 생겼을 때

급하지 않더라도 화장실 일을 해결하거나 비상식량 및 식수 보충/식사/다음 목적지 확인 등 필요한 작업을 모두 끝내놓는 것을 권장함

세종 991, 대전 B1이나 34 같은 장거리 버스들은 탑승시간이 1시간에 근접하거나 넘기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데

여기서 급ㄸ 등 문제가 생기면 대처하기 힘듬

세부 화장실 위치는 경로 관련 글에 더 자세하게 적어놓을 거긴 한데

보통 운영 중인 기차/지하철역, 주유소, 버스터미널 등에는 대부분 공중화장실이 있다고 보면 됨


차 하나 놓쳤다고 포기 ㄴㄴ

가끔 길이 막히는 등의 이유로 차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함

근데 영천 763같이 매우 중요하거나 운행횟수가 적은 차를 놓친게 아니면 다음 차를 타도 어떻게든 진행이 되는 경우가 있고

이후 구간 진행이 안 된다 하더라도 실패를 바탕으로 계획을 개량하고 다시 도전해서 더 좋은 결과를 뽑아낼 수 있음

비록 시간과 돈이 좀 깨지고 마음이 아플 수는 있어도 다시 도전해서 성공하면 됨


최종 수정 - 2024.4.26(경기버스정보 관련 내용 수정)

내용 추가 및 수정 문의는 댓글로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7

고정닉 3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6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공지 시내버스 여행 초심자용 팁 [6] 양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02 7973 17
5305 공지 시내버스 여행 미니 갤러리입니다 [9] 김양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0 2871 0
8305 질문 춘천-화천 버스 연계 [1] 시갤러(58.140) 05.01 88 0
8303 정보 5/10~5/11 대구시내 버스 우회운행 안내(파워풀대구페스티벌) 수리산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47 0
8302 정보 5/1 대구시내 버스 우회운행 안내(노동절 집회) 수리산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51 0
8301 질문 서울에서 부산 시내버스 여행 상주 경유 매우 어려움? [3] 아웃오브안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208 0
8300 정보 증평-오창간 242번 폐지 KW경북진안_GFRIEN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19 0
8299 일반 이런 갤러리가 있네 [8] 시갤러(39.121) 04.29 155 1
8298 질문 지금은 서울-목포 시내버스 파군교 막힘? [4] 시갤러(58.126) 04.28 156 0
8297 일반 서울출발 미원에서 9:40 111번 타는거 엄청 어렵네 [5] 시갤러(112.167) 04.28 228 0
8296 질문 서울에서 목포 지금가능함?? [2] 시갤러(59.3) 04.26 215 0
8295 일주기 서울 복정역 - 삼척 도계 2024년3월9일(일) [7] 진박솔(211.200) 04.26 244 1
8294 일반 서울-김천 [8] 포켓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08 0
8292 일반 서울-부산 시내버스여행 [5] 포켓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347 0
7518 공지 모 파딱 신상털이범 = 영구차단자 [2] 화도터미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9.11 1917 17
7207 공지 반고닉 OKOI(level8468) 영구차단 안내 [5] 아성천마_GFRIEN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5 2475 22
8291 정보 김해 버스 140번 개편 ㅇㅇ(121.158) 04.23 178 1
8290 질문 평일에 미원에서 9:40 111번 타기 어려움? [2] 시갤러(220.77) 04.23 170 0
8289 일반 시내버스 여행에서 성환에서 6:30 110번 타면 [2] 시갤러(220.77) 04.23 165 0
8288 일반 천안 버스 개편 [5] ㅇㅇ(121.158) 04.23 217 0
8287 경로 부산 남포동 -> 서울 광화문 (밀양, 대구 경유) [2] 진박솔(211.200) 04.23 204 4
8285 일반 근데 해외진출은 안함??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151 0
8284 질문 옥천역-구미역 경로 (양방향) [7] 시갤러(143.248) 04.21 200 0
8281 일반 전주-부산 루트짰는데 이거 창녕쪽 연계 ㄱㄴ함? [3] 꽃가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98 1
8280 일주기 아산 -> 고양 시내버스 여행기 [3] 혜성_com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36 3
8279 질문 경북 루트 질문 [2] 시갤러(218.154) 04.20 135 0
8278 일반 이거 시간표 아는사람 [1] F81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43 0
8277 일반 4402 첫차타고 부산가는 루트를 발견했는데 [4] MJ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57 0
8276 질문 경기순환 루트 짜는데 김양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93 1
8274 질문 부산 -> 서울 [3] 경산교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23 0
8273 일반 성수에서 안산가려면 [2] 포켓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112 0
8271 일반 형들 모르는게없는거같아서 질문좀드려요 [8] 시갤러(210.104) 04.17 207 0
8270 일반 꺼무위키 경로문서 또 지랄이네 ㅇㅇ(221.143) 04.17 247 8
8268 질문 평택 98번 버스 안중연계 질문 시갤러(58.126) 04.16 129 0
8265 일반 서울-부산 시내버스 질문있습니다 [2] 시갤러(218.153) 04.16 227 0
8263 일반 유튜브에서 서울 부산 시내버스 여행 재밌게 봤는데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212 0
8262 질문 지금 진주행 시내버스 여행 경로 짜고 있는데 [2] KW경북진안_GFRIEN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225 0
8261 정보 2025.07 부터 보은군 농어촌버스 요금 무료화 현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169 2
8259 일반 서울출발 시내버스 여행에서 [5] 시갤러(58.126) 04.14 285 1
8258 일반 5503,5401,3401,6600은 전부 시내버스임? [4] 시갤러(112.185) 04.14 247 0
8257 질문 서울출발 시내버스 여행 미원에서 9:40 111 탈려면? [3] 시갤러(220.77) 04.13 250 1
8255 일반 안양에서 부산 당일치기 하려면 [8] 시갤러(118.36) 04.13 269 0
8253 질문 질문있습니다 [1] 평범한사람(221.144) 04.12 115 0
8251 질문 혹시 서울-보령 시내버스여행 연계 질문 [82] SW202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2 345 1
8250 질문 하양에서 55번/555번 서는 정류장이 매우 많던데 [4] ㅇㅇ(222.121) 04.11 217 0
8249 질문 4~6월쯤에 이거 하려고 하는데 괜찮나요?(시내&시외버스여행) [3] SW202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25 0
8248 일반 옥천 521 11:40 차 [2] KW경북진안_GFRIEN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49 0
8243 일주기 전주-대구 신루트 성공 [2] 꽃가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326 4
8241 일주기 [250405] 부산-서울 17시간 7분 컷 (이평루트) [10] ㅇㅇ(211.61) 04.06 807 11
8240 일반 양동역-대신터미널까지 [3] 시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77 0
7205 공지 부매니저 모집 김양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7.14 2165 25
8237 일주기 옛날에 시내버스로 일주했던 서울역-부산역 진박솔(211.200) 04.05 223 0
뉴스 공교육 무너지는 세상에… ‘티처스2’의 의미 있는 발걸음 [IS신작]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