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닝 중 일정 강도 이상으로 운동을 하다 보면, 갑자기 통증이나 피로가 느껴지지 않고 기분이 상쾌해지는 상태를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바로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라고 불리는 현상이다. 원래는 고통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뇌가 방어적으로 반응하면서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이다.
이 상태에 들어서면 심장 박동이 가팔라지고, 숨은 차오르지만 정신은 맑고 가벼운 느낌을 받게 된다. 실제로 러너스 하이는 운동 중독으로 이어질 만큼 강력한 만족감과 행복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뇌과학적으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행복감을 유도하는 '엔도르핀'의 작용
러너스 하이의 중심에는 바로 엔도르핀(endorphin)이 있다. 엔도르핀은 뇌에서 분비되는 천연 진통제이자 기분을 좋게 만드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장시간 달리기를 하면서 몸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뇌는 고통을 완화시키기 위해 이 물질을 분비한다.
엔도르핀은 모르핀과 유사한 작용을 하며, 뇌의 보상중추를 자극해 쾌감을 유도한다. 그래서 운동 중 통증이 줄어들고, 정신이 맑아지며, 우울감이나 긴장감이 사라지는 듯한 기분이 드는 것이다. 단순한 육체 운동을 넘어서 정신적 회복과 해방감까지 제공하는 생리 반응이라 할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최근엔 '엔도칸나비노이드'도 주목받고 있다
과거에는 러너스 하이의 주요 원인이 엔도르핀이라고만 알려졌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엔도칸나비노이드(endocannabinoid)'라는 물질이 더 큰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물질은 기분 안정과 통증 조절, 불안 해소에 관여하는 뇌 내 자가조절 시스템에서 생성된다.
특히 달리기처럼 리듬감 있는 유산소 운동을 20~30분 이상 지속할 때 분비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나타나는 기분 상승, 사고의 명료함, 감정적 안정은 단순한 피로 회복을 넘어서 정서적 중독성을 일으킬 수 있을 만큼 강력한 뇌 보상 반응으로 이어진다.
온라인 커뮤니티
뇌의 보상 회로가 운동을 '쾌락'으로 인식한다
러너스 하이가 반복되면, 뇌는 점차 운동을 하나의 즐거운 보상 행위로 인식하게 된다. 뇌의 보상 회로에 있는 도파민 시스템이 자극을 받으며, 운동 자체가 중독성 있는 활동으로 작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든다. 마치 단 음식이나 SNS처럼 뇌에서 보상 신호를 반복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운동 강도를 경험해야 비로소 만족감을 느끼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이는 운동 습관을 긍정적으로 강화하는 효과도 있지만, 지나치면 무리한 러닝이나 과도한 운동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적절한 통제가 중요하다.
온라인 커뮤니티
기분 조절과 스트레스 해소에 큰 역할
러너스 하이는 단지 기분 좋은 상태를 넘어서, 실제로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기능성 반응이기도 하다. 달리기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은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강해지고, 우울감이 줄며 수면의 질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도파민, 세로토닌, 엔도르핀의 균형이 맞춰지면서 정서적 안정감이 커지는 효과도 있다. 이런 이유로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 환자에게도 중·저강도 유산소 운동이 치료 보조수단으로 권장되기도 한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