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우이령길 둘러보기앱에서 작성

한글안처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2.03 17:39:10
조회 437 추천 11 댓글 10
														


북한산을 다녀본 게이라면, 우이동. 우이령. 소귀천. 등의 말이 귀에 익을 것이다. 그럼에도 필자는 제대로 우이령을 넘어본 적이 없어서 이번 기회에 다녀오게 됐다.

참고로... 오늘 산행은 사실 북한산 밤골기점으로 산행하려 했는데, 아뿔싸- 아이젠을 두고 온 거이였다. 704번 버스 안에서 얼른 머리를 굴렸다. 아이젠 없이 갈만한 서북권 코스를. 다소 우연히 시작된 산행이였다.



이 코스는 경기도 양주 교현-강북구 우이동을 연결하는 산길이다. 기점이 양주라고는 하지만, 불광역에서 버스로 30분 정도 걸리는 곳으로 그리 멀지 않다. 특히 야비군 게이들에겐 익숙한 교현예비군 훈련장이 기점 근처에 있다.

이 코스는 교현에서 출발해서 우이동으로 넘어오길 강권한다. 교현은 허허벌판이다. 허기진 상태로 내려오기는 좋은 지역이 아니라는 말이다. 반면 강북 우이동은 초입부터 먹자골목이 형성되어 있어 내려오는 재미가 있다.

참고로 이 코스는 사전예약제이다. 자연보존 및 군사지역인 것이 이유로 보인다. 운 좋으면 예약 없이 가서 자리 남으면 즉석 예약이 가능하긴 하지만(본인도 이렇게 했다...), 국립공원 사이트에서 2.3일 전 예약을 하고 가는 것이 헛걸음 안 하는 길이다. 비회원도 가능하다.


두세시간이면 끝나는 코스이지만 오봉산 석굴암까지 찍고 온다면 운동량이 적잖을 것이다. 

789e8005c3826983239df4e7459c701ff62349cba99132cf1345e3f5aa67903b5b428fa643cebcce19a302e4c8445f87ab78da50f0

나는 교현기점에서 출발했다. 산에 찻길이 있는 이유는 둘 중 하나다. 절이 있거나 군부대가 있거나. 우이령길은 둘 다 해당된다. 위 사진에 보이는 다리는 호기로운 이름, 유격교다. 수 많은 군인들이 이 길을 걸으며 유격훈련장으로 향하는 무거운 발걸음을 옮겼겠지... 


7a9ef204b4f01dff23ef8e93479c7064f8641e5305a9311d0e553d5976a6c871aad39a940747964de5a6645342ac3e989c0d7eb369



좌로는 오봉산이라는 암봉이 재미있는 풍경을 하고 있다. 봉오리가 다섯개라는 이름마따나, 꼭 한 번씩 세어보게 된다. 하나, 둘, 셋...

7aef8672b28768f3239af093349c7019ea436b3664c66807ddd09669f8e20d5bbe0df8381188afe0b9286b1d1ec22fc059c6790e16


우이령에 관해서는 근현대사적 의미가 있다. 산행 전후로 나무위키 정도는 읽어볼 필요가 있다.

7ceb8571b3f11ef1239d82ec4e9c706add30851aa940b3d04a75f8b3c11ff3f50a208426277f8d65603647259b118ad6e60717473c


75988400c18568f423e7f5e64e9c706ace3a7acd5c7f14016913ad3b7de733082d85950bee1fa7d14b18dcdc5e5fbbff755ecc2324

749b8077b4f66a8723ec81ec469c7065c8e95f4c0c4e98ed12244fb8ff17f30596b2a5b3cdf22d752426c6b5ec85a7a51141469e83


오르다 보면 석굴암 표지가 나온다. 우이령 가는길에 들러볼 수 있는 고찰이므로 가보길 바란다. 

참고로 이 코스는 아주 친절하다. 이정표가 하도 자주 나와서 좀 피곤할 정도이다. 뿐만아니라 재미있는 일화 등이 담긴 설명판들이 곳곳에 나타나 심심찮다.

위 사진은 석굴암 초입에 있는 일주문격인 소원문. 시멘트 도로에 휑덩그렁한 모습이 다소 썰렁해 보인다. 

7ce58500c4826df323e680ec329c7069dc49220a121e32314f4c761540a397134fa5663283c04918497fa172d8b700bde686ceb6a8


잘 만들어진 석조교량이 어찌 이런 곳에 덩그러니 방치되어 있는 걸까?

7d98f305b5826ef623eff7ec449c7018a4fbc2e85ca9902551ea3745c32eaf3a68177ff33b3f9865c56560a3d9f7324e09657463c1

오봉산 자락의 석굴암. 높이는 비봉아래 승가사와 비슷하다. 돈 많은 절 느낌이 물씬 풍긴다.

0eef817fbc811cf0239b8390459c70682111ca13501aebbf40bd9d810a443a351d523874f0a9a2a567830cfd8f8e495dc78a609153

기둥 위에 여의주를 문 용의 머리를 목조각으로 해놨는데 퀄리티가 대단하다. 특히 용의 수염까지 표현했다.

7f998274bd836bf523998ee34e9c706ce0ac8321273a910eab3f78abe16e75693aa87361b0790d32c1570ec1616878cb2951c389c0

조선후기에 제작됐다는 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74eaf275c481688223e68fec329c706881281b05a039e7e67345262cfa23cbd76b641c5f2797af13a69004877d0097caa4de9ba4cd

산중에 이렇게 큰 대청마루가 왜 필요한걸까

0ee8f405b0836ff623eaf093449c706b02a0f9555027a42986a78d7f5afd6e4d95c54b76078d06fb9670a9e33bf029741a543f36d2


759b837fc3841bfe23ea8f91339c706d4efb4bbb1e7177b1833563ee828507738ebc4b57ccf939a859933ac9cf2d972b3570f190fd

등산길에 만난 흥겨운 비닐하우스. 이런 풍경을 보면 참 한국사람들 열심히 논다는 생각을 안 할 수가 없다. 누군가는 저 비니루를 잘 개어서 가방에 넣고 올라온 것이겠지... 각종 반찬들과 함께... 

7fea8976bcf31b85239c8ee04f9c701878165ba0095d8f5742db801bee4cb21d19673e6c69e8e633720400890ebbfb96ed9bae623f

곳곳에 행락객들이 진을 치고 있다. 

0fed8004b38a6ff523ee86934f9c70697f027bd6f2408e02400ce73ef36bcdb3b7034a8be1aa60e201253d5711db5bcf1f814c7208

우이령 정상의 대전차 장애물. 한강변을 따라 일산 쪽으로 올라가는 길에서 이 비슷한 것을 만난 적이 있다. 이 길이 군사적으로 요긴한 이동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도 그럴것이, 경기도에서 강북구로 도보 2시간 거리면 상당한 단축로인 것이다.

7aeaf37ebcf168f4239b8797419c701b5324445d3b507521f39be03b51bc36d115b8028b916da432967d246568950d9599d1ebe9d5

국밥엔딩.

79e8f171b0f0618323ea8291359c706d60b56362c64124e4b85e190bac191b71137d7f219fce6cc8d3c0b6dd20c71eaa13ca433511

커피엔딩



이 아니라
너무 잘 먹어서 이대로 귀가하기는 못내 아쉬웠다. 처먹은 칼로리가 발목을 잡은게 크지만 마침 근처에 둘레길이 있길래 왕실묘역-방학동길을 통해 도봉산역까지 가보기로 한다. 약5km

7ae58970c6841dff23ebf5e44e9c701f25af27fc8004cc84b12e81d07662139747ad0142431e09b2164a1c8ca2a3320c189fe0f6c1

멧돼지 차단용 휀스가 길게 이어진다. 다른 둘레길에선 본 적이 없는데 아마 이 지역에는 멧돼지가 특히 많다는게 아닐까;; 

7e9bf27eb0831cfe23ecf4e6349c706f217dff38476fe8d386a5e4eb6ef0d7af5ec9e9792a28acf2810363ca60d6ed2befeb8cc31b

둘레길은 좁고 오르락내리락한다. 게릴라군의 활동로를 연상케 한다. 특히 위 길은 참호 같다.

7ae48407c18661f423e884e5379c706a284fadec5c01f56453eb54de34773ca8c5d4e529a76430c40036ad72ff56216674568a27c0

희한한 전망대가 나온다. 스탬프 투어 포토존이다. 올라가면 도봉산역의 주택단지 일대가 내려다 보인다.

7bef8200c78b19ff23e782e3349c701853fa0228b3dbe54829f26a79567191e08dbf4a4b5289c3caeaeba648607b8fc3d395d00f

오늘도 11년산 콜롬비아 자켓과 산행을 함께했다.

74ea8875c0866ef223e8f4914e9c70682dfab1bb60e604c957b802015ed23271fe7aad37007b417ebe99b8c993626d0c06db3be218


6연속 주말산행 중...

0ee9f600c48319f0239982e5359c706dc33073c9e0f862beefaa6899bf09afe86f920bedf3ce13f8191ced9590209ed93a4f9bfa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11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87131 고군산군도 대장봉 갔다옴 [3] (118.217) 03.11 226 6
187123 등린이 소백산 왔어요. [6] ZEN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454 10
187111 북한 볼래? [7] 로메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374 3
187107 2030 등린이들이 아크테릭스로 무장하는 이유 [7] ㅇㅇ(211.234) 03.11 699 9
187105 혹시 "트렉스타" 스틱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7] 동물보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1 375 3
187097 어제자 뒷산 일몰 [7] ㅇㅇ(223.38) 03.11 434 9
187084 노고단등산하다 설사한적있음 [8] 등갤러(59.24) 03.10 325 3
187078 틀딱들 아크 피엘라벤 같은걸로 풀세팅 하고 [3] 등갤러(211.194) 03.10 532 15
187074 월악산 다녀옴 [6] ㅇㅇ(221.158) 03.10 400 3
187073 변산 갔다 왔습니다 [6] dd(61.39) 03.10 249 5
187058 이번 아크 색 잘뽑앗다 [7] ㅇㅇ(122.42) 03.10 471 4
187055 관악산 다녀왔어요 [3] 등갤러(210.123) 03.10 396 10
187053 도봉산 다녀옴 [5] 등갤러(223.38) 03.10 244 8
187051 KBS 진품명품에 아크테릭스 나옴 ㅋㅋㅋㅋㅋㅋjpg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697 4
187050 경축) 삼각(동네사람) 레벨 업 [6] ㅇㅇ(211.36) 03.10 227 11
187037 우이령길이 평일 예약없이 출입이 가능하게 된 이유 [10] ㅇㅇ(106.101) 03.10 407 17
187013 눈내린 북한산 다녀옴 [8] 니콘3세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459 14
187005 백번 양보해서 [4] 로메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0 283 5
186977 틀딱들의 개씹역겨운 짓거리 [14] ㅇㅇ(138.199) 03.09 580 16
186969 아차산 다녀왔어요 [9] 동네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9 338 10
186958 경남 사천 와룡산 [9] 걷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9 274 7
186955 외국 등산 한 곳들 후기 [5] 등갤러(1.209) 03.09 344 6
186952 관악산 자운암 능선 다녀왔습니다 [7] 등갤러(118.235) 03.09 302 6
186949 도봉산 오봉 다녀왔어요 [15] 등갤러(210.123) 03.09 323 14
186948 박드는 등갤의 등불이지영 [6] 등갤러(59.12) 03.09 116 3
186947 관악산을 다녀왔어요! [7] 바르는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9 285 7
186928 등린이 운문 가지산 다녀옴 [6] 1111(118.235) 03.09 234 5
186896 문수봉 다녀왔어요 [13] 동네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8 306 9
186885 우이령길이랑 숨은벽 다녀옴 [13] ㅇㅇ(220.65) 03.08 347 14
186814 동네산 다녀왔어요 [16] 동네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7 340 6
186806 포항 내연산 [6] ㄹ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7 323 8
186778 운악산 댕겨옴 [7] 등갤러(223.38) 03.07 336 10
186762 어제 다녀온 북한산 백운대 [9] ㅇㅇ(117.111) 03.07 455 13
186757 향로봉 다녀왔어요 [13] 동네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6 360 11
186750 의외로 명산이 많은 국가 [12] 등갤러(124.254) 03.06 492 6
186742 근데 준비 제대로 하니까 강풍에도 춥지 않았음 [17] 짠물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6 524 4
186729 등붕이 관악산 사당능선 다녀옴 [6] ㅇㅇ(39.7) 03.06 434 12
186718 형들 국립공원 반달이 인형 왜 삼? [5] 등갤러(183.96) 03.06 407 6
186714 수락산 다녀옴 [3] 등갤러(223.38) 03.06 321 9
186713 등린이 불암산 다녀옴 [9] 1111(118.235) 03.06 328 10
186708 한국 등산 유튜브가 창렬인 이유는 [9] ㅇㅇ(58.142) 03.06 755 14
186707 감기 3일차 가볍게 뒷산 가따옴 [6] 소프라노스(119.207) 03.06 201 3
186694 동네산 다녀왔어요 [6] 동네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5 336 5
186692 레깅스 욕은 왜 함? [18] ㅇㅇ(182.216) 03.05 766 5
186683 (북한산)의상능선보다 비봉능선이 더 빡센거아냐?? [5] 등갤러(110.70) 03.05 272 5
186681 북한 폭동 직전이라더라 [4] ㅇㅇ(223.62) 03.05 598 21
186673 등린이 두번째 소백산행기 [15] 짠물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5 392 6
186663 하산 완료했다 [12] 짠물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5 551 13
186656 발 작아서 여자가 신던 중고 등산화 신고다님 ㅎㅎ [10] ㅇㅇ(223.62) 03.05 468 9
186650 북한 천연기념물 겨울에도 폭포수가 흐른다는 북한 리명수폭포 [6] ㅇㅇ(223.39) 03.05 343 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