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배음공명화성학] 본인이 떡밥 하나 놓고 간다

예수님짱짱맨(115.31) 2015.01.30 00:46:58
조회 1112 추천 9 댓글 8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177a16fb3dab004c86b6f2c2b90e38319c396ff06d41bddb9cb43f36f95b1d1d2eef3d8e85f5ecc8af9a68f4711393ddb6ee71582284241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177a16fb3dab004c86b6f2c2b90e38319c396ff06d41bddb9cb43f36f95b1d1d2eef3d8e85f5ecc8af9a68f41133d3fde37e41782284241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177a16fb3dab004c86b6f2c2b90e38319c396ff06d41bddb9cb43f36f95b1d1d2eef3d8e85f5ecc8af9a68f40183d6b8f6ae61482284241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177a16fb3dab004c86b6f2c2b90e38319c396ff06d41bddb9cb43f36f95b1d1d2eef3d8e85f5ecc8af9a68f41456b3f8e3ee04682284241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177a16fb3dab004c86b6f2c2b90e38319c396ff06d41bddb9cb43f36f95b1d1d2eef3d8e85f5ecc8af9a68f43426e68de39e11282284241

어디 며칠 갔다와야해서, 그림떡밥들 좀 올린다.

밑에 글은 막 후갈기다가 만건데, 예습 해보라고 그냥 대충 올린다. 읽어볼 사람은 읽어보셈.

갔다와서 그림설명 제대로 해보겟슴.


디씨연재는 이게 편하다. 어디 다른 작곡사이트에다가는 글을 이따구로 마구잡이로 올릴 수 있겠음??

참 좋은 사이트다.


===============================================================


<<화성기능영역설명>>




1) T의 "직접관계영역"


온음계적(P5아래위)(S, U) 


반음계적(M3아래위)(cS, cU)




2) "직접관계영역(S, U, cS, cU)"으로부터 "안정화되는 영역"


완전히 안정화되는 영역: T (P5아래위, M3아래위)


충분히 안정화되는 영역: cSU (P5아래, M3위), 

                        cUS (M3아래, P5위)


간접적으로 안정화되는 영역: cSS (P5위, M3위)

                            cUU (P5아래, M3아래)    (원리설명)




* 1) "직접관계영역"은 "동적"이다. 일단 움직임이 막 발생한 영역이다.


* 2) "안정화영역"은 문맥적으로 "관계성"의 의미를 가지는 영역이다. 

이리저리 발생된 문맥적 움직임들 사이의 관계성으로부터, 자신의 거처를 매듭짓는다.




3) T와 무관계한 영역 (배음공명적 설명필요)


온음계적으로 무관계한 영역: SS, UU


반음계적으로 무관계한 영역: O




4) "문맥영역"과 "비문맥영역"


1) "직접관계 영역"과 2) "안정화 영역"을 <문맥영역>이라 하고,

3) "무관계 영역"을 <비문맥영역>이라 하겠다. 


12개 영역은 4개의 삼각형을 이룬다.

여기서 3개의 삼각형 [cSS-S-cUS] [cS-T-cU] [cSU-U-cUU] 들은 <문맥영역>이고,

나머지 하나의 삼각형 [UU-O-SS]는 <비문맥영역>이다.



5) 직접관계영역의 수식관계


S와의 수식관계: 온음계적(P5아래위)(SS, T),  반음계적(M3아래위)(cSS, cUS)


U와의 수식관계: 온음계적(P5아래위)(T, UU),  반음계적(M3아래위)(cSU,cUU)


cS와의 수식관계: 온음계적(P5아래위)(cSS, cSU),  반음계적(M3아래위)(cU, T)


cU와의 수식관계: 온음계적(P5아래위)(cUS, cUU),  반음계적(M3아래위)(T, cS)



--------------


이제 여기서 도미넌트 음형에서 "무관계영역의 합성"을 설명하고,

모든 진행 유형들을 분류하여 제시하자.


------


간접안정화 예시,


대표적인 진행 S-cS-cSS-T 에서 [파라도][파랄도][렐파랄][도미솔]


cSS는 S-cS로부터 간접안정화(P5위M3위)되고

T는 S-cS로부터 간접안정화(P5아래M3아래)되고 있다.





================================================================


<<하나의 리전을 보이싱하는 법칙>>




1) 우선 리전의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해당리전의 [13]에 대한 강음인 1음을 P5나 M3으로 삼켜서는 안된다.

즉 [4]음과 [#5/b6]음이 나오면 안된다.

따라서 S/cSS/cS/cU 네 개의 리전은 탈락된다.

나머지 7개 리전을 [13]에 대해서 자유롭게 합성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13]이 "중역대"에서 문맥적 중심으로써 충분히 울리고 있는 상태를 전제하고, 

이에 대해서 하성의 베이스를 자유롭게, 상성의 합성리전들을 7개 리전들 중에 자유롭게 첨가하면 된다.

중역대의 [13] 리전에 대해서 그 아래에 다른 리전이 울리면 안된다. 

그렇다면 이것은 그 하성에 울리는 리전을 [13]으로 여겨서 다시 보이싱을 다루어야 한다. 


하성에 올 수 있는 베이스의 종류에 대해서:

상성에 합성되는 7개의 리전들이 중역[13]에 대해서 어떤 관계에 놓이는지:

a) 종속관계 cSU/U/cUU

b) 모호한지배 cUS 

c) 무관계 SS/UU/O


이때 하성의 베이스를 나름의 배음공명적 생태계를 파악하여 관리해야하고

상성에 합성된 리전 사이의 부수적인 관계성도 차악하면서 계층적으로 다루어야한다.


2) 예외 보이싱 [#5/b6]을 첨가하는 경우

증화음의 경우. 경과적으로 중의적인 세 리전(삼각형리전)을 형성하는 경우.

지금 리전이 다른 리전과의 관계성 속에서 경과적인 상태의 보이싱임을 확연히 하는 울림상태이다.


3) 예외 보이싱 [4]를 첨가하는 경우,

[13]에 대해서 [46]을 첨가한다면 명백히 이것은 [13]리전이 아니고,

[46]을 [13]으로 하는 다른 리전이지만,

[4]음만 첨가된다면, [46]리전이 형성되지 않지만, [13]을 삼키고는 있다.

이 상태를 의식하면서 [4]음을 생각하라.



==================================================


중역대에 기본적으로 울리는 임의의 리전 X[13]에 대해서(조성적 의미에서 T가 아니므로 X라고 함).

X[13]리전을 유지하면서 보이싱하려면,


일단은 [4]음과 [#5/b6]음은 베이스건 상성이건 나오면 안됨.


또, 하성에 다른 리전이 울리면 안됨. 안된다는 의미는 이제 더이상 X[13]의 리전이 아니고,

다른 리전이 되어버린다는 의미임.


그러므로, 베이스에 어떤 음이 울리면,

X[13]의 상성에 어떤 음을 부가할 때, 베이스음과 더불어 다른 리전이 형성되도록 음을 울리면 안되는 것임.

이렇게 되면 더이상 [13]리전이 아니게 됨.

예를 들면 2bass [13]에서 상성에 #4음을 울리게 되면, [2#4]리전이 도리어 이 음향의 기본적인 뼈대로서 주도하기 때문에,

이건 [2#4]리전이 되고 이 기준으로 다시 [13]으로 고쳐 읽어야 함.

그런데 2bass[13]에서 상성에 b7음이 나오면 [b72]가 생기더라도 약음이 하성에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즉 [13]의 하성에 어떤 베이스가 나올 때, [13] 상성에 베이스음의 M3도 음을 첨가하는 것만 안하면 된다는 말이다.


지금 설명하는 것에 오해가 없었으면 하는 것이,

지금 본인이 보이싱에서 "제약사항"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고,

보이싱 종류를 나열함에 있어서 Prime 형태를 지키기 위함이다.

즉 2bass[13] 상황에서 상성에 #4가 당연히 울려도 되지.

그러나 보이싱을 다루는 데에 있어서 보이싱형태를 Prime화 하기 위해서,

이건 [13]리전이 아니고 [2#4]리전을 다시 [13]으로 읽으셈. 이걸 알리기 위한 거다.

즉 본인은 "최대한 자유로운 보이싱 법칙"의 모든 경우의 수를 알려주고 있는 것임.


[4]음이 빠지면, S, cSS 합성불가능

[#5/b6]음이 빠지면, cS, cU 합성불가능


UU, SS, O는 [13]에 대해서 무관계영역이므로, [13] 기능성을 전혀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합성할 수 있다.


U는 [13]에 직접적으로 온전히 종속되는 영역이므로 [13]에 속하는 울림이다.


cSU 도 [13]에 종속된다. 현대음악적 보이싱의 대표적인 mM[13,b35]화음.

cUS가 상성에 울리면 [13]에 종속적이지 않으면서 울리는 mM화음.


cUU는 간접적으로 종속적이다(두개의 M7).



---


리전들을 자유롭게 증화음으로 만들어 합성해도 된다.


[46#1]

[13#5]

[57#2]

[2#4b7]


이렇게 4개의 삼각형이 있는데,

[13#5] 이건 [13]리전을 보존해야하므로 증화음을 만드는 데에 주의해야 하고,

[46#1] 이건 4음이 있으므로 [13]리전을 해치니까 만들 수 없고


[57#2]

[2#4b7]


이 두 개의 증화음 삼각형은 [13]에 대해서 자유롭게 합성하면 된다.


--------


또 특별히 "리전"을 합성할 이유는 없다.

그냥 개별적 단음들을 자유롭게 합성해도 된다.

단, 4음과 #5/b6을 첨가할 때는 주의해야하고,

임의의 bass음 상성에 M3음이 울려서는 안된다는 것만 주의하면,

어떠한 음이든 자유롭게 합성하면 된다.


--------


이게 [13]리전을 중심으로 삼으면서 보이싱하는 법칙의 전부이다.



--------


그리고 4음과 #5/b6음을 사용하는 것은, 특별히 주의하면서 의식적으로 그 음들을 관리하라.


--------


리전을 아예 형성하지 않는 보이싱도 당연히 많다.

이것은 자기가 알아서 할 일이고,

이런 보이싱이 그 울림 자체에서는 리전을 확립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문맥관계적으로 충분히 그 각 구성음들은 맥락적 리전기능 안에 있기 때문에,

각 구성음들이 조 안에서 어떤 지위를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서,

개개음들의 생태계를 관리해주면 그만이다.

순간적 보이싱에서 리전이 꼭 음향적으로 확립되어야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즉 음향적으로 리전이 확립된다 함은, 보이싱 안에 M3음정이 들어있다는 것이다.

보이싱에 M3이 없다 하더라고, 문맥 안에서 간접적으로 M3의 관계성이 엮이고 있고, 

그 안에서 음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면서 움직이고 있는지 파악하면 될 일이다.


리전을 확립하지 못하는 음형으로는 대표적으로

4도화성에서 4음까지 쌓아올린상태 (대표적으로 sus7같은).

또는 dim7같은 것들이 있겠다.

이런 것들을 정형화된 보이싱 형태로 굳이 분류할 필요는 없다.

그냥 알아서 각 음들을 문맥적으로 진행시키다보면, 어떤 식으로라도 음형을 이루면 그만이다.


====================================================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9bcc427b08177a16fb3dab004c86b6f2c2b90e38319c397f606d41bddb9cb431b2ea78c17d44fd1373d9e2799125f597bf0cc46fb4c1dce62107ba38e



[0. 서론잡설] https://gall.dcinside.com/compose/73950



[1. 음정의 배음관계] https://gall.dcinside.com/compose/73955


[1-2. 음정의 배음관계(2) ] https://gall.dcinside.com/compose/73978



[2. 온음계화성의 공명관계와 기능성 ] https://gall.dcinside.com/compose/73987


      [중간떡밥]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107


      [막간의 답변]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48



[3. 기능화성표]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53

      

      [12key 기능표 1]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54


      [12key 기능표 2]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55


      [12key 기능표 3]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56


      [막간의 답변2]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387



[4. 선법적 화성이란?] https://gall.dcinside.com/compose/74620



[5. 소리그물(tone-nets) 기능화성학]


      1)  https://gall.dcinside.com/compose/76127


      2)  https://gall.dcinside.com/compose/76128



[6. 반음계화성 스케일]


      1) https://gall.dcinside.com/compose/76130


      2) https://gall.dcinside.com/compose/76156



      *[모달작법 곡분석] <Ryuichi Sakamoto - SILK endroll>  https://gall.dcinside.com/compose/76233

      *[모달작법 곡분석] <Takashi Yoshimatsu - Water Color scalor - V.Rondo> https://gall.dcinside.com/compose/76282



      [또 막간답변] https://gall.dcinside.com/compose/78457

      *[모달작법 곡분석] <Ruyichi Sakamoto - 파랑고양이의 토루소> https://gall.dcinside.com/compose/78482



[7. 리전에 대한 이해] https://gall.dcinside.com/compose/78575

      *[모달작법 곡분석] 16세기 선법, 팔레스트리나 https://gall.dcinside.com/compose/78831


추천 비추천

9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84065 작갤 일일체험 후기 [2] ㄱㄴㄷ(223.62) 15.04.01 665 10
84055 프리즘은 아는것만 썰 풀어라 사기꾼아 좀.. [11] ㅇㅇ(223.131) 15.04.01 643 17
83842 클작필독) 학교별 차이점 [13] 구텐.모르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3.28 1820 9
83798 혼사운드(종석이}랑 중,고등학교 동창입니다. [3] ㅁㅁ(125.128) 15.03.28 1020 9
83751 프로텔도 감성적인 부분이 채워지면 혼사운드 따라잡을수 있다고봄 [1] ㅎㄹ(112.213) 15.03.27 293 5
83749 작곡갤에서 그나마 프로텔이 혼사운드 실력에 근접했다고본다 [1] ddsak(58.180) 15.03.27 343 6
83725 혼사운드 같은 애들이 오히려 천재 같은 스타일이지 [4] ㅁ-ㅁ(112.213) 15.03.27 612 6
83677 나 같은 천재 예술가가 돈 벌려고 다른일을 해야 된다면 잘 못 된거야 [7] 혼사운드(112.158) 15.03.26 941 5
83676 겸손에 대해서 한마디한다 [3] ㅇㅇ(223.62) 15.03.26 497 9
83582 작갤 한 문장으로 정리 [2] ㅊㅊ(125.246) 15.03.24 449 7
83537 음악하고 싶으면 작갤오지맙시다 [6] ㅇㅇ(223.33) 15.03.23 980 13
83482 자작곡 올릴때 퇴로 열어놓고 올리는 새끼들 단골 레파토리 [3] 강간산업(223.62) 15.03.22 652 8
83417 작갤 병신리스트 [3] ㄹㅇ(220.85) 15.03.21 566 6
83394 [자작곡] 복학생 오빠들이랑 놀아줘라 [16] 도라에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3.21 739 13
83336 프리즘과 나이든형 톰과제리네 [7/1] ㅇㅇ(223.62) 15.03.20 487 6
83317 작곡가의 가장 중요한 3가지 덕목.. [5] 창작의 고통(58.235) 15.03.20 1470 13
83251 클립안뜬다는 븅신들봐라.jpg [59] 형형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3.18 1209 5
83163 세월아 네월아 허송세월 보내는 미디충들이란 [4] ㅇㅇ(223.62) 15.03.17 920 11
83158 노래 만드는 놈들 화성학 논쟁을 내가 종결시켜준다. [23] 나이든형(119.201) 15.03.17 1303 11
83021 윈7쓰는 갤러들 이거 주의해라 (음압관련) [3] 형형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3.14 654 5
82895 한스짐머 스타일 심포니 쉽게 쓰는 방법 알려준다. [36] ㅇㅇ(222.117) 15.03.13 3121 21
82666 친구랑 화성학배워야하는걸로 싸움 [6] (39.7) 15.03.09 782 14
82664 형아들 작곡 처음 배우려면 어떤것 부터 시작 해야되요 ? [7] ㅇㅇ(223.62) 15.03.09 734 8
82578 ㄹㅇ 정곡을 찌르는 만화 ㅠ [4] 박수치는나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3.08 763 12
82175 [프리즘곡 리믹스배틀] [4] ㄹㅇ(220.85) 15.03.01 614 6
82170 [프리즘곡 리믹스배틀] [11] ㄹㄹ(121.133) 15.03.01 581 6
81822 음악 평가에서 명심해야 할 것 [9] 나이든형(119.201) 15.02.25 910 6
81758 비트 만들었어. 들어줘. [10] 혼사운드(112.158) 15.02.25 992 5
81645 이진아 별 거 아니라고 작곡 이론으로 욕하던 작곡 갤러리 전문가들 읽어봐 [30] ㅇㅇ(211.171) 15.02.24 2672 7
81311 대한민국 최고 작곡가의 명언이다 [6] ㅁㅁ(118.45) 15.02.22 1544 6
81256 스피커 비싼거 필요없다 [10] 믿어봐(223.62) 15.02.21 1293 9
81108 프리즘곡 리믹스했음 [9] 리디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2.19 660 7
81106 야 씨발 작갤롬들은 막 입으로도 작곡하고 피아노 건반으로도 작곡한다며? [6] WarpEmper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2.19 767 9
80957 작곡갤러리 공식 작곡력 단위는 Prism입니다. [6] ㅇㅇ(75.69) 15.02.17 786 7
80917 도대체 실용음악과는 왜 있는걸까? [17] Dz(221.138) 15.02.17 1904 28
80729 디지탈 음반유통업체를 운영한 게이다. (업체 망함) [111] 망한 유통업체 대표(218.153) 15.02.15 9826 59
80685 너네진짜 저런애들 글 진지하게보냐? [2] 13(103.10) 15.02.14 590 11
80669 자작곡을 올리고 깨달은 것들 - 다섯가지의 대죄 [11] 프리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2.13 1070 12
80661 자작곡2(폭파) [18] 프리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2.13 758 10
80651 자작곡(폭파) [24] 프리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2.13 931 13
80622 프리즘 글을 검색해보니까 [1] ㅇㅇ(120.50) 15.02.12 418 10
80620 줫밥들을 위한 꿀팁 공지올려라 [27] ㅇㅇ(180.226) 15.02.12 1941 198
80590 [자작곡] Tilt Shift 작년에 만들었던 곡 올린다 [2] 마시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2.12 554 222
80477 일렉 한곡 써왔다 제목은 mad swing [29] 무럴킹(75.69) 15.02.09 1905 14
80430 나이든형 일침폭격당하는거 보고 솔직히 옆에서 지렸다 [1] ㅇㅇ(211.36) 15.02.08 472 9
80369 [배음공명화성학] 9. 음고류 그물 (Pitch-class Nets) [4] 예수님짱짱맨(115.31) 15.02.07 2677 8
80368 [배음공명화성학] 8. 화성문장 종류 다섯 가지 [1] 예수님짱짱맨(115.31) 15.02.07 1482 7
80365 [배음공명화성학] 이런저런 질문들에 대한 답변들 예수님짱짱맨(115.31) 15.02.07 1249 6
80278 자작곡으로 싱글 냈어요~! [2] 알섬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2.05 934 5
80142 한국인은 리듬감이 없다. [3] ㅇㅇㅇㅇ(218.38) 15.02.02 878 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