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구조 하려는 사람들이 생각할 문제.

건갤러(112.166) 2023.11.24 16:05:08
조회 633 추천 7 댓글 30

구조 하려는 사람들이 생각할 문제.

여기도 가끔 구조 시작하려는 건붕이가 보인다.  그런데, 구조 일 하려는 사람들이 꼭 생각해야 할 문제가 있다.  구조 분야에 들어가는 건, 인생을 건 도박이야.  성공 확률은 아주 낮고, 성공해도 보상이 별로야.  성공해도 안 풀리는 문제가 있다.  그러니, 다음 문제를 잘 생각하기 바란다.  
소장들 입장에선 멋 모르고 구조에 뛰어드는 호구가 많아야 좋지만, 정확한 정보는 알려야지.  

1. 기술사 합격
기술사 딸 수 있냐?  제일 중요한 문제다.  심지어 소장들도 구조가 좋은 직업이라고는 못 한다.  기술사 따면 좋다고 꼬시지.  구조 했는데 기술사 못 따면, 인생을 건 도박에 실패해서 좆망하는 비참함만 남는다.  기술사 따도 아래 적은 단점이 있는데, 못 붙으면 정말 꽝이지.
사실 기술사 합격은 사람마다 달라.  반년만에 독학으로 붙는 사람도 있고, 몇 년을 학원 다녀도 떨어지는 사람도 있다.  개인적인 경험으론, 출신 학교에 따라 합격률이나 수험 기간이 크게 다른 것 같아.  그러니 너희 학교 선배들 준비기간과 합격률을 알아봐라.  조심할 게, 붙은 사람은 당당하게 나대지만 떨어진 사람은 쪽팔려서 숨기니, 합격률이 실제보다 많이 높아 보인다.  그리고 기술사 기출문제도 살펴보고, 네가 공부하면 풀 수 있을지 따져봐라.

2. 구조일 안 해도 기술사 딴다.
요즘은 옛날과 달리, 구조사무소 안 다니고도 구조기술사 따는 사람이 많아.  대기업 시공사 출신 합격자도 꽤 많이 보인다.  시공사 출신은 장점이 많아.  우선 월급을 많이 받으니, 못 붙어도 기본은 하고, 또 개업 자금 모으기도 좋다.  개업한 뒤에도, 대기업 인맥으로 일 따기도 좋아.  합격하고 그냥 계속 다녀도, 왠만한 개업 기술사 만큼은 번다.  구조사무소는 합격하고 계속 다니면, (월급이 허접해서) 미친 짓이다.  
대기업 못 갈 정도의 능력이면, 어차피 기술사 따기 어렵다.  따라서 기술사 딸 만한 사람이면, 대기업 다니다 기술사 붙는다는 선택지도 생각할 수 있다.  

3. 소득
구조사무소 월급은 정말 정말 짜다.  (퇴직금 포함) 3000 넘으면 상위권이고, (퇴직금 포함) 3000 후반이면 최고 수준이라고 자랑한다.  정상적인 연봉 표기법은, 제시받은 연봉의 12/13 이 된다.  3군 시공사도 이보다 훨씬 많이 준다.  
성과급은 약속만 하고 안 주는 경우가 많아.  소송하면 받기는 하는데, 피곤하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러니 구조사무소에서 성과급으로 꼬시면, 성과급 잘 주는지 쪽 확인하자.  
기술사 따도 소득은 영 별로야.  개업해서 크게 성공한 일부를 빼면, 평생 대기업 간 동기들 수입을 따라잡기 힘들다.  생애 소득을 따지면 더 비참한데, 대기업은 젊은 시절 훨씬 많이 벌어서 이자가 쌓이고, 이는 개업해도 왠만큼 성공해서는 메우기 어렵다.  

4. 사회적 지위
구조사무소 직원의 사회적 지위는, 대기업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바닥이다.  보통 "좆소 직원 A" 취급을 받는다.  옛날에는 공부 잘 하는 사람이 구조해서, 그나마 건축 업계에서 무시는 안 당했다.  그런데 요즘은 공부 잘 하는 사람은 구조를 안 하니, 동뮨들 사이에서도 취급이 안 좋은 듯 하다.  

5. 결혼
결혼이 어렵고, 배우자 수준도 많이 떨어진다.  위에서 소득과 사회적 지위가 안 좋다고 했다.  이에 따라, 결혼시장에서 경쟁력이 엄청나게 떨어진다.  나중에 기술사 따더라도, 결혼 적령기에는 대부분 "저소득 좆소 직원 A" 밖에 안  된다.  따라서 결혼이 어렵고, 결혼해도 배우자 수준이 떨어진다.  

6. 집
집 사기 어렵다.  젊은 시절 구조사무소 박봉으로는 집 못 산다.  혹시 나중에 기술사 되어서 개업해서 자리 잡아도, 그동안 집값은 몇 배로 올라버린다.  결국 집을 사기가 매우 어렵다.  반면 대기업 직원은, 월급도 많고 대출도 쉬워서, 집이 싼 젊은 시절에 구입할 수 있다.  

7. 개업 성공
개업 성공은 매우 어렵고 확률도 낮다.  기술사 딴다고 끝이 아니야.  개업해서 망하는 비율도 높고, 안 망해도 겨우 버티면서 월급쟁이만도 못 한 사람도 많다.  직원 뽑을 엄두도 못 내고, 혼자서 겨우 먹고사는 사람도 많고.  직원도 뽑고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도, 삐끗하면 망하고 빚더미에 올라 앉곤 한다.  
일거리 없어서 노는 사람도 많고, 일 많이 해도, 돈을 못 받아서 망하는 경우도 꽤 있어.  일 해주고 돈 떼이는 비율도 높고, 몇 년 지나서 겨우 받는 경우도 많으니까.  
주변에는 잘 나가는 구조사무소가 주로 보이는데, 착각하지 말자.  잘 나가는 극히 일부 사무소는 일도 많이하고 사람도 뽑아대닌 눈에 띈다.  반면 망하거나 겨우 버티는 사무소는, 일도 적게하고 사람도 안 뽑으니 잘 안 보이거든.  

8. 요약
일단 기술사 딸 수 있을지를 따져봐야 한다.  구조사무소 안 가도 기술사 딸 수 있고.  구조사무소는 연봉과 사회적 지위가 낮으며, 따라서 결혼과 집 사기가 매우 어려워.  개업하면 망하기 딱 좋고, 성공은 매우 어렵다.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35078 릴스 좋소특하는데 연봉협상 3800 3600 부르며 착취라 말하네 [1] ㅇㅇ(118.235) 23.12.19 149 1
35077 소형종합건설회사 다녀본사람 [3] ㅇㅇ(183.100) 23.12.19 175 0
35076 한국에서 BIM 하기 아주 죶같은 근본적인 이유를 알려주 [3] GULFSTRE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9 268 3
35075 건축갤러리로 놀러오십쇼 기린이기린기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9 157 2
35074 건물갤은 니 원하지 않으니까 [1] 건갤러(117.111) 23.12.19 189 5
35072 한국에서 BIM을 못쓰는 이유는 간단하다 [1] GULFSTRE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9 190 2
35070 보통 전문가,실무자들은 bim안쓰면 이라는 표현을 안쓰는데 [2] 건갤러(112.220) 23.12.19 156 0
35069 해외프로젝트 대형프로젝트는 BIM 안쓰면 계약자체가 안되는데 [6] GULFSTRE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9 145 0
35068 GULFSTREAM보면 딱 중소생산장비업체 생산직같음. [1] 건갤러(112.220) 23.12.19 93 5
35067 GULFSTREAM이 BIM 비판에 계속 발작하는 이유 [5] 건갤러(58.230) 23.12.19 138 2
35062 한국에서 왜 bim이 안되는지 알려주겠음. [15] 건갤러(218.153) 23.12.19 1458 14
35061 Gulf뭐시기=>건축사임?ㅋㅋ [3] 건갤러(117.111) 23.12.19 172 0
35058 구조 형님들 계십니까 [15] ㅇㅇ(211.108) 23.12.18 315 0
35057 내년이 건축계 변곡점일 [11] 건갤러(121.133) 23.12.18 348 2
35055 쟤 먹이주지말고 차단해라 [2] ㅇㅇ(118.235) 23.12.18 115 1
35053 건축은 인공지능이 성공할 수 없는 이유 [3] 건갤러(112.220) 23.12.18 297 4
35052 건축학 인증제도도 총량제 같은거 실시해야되는거 아님? [1] ㅇㅇ(223.38) 23.12.17 158 0
35051 건대 건축은 전문대학원 진학할때 또 입시해야됨? [3] ㅇㅇ(223.38) 23.12.17 223 0
35050 기사 없이 취직되었으면 굳이 건축기사 딸필요 없나요?  [3] ㅇㅇ(118.235) 23.12.17 309 0
35049 이 건물 진짜 멋있다 [6] 건갤러(125.132) 23.12.17 327 6
35047 건축 갤러리도 놀러오십쇼 기린이기린기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7 178 3
35046 IT 인공지능 시대에 건축을 전공한다는것슨 [6] GULFSTRE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6 265 4
35044 건축설계vs9급 교순소 [2] ㅇㅇ(118.235) 23.12.16 212 0
35043 “여보, 우리집 건설사 망하는거 아니지?”…대마(大馬)도 안심못한다  ㅇㅇ(14.46) 23.12.16 118 0
35042 건축은 여자들 군대안가니 라이센스따고 20대후반에 공기업으로 튀네 [3] ㅇㅇ(118.235) 23.12.16 280 2
35041 건축학 전망 어떰? [11] 건갤러(111.171) 23.12.16 461 0
35040 건대 건축전문대학원 질문있슴다 [2] 건갤러(211.234) 23.12.16 174 0
35038 건국대 설계는 어떤 편인가요? [3] ㅇㅇ(125.129) 23.12.16 205 0
35037 통상적으로 건축사 자격이랑 어울리는 기술사 [2] ㅇㅇ(223.38) 23.12.16 260 0
35035 한국인건축가가 해외에서 건축설계한 사례가 있을까요? [2] 건갤러(49.164) 23.12.16 164 0
35034 건축학 박사학위는 그래도 3~5년이면 딸 사람은 따나? ㅇㅇ(223.38) 23.12.16 115 0
35033 부산 유엔기념공원 홍보영상 만들어봄 정현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5 39 0
35032 CCTV에 포착된 조두순 근황 ㅇㅇ(175.223) 23.12.15 99 0
35031 나 어떰 [4] ㅇㅇ(220.118) 23.12.15 200 1
35029 업계 힘든건 알겠고, 건축 책 추천 좀 [17] 건갤러(122.44) 23.12.15 440 0
35027 조경학과 복전을 할까 말까 [1] ㅇㅇ(211.36) 23.12.14 147 0
35026 구조기사가 진짜 나오면 누가제일 이득볼까?? 건갤러(106.250) 23.12.14 228 0
35024 건축사 협회 존나 무섭노 ㅋㅋㅋㅋㅋ [3] ㅇㅇ(223.38) 23.12.13 2231 22
35022 형님들 조경학과인데 건축공 복전중인데 두개 잘 어울리나요? [2] ㅇㅇㅇ(119.77) 23.12.13 151 1
35021 앨범 쟈켓 디자인을 GULFSTRE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100 0
35020 지거국 졸업하고 고졸노스펙보다 연봉더 작게 받고일함 ㅜ  [1] ㅇㅇ(118.235) 23.12.13 280 0
35019 구조기사가 어디에 나옴?? [4] 건갤러(106.250) 23.12.13 299 1
35018 여자는 건축보다는 실내디자인쪽으로 가는게 나을까요? [8] ㅇㅇ(223.39) 23.12.13 315 0
35017 건축사 배출인원 연 300명으로 줄여야한다 [4] ㅇㅇ(223.38) 23.12.13 290 0
35016 형들 진짜 조언 좀.. [8] 건갤러(223.38) 23.12.13 239 0
35015 건갤 형님들 혁필화 영상 보고가십셔 ㅎ 정현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72 0
35014 [직촬] 부산은행 본점 정현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86 0
35013 [직촬] 해운대 아우디 전시장 정현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57 0
35012 도시 촬영용 드론 구매하고 첫비행 하던날.. [4] 정현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3 89 0
35011 실내건축과 다니고있는데 건축학과로 가고싶으면 어떡하나요? [7] ㅇㅇ(36.38) 23.12.13 30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