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ehicle tactics
Table of contents
1.차량이 뭐냐
2.차량의 무기
3.관통자 및 고폭탄에 대한 이해
4.거치무기(공용화기)
5.기본 전술 및 팁
1) 차량이 뭐냐
사람이 탑승해서 부릉부릉하는게 차량이지 별거있냐
차량은 트럭 - 장갑차량(장륜) - 궤도차량 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궤도차량에는 또 자주포, 대전차자주포, 경전차 중전차 주절주절 끝이 없다.
여기서 일일이 설명하는 대신에 일반적인 특징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차량 구경은 게임켜서 해
1. 트럭계열 : 소총탄에도 계속 맞으면 마구 고장남, 철갑탄은 중요 모듈을 피격당하지 않을 경우 아예 피해없이 뚫고 지나갈 정도, 고폭탄 계열엔 스치면 터진다.
2. 장갑차 : 바퀴가 달려거나 하프트랙처럼 반궤도이며(일부 차량은 궤도) 소총탄 사격으로부터는 안전하다. 모든 종류가 제자리 회전이 불가능하며 고폭탄에 맞으면 폭발은 하지 않지만 찢겨나감 바퀴는 여전히 기관총 사격에 고장날수 있음
3. 전차계열 : 라이트,미듐,헤비 체급따라 나뉘며 게임적 허용으로 나오는 궤도차량들은 제자리 회전이 가능함, 미듐클래스부터 벽을 돌파해서 부수는것이 가능해짐 전차 계열의 시스템에 대해선 아래서 자세히 설명함
이런것도 총탄이 안먹힘 이거 잡으려면 대전차총이던지 12.7mm던지 무엇이 되었던간에 소총탄보다는 관통력이 좀 있는걸 쏴야함. 그렇지 않으면 이런일이 발생.

잘지냈냐
1) 차량이 사용하는 무기
차량의 무기 종류는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기관총은 당연히 생략하도록 함
1.오토캐논(기관포)


대충말하면 20mm 이상의 연속발사되는 물건을 기관포라고 부름, 탄종은 따로 없는데 여기 나오는 기관포들은 아래 사진처럼 고폭탄처럼 폭발하면서 관통력은 미묘하게 높음, 무슨 탄인지 모르겠다.
지금 쏘는것은 인간미가 없는 귀축미궈의 M19인데 흉악한 40mm를 쏴대는 물건으로 헬켓정도는 정면에서도 털어버릴 수 있다.
20mm대 등급은 장갑 조금 바른 차량의 정면은 힘들지만 하프트랙같이 어설픈건 개패듯 패줄수 있다.
기관포급은 보병을 종류불문 스쳐도 사망으로 만들 수 있으며 위에 나오는 40mm는 아예 닿은 보병을 흔적도 없이 분해해버리는 위력을 보인다.
2.돌격포 또는 보병지원차량 계열

이걸 뭐라고 써야할지 존나 애매하네, 지금 위쪽에서 보는것 같이 완전한 곡사는 아닌데 탄도가 완만한것들임, 위짤에서 보는것처럼 포구초속이 느린 미국의 Scott나 독일의 고자3호(포신짧은거) 소련에 BT-7이나 SU-122같은게 이런 궤도를 그림. 그밖에 ISU-152, KV2같은 포탄 무식하게 큰것들도 이거랑 좀 비슷하게 나감. 이런 포들의 특징은 고자3호처럼 철갑탄이 거의 장식에 가깝거나 Scott, KV2처럼 아예 철갑탄이 없다는점임, 탄도가 완만한걸 이용하여 엄폐물을 두고 간접사격을 하여 적을 존나 빡치게 할수있으니 요긴하게 사용하자.
3.직사포
이건 아래서 지겹게 보게 될거임, 탄종 선택이 가능하며 너가 머릿속으로 떠올리는 그 탱크포 맞음.
이 게임에서 나오는 포의 관통력은 대충 실제거리의 1:10정도로 축소되어있다고 보면 됨 거리 100이 1km정도에 대응
날아가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관통력이 그만큼 차감됨
탄종은 크게 3가지 AP, HE, APCR로 구분되며 각각 철갑탄, 고폭탄, 고속철갑탄 정도로 나뉘며 포의 체급에 따라 150까지 존재함,
원래 전작에서 고등급 포의 최대사거리 180까지 뻗었는데 하도 맵 여기저기서 저격해대니까 전장의 구역을 분리한다고 최대 사거리 150으로 칼쳤는데 존나 맘에 안듬, 딴거 다냅두고 직사포 사거리만 칼질함
잡소리는 그만하고 사거리는 탄종마다 다른데 같은 포일시 AP가 가장 사거리가 넓고 다음이 HE 그리고 그 다음이 APCR로 고속철갑탄이 제일 사거리가 짧음
4.간접사격

이런거. 2번 항목과는 달리 거의 완벽한 곡사가 가능함,105mm등급의 곡사포들은 사거리가 225, 150mm등급은 사거리 250, 로켓종류들은 보통 180 이건 종류마다 사거리와 폭발력이 다르니까 직접확인. 빨갱이들 트럭형 카츄샤 폭발력 좆사기
여기에 포함되는 무기들은 돌격포 계열과는 다르게 한번 사격하면 정해진 Barrage를 전부 발사해야 재조준 및 재배치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한번 발사하면 긴 재장전 시간을 갖게 됨.
대충 다음 그림에서 Field gun이라고 표시된게 150mm 간접사쯤 된다고 보면됨

여기에 포함되는 무기들은 일반적인 보병 또는 진지에 대한 포격 이외에도 대포병 역할을 수행하는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로켓들은 미친 화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로켓들에 대한 대포병이 특히 유효하며 포병끼리의 신경전은 견인포보다 자주포 계열이 훨씬 유리하다.
다음은 대포병의 예시이다. 트럭형 카츄샤는 특히 대포병에 약하다. 보통 견인포 계열에 대한 대포병은 3번 정도 쏴야 잡히는데 결국 운빨이기 때문에 쐈다면 맞기를 빌자.

5.특수무기

대충 이런거. 위짤은 셔먼 튤립의 항공로켓이고, 셔먼 또는 처칠 크로커다일형의 화염방사기 등이 이에 포함
3) 관통자 및 고폭탄 그리고 모듈에 대한 이해
이 부분은 워썬더를 해본 사람이라면 이해가 쉽다.
차량 모듈
먼저 모듈에 대해 살펴보자. 윾싼다가 나오기 전에 나는 여기서 모듈 시스템을 처음 접해서 당시 나에게는 좀 충격이었음.
전차를 기준으로 말하자면 겉으로 표시되는 모듈은 크게 주포, 터렛, 차체, 트랙, 엔진이 존재한다.
만약 터렛이 없는 자주포 계열 차량이라면 저 중에서 터렛이 없다. 이 게임의 차량은 HP가 없기 때문에 유효한 타격을 주지 못할시에는 뭔짓을 해도 소용이 없다.
장륜차량(그냥 바퀴달린거)의 경우엔 트랙 대신에 타이어 펑크와 바퀴 해체가 있다. 펑크는 말그대로 바퀴에 기관총 사격 같은거 받으면 차량 상태창에서 빨간색으로 변하면서 속도나 조작감이 심하게 구려지며 좀 등급이 있는 고폭탄에 영향을 받을 경우 맞으면 바퀴가 아예 빠져버려 수리도 못하게 된다. 다음을 보자.


으앙 내 다리, 게임 화면 좌측 하단의 차량 상태에서 빨간색의 펑크와 검은색의 바퀴빠진 수리 불가 상태를 보여주고 있음
근데 어차피 바퀴빠질정도로 얻어맞을 정도면 이미 죽은 목숨이나 다름없기때문에 그다지 신경쓸일은 아니다.
각 모듈 손상에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서 함
관통 인디케이터와 장갑 계산방식의 개요
다이렉트 컨트롤 상태에서, 차량으로 물체들을 조준하면 빨간색 초록색 그리고 숫자가 뜰것이다. 당황하지 말고 살펴보자

사용 화포는 기억이 안나지만 어쨌든 4호H형을 조준하는 모습이다. 현재 사용중인 화포의 해당 거리에서 관통력은 색깔 있는 박스 안에 표시된다.
마우스를 움직여 조준을 할 수 있으며 빨간색-노란색-초록색 은 그 위치에 정확히 명중하였을 경우 관통이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 말해준다.
해당 인디케이터는 친절하게 충돌 각도까지 계산하므로 판정에는 유효 두께가 적용된다.
타겟인 4호 H의 포탑 전면은 50 차체 전면은 80, 하단은 기억이 안나지만 어쨌든 좀더 약하다.
위의 환경에서 내가 조준하는 화포의 관통력은 79이다 이제 인디케이터를 해석하여보자.
Panzer4H 포탑은 50mm이므로 맞으면 뚫린다는 초록색이 뜬다.
Panzer4H 차체 정면은 80이기 때문에 확실하지 않다는 노란색이 뜬다.
Panzer4H 차체 정면의 경사진 부분은 유효두께가 관통력 79를 한참 상회하므로 빨간색이 뜬다.
모든 차량의 트랙을 조준할 시엔 초록색이 뜬다. 대전차총으로 트랙을 조준해도 초록색이 뜨며 연속적으로 맞출 시에 트랙이 끊어지게 된다.
걍 워썬더했던놈들은 장갑뷰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름
단 위에서 말한 대로 그 자리에 정확히 맞았을 경우를 보여주는것으로 실제 포탄은 흰색 원으로 표시되는 산포계 내의 어느 곳이던지 지나갈 수 있다.

아예 빗나가버리는 이것처럼.
아 그리고 이 인디케이터는 존나 스마트하기때문에 적과 나 사이에 관통 가능한 장애물이 있어도 벽 너머의 적을 조준하면 얼마나 에너지가 차감되는지도 알려줌, 아래는 아주 얇은 나무판자로 에너지 손실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경우임

캬 2차대전에 이런 기술이!
요즘은 월탱이나 워썬더의 흥행으로 사람들에게 익숙한 개념이겠지만 한번은 짚고 넘어가도록 하자.
관통 판정은 유효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 때문에 다음과 같은 수직 장갑도 차체를 약간 틀면 경사장갑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Gun : 7.5cm KwK 42 L/70
Range : Around 110
Penetration : 107
Target armor : [Hull front 100] [Turret front 120]
위의 정보에 의하면 수직 판터의 포는 설정된 환경에서 타겟의 Hull front를 관통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차체를 살짝 틀어줄 경우

좌로 튕기고

우로 튕길수 있다. 촬영하는 동안에 뒤에 세워둔 3호전차가 뜬금없이 튕긴 포탄에 사망하였다. 만약 멀티플레이 하는데 이런일이 발생한다면 운빨좆망겜이라고 욕해주면 된다.
다만 대구경탄들은 경사를 좀 무시하는 경향이 있고, 일반 AP가 아닌 고속철갑탄을 사용할 경우 각도에 더 민감해짐

차체를 틀지 않았을 경우, 차체 전면이 초록색으로 표시되는것을 볼 수 있다.

쾅
간혹 여기서 티거 포탑 전면은 100인데 왜 120이죠 빼애애액 하는 얼치기 밀덕 새끼들 있을텐데

전문 탱크 시뮬 아니면 니들 하는 게임은 전부 다 고증 안맞으니까 게임같은거 하면서 쫑알대지 말자
아 그리고 월탱하던 사람들은 혹시 역티타임 같은걸 시도하려고 할수 있는데 좋은말로할때 그런건 안하는게 좋음
일단 관통자들은 관통만 했다고 끝나는게 아니고 관통한 위치와 확률에 따른 격파굴림을 받아야함 이게 무슨말인고 하면 관통만 하고 격파판정을 못받을수도 있다는 거임, 만약 장갑을 성공적으로 관통했다면 다음과 같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음
차체가 관통되었을 경우
1.승무원 스턴 및 사망
2.Hull pierce - 이 경우 차량이 비워진다
3.Hull damaged - 여기서부터 격파 판정임, 수리는 가능한대 조온나 오래걸림
4.Hull destroyed - 회생불가능할 정도로 망가짐을 뜻함
5.탄약 유폭 - 설명이 필요한지?
터렛이 관통되었을 경우
1.승무원 사망
2.터렛 고장, 수리시 시간이 꽤 많이 걸림
3.포 망가짐, 수리시간 짧음
4.탄약 유폭
엔진룸쪽이 관통되었을 경우
1.엔진 고장남, 수리시 시간이 두번째로 많이 걸림
2.반복피격시(혹은 성형작약탄에 의한 파괴시 무조건) 엔진에 불나고 탱크 전소
트랙이 정확히 맞았을 경우 : 트랙끊기면서 이동불가, 수리시간 짧음
주포에 일정 이상 위력의 포를 영 좋지못한 각도로 맞을 경우 : 포 망가짐, 수리시간 짧음
원래 이게임에는 터렛 탄약 유폭이 있었는데 대체 무슨 일이 있었는지 갑자기 삭제해버림, 그래서 터렛 유폭이 사라졌는데 이거때문에 빨갱이 탱크들 십사기됨, IS2 전투실 전면 각도가 예리해서 유효두께가 거의 200을 찍을랑 말랑 하는데 터렛밖에 조질수가 없음.
터렛 파괴시켜도 터렛 계속 쪼아봐야 터지지도 않고 계속 승무원만 죽음 ㅡㅡ
존나 마음에 안드는 패치, 따져도 안됨 후.. 망겜
본론으로 돌아오면, 격파굴림은 대구경 포탄일수록 점수를 좋게 받음, 그러니까 소련의 57mm 고속포는 관통해도 격파가 안될 가능성이 높지만 85mm는 뚫을시 웬만하면 격파 판정을 받을 수 있음, 안되면 뭐 니운명임
그리고 역시 고속철갑탄은 격파굴림이 나쁨 특히 홍차새끼들 AP탄환은 안에 뭐가 없는 통짜 쇠라서 일반 철갑탄도 격파굴림 나쁨, 영국 통한의 1패
뭐 사실 이런건 게임이니까 그런거지 차량도 결국 사람이 운전하는것이기 때문에 현실에선 관통당해서 승무원 한명이라도 죽으면 멘붕 + 내부 전소시키고 탈출하는게 당연한거임, 이미 뚫렸다는 말은 그만한 화력에 노출되었다는 뜻이고 차량 입장에서 반격하는것보다 후속타가 훨씬 빨리 날아올 것이므로 나가는게 훨씬 현명함, 안에 시체 냅두고 계속 운용하는것도 말이 안되고, 단 맨오브워에 있는 군인들은 워썬더처럼 존나 참군인이라 승무원 죽어나가도 계속 싸움
여태까지 철갑탄에 의한 손상을 알아봤으니 이제 고폭탄 계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차량에 대한 고폭탄의 효과
고폭탄 계열은 성형작약탄계열과 마찬가지로 거리에 따른 위력 차감이 없음
트럭계열 차량은 위에서 말했다시피 고폭탄에 맞으면 웬만하면 얄짤없이 터짐
장갑차들의 경우 위에서 말했던 바퀴같은거 뺴면 탱크들과 비슷한 데미지 모델이 적용되는데 솔직히 얘들은 대부분 소총탄만 막는 수준이라 그다지 의미가 없음.
다음은 장갑차량에 대한 고폭탄효과의 예시이다.

트랙가드를 벗기다니 어멋 변태
두가지 효과가 나타남을 볼 수 있는데 만약 고폭탄 사격으로 장갑차량이 파괴되지 않았을 경우 Crew injured라고 뜨면서 차량이 잠깐 스턴에 걸린다. 고폭탄의 경우 승무원 부상이라고 뜨긴 하는데 관통자와는 달리 실제로 승무원이 죽거나 하지는 않고 스턴만 걸림 그리고 차량이 격파되지 않았더라도 위 사진에서 나오는 트랙 가드 같은 외장품들은 고폭탄에 의해서 분해가 될 수 있음. 트랙도 고폭탄에 의하여 끊는것이 가능, 꽤 자주 끊긴다.
고폭탄에도 등급이 있는데 대충 급을 나누자면 다음과 같다

203mm인데 230mm라고 썼네 아이고 이미지라 수정도 못하고 ㅡㅡ
장갑차량이 고폭탄을 받으면 모 아니며 도이다.
버팀/완파 둘중 하나라는 뜻임, 버틴다면 위쪽의 킹타이거의 경우처럼 스턴만 걸리고 못 버틸 경우에 아래쪽 짤처럼 완파가 된다.

152mm 포탄에 포탑을 피격당하고 상대적으로 약한 포탑 아래쪽 25mm의 상부 장갑이 고폭탄에 영향을 받아 파괴되는 모습이다.
에엥 태클 들어와서 상부장갑 데이터 확인해보니까 40이 아니고 터렛 상단하고 차체 상단 둘다 25였군요 왜 26이 아닌 25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쨌던 약합니다,
다음은 이 게임 고폭탄 계열의 최고존엄 슈툼티거의 380mm 로켓포 직격임

슈퍼헤비중 가장 튼튼한 편인 왕호랭이도 이런거 맞으면 별수없음
4)거치무기(공용화기)
공용화기는 물론 차량은 아니지만 여기서 일괄적으로 설명하도록 함.
공용화기는 2인이상(오리콘20mm같은 1인승도 있긴함)이 조작하며 자력주행이 불가능, 견인을 제외한 이동은 사람 인력으로 하게 된다.
종류는 존나 다양하다 다음 화면에서 박격포를 빠트렸지만 어쨌든 박격포도 여기포함

많기도 하다.
이들을 이동시키는건 인력이므로 이동이 매우 느리다는 특징이 있음 이건 장비가 무거울수록 심해지는데 저 곡사포 계열이나 88mm 대공포하고 장포신형은 진짜 존나 개 느리니까 애들 고생시키지 말고 차량으로 견인시키자. 그리고 방향전환을 제외한 이동에는 두명 모두가 필요함, 한명이라도 중간에 죽으면 이동이 불가.
이들을 전개하거나 접을 때는 Stand/prone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음. 생각보다 유용하니 잘 알아두자.
여기서 박격포나 기관총 같은 소형 공용화기를 빼면 일반적으로 20mm 이상급 물건은 견인이 가능한데 어떻게 하냐면 차량이 주변에 있다면 공용화기를 선택한 채로 차량을 클릭해도 되고 차량을 누른 상태에서 공용화기를 눌러도 연결됨 근데 차량이 움직이는거니까 웬만하면 차량을 누른 상태에서 하는걸 추천
견인은 당연하게도 임박한 적의 공격을 회피하는데 쓰일수도 있음

울부짖는 미미가 울부짖어따

피해욧!! 미미브레스!! 구석으로!!
저 빛의 속도와 같은 진지변환을 보라. 실제 견인포가 이러면 참 쉬울텐데 말이제
그리고 견인할때 주의할점은 다음과 같이 포 운용병이 외부에 앉아서 이동하기 때문에 벽같은거 막 뚫고 다니다가 파편들 낙하데미지에 사망하는 어이없는 경우가 있는데 조심하도록 하자.

지금보니까 브렌캐리어에 앉아있던 놈도 뒤지네 으휴 병신들
5) 기본 전술 및 팁
Tip.1

기관포 계열이 아닌 일반 주포들은 같은 지점에 쏘면 2단계의 명중률 보정을 받을 수 있음, 한마디로 초탄이 가장 부정확하고 3번째탄부터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낼 수 있음. 멀티에서는 위치노출때문에 잘 안쓰이긴 하는데 컴퓨터랑 할 때는 적 차량이 사거리에 들어오기 전에 그 자리에 미리 시험사를 해보는게 도움이 될 수도 있다.
Tip.2

차량으로 맵에 있는걸 건드리고 다니면 그 유닛이 안보이더라도 환경에 의한 변화는 볼 수 있음. 아무것도 안보이는데 나무가 흔들리고 쓰러지며 벽이 붕괴되고 건물이 무너지면 거기에 무언가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고 위 짤처럼 영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 전투중이 아니라면 얌전히 다니도록 하자.
사실 이건 보병도 마찬가지인데 보병이 수풀을 지나갈때 수풀 일렁이게 되는데 상대방이 눈썰미가 좋다면 이런것을 포착할 수도 있다.
Tip.3

산소가 아까운 두 병신의 싸움. 마쉐린 파오후 둘이서 솜펀치로 서로를 친다고 생각하면됨.
위의 두 전차는 바로 앞에서도 서로의 정면장갑을 관통 불가능함, 정확히 말하면 서로 트랙은 끊을 수 있고 처칠이 고속철갑탄 끼우면 저 거리에서 KV1의 터렛은 격파 가능한데 어쨌든 위와 같은 싸움은 솔직히 포탄낭비임. 상술한것처럼 이 게임 포들 관통 테이블 축적이 대강 1:10이라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관통력이 꽤나 빠르게 낮아지는데 특히 미국제 포들이 이러한 경향이 매우 큼. 서로 관통 불가능한 상태(다른말로 유효사거리 밖일경우)에서 서로 트랙이 끊겨있다면 의미없는 앉은뱅이 싸움이 된다, 그러면 홀드 파이어 명령을 걸어 포탄을 아끼거나 엄청난 양의 포탄낭비를 통해 내 포탄이 적 주포를 운좋게 반복적으로 맞춰 고장내기를 바라는수밖에.
Tip.4

차량을 조종하는 입장에서 공용화기를 부수고 싶다면 HE탄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위에서 설명했다시피 HE사거리는 AP보다는 짧다. 그리고 적 대전차포가 강력할 경우 HE사거리까지 접근하는것은 큰 부담이 될수가 있는데 AP로 적 대전차포를 맞출 경우 크루가 전부 사망하는데다가 위짤처럼 포탄이 포 작동부를 지나갔다면 무기까지 고장낼 수 있다. 다만 이래놓고 고폭탄 직격포로 포를 분해를 안하면 포를 금방 수리해서 쏠 수 있으니 그점은 유의해야함. 안전하게 하고 싶다면 AP로 망가트리고 HE로 부수자.
Tip 5

가벼운 장갑차 계열의 주행을 다이렉트 컨트롤 하고 있다면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를 조심하자. 키보드 샷건을 날리게 될지도 모른다.
Tip 6

[이 스크린샷은 예전 Men of war 시절의 스크린샷으로 지금 게임과는 차이가 많으니 설명하는 대상은 같으므로 상관이 없음.]
뭐 멀티플레이시 자주 직면할 상황은 아니지만 차량을 계속 굴려먹다보면 연료가 떨어지게 될때가 온다.
연료탱크의 용량은 차량마다 다르고 기동시 소모하는 연료도 다른데 솔직히 딱히 신경쓸건 못됨
차량에 연료가 없다 연료가 없으면 당연히 기동할수 없다.
주유는 사람이 내려서 기름통을 들고 해야함
트럭에 타고 있던 병사나 주위의 아무나 시켜서 X키를 눌러 트럭을 클릭해 교환창을 불러오고 기름통을 꺼낸다음
보병 선택한채로 전차에 커서를 가져다 대면 깔대기 아이콘이 뜬다. 그러면 주유하자
만약 기름 방울 표시가 뜬다면 기름통이 아직 가득 차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단 기름을 뺀뒤 다시 주유하면 된다.
사실 차량 전술이라고 한다면 차량이 존나게 다양한데다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은 진짜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일일히 설명할 수는 없음
미국식 탱크 디스트로이어의 경우엔 무조건 안 얻어맞는게 1순위고
IS2같은 경우엔 전투실 장갑이 조온나게 튼튼하니까 앞에서 탱커로 활약할 수 있고
이런 각각 차량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는것이 중요함. 그리고 각 차량마다 더 약한 부위가 있는데 이런것도 파악하는게 중요. 보통 대전 후기 전차로 갈수록 전투실이 터렛보다 더 튼튼하므로 터렛을 먼저 쏘는 쪽이 이득인 경우가 많은데 꼭 그런것만은 아니다.
차량의 성능도 결국 쓰는놈이 결정한다, 퍼싱을 티거로 상대하는것은 약간 불리하기 때문에 패널티를 감수해야 하지만 미제 90mm포는 거리가 벌어질수록 관통력이 급감하는 성질이 있음을 이용, 적절한 포지션으로 교착 상태를 만들거나 퍼싱의 상대적으로 약한 터렛을 먼저 박살낼 수 있다. 결국 차량은 어느정도 사람 몰기 나름. 한가지 일화를 들자면 예전에 멀티하는데 베테랑 티거가 무슨 오토 카리우스의 축복이 내렸는지 슈퍼퍼싱 2대 모두 포탑링 맞추고 리타이어 시켜서 게임 터진적 있음.
일단 한가지 개념을 알았으면 하는데 그건 유효사거리라는 것임 위쪽에서 설명한것처럼 서로의 차량 스펙을 비교해보았을 때 내가 적을 박살낼 수 있는 거리가 상대가 나를 박살낼 거리보다 짧다면, 그러니까 유효사거리가 내가 더 짧다면 지형 지물을 이용한 플레이가 중요해짐, 유효사거리가 너가 더 길다면 개활지에서 니가와 배짱 플레이를 할 수도 있음.

지형을 이용한 플레이의 예시, 물론 이 경우엔 판터가 아득히 유리하지만 그런건 아무래도 넘어가도록 하자.
보너스 1

크으 분위기2 인정합니다
보너스 2

미국산 머리게에 감염당한 좀비 병사의 습격
보너스 3

88에 전차를 잃어 분노한 숙련된 조교의 백병전 시범

이 게시물에 쓰인 움짤 및 스크린샷들은 전부 손수 제작되었습니다.
Q : 왜이렇게 열심히 써요?
A : 이거 안한다고 딱히 뭐 생산적인 일을 하는건 아님
생각해보니까 정작 이 게임에 대한 소개를 안했었네, 모르는 사람을 위해 소개를 잠깐 하자면 이 게임의 원류는 2000년대 초반까지 거슬러 올라감. 그 당시에 Best way인가 코드마스터인가에서 Soldiers: Heroes of World War II 라는 게임을 발매했는데 여기서 쓰인 시스템들이 개량을 거치고 또 거쳐서 나온것이 Men of war : assault squad 2임

[이 게임의 시초. 원래는 이렇게 생겼었다, 그래도 이때부터 오브젝트 파괴, 장갑 모듈화, 보병조작, 인벤토리, 탄약 및 연료같은 핵심 시스템은 당시에도 있었음. 뭐 장갑모델은 심히 구렸지만.]
솔져스 -> 페이스 오브 워 -> 맨 오브 워 -> 기타잡것들 -> 어설트 스쿼드 1,2며 어설트 스쿼드2가 모든 면에서 전작들보다 나으니까 전작을 굳이 해볼필요는 없다. 현재 개발사인 DMS에서도 전작들 사지말라고 할 정도니. 뭐 어쨌든 꽤 오래된 전통을 가지고 있음.
후기 :
하 첫번째로 싸지 않고 완결한 연재다.
이걸 2학기 논문보다 더 열심히 쓴듯
이 가이드의 본문은 전부 내가 작성했는데 스크린샷 및 움짤 연출은 공동저자가 하나 있음, 내가 너무 많이 요구하니까 짜증내더라 ㅎㅎ 그래도 다 만들어줌. 가끔 이 갤러리도 눈팅하는 사람이니까 누군지 말은 안하겠다.
인터페이스편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ame_classic&no=8200863
기본 게임플레이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ame_classic&no=8231398
보병전술 (1편)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ame_classic&no=8211297
보병전술 (2편)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ame_classic&no=8221936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