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본인들의 역사날조는 자국 역사에대한 열등의식에서 비롯..

한국인 2005.05.08 01:11:08
조회 663 추천 0 댓글 24

일본인들은 무엇이 그렇게 조급하여 있지도 않은 구석기 유물을 날조하고 지금 까지 밝혀지지 않은 고려청자 유약의 비밀을 밝혀냈다고 세계를 돌며 사기를 치고 다니는지 알수가 없다.
가만 있으면 누가 뭐라그러는 것도 아닌데 왜 유독 일본인 들은 역사 날조와 조작에 그토록 혈안일까?
고대사를 비롯해 현대사에 이르기 까지 끊임없이 일본을 미화하지 못해 안달이다.
지금도 잘살건만 무엇이 부족하여 과거를 그렇게도 미화하려 든단 말인가?
무릇 인간은 생긴대로 살고 생긴대로 놀아야 한다. 허위로 과거를 화려하게 치장한들 그게 무슨 소용인가? 200년 조금 넘은 미국은 과거 역사가 화려해서 그리 잘사는건가? 과거가 무슨 소용인가?
억지로 이쁜 얼굴하려 하지 말고
일본인 들이여 제발 생긴대로 놀아라 .



밑에는 기사모음.. - 웹사이트 발췌 -

<html>


日 70만년전 구석기는 날조(
the<font size="4" color="navy"> Pal<font size="4" color="navy">aeolithi  fabrication <font face="굴림" size="4" color="navy">)

발굴전 석기묻는 장면 탄로… 조사단장 "자기 소행" 실토

일본 전기 구석기시대 유물의 연대를 70만년전으로 끌어 올려 세계적 관심을 끌었던 발굴 성과가 공명심에 눈이 먼 고고학자의 날조극으로 밝혀졌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은 5일 미야기(宮城)현 쓰키다테초(築館町) 가미타카모리(上高森) 유적 발굴 현장에서 발굴 조사단장인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ㆍ50) 도호쿠(東北)구석기문화연구소 부이사장이 몰래 석기를 땅에 묻는 장면을 담은 비디오테이프를 공개했다.

10월27일 70만년전의 석기가 발굴됐다고 대서특필되기 5일전인 10월 22일 아침의 일이었다.

그는 마이니치신문의 취재에 대해 “마(魔)가 끼었다”며 이 유적에서 올해 발견된 6개 유구(遺構)와 유물 31점 중 27점을 모두 날조했다고 시인했다. 또 홋카이도(北海道) 소신후도자카(總進不動坂) 유적에서 올해 발굴된 석기 29점 모두가 자신의 석기 수집품을 묻은 것이었다고 실토했다.

후지무라 부이사장은 1992년 8월 목초지 개간을 위해 파헤친 가미타카모리의 구릉에서 석기를 발견한 이래 1993년부터 이곳에서 40만년전, 50만년전, 60만년전의 석기를 잇달아 발굴, 일본 최고(最古) 석기 기록을 연례행사처럼 경신해 왔다.

일본 고고학회는 이 성과는 물론 그동안 그가 관여한 140개소의 유적 발굴에 대한 재평가를 서두르고 있다. 또 그가 직접 관여하지 않았지만 2월 사이타마(埼玉)현 치치부(秩父)시 오가사카(小鹿坂) 유적에서 발굴된 40~50만년전의 세계 최고급 유구 등 전기구석기시대 유물에 대한 전면적인 재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후지무라 부이사장은 고교 졸업후 독학으로 고고학에 투신했다. 1972년부터 발굴 작업에 참가, 1981년 미야기현 자자라기(座散亂木) 유적에서 당시로서는 최고(最古)인 4만 수천년전의 석기를 발굴하면서 명성을 얻었다. 그동안의 발굴에서 그가 파 보라는 곳을 파면 늘 유물이 나와 `석기의 신' `신의 손'으로 불렸다.

그의 자작극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석기의 연대 측정법이 아직 애매한 데다 석기의 형식보다는 발굴된 지층의 연대를 최우선으로 삼았던 일본 고고학계의 해묵은 관행 때문이었다.

일본사의 연대를 위로 끌어 올리려는 일본 고고사학계의 퐁토도 일조했다. 일본에 12만년전 이전의 전기 구석기시대 문화가 있었느냐에 대한 오랜 논쟁이 매듭된 것도 자자라기 유적에서 그가 발굴한 석기에 의해서였다.

따라서 고교 역사 교과서에 실리고 대학입시에 출제되기까지 한 일본의 전기 구석기시대 문화 전체에 대한 재검토와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도쿄=황영식특파원 <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yshwang@hk.co.kr

입력시간 2000/11/05 19:55

日문부성, 구석기 발굴 전면 재조사<font size="2" color="navy">

일본 문부성은 5일 도호쿠(東北)구석기문화연구소의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부이사장이 석기를 파묻었다가 발굴 성과를 날조한 문제와 관련해 정밀 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오시마 다다모리(大島理森)문부상은 이날 "후지무라씨가 어디까지 관여했는지정밀 조사에 들어갈 것"이라면서 "문화청과 상의해 그가 말한 2개소 이외에도 조사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교과서와의 관점도 연구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지적, 교과서의 기술을수정해야 된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후지무라 부이사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금년 10월에 발굴한 미야기(宮城)현의가미다카모리(上高森)유적과 9월 홋카이도(北海道)의 소신후도자카(總進不動坂)유적의 날조를 공식으로 인정하고 사죄했다.

한편 관련학계 등은 이번 날조사건으로 고고학에 대한 신뢰가 뿌리째 뒤집혔다고 지적하고 일본내에 10개소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기 구석기시대 유적의 발굴작업 대부분을 그가 관여해왔기 때문에 발견의 어디까지가 사실인지에 대해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밝혔다.

(도쿄= 연합뉴스) 문영식특파원<font size="2" color="navy">

입력시간 2000/11/06 10:53

고고학자에 놀아난 日역사<font size="2" color="navy">

구석기발굴 날조 "기원 다시 써야"

일본 문부성은 도호쿠(東北)구석기문화연구소의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 부이사장이 전기 구석기시대의 석기를 날조한 2개소의 유적은 물론 다른 구석기 시대 유적에 대해서도 전면적인 재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오시마 다다모리(大島理森) 문부성 장관은 5일 “후지무라씨가 어디까지 관여했는지를 여러 가지로 조사할 것”이라며 “문화청과 상의해 그가 날조한 2개소 이외의 유적도 대상에 넣고 조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교과서와의 관계도 연구해야 한다”고 밝혀 교과서 기술의 수정 가능성도 시사했다.

문화청 관계자는 후지무라씨가 날조를 실토한 미야기(宮城)현 가미타카모리(上高森) 유적과 홋카이도(北海道) 소신후도자카(總進不動坂) 유적의 신뢰성을 현지 연구소·대학과 함께 재확인하고 문화청이 관계한 다른 유적에 대해서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개소의 유적 이외에는 날조하지 않았다는 후지무라씨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그가 관여한 약 140개 유적을 모두 재조사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타마(埼玉)현은 6일 지치부(秩父)시의 오가사카(小鹿坂) 유적과 나가오네(長尾根) 유적의 발굴에 대한 정밀 재조사를 선언했다. 오가사카에서는 2월 세계 최고(最古)급인 약 50만년 전의 원인(原人) 생활 유구가, 나가오네에서는 7월 세계에 예가 없는 원인의 묘혈(墓穴) 유구가 발견됐다고 발표된 바 있다.

또 이번 사건이 일본 선사 고고학의 신뢰를 뿌리째 흔들었다는 점에서 일본 고고학회는 구석기 시대 유적에 대한 전면적인 재조사를 다짐하고 있다.

/도쿄=황영식특파원 yshwang@hk.co.kr

입력시간 2000/11/06 17:50

"日 석기문화 전면 재검토해야"<font size="2" color="navy">

일본 구석기유적 날조 국내반응<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

“고고학적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이제 일본 구석기 역사는 전면 재검토에 들어가야 할 것 같다.”

5일 일본 마이니치(每日)신문에 의해 폭로된 일본 전기 구석기시대 유적 날조 사건(본보 6일자 35면 보도)을 바라보는 국내 고고학계의 반응은 격앙된 분위기 그 자체이다. 국내 학자들은 미야기(宮城)현 가미타카모리(上高森) 유적 발굴현장에서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ㆍ50) 도호쿠(東北)구석기문화연구소 부이사장이 자신이 소장중인 석기를 땅에 묻는 장면을 바라보면서 “국내에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충북대 이융조(고고미술사학과) 교수는 “후지무라 단장이 땅을 파서 유물을 묻었다면 그 지층은 다른 곳보다 부드럽기 마련인데 이를 발굴대원 중 어느 누구도 몰랐다는 것은 납득이 가지 않는다”며 “이는 우익적 성향이 강한 일본 학계가 후지무라 단장의 권위를 맹신했던 결과”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일본 사학계는 과거 일본 구석기 유적 연대가 매번 한국보다 늦는 것에 대해 커다란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선문대 이형구(사학과) 교수는 “그동안 일본이 구석기시대 출발 시기를 자꾸 끌어올리는 바람에 동북아시아 고고학이 뒤죽박죽이 됐었다”며 “이제 구석기시대뿐만 아니라 1만 2,000년 전에 시작됐다는 일본의 신석기시대도 다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대 유적과 유물의 연대측정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는 학자도 많다. 특히 일본 고고학계의 경우 석기의 형식이나 출토 당시 배열상태보다는 발굴된 지층의 연대를 최우선으로 삼는 고질적인 관행부터 고쳐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가장 과학적인 연대측정장치로 인정받고 있는 방사성 탄소연대측정기의 `오차 가능성'을 지적하는 학자도 있다.

단국대 손보기 석좌교수는 “1998년 미야기현 발굴현장을 방문했을 때, 출토 당시 석기유물이 마치 요즘 것처럼 가지런히 정리돼 있었다는 설명을 듣고 다소 의심이 갔었다”며 “방사성 탄소연대측정기도 사람 입김이나 토양의 불순물이 섞일 경우 오차가 나올 수 있으므로 이것이 절대적인 판단기준이 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관명기자 kimkwmy@ hk.co.kr<font size="2" color="navy">

입력시간 2000/11/06 18:13

[사설] 일본의 고대사 날조 파문<font size="2" color="navy">

일본의 한 고고학자가 일본의 구석기시대를 조작하려 한 사건은 일본 교과서의 침략사 왜곡 못지 않게 새삼 일본인의 역사관을 되짚어 보게 한다.

발굴단장이라는 사람이 유물의 연대를 70만년전으로 끌어 올리려고 자신이 소장한 석기 수집품을 발굴현장에 묻었다니 이것은 역사 왜곡 차원이 아니라 숫제 날조다. 일본인의 역사관에 먹칠을 한 이 사건은 어쩌면 일본 고대사 전반에 걸쳐 대내외의 불신을 초래하게 되지 않을지 모르겠다.

마이니치(每日) 신문이 5일자 보도에서 일본에 전기 구석기의 존재를 증명하는 유적으로 알려진 미야기(宮城) 현 가미타카모리(上高森)유적이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 50) 발굴단장이 조작한 가짜 유적이라고 밝혔다.

더욱이 후지무라 단장이 홋카이도(北海道) 소신후도자카(總進不動坂) 유적도 그와 같은 방법으로 날조했다고 자백했는데, 그의 '업적'은 98년부터 고교 역사교과서에 실려 널리 가르쳐 왔다고 한다.

일본은 역사교과서 문제로 한국 중국 등 이웃국가들과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 까닭은 20세기 전반기 한국 중국 등을 침략해서 만행을 자행한 여러 명백한 역사적 사실 마저 왜곡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일본은 이 교과서를 통해 새로운 세대에 거짓 사실을 가르쳐 결과적으로 미래의 국제우호까지 해칠 가능성 때문이다. 이번 사건도 예외가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한 고고학자의 비학자적 양심이 초래한 날조사실 자체보다 그가 받은 "심리적 압박"에 주목하고자 한다. 지금 일본은 극우세력의 막강한 영향력 때문에 평화헌법 개정, 자위대 활동 범위의 확대, 역사교과서 개악 등 여러 문제가 동시에 터져나오고 있다.

일본에 전기 구석기가 존재한다는 거짓사실도 일본열도와 일본인의 우월감을 강조하려는 이같은 분위기와 관련이 있지 않은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국제사회에서 경제선진국 일본의 위치는 대단하다. 반면에 그 위상에 따른 지도력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이 없기 때문이다. 이번 사건이 군국주의 일본 부활의 우경화된 역사날조가 아니기를 바란다.

내일의 일본을 담당할 젊은 세대가 자국문화와 국제관계를 이해하는데 왜곡된 고고학 '업적'이 끼여들 틈이 없기를 바란다.<font size="2" color="navy">

입력시간 2000/11/06 18:27

[기자의 눈] 先史의 날조...왜?<font size="2" color="navy">

5일 오전 미야기(宮城) 현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 도호쿠(東北) 구석기문화연구소 부이사장은 끝내 고개를 들지 못했다. 60~70만년 전의 석기를 날조한(6일자 사회면) `배포'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나약하기 짝이 없는 모습이었다.

그는 미야기현 가미타카모리(上高森) 유적에서 올해 발굴된 유물 65점 중 61점, 홋카이도(北海道) 소신후도자카(總進不動坂) 유적에서 출토된 29점 모두를 날조했다고 실토하면서도 더 이상의 날조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본 고고학의 신뢰성을 뿌리채 흔든 그의 말이 곧이 믿길 리가 없다.

그가 관여한 발굴은 물론 모든 구석기시대 유적 발굴 작업을 재조사해야 한다는 데 국민과 학계, 당국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언제나 같은 사람이 깨끗한 상태의 유물을 발견, 이상하게 여겼다"거나, "현장에서 복수의 연구자가 자세하게 검증했으면 충분히 진위를 가릴 수 있었다"는 등 학계의 뒤늦은 자탄은 "그럼 왜?"라는 의문만 부추긴다. 단서는 있다.

주류 학계는 뒤늦게 "일본에 전기 구석기시대 유물이 존재할 수는 있지만 애초에 연대 측정의 결정적인 방법이 없었다"며 "아시아 대륙에서 가미타카모리(上高森) 유적과 같은 연대의 석기군이 발견되지 않아 아예 언급을 피해 왔다"고 밝혔다. 아마추어 연구자 모임인 도호쿠 구석기문화연구소와 도호쿠대학이 손잡은 발굴 작업을 일부러 외면해 왔다는 얘기다.

주류 학계의 이같은 침묵은 일본의 구석기 시대를 60만년 전으로 끌어 올린 교과서의 기술로 보아 학계의 자존심 때문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

이번 사건은 결국 일본 열도의 `사람 흔적'을 조금이라도 거슬러 올리려는 집단적 강박 관념과 여론의 압력을 반영하는 것은 아닐까. 하긴 눈앞의 현대사마저 '아시아 공생을 위한 선택'으로 덧칠되는 마당에 옛 원인(原人)의 발자취쯤이야 더 간단한 일이었던 지도 모른다.

황영식 도쿄특파원 yahwang@hk.co.kr<font size="2" color="navy">

입력시간 2000/11/06 18:36

[뉴스초점] 일본, 역사왜곡도 모자라 역사조작까지

2000년 11월5일, 일본 역사학계는 자신이 어떻게 역사를 조작했는지 생생히 보여줬다. 역사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왜곡 해석하는 수준을 넘어 역사적 사실 자체를 조작하는, 범죄행위나 다름없는 `차원높은'사기술이었다.

역사날조의 현장은 일본의 구석기 문화를 70만년 전으로 끌어올린 미야기(宮城)현 가미타카모리(上高森) 유적지.

일본 고고학 발굴단은 10월말 이 유적지에서 70만년 석기 31점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발견은 일본에 전기 구석기 문명이 존재했음을 증명함으로써 세계 고고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여기서 발견된 석기는 본래 묻혀있던 게 아니라 발굴조사단장이 소장중이던 구석기 유물을 사전에 파묻었던 것임이 드러났다. 마이니치(每日) 신문은 5일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 당시 조사단장이 발굴장소에 구덩이를 파고 은밀히 석기를 묻는 장면을 촬영해 폭로했다.

본인도 조작사실을 시인했다. 후지무라는 지금까지 잇단 석기발굴로 일본 구석기 연대를 끌어올리면서 일본 고고학계에서 `신의 손'으로 불려온 인물. 그는 “작년 이전의 발굴품은 조작하지 않았다”고 말했으나 학계에서는 그가 발견한 상당수 유물이 조작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후지무라가 역사를 조작한 것은 일단 개인의 공명심에 의한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하지만 일본사의 연대를 위로 끌어 올리려는 일본 고고학계의 풍토와 천황중심의 역사관도 한 몫을 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천황중심 역사관과 연관된 일본의 사실조작 의혹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1880년대 광개토대왕비 비문조작 및 천황가의 3대 보물 중 하나인 칠지도 음각문 조작 등이 대표적이다. 일제 침략주의와 만행을 부정하는 역사의 왜곡 해석을 넘어 사실을 조작하는 몰(沒)역사적 행태에 두려움마저 생긴다.

배연해 주간한국부 기자 <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seapower@hk.co.kr

입력시간 2000/11/07 14:49

[한국시론] 日집단의식이 빚은 비극, 先史날조

임효재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3일부터 사흘간 일본 시마네(島根)대학에서 개최된 제 2회 한ㆍ일 인문ㆍ사회과학 학술교류 강연회는 한국측에서 27명, 일본측에서 45명의 연구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그런데 둘째 날인 4일 회의에서는 심포지엄 내용보다는 모두들 일본 역사의 서장을 장식하는 70만년 전의 가미타카모리(上高森)유적 발굴 사건에 관심이 집중됐다.

이 유적 발굴의 성과를 토대로 중국의 북경원인과 버금가는 전기 구석기시대가 일본에 존재했으며 층위의 연대로 보아 일본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유적이라는 일본의 자랑거리가 모두 조작된 것이라고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문제가 된 일본 도후쿠(東北)구석기문화연구소는 일본 선사문화 연구에 커다란 업적을 남긴 기관으로 국내외 학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일본에 구석기시대의 존재가 불분명하던 1946년 군마(群馬)현에서 2만5,000년전의 석기가 발견되었을 때 사실 여부를 놓고 의문이 제기되었으나 도후쿠연구소가 1981년 미야기(宮城)현 이와데야마마치에서 자자라기 유적을 발굴한 결과 4만∼5만년전 석기가 발견되었다고 발표함으로써 의문은 사라졌다.

이러한 발굴을 주도한 후지무라(藤村) 단장은 일본의 역사를 무려 70만년전까지 올려놓은 신화적 존재이다. 그는 제6차 가미타카모리 유적 설명회에서 일주일 전에 묻어 놓은 석기 31점을 찾아냈다고 발표함으로써 학계의 영웅이자 일본인의 긍지를 올려놓은 영웅으로 부상했다.

그동안 19개의 고교 교과서 중 10개 교과서가 그의 발굴 결과를 실었고, 일본 사립의 명문 와세다대학에서는 입학시험에까지 출제했다.

고고학 발굴을 둘러싼 역사왜곡은 다른 나라에도 있었다. 1908년 영국 서색스주 필트다운에서 발견된 사람의 턱뼈와 두개골을 두고 대영박물관이 그 연대가 5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원숭이와 현대인의 연결고리가 되는 발견이라고 흥분하면서 대영제국이 인류문명의 발상지라고 부르짖은 사건은 매우 유명하다.

그러나 1940년대 후반 불소연대측정법에 의해 과학적으로 측정한 결과 두개골은 불과 600년전 인간의 것으로 밝혀졌다. 1953년 11월 대영박물관은 “필트다운인은 속임수였다”고 공식발표했다.

일본의 가미타카모리 석기유적 날조사건도 일본 역사를 70만년 전으로 끌어올리고, 이집트 문명과 맞먹는 고대 문명이 존재했다고 믿고 싶어하는 일본인의 집단의식이 빚어낸 비극이다.

그동안 일본에는 사실에 바탕하지 않은 역사 왜곡과 미화의 분위기가 만연해 있었다. “일본이 4대문명의 하나”라고 주장하는 `국민의 역사'라는 역사책은 70만부 이상이 팔렸다. 이 책의 서두는 바로 조작된 가미타카모리 유적으로 시작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도 일본 고고학 관계자들은 한국측 참석자들에게 5일에는 가미타카모리 유적으로 가는 계획을 잡아 놓았으니 차질없이 해달라고 수차례 전화를 걸어 당부했다. 물론 4일의 사건 공표 후로는 그들의 연락도 두절됐지만. 하는 수없이 서울대 노태돈 교수 등 우리 일행 5명은 시마네(島根)현 이즈미(出雲) 근처의 고진다니(荒神谷)유적을 방문했다.

이 곳은 358개의 청동검(靑銅劍)이 산 사면(斜面)에서 한꺼번에 나온 곳이다. 이제까지 일본 전국에서 나온 청동검이 300개이니까 그보다 훨씬 많은 것이 한 번에 나온 곳인데도 현장을 보는 순간 우리 일행은 감탄하기 보다는 약속이나 한듯이 “저것도 혹시…”라는 말이 튀어나왔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일본의 고고학적 발굴, 역사 교과서, 한일 관계사를 재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 교과서를 새로 써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한ㆍ일 관계를 원점부터 재정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우리 학계도 구석기 연구의 추정 연대나 석기의 진위, 유적의 진위여부를 좀더 진지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입력시간 2000/11/07 18:54

구석기유적 날조학자 日고고학회 제명처분

일본 미야기(宮城)현 가미타카모리(上高森) 구석기 유적 날조사건과 관련, 일본고고학협회(회장 아마카스 겐ㆍ甘粕健)는 12일 도쿄(東京)에서 긴급 위원회를 개최, 도호쿠(東北) 구석기문화연구소의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ㆍ50) 전 부이사장을 제명처분하고, 그가 관여한 유적을 전면 검증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설치키로 했다.

특별위는 날조가 드러난 가미타카모리 유적과 홋카이도(北海道)의 소신후도자카(總進不動坂) 유적은 물론, 그가 관여했던 다른 유적에 대해서도 이미 검증작업에 들어간 문화청과 협력해 재조사할 방침이다.

아마카스 회장은 이날 회견에서 "연구자 간의 상호 비판 등을 통해 날조를 방지해야 하는데, 이같은 결과를 빚어 죄송하다"고 사과한 뒤 "전ㆍ중기 구석기 시대에 대해 진지한 검토를 추진, 신뢰회복에 전력하겠다"고 표명했다.

협회는 앞으로 지질학회 등 타 학회 연구자를 포함한 10명 안팎으로 특별위 준비회를 구성, 검증방법을 검토한 후 내년 5월 총회에서 정식으로 특별위원회를 발족할 계획이다.

도쿄=황영식특파원 <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yshwang@hk.co.kr

입력시간 2000/11/13 17:56

日교과서 '구석기날조' 부분 삭제키로<font size="2" color="navy">

일본 도호쿠 구석기문화연구소 후지무라 신이치 전 부이사장의 유적발굴 날조문제와 관련, 고교 일본사 교과서를 발간하는 짓교 출판사는 22일 마야기현 가미타카모리 유적에 대한 기술을 삭제키로 결정, 문부성에 정정을 신청했다.

이번 날조사건이 표면화한 이후 교과서 기술에 대해 정식으로 정정이 신청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짓교 출판사는 '고교 일본사 A'에 기술된 "미야기현 가미다카모리 유적에서 구석기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약 60만년전의 석기가 발견되고 있다"는 부분을 삭제키로 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 산세이도와 야마카와 출판사, 도쿄서적도 관련 기술을 삭제하거나 수정키로 하고 가까운 시일내에 문부성에 정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도쿄=연합

입력시간 2000/11/23 20:31

日 이번엔 '고려청자 사기극'<font size="2" color="navy">

한국인 복원작품 속여 10년간 국제展

일본인 도자기상인이 우리나라 도예가들이 복원한 고려청자를 자신이 복원한 것처럼 속여 국제전시회를 갖고 일본 외무대신의 표창까지 받은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일본 도예상의 고려청자 국제사기극은 구석기유물 조작사건의 파장이 채 가라앉기도 전에 불거져 나와 일본 문화예술계의 도덕성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국내 도예가 작품 사들여 국제사기극

경기 이천 민속도자기사업협동조합(이사장 이대영)은 27일 "도자기 중간상인 다니쥰세이(谷俊成ㆍ72)씨가 이천 도예가들의 고려청자 작품을 사들인 뒤, 자신의 낙관을 찍어 이탈리아, 프랑스 등에서 전시ㆍ판매했다"고 밝혔다. 일본의 도쿄(東京)신문도 이날자 1면에 "고려청자 복원은 거짓말" 제목의 머리기사로 다니씨의 고려청자 사기극을 대서특필했다.

이천 도자기조합과 도쿄신문 등에 따르면 다니씨는 72년초 해강(海剛) 유근형(柳根瀅ㆍ93년 작고)선생과 우현(又玄) 이기휴(李奇休ㆍ90년 작고) 선생 등이 원본에 가깝게 복원한 고려청자를 사들여 일본에 판매해 오다 두 도예가가 작고한 뒤 본격적으로 사기극을 벌여왔다.

■10년간 유럽 등 다니며 전시 판매

다니씨의 국제사기극은 무려 10년동안 계속돼 왔다. 그는 1990년 "누구도 밝혀내지 못한 고려청자 복원에 성공했다"고 발표, 이목을 끈 뒤 이듬해에는 일본 아키타(秋田) 현립미술관에서 사기 전시회를 열었다.

이후 93년 유네스코 파리본부, 95년 이탈리아 피렌체와 밀라노에서 도예전을 열었고, 밀라노에서는 최고의 영예인 '안브로지노 금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특히 97년에는 일본 외무대신 표창과 은배를 수상한 데 이어 일본 미술작가명감(名鑑)에도 이천 도예가의 작품들이 버젓이 다니씨의 이름으로 소개됐다. 지난 10월에도 주오스트리아 일본대사관, 일본국제교류기금, 교토(京都)시의 후원으로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인전을 열기도 했다.

■우리측 끈질긴 항의, 다니씨 사죄

다니씨의 사기행각은 그나 지난 4월4일자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 문화면에 '고려청자 환상의 기법을 풀었다'라는 기고문을 내면서 꼬리가 잡히기 시작했다.

그는 이 글에서 "한국정부와 도예가들로부터 고려청자 복원 의뢰를 받고 80년대 중반에 청자 유약에 어떤 금속이 사용되는지를 규명했다"며 "30년전부터 고려청자복원에 매달려 지금까지 1,200종에 달하는 작품을 제작했다"고 주장했다.

이를 의아하게 여긴 일본 와세다대 교육학과 고바야시야스히로(小林保治)교수가 이천의 도예가 방철주(78)씨에게 문제의 기고문을 보여줬고, 방씨 등 이천 도예가들과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등이 끈질기게 항의, 다니씨의 사죄를 받아냈다.

다니씨는 26일 오후 4시 이천의 도자기협동조합 사무실에서 고려청자 위조를 인정하고 공식 사과했다. 그는 그러나 "유럽의 박물관에 이천자기를 기증한 것이지 판매하지는 않았다"고 주장했다.

방씨는 "세계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 미술도감에는 아직도 복원된 고려청자가 다니씨 명의로 돼 있다"며 "진실이 드러난 이상 작품의 제작자도 바로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도쿄=황영식특파원 yshwang@hk.co.kr

김태훈기자 <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oneway@hk.co.kr

입력시간 2000/11/27 19:57

일본은 역사왜곡의 천국인가<font size="2" color="navy">

선사·고려청자 날조- 공명심 배경에 日 특유의 강박관념

지난 11월말 일본 문화계는 도쿄(東京)신문이 1면 머릿기사로 특종 보도한 고려청자 사기극으로 흔들렸다.

도예상 겸 아마추어 도예가인 다니 순제이(谷俊成?2)씨가 1990년 고려청자의 유약에 얽힌 비밀을 독자적으로 밝혀내 복원에 성공했다고 발표하면서 중견 도예가로 급부상했다.

이듬해 아키타(秋田) 현립미술관에서 전시회를 열어 호평을 받은 이래 잇따라 일본 국내에서 전시회를 연 것은 물론 93년 유네스코 파리본부, 95년 이탈리아 피렌체와 밀라노 등 세계 각지를 돌며 전시회를 가졌다.

밀라노 전시회 당시에는 안브로지노 금화상을 받아 이탈리아 도예계에 깊은 인상을 심는 등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97년 일본 외무장관 표창을 받았고 일본 미술작가 명감에 작품이 올라 있을 정도의 지위를 확보했다.

올 10월에도 주 오스트리아 일본대사관과 외무성의 국제교류기금, 교토(京都)부 후원으로 빈에서 개인전을 열어 갈채를 받았다.


한국 도예가 작품에 서명만 넣은 것

그러나 그 모든 것이 사기였다. 올 4월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에 '고려청자 환상의 기법을 해명했다'는 기고문을 실으면서 꼬리가 잡혔다.

그는 한국 정부 및 도예가들로부터 고려청자 유약에 어떤 금속이 사용됐는지를 밝혀달라는 요청을 받아 30년전부터 고려청자 복원에 매달려 왔다고 밝혔다.

일반인들은 무심히 지나쳤지만 전문가인 와세다(早稻田)대학 고바야시 야스히로(小林保治)교수의 눈에는 이상하기 짝이 없는 내용이었다.

고바야시 교수는 이 기고문의 내용을 친분이 있는 이천의 도예가들에게 알렸다. 조사 결과 다니씨의 작품은 한결같이 이천 도예가들의 작품에 자신의 서명만 넣은 것이었다. 사기극이 드러나자 다니씨는 11월 26일 이천 도자기협동조합에서 고려청자 위조 사실을 시인하고 사과했다.

그는 일본내의 여러 미술관과 밀라노 박물관, 모나코 왕궁 등이 소장한 '고려청자'는 모두 기증한 것으로서 돈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무엇보다 고려청자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싶은 것이 기본적인 동기였다고 용서를 빌었다.

이 사기극의 동기는 개인의 공명심이 출발점일 수 있다.

그러나 도예가 경력이 불투명한 그가 그토록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한국이 자랑해 온 고려청자의 비법을 일본인이 풀었다는 일본 도예계의 인식을 빼고는 설명하기 어렵다.

또한 이런 인식은 현재 도자기 왕국으로 부상했으면서도 '원천 기술'이 한반도에서 왔다는 사실에 대한 집단적 강박관념을 읽을 수 있다.

이에 앞서 11월 5일 마이니치(每日)신문이 1면 머릿기사로 특종보도한 '선사 날조' 사건은 이런 성격이 훨씬 짙다.

미야기(宮崎)현 쓰기다테초(築館町) 가미타카모리(上高森) 유적 발굴현장에서 당시 도호쿠(東北) 구석기문화연구소 부소장으로 발굴 조사단장을 맡았던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0)가 석기를 땅에 파묻는 장면이 생생하게 보도됐다.

선사 날조로 사기극 드러나<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

10월27일 일본 언론들이 '70만년전 석기 발굴'을 대서특필하기 5일전인 10월22일 아침 6시18분께의 행동이 마이니치 신문 취재팀이 몰래 설치한 비디오카메라에 그대로 잡혔다.

취재팀의 추궁에도 한동안 발뺌을 하던 후지무라씨는 자신의 얼굴이 그대로 잡힌 사진을 대하고야 비로소 그동안의 날조극을 털어 놓았다.

그는 가미타카모리 유적에서 올해 발견된 31점의 석기 유물 가운데 27점이 모두 자신이 수집해 두었던 석기를 파묻은 것이라고 시인했다.

또 올해 홋카이도(北海道) 소신후도자카(總進不動坂) 유적에서 발굴한 석기 29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묻었던 것이라고 실토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가미타카모리 유적의 6개 유구는 물론 자신이 발굴작업에 관여한 다른 유적지의 유물은 진짜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러나 이를 믿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가 홋카이도 소신후도자카 유적의 석기 날조를 함께 시인한 것은 마이니치 신문 취재팀에 증거 사진이 확보돼 있었기 때문이었다.

취재팀은 소신후도자카 유적 발굴 당시에도 비슷한 몰래 카메라 사진을 찍었으나 초점이 흐려 후지무라씨임을 결정적으로 드러내기가 어려워 추가 증거 확보에 매달려 왔다. 그는 이미 증거가 잡힌 2개소의 유적에서만 날조를 시인했을 뿐이다.


손대면 유물 쏟아져 '석개의 손'으로 불려

고교 졸업후 독학으로 고고학에 투신한 후지무라는 72년부터 발굴작업에 참가, 기초를 닦아 오다 81년 미야기현 자자리기(座散亂木) 유적에서 당시로서는 일본 최고(最古)인 4만수천년전의 석기를 발굴해 명성을 얻었다.

이후 그가 발굴한 유적에서는 어김없이 구석기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공동 발굴 작업에서도 "저기를 파 보라"면 예외없이 유물이 나와 '황금의 손' '석기의 신'으로 불릴 정도였다.

특히 93년 이후 가미타카모리 유적에서 40만년전, 50만년전, 60만년전의 석기를 잇달아 발굴해 내면서 일본 전기구석기 시대를 10만년씩 위로 끌어 당겨 왔다.

또한 2월 사이타마(埼玉)현 치치부(秩父)시의 오가사카(小鹿坂) 유적에서는 40만~50만년전으로 추정되는 세계 최고급 유구와 석기 유물을 동시에 발굴하기도 했다.

그의 성과는 일본 학계에서 어느덧 정설로 인정됐으며 고등학교 교과서가 일본 전기 구석기 시대의 시작을 모두 60만년전으로 기술하기에 이르렀다.

날조극이 드러난 후 문부성은 그가 관여한 140여개소의 유적 발굴 작업에 대해 전면적인 재조사를 지시했고 교과서 출판사들이 전기 구석기 관련 기술의 삭제를 잇달아 신청하고 나섰다.

또한 석기의 연대 측정법이 애매한 상태에서 연대 추정에 대한 전면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출토 지층의 연대 측정에 대해서도 재검토 주장이 활발해 일본의 구석기 연구전체가 신뢰의 위기를 맞고 있다.

날조극에 대한 주류 학계의 반응은 더욱 가관이었다. 일본 고고학계는 1946년 군마(群馬)현에서 2만5,000년전의 지층에서 석기가 발굴되면서 본격적인 구석기 시대 연구에 매달렸다.

한동안 3만년전 이전의 광의의 전기구석기 시대가 있었느냐는 논쟁이 치열했으나 후지무라가 자자라기 유적에서 4만수천년전의 석기 유물을 발굴하면서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원형에 가까운 유물에 의문"

논쟁에서 진 주류학계는 도호쿠 대학과 아마추어 연구자들이 주축이 된 도호쿠구석기문화연구소가 잇달아 3만~12만년전의 중기 구석기 유물을 발굴하고 나중에는 12만년전 이전의 협의의 전기 구석기시대 유물을 잇달아 발굴하자 고개를 갸웃거리면서도 짐짓 외면하는 자세로 일관했다.

그런 주류 학계가 날조극이 밝혀진 후 "언제나 같은 사람이 깨끗한 상태의 석기를 무더기로 발굴해 이상하다고 생각했다"든가 "현장에서 다른 연구자들이 제대로 의문을 표하기만 했어도 금세 진위를 밝힐 수 있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또 "애초에 결정적인 연대측정 방법이 없으니 무의미한 논란이라고 생각했다"며 "아시아 대륙에서 가미타카모리 유적과 같은 연대의 석기군이 발견되지 않아 언급을 피해 왔다"고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발언을 쏟아냈다.

자존심에서 비롯한 주류 학계의 침묵이 후지무라의 날조극을 방조한 셈이다. 그러나 단순한 자존심만이 아니었다.

후지무라 스스로가 "보다 연대를 거슬러 올라가는 유물을 발굴해야 한다는 강박 관념에 시달렸다"고 시인했듯 일본 고고학계 전체에 사회적 압력을 받아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반도 영향'에 대한 두려움<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

일본에는 고유의 역사, 독자적 문화에 대한 열망이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 이유는 간단하다.

일본에서 '역사'를 얘기할 만한 청동기 시대는 BC 3세기경에 시작된 야요이(彌生) 시대 들어서였다. 그러나 미작(米作) 농경 문화가 정착한 이 시대의 주인공은 한반도에서 건너 온 사람들이었다.

또한 3~7세기 고분시대의 주역들도 역시 한반도의 강력한 영향하에 있었다.

궁내청 관리하에 있는 당시의 고분들이 발굴은 커녕 측량조사나 현장 시찰조차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는 현실을 두고 일본 학계조차도 한반도에서 건너온 사람들의 영향을 입증할 증거, 특히 천황가의 정체를 밝힐 물증이 나올 우려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야요이 시대 이전의 신석기 시대인 조몬(繩文) 시대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는 것도 한반도의 영향을 배제한 보다 일본적인 요소를 찾으려는 의식의 표현이다.

구석기 시대에 대한 집착도 같은 맥락이다. 우익 세력이 '성전(聖典)'이라고 내놓은 '국민의 역사'는 가미타카모리 유적을 예로 들면서 '일본 문명'을 논하고 있을 지경이다.

조금이라도 세계사의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문명의 개념을 의심하게 될 이런 광적인 집착을 축으로, 농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역사 강박관념이 일본 사회에 넓게 퍼져 있다.

근현대사의 진실조차 감추고 왜곡하려는 마당에 현재의 일본인들과 별 관계도 없는 선사시대의 왜곡 따위야 '손바닥 뒤집기'였을 수도 있다.

황영식 도쿄특파원 <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yshwang@hk.co.kr

입력시간 2000/12/12 20:32

"日 유일 구석기시대
인골·석기도 조작의혹"


日 고고학 심포서 제기<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

일본에서 유일하게 구석기 시대의 인골과 석기가 함께 출토된 오이타(大分)현 히지리다키(聖嶽) 동굴 유적에 대해서도 인골 연대와 석기 발견 상황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고 마이니치(每日)신문이 22일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21일 도쿄(東京)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국립역사민속박물관의 하루나리 히데지(春成秀爾) 고고연구부장은 발굴된 인골이 약 550년 전의 것이라고 감정 결과를 밝히면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립과학박물관의 바바 히사오(馬場悠男) 인류연구부장도 "인골이 17세기 이후의 에도(江戶) 시대 인골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어 기껏해야 조몬(繩文)시대 이후, 즉 기원전 3세기 이후의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인골과 함께 나온 석기는 구석기 시대 유물인 것은 사실이나 재료인 흑요석이 현지에서는 생산되지 않으며 직선거리로 180km 떨어진 사가(佐賀)현의 석재인 것으로 추정되며 흩어진 상태에서 발견됐다는 점 등 조작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인골의 DNA 감정 등 히지리다키 동굴 유적에 대한 전면 재조사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히지리다키 동굴은 1962년 일본 고고학협회 조사단이 발굴했으며 이곳에서 출토된 구석기 시대 후반(약 1만4,000년전)의 석기와 뒷머리뼈 등은 일본인의 기원을 해명하는 귀중한 자료로 중ㆍ고교 교과서에 실려 왔다.

한편 심포지엄 참석자들은 전기 구석기시대 유물을 날조한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 도호쿠(東北) 구석기문화연구소 전 부이사장이 발굴 작업에 관여한 186개 유적을 모두 재조사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도쿄=황영식특파원 <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yshwang@hk.co.kr

입력시간 2001/01/22 17:18

`구석기 유적논란' 日벳부대 교수 자살

일본 벳부(別府)대학의 가가와 미쓰오(賀川光夫. 78) 명예교수가 10일 자신이 발굴한 구석기 유물에 신석기 유물이 포함됐다는 학계의 논란과 관련, 목을 매 자살했다고 교도(共同)통신이 보도했다.

가가와 교수는 지난 1962년 오이타(大分)현 히지리다키(聖獄) 동굴유적의 발굴에 참여해 동일한 지층에서 후기 구석기 유물로 추정되는 사람의 뼈와 석기를 발견,일본사 교과서에도 소개되는 등 주목을 받아왔다.

그는 그러나 지난 99년 재발굴과정에서 발견된 인골이 구석기시대 이후의 것으로 추정된데다 이번주 초에는 60년대 출토된 석기가운데 주로 신석기에 걸쳐 있었던조몬(繩文)시대 석기가 섞여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불만을 표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가가와 교수는 "(60년대 출토기록이 날조됐다고 보도된데 대해) 목숨을 걸고 항의한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겼다고 유족측은 전했다.

(도쿄=연합뉴스) 고승일특파원

입력시간 2001/03/10 17:52

日 '구석기 인골' 15세기 것 판명<font size="2" color="navy">

고고학계 거듭 망신살<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

일본 도치기 현 구즈(葛生)마을에서약 30만 년 전 전기 구석기 시대의 것으로 여겨져 온 인골이 정밀조사 결과 15세기 전후의 것으로 밝혀졌다고 일본 언론들이 11일 보도했다.

1950~51년에 발견돼 ‘구즈원인’으로명명되고, ‘아카시(明石) 원인’과 함께 일본의 전기 구석기 시대 원인을 대표했던 인골이 15세기 전후의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일본 고고사학계의 신뢰성은 더욱 실추됐다.

더욱이 일부 고등학교 역사교과서가 구즈 마을을 구석기 시대 인골 출토지로 기술하고 있어 교과서의 수정이 불가피해 졌다.

일본에서는 지난해 11월 미야기(宮城)현가미타카모리(上高森) 유적과 홋카이도(北海道) 소신후도자카(總進不動坂) 유적의 전기 구석기 시대 석기가 한 고고학자에 의해 날조된 것으로 밝혀진데 이어 올들어 구석기 시대 인골로 여겨져 온 오이타(大分)현 히지리다키(聖嶽) 동굴의 인골도 중세 이후의 것으로 판명된 바 있다.

‘구즈 원인’의 인골은 발견 이래 오랫동안 일본인의 기원을 찾는 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져 왔으나 동물 뼈와 함께 출토된 데다 지층과 인골과의 관계가 불분명하다는 의문이 일어 수년 전부터 재조사가 이뤄져 왔다.

오차노미즈(お茶の水) 여자대학 연구팀의조사 결과 애초에 ‘구즈원인’의 인골로 여겨져 온 뼈는 작은 호랑이의 것으로 확인됐으며 함께 출토된 인골 4점 중 측정 가능한 3점의 탄소 연대측정법으로분석한 결과 15세기 전후의 것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도쿄=황영식특파원 <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yshwang@hk.co.kr

입력시간 2001/07/11 20:54

日 구석기 유적지도 날조

전기 구석기시대 유물을 날조, 커다란 파문을 불렀던 도호쿠(東北)구석기문화연구소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 전 부소장이 발굴에 관여한 홋카이도(北海道) 소신후도자카(總進不動坂) 유적의 재조사 결과 출토된 유물은 물론 유적지 자체의 날조가 드러났다고 일본 언론들이 4일 전했다.

일본 고고학협회 조사단이 재발굴한 결과에 다르면 후지무라 전부소장이 1998년과 99년 중기·전기 구석기 유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한 소신후도자카 유적은 구석기 시대 당시 인간이 거주하기 어려운 습지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은 후지무라 전부소장이 발굴에 관여한 구석기 유적지에 대한 전면적인 재조사에 들어가 있으며 지금까지 재조사가 끝난 3개 유적지는 모두 날조된 것으로 확인됐다.

도쿄=황영식특파원 <font face="굴림" size="3" color="navy">yshwang@hk.co.kr

입력시간 2001/09/04 21:03

日 구석기 유적 또 날조

일본 도호쿠(東北) 구석기 문화연구소의 후지무라 신이치 전 부이사장이 발굴에 관여했던 미야기현의 2개 구석지 유적지가 날조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고고학협회 재발굴조사단은 지난해 엄청난 파문을 일으킨 후지무라씨의 유적날조 의혹에 대한 검증조사를 벌인 결과, 미야기현내 자자라기 유적 등에서 출토된 석기에서 철조각이 발견되는 등 날조흔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일본 학계에서는 일본에 전기(前期) 구석기 시대가 있었는지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었으나, 지난 1981년 자자리기 유적에서 4만여년 전으로 추정되는 석기가 발견돼 이런 논란을 종식시켰다.

/도쿄=연합

입력시간 2001/09/24 14:07

日 구석기 유적 날조 20곳 이상"<font size="2" color="navy">

일본 구석기 유물 날조 사건의 장본인인 도호쿠(東北)구석기문화연구소의 후지무라 신이치(藤村新一.50) 도호쿠(東北) 구석기 문화 연구소 전 부이사장이 자신이 그동안 발굴에 관여한 유적 가운데 20여 곳에 대한 날조를 시인했다고 마이니치(每日) 신문이 29일 보도했다.

신문은 후지무라 씨가 구석기 날조 사건을 전면 조사해온 일본 고고학 협회 특별 조사위에 이같이 고백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특별 조사위는 진상 규명을 위해 조사 작업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특별위 등에 따르면 후지무라 씨가 날조를 시인한 유적은 사이타마(埼玉)현 지치부(秩父)시의 오가사카(小鹿坂) 유적 등 1999년과 2000년에 발굴이 이루어진 유적에 집중돼 있다.

특히 지난 97년 12월 후지무라 씨가 "세계 최고의 접합(接合)석기"가 발굴됐다고 발표했던 미야기(宮城)현의 유적에 대해서도 날조를 시인했다고 마이니치는 덧붙였다.

일본 고고학 협회는 지난 해 11월 후지무라 씨의 구석기 유적 날조 사실이 마이니치 신문의 특종으로 보도돼 파문이 일자 전.중기 구석기 유적에 대한 특별 조사위를 구성, 후지무라 씨가 관여한 유적에 대한 검증 작업을 벌여 왔다.

고고학 협회는 1948년 결성된 고고학분야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9601 ■ 동북아시아의 알렉산더 광개토호태왕(廣開土好太王) 2.청년 장수들의 의기(6) 獨天文 05.05.17 86 0
9600 ■ 동북아시아의 알렉산더 광개토호태왕(廣開土好太王) 2.청년 장수들의 의기(5) [1] 獨天文 05.05.17 256 0
9599 신선조를 우상시하는 일본애들 심리 정말 알수없어.... [19] 05.05.17 1232 0
9597 8세기 유럽 프랑크 제국의 위용. [14] 올드보이 05.05.17 704 0
9596 정사 삼국지 조운(조자룡)전과 그에 대한 고증 [12] 포데로사 05.05.17 1641 0
9594 밑에 한국에서 일어난 전쟁이 규모가 크다고 자랑하는데 [9] 쌀라딘 05.05.17 730 0
9591 고려중기에 조성된 마애불의 아름다움 [6] ??? 05.05.17 393 0
9589 윤관의 9성에 대해서 [7] 과연 05.05.17 458 0
9588 삼국지 조자룡은 실제보다 과장되었다 ? [18] 크크 05.05.17 1961 0
9584 왜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렇게 찌질한 것일까? [4] 05.05.17 538 0
9583 16세기 유럽의 해상백병전 [10] 아마존 왕수달 05.05.17 4258 0
9582 아래 최대규모의 전쟁어쩌고 찌질거리는데... [4] 05.05.17 440 0
9581 고려와 요나라의 관계 [26] 자로 05.05.17 1016 0
9578 아픈 우리말 - 죽창, 아름다운 우리말 - 대나무 [2] 선비 05.05.17 707 0
9577 백제라는 나라 [20] 자로 05.05.17 1289 0
9576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성공적으로 끝났을까? [6] 일본 물고기 05.05.16 695 0
9575 대규모전쟁 전쟁하니까 생각난 카탈로냐 전투 [4] 아틸라 05.05.16 487 0
9574 우리나라에 대규모 전쟁 다 있네. ㅡㅡ;; [63] 만주장성 05.05.16 1625 0
9573 마즈카 씨가 올린 -펌- 한국의 역사왜곡을 보고 [6] 05.05.16 578 0
9572 세계 대전 이전의 세계 전쟁 중 두 번째로 컸던 전쟁. 동북아의 두 강자. 고려와 요나라 [12] 만주장성 05.05.16 908 0
9571 박홍 프로필 [8] 아리마 05.05.16 630 0
9570 콜롬부스 이후 불쌍한 인디언들은 이들의 밑거름이 되었다. [5] 올드보이 05.05.16 486 0
9569 박홍이 선조 곁에서 총애를 받았다는데... [9] 아요_조라 05.05.16 564 0
9565 형들, 서양사를 한마디로 요약해 볼게 [4] 키보드워리어 05.05.16 509 0
9563 마지막 선비의 길 ! [4] 김생원 05.05.16 475 0
9561 비운의 현대사 인물 1212 진압군측 특전사령관 정병주 [6] 달타니양 05.05.16 1725 0
9559 이책 질러 버렸소? [12] 나요! 05.05.16 608 0
9557 아래 임진왜란 관련글 보니......... [35] 아텐보로 05.05.16 1153 0
9556 유럽 고대-중세 관련 전쟁사 사이트는 어디가 좋을까요? [11] 영밋종 05.05.16 366 0
9555 사회주의가 자본제 이후에 실현되는 이유 [2] 영밋종 05.05.16 356 0
9554 명성황후(明成皇后) 시해사건의 진상을 밝혀낸 웨베르 보고서. [11] 獨天文 05.05.16 2245 0
9553 고구려(高句麗) 광개토호태왕(廣開土好太王)의 대외정벌전(對外征伐戰) [11] 獨天文 05.05.16 466 0
9551 한산도 대첩은 질수가 없던 싸움 아니었어? [221] ㅁㄴㅇㄹ 05.05.16 1937 0
9549 권율은 훌륭한 장수가 아니엇다. [19] 박달구 05.05.16 1298 0
9548 전쟁영화 열라게 올렸음... [11] 아텐보로 05.05.16 740 0
9547 역사에서 대해서 자기의견을 쓴다는건 [4] 대학1년생 05.05.16 317 0
9546 한국 역사 속에도 칭제왕조(稱帝王朝)는 있었다. [12] 獨天文 05.05.16 909 1
9545 [펌] 한국의 역사왜곡 [7] 마즈까? 05.05.16 750 0
9544 우선 알바 이거 짜르지 마시고...사료..-_- [3] 횽들 05.05.16 255 0
9542 최초의 신문은 언제 어느 나라가 만들었나? [9] 올드보이 05.05.15 505 0
9541 한국에는 고이즈미같은 놈이 없네요 [5] 죽어가고있어 05.05.15 505 0
9539 해가 뜨는 나라,신선의 나라,동방예의 지국 조선민중들의 모습 [17] 프라임 05.05.15 1037 0
9535 이거 이름이 뭡니까? [19] 안경돼지 05.05.15 685 0
9533 오페르트...뭴렌도르프...독국...덕국... [20] 날뽕 05.05.15 1223 0
9532 근대사 퀴즈 역갤 햏들의 실력을 보여주세요 [12] ㅁㄴㅇ 05.05.15 501 0
9530 이사람 누굽니까?? [12] 보스짐 05.05.15 789 0
9529 여운형 평전을 보다가 궁금한점이 있는데 [8] ㅇㅇㅇㅇㅇ 05.05.15 512 0
9528 최치원의 사불허북국거상표(謝不許北國居上表) [7] 자로 05.05.15 883 0
9526 Royal Ontario Museum 갑옷관 직찍사진 업로드 완료 [4] 포데로사 05.05.15 629 0
9525 고려의 內帝外王 [2] 자로 05.05.15 60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