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2023 국가직 고용노동부 합격자 수기

고용노동부합격자(210.123) 2023.07.12 15:22:00
조회 784 추천 0 댓글 2
														

2023 국가직9급 고용노동부 합격 수기


-수험기간 21.1 -2023.4 2년 이상 [21.1-2월은 자격증 공부만 했습니다]

-22년 직업상담직렬 점수(행정법 자신이 없어서 직업상담직렬로 봤습니다)

국75/영70/한국사60/노동법75/직업상담 심리학개론80=350점+자격증25점=375점 

-23년 고용노동부 직렬 점수

국95/영95/한국사95/행정법95/노동법80 460점+자격증25점=485점


[1]기본 베이스

-재수때: 국어,영어 4등급 (수학3, 사탐2)

-학교내신 3 ~ 3.5등급 수준

-토익,토플.한국사,자격증 등 대학교 스펙 공부 경험 x

-멘탈 매우 약함(공부 쪽). 

-체력 군대 기준 1-2등급(특급전사 수준x)


 수능, 재수 때도 1년 꾸준히 공부한 적이 없었습니다. 내신 공부는 나름 시험 2-3주 전부터 준비해서 3등급 수준 이였지만, 수능 공부는 4등급 정도였고 목표는 인서울 좋은 대학 인대  해도 안 될 것 같은 불안감에 1달 공부 하면 멘탈 나가서 2달 쉬고를 반복해서 성적을 떠나 만족스럽게 공부를 하지 못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인 서울 맨 끝자락 대학교에 진학했고, 과 특성상 토익 등 스펙 공부가 필요없어서, 전공시험 벼락치기 말고는 공부를 거의 한 적이 없습니다. 체력은 오래달리기 하나 자신 있었습니다. 다만 매우 잘하는 정도는 아니고, 군대 기준 1급 느낌입니다. 체력이 좋아 오래 앉아서 공부를 하는 것에 자신 있다고 말하기 애매한 게, 멘탈 문제로 한 달 꾸준히 공부를 해본 적이 없었고. 밤에 늦게 자 아침에 일어나기 너무 힘들고 아침에 공부하기 너무 힘들었습니다.  


[공무원 시험 보게 된 계기]

 공부에 한이 있었습니다. 수능 재수 때 성적이 낮은 것을 떠나서, 끝까지 공부를하지 않고 포기를 한 게 너무 후회가 되었습니다. 유튜브에서 좋은 대학교가 나오면 보지 못하고 뒤로 갔습니다. 그래도 그나마 다행히 만족스럽게 대학생활을 했고, 과도 저와 잘 맞아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도 세웠습니다. 그러던 와 중 코로나 시기가 터져 학교수업을 집에서 들었고 원격 수업을 들어, 시간이 많이 남았습니다. 이 때 몇 년간 잊고 있었던 공부에 대한 제 열정이 불타올라, 수능을 다시 볼 생각은 차마 들지도 않았고 9급 시험을 보게 되었습니다. 


[공부 기간]

저는 진짜 공부법도 모르고, 공부에 대한 자신감도 없는데 또 공부에 대한 제 고집도 있어서 학원을 많이 옮기고 헛 시간낭비, 헛공부를 많이 했습니다.


-21.1-2 직업상담사2급 자격증 공부( 공무원 시험과 병행 할려 했으나, 자격증 시험 자신이 없어서 자격증에 올인했습니다. 결과적으론 필기, 실기 둘 다 90점 넘게 받고 합격 했습니다.)

 > 21.3-4: 영어 집중반 실강 

>21.4-5 전과목 실강반(중간에 나와 기본 중의 기본만 배웠습니다)

>21.6-8 영가 스파르타 노량진 점 관리형 독서실

>21.9월 한달 멘탈 터져서 공부 포기   

>21.10월 그냥 스터디카페에서 혼자 공부

>21.11월-22.4월 시험 까지 공부 포기,(국가직 은 신청해서 봤습니다(총점350+자격증25점 행정법 공부를 안해서 직업상담직렬로 봤습니다)

>22.5 -23.4 1년 돌이켜 본 결과, 관리형 독서실이 가장 잘 맞아서 쪽팔린 거 버리고 다시 영가 스파르타 노량진 점 관리형 독서실로 돌아가서 꾸준히 공부했습니다. 


[대략적인 공부방법]

-처음 1년차 초반에 영어 집중반 오전 수업을 듣고 오후에는 인강 기본강의 한국사,국어 위주로 인강을 들었습니다(1년차 때 행정법 공부는 하지 않았습니다) 또 영가 스파르타 다닐 때 인강과 기출을 병행했고(국,영,한) 1년차 후반 때 노동법 강의를 들었습니다.


-2년 차 때는 영가 스파르타 관리형 독서실에서 꾸준히 기출위주로 공부했습니다. 행정법 이외에는 인강은 전부 필요할 때 발췌 독(이해가 가지 않는 문제,이론 등)  으로 들었습니다. 단 1년차 때 행정법 공부를 하지 않아서 5월부터-6월 2달간 행정법은 꾸준히 들었고, 그 후로는 마찬가지로 발췌 독(이해가 가지 않는 문제,이론 등) 


-따로 오답노트나, 필기노트를 만들지 않고 무한 기출 반복을 했습니다. 한번 틀리거나 헷갈리게 맞춘 것 도 표시를 잘 해놔서 다시 풀고 시간이 지난 후에도 다시 풀고 또, 다른 문제집을 사서 단원별, 년도 별 등으로 풀었습니다.


[과목별 공부방법]  

[국어]-인강: 권규호 문법 /그 외 문제집 발췌 독

-문제집: 권규호 기출문제집(개기문) 문법,비문학,문학/권규호 사자성어/ 그 외 다른 강사 단원별, 년도 별모의고사 문제집 다수


-문법: 권규호 문법이 콤팩트하고 잘 맞았습니다. 문법 기본강의를 듣고, 진짜 개기문 문법(기출 문제집)을 풀고 또 풀었고, 개기문을 베이스로 두고, 다른 강사들의 얇은 문법 문제집도 많이 풀었습니다 (마찬 가지로 반복해서 풀었지만,끝까지 기본 베이스는 개기문이였습니다)


-문학: 시간 재서 풀기>고민해서 다시 풀고 정답의 근거 찾기>정답 확인 및 이해> 이해 안가면 인강

  

처음에 이론만 발췌독 했고, 문제는 혼자 풀었습니다. 다만 문학에서 왜 이게 정답이 아니지? 라는 부분은 강사의 생각을 듣기 위해 발췌해서 들었습니다. 한 문제를 오래 생각하기 보다는 몇 문제씩 꾸준히 풀었습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제한된 시간에서 푸는 연습이였습니다. 본격적으로 실전모의고사를 풀기 전부터 저는 비문학 풀 듯 문학도 한 문제에 1분을 두고 푸는 연습을 했습니다. 


-비문학: 시간 재서 풀기>고민해서 다시 풀고 정답의 근거 찾기>정답 확인 및 이해> 이해 안가면 인강


이론 강의 앞에 큰 틀 잡는 1-2강의 만 들었습니다. 마찬가지로 가장 중요한건 시간 내에서 푸는 것 이였습니다. 다른 사람은 한 문제에 오랜시간을 투자해서 생각하고 정답의 근거를 찾는데 많은 시간을 쏟는대, 저도 마찬가지로 정답의 근거를 찾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오랜시간을 투자하진 않았습니다. 다시 읽어봐도 모르겠다 싶으면 바로 해설지를 봤고, 그래도 이해안가면 인강을 발췌 해서 들었습니다.  


[영어]

-단어: 심우철 수능voca, voca익스트림, 단어 기출문제 모음

처음에 외울 때 많이 힘들텐데, 쓰면서 외우는건 절대로 비추합니다. 또 하나를 외울때도 많은 시간을 쏟는건 비추합니다. 또 자투리 시간에 외우는건 좋으나, 처음에는 자투리 시간‘만’외우는 건 비추하고(자투리 시간에 쉴 때도 있으니) 시간을 내서 눈으로 정해진 분량을 반복해서 외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 어느정도 외우면 역순으로 도 외우고 중간부터도 외우고 변형을 줘야하며, 단어 기출문제로도 반복해서 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문법:심우철 문법600제 심우철, 심우철 문법풀이 전략서,이동기 유형별 문법문제, 이동기 700제, 이동기100포인트 등 기출문제집 다수

강의는 심우철 문법 기본강의만 끝까지 듣고 그 이후에 강의는 듣지않았습니다(문풀전, 이동기100포인트도 듣지않았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마찬가지로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풀었고 틀린문제 에 문법 포인트가 연계 되어 적혀있어서 그 부분을 발췌독을 하고 그래도 이해가 안가면 인강을 들었습니다. 심우철, 이동기 n제는 한 지문위주로 되어 있어서 계속 반복 후에 문제위주로 시간 재고 빠르게 푸는 연습을 했습니다   


-구문, 독해: 심우철 구문 600제, 구문책 

심우철 구문,독해 기본강의 만 듣고 마찬가지로 발췌독 했습니다.

본격적으로 독해하기 전에 구문 기본강의를 듣고 무한반복했습니다. 그 후 독해를 푸는데 처음부터 무조건 시간재서 풀었습니다. 한 문제를 풀 때 구문 ,단어 모두를 공부하려 하지 않았습니다. 정답의 근거를 찾는 연습은 당연히 했지만, 단어는 눈에 띄는대 기억나지 않는 단어만 다시 확인하는 정도로만 했고, 독해하다가 또 이해안가는 구문은 구문 책으로 찾아서 다시 공부 했습니다. 보통 틀린 문제의 정답의 근거는 단어를 몰라 해석이 안되는 부분이거나, 구문 해석이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한국사]

기본강의:문동균 기본강의 완독

문제집:고종훈 1200제 무한반복

인터넷 두문자 정리된 것 괜찮은 것들 따오기


기본강의를 한번 듣고 난 이후에 강의는 거의 듣지 않았습니다. 또 기본강의는 문동균 듣고, 문제집은 고종훈 풀었는데 후회없이 막강조합이라 생각합니다. 결국 외우는 것도 반복해서 풀어야 외워집니다. 다만 좀 구체적인 설명이 듣고 싶을 때는 문동균이 아니라, 고종훈 강의로 발췌독 했습니다. 그리고 ‘두문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문동균이 기본강의에서 10개 정도로 알려주면, 실전에서 써먹을 만한 것은 2-3개 내외라 생각이 듭니다(봉부스 응응, 고악한 ~~등) 이유는 많이 안나오는 부분에 두문자를 따주거나, 그냥 외워도 되는 부분을 알려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 추천은 문제위주로 어느정도 풀고 그 이후에 두문자를 인터넷 서칭으로 정리해서 자기가 괜찮다 싶은 것을 따오는 것입니다. 저도 정조(홍대동무 고추탁)부분은 만족 했습니다. 


[노동법]

기본강의:이윤탁 기본강의 완독

문제집:이윤탁,김에스더 기출 문제집 등


기본강의는 개인적으로 이윤탁을 추천합니다. 김에스더 선생님은 너무 디테일하고 심화부분도 알려줘서 부담이 돼서 중간에 이윤탁 선생으로 갈아 탔습니다. 다만 23년 9급 노동법 시험 기준 기출 이외에 몇몇 낫선 지문과 패턴이 나와서 많이 어려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출위주로 푸셔야 된다 생각합니다. 예상문제를 만드는 선생도 없고 무작정 공부범위를 늘리면 더 망칠 수 있다 생각이 듭니다. 공단기 기준으로 김에스더 선생님이 실전모의고사8회분 정도 만드니 그 정도 푸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행정법]


기본강의: 유휘운

문제집: 유휘운 단원별 기출, 유휘운 실전모의고사  


유휘운 강력추천 드립니다. 기본강의 책을 시험 끝날때까지 들고다니면서 공부할 수 있고 중요도 별로 문제도 체크가 되어있으며, 2023년 기준 예상문제도 맞췄습니다.

지금 다시 풀라고 하면 95점 고득점 맞출 자신이 없지만 공부 할 당시에는 행정법 기계가 되었습니다. 어느 정도 경지에 올라와서 시험때는 거의 첫줄과 마지막줄만 보고도 풀 수 있는 단계에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다른 과목과는 다르게 기본강의를 정말 꼼꼼히 들었습니다(배속해도, 이해하는 대 시간이 들어서 거의 차이 없었습니다) 그 이후에는 다른과목과 마찬가지로 기출 풀고 발췌독 했습니다.  


[수험생활 팁]

-2년차 필기 합격 후 드는 생각은.. 내가 왜 쫄았지? 이런 생각이였습니다. 1년차 때 성공후기 보다는 유튜브에 ‘실패’후기 ‘포기’후기등을 찾아보는 시간이 더 많았습니다. 실패 한 뒤를 준비하고, 포기 하고 대학교 복학한 제 모습을 생각하고, 자신이 많이 없었습니다. 솔직히 아예 공부를 손도 안 해보신 분 한테, ‘당신도 쉽게 9급 붙을 수 있어요‘ 라는 말을 하면 기만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조금이라도 공부를 해본 경험이 있으시면(위에 제 공부 경험 써져있습니다) 1년 혹은 9개월  붙을 시험 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은 잘못되고 비효율적인 공부라도 꾸준히 하면 어차피 합격은 할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지금 제 합격수기를 보시는 분들도 공부방법 등을 많이 찾아보실 거란 생각이 듭니다. 아예 반대로 돌아가는 공부를 하지 않는 이상, 꾸준히 하신다면 모두 합격하실 수 있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또 저처럼 오랜만에 공부하시는 분들은 처음부터 효율적인 공부를 할 수 있진 않을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저도 실강학원을 간 이후에 ‘기출’위주로 혼자 공부하는 것이 맞다는 것이란 확신이 들어 2년차 때 꾸준히 영가스파르타 노량진 점을 다닌 덕분에 고득점으로 합격했습니다.


-혼자 공부를 하게 되면 일주일, 한달이 매우 길게 느껴지고, 꾸준히 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다행히 저는 관리형 독서실인 영가스파르타 노량진 센터에 다닐 때는 눈 떠보니 한달, 두달 반년이 지나있었습니다. 혼자 공부할 때는 하루,이틀은 그 누구보다 열심히 했지만 일주일 한달 꾸준히 하기도 힘들어서 중도 포기를 했습니다. 

 관리형 학원이 저한테 매우 잘 맞았던 것이고, 공부를 오랜만에 하거나, 자신이 없는 분들, 대다수의 분들이 잘 맞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혼자 공부할 때는 며칠 정말 누구 보다 열심히 하고, 며칠은 또 나태해져서 설렁설렁 늦게가고 또, 늦게 가는 것을 보충한다고 밤에 늦게까지 공부하고 또 다음날 아침에 늦게 가는 패턴이였습니다. 또 저는 그마저도 한달 이상 꾸준히 공부를 하지 못했습니다. 영가스파르타0823자습실을 다닌 이후에는 정말 규칙적으로 행동하게 되었습니다. 매일 8시부터 시작해서23시까지 공부와 휴식을 조화롭게 규칙적으로 병행했고 매일 영어단어 시험을 실시해서 어느정도 시험 다가와서는 그 단어시험으로 단어공부를 끝냈습니다. 또 너무 졸리면 버튼이 있어 짧게 자서 깨워주셨습니다. 1년차 때 영가스파르타를 그만 둔 이유는 개인적으로 너무 압박감과 해도 안될 것 같은 느낌에 중도포기를 했습니다. 2년차 때는 힘들 때마다 적극적으로 선생님들과 상담도 신청해서 멘탈회복을 했고 또 저 같은 경우 4월 시험 전 1월 달에 갑작스럽게 인원이 작년 대비 1/4 수준으로 줄어 멘탈이 나갔는데, 가까스로 선생님과의 상담으로 멘탈을 회복했습니다. 

a16711aa372a6ae87eb1d19528d527034d7e393db976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46a37fe10e6df1b8e6c9628e309d4315ed044a581ccbbbf5df24c43fc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AD 지방직9급 합격예측 사전예약 네이버페이 증정 운영자 24/03/25 - -
30536 9급 일행직은 당직서는 직무가 많나요? 9갤러(39.125) 23.09.22 76 0
30535 영어 어휘나 문법문제만 모아놓은 책 추천좀 ㅇㅇ(175.200) 23.09.22 43 0
30533 프패할인 도와주세요 형님들 [1] 헤이헤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0 169 0
30532 프패환급 해줄때 보통 얼마나 떼감? ㅇㅇ(223.62) 23.09.20 63 0
30531 영어 독해 문제집 9갤러(211.234) 23.09.19 203 0
30530 9급 지방직 교행 치고 싶은데 [2] ldun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439 0
30529 카리나랑 결혼 vs 아이큐 170 [5] ㅇㅇ(118.235) 23.09.19 202 0
30528 9급 세법은 영어나 국어처럼 어플 출시한 강사 없나? sad(116.36) 23.09.18 39 0
30525 나 진짜 몰라서 그러는데 공무원이 박봉임? [1] 9갤러(121.134) 23.09.15 673 0
30520 한국사 자격증 따는걸로 바뀜?? 초시생 준비하려는데 [1] ㅇㅇ(175.124) 23.09.06 249 1
30519 9급도전하려는데 의견점 [2] 9갤러(211.235) 23.09.06 483 0
30516 회계학 그냥 푸니까 75점 나오던데 ㅇㅇ(211.57) 23.08.31 239 1
30514 운전직 꿀통 맞음? ㅇㅇ(223.62) 23.08.27 138 0
30513 면접관들이 중졸인거 아나요? 공시생(211.36) 23.08.25 187 2
30512 9급 국가직 지방직 행정학 차이가 뭔가요? [1] (112.161) 23.08.23 452 0
30510 형들아 형들아 9갤러(1.244) 23.08.20 58 0
30507 (진지) 법원직시험 포기하고 교순소 [2] 9갤러(220.92) 23.08.17 288 1
30506 몇일전에 실외기 대피 사건 터졌던데 울집도 그렇게 댈듯 9갤러(125.182) 23.08.16 61 0
30504 운전직 공무원하고싶은대 [1] ㅇㅇ(220.87) 23.08.16 145 0
30503 경남 지방직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3 194 0
30501 문과게이들 인생에 큰 욕심 없고 실속있게 살고 싶으면 ㅇㅇ(106.101) 23.08.12 574 1
30499 교재가 전부 22대비인데 최신껄로 갈아타야할까 ㅇㅇ(211.235) 23.08.11 63 0
30498 고빡통 디시 접음? 앙탈테리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10 45 0
30497 국가직 일행 9급 합격하면 언제 발령남? 9갤러(218.157) 23.08.10 231 0
30494 외부망 컴터 내역 다 보냐? 9갤러(106.101) 23.08.07 67 0
30493 이선재 기본강의서 이름뭐임? 9갤러(180.228) 23.08.07 65 0
30491 정인국 선생님 2023 기본서로 2024년 강의 들어도 될까요??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5 113 0
30490 영어쌩노베로 시작하신 형 있음? ㅇㅇ(210.104) 23.07.31 187 0
30488 여기서 말하는 해석공식이 ㅇㅇ(111.65) 23.07.31 148 0
30487 인성검사 시간배분 실화냐? 인성검사(220.76) 23.07.29 98 0
30486 고노부 붙으면 그 해에 바로 임용인가요? ㅇㅇ(58.234) 23.07.28 76 0
30482 인생 평가좀 [5] ㅇㅇ(211.36) 23.07.25 657 1
30480 근데 중앙행정부 산하 기관, 공무직 그건 도대체 왜하는거냐? [1] 1(1.242) 23.07.24 242 0
30479 일반행정(우정) [1] ㄱㄱ(175.125) 23.07.23 256 0
30476 공중사 7777(211.234) 23.07.22 63 0
30473 열품타 왜 터트림?? ㅇㅇ(39.7) 23.07.18 149 0
30470 7급 군무 -> 9급 지방직으로 이사왔는데 느끼는 점 [6] ㅇㅇㅇ(1.232) 23.07.15 1287 0
30469 기소유예 있으면 무조건 나가리임? [3] ㅇㅇ(223.39) 23.07.15 316 0
30468 형들 안녕 00년생 중소기업다니는 고졸인데 [5] ㅇㅇ(211.234) 23.07.14 529 0
30467 인강 이건 단과로 들으면 씹에바 같은데 맞음? [1] ㅇㅇ(118.35) 23.07.13 176 0
30466 진도별 기출보다 OX가 더 끌리는 이유가 뭘까 [1] ㅇㅇㅇ(222.119) 23.07.13 117 0
30463 민원센터에 전화해서 전화받는 사람들 보통 9급임? ㅇㅇ(211.34) 23.07.12 198 0
2023 국가직 고용노동부 합격자 수기 [2] 고용노동부합격자(210.123) 23.07.12 784 0
30461 서울 인천 떳나요? ㅇㄹㅇ(121.145) 23.07.12 122 0
30460 필기점수 1등인데 떨어질확률 잇음? [2] ㅇㅇ(114.206) 23.07.12 550 0
30459 중경외시 9준생은 봤는데 진짜 서성한 위로도 있음? [4] ㅇㅇ(121.191) 23.07.11 614 0
30458 05년생 구급 공붕이 인데 내년에 구급 못되먄 자살합니다 [1] 공붕이 자살직전(61.108) 23.07.10 281 0
30455 9급 공무원 최합 발표 7월4일 발표 하는곳이 있나요? [2] 구굽(114.129) 23.07.09 185 0
30453 영가스파르타 0823 어떠냐??? [1] ㅇㅇ(115.21) 23.07.07 180 0
30452 공뭔강사할려면 최소 행시패스해야하네 [2] ㅇㅇ(1.177) 23.07.07 31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