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노동당]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하라앱에서 작성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0 16:16:31
조회 143 추천 12 댓글 1
														

3fb8c32fffd711ab6fb8d38a4683746f7bcb91c78c5f58c378fc500d2f76074cfd358a8434a3a964d07cf6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 등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해야

- ‘건당 최저임금’ 등을 활용해서 적용범위 확대를 -​



내일(5월 21일)부터 내년도 최저임금을 논의하기 위한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경총 등 사용자측은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적용 적용을 주장하는 등 온갖 이데올로기 공세를 통해, 노동자의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는 이런 시도는 당연히 저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저지하고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액수를 약간 올리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현재로는 최저임금을 적용받지 못하는 광범위한 사실상의 노동자들에게도 최저임금을 적용해야 한다고 우리 노동당은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플랫폼 노동자나 프리랜서 노동자 등 실제로는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댓가를 받아서 생활하는데도, 형식상 근로계약이 아닌 업무에 대한 도급계약 등을 했다는 이유로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숱한 인적용역 사업자 이른바 3.3% 대상자들이 있다.

이들의 정확한 규모는 확실하지 않지만, 국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 인적용역 사업소득이 있는 대상인원은 총 847만명이다. 물론 이 중에는 별도의 사무실을 갖춘 전문용역 사업자나 근로소득 등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중 사실상 노동자인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는 이 자료만으로는 알 수없다. 하지만 별도의 사무실 없이 각종 인적용역 즉 노무만을 제공하는 프리랜서는 대략 406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플랫폼에 종속되어 일하는 노동자도 80만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거의 50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사실상 노동자임에도 노동법의 보호는 물론이고,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도 적용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일하는시민연구소가 작년에 실태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프리랜서의 주당 평균노동시간은 33시간이며 평균월급은 180만원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중위값도 아닌 평균이므로, 일부 고소득자의 존재가 평균을 크게 끌어올린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의 프리랜서들은 자신의 노동시간에 따른 최저시급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당수가 거의 전업임을 감안하면 이들이야말로 노동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겠다는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가장 먼저 적용되어야 할 대상이 아닌가.

혹자는 이들은 업무실적에 따른 보수를 지급받는 방식이므로 노동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워서 최저시급 등 최저임금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도, 현행 최저임금법에도 적용가능한 조항이 이미 규정되어 있다. 최저임금법 5조 3항과 관련 대통령령에 따르면 도급제 등 근로시간을 파악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을 경우 ‘생산고 또는 업적의 일정 단위에 의하여 최저임금액을 정한다’라고 되어있다. 즉 ‘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라이더 등 배달노동자의 경우 배달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학원강사나 대학의 시간강사 등도 강의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고, 방송작가나 프리랜서 작가 등도 원고분량 기준으로 원고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각자의 업무에 맞게 실적 기준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일단 건당 최저임금 적용이 시작되기만 하면 각자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요구하고 운동을 만들어갈 수 있다. 즉 대중운동을 확대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다.

그럼에도 해당 조항은 법령에만 규정되어 있을 뿐 실제로 건당 최저임금을 정해서 적용한 적은 한 번도 없다. 앞서 말했듯이 현행법 상으로는 노동자가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인 사람들이 대폭 늘어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이들도 건당 최저임금 등 적절한 보호제도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현행법의 사각지대에서 방치되고 있는 일하는 사람들의 기본권리를 언제까지 외면하거나 회피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경총 등 사용자측은 또 이렇게 주장할 것이다. 이들은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며 노동자성을 따져보아야 한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말했듯이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라고 해서 실제로 노동자가 아닌 것이 아니거니와, 노동자성 여부가 쟁점이 되는 경우에도 산재보험이나 고용보험 등 각종 보호제도를 이미 적용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최저임금 또한 마찬가지로 업무의 성격이 사실상 노무제공이라면 그에 따른 건별 최저임금 등의 보호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냐 아니냐라는 좁은 형식논리가 아니라 실질적인 측면에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보다 확대되어야 하며. 건당 최저임금은 이를 위한 중요한 전진이 될 수 있다. 업종별 차등적용 저지 등 방어적인 태도가 아니라, 적용범위 확대 등 보다 공세적인 문제제기가 있어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모든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는 사회를 위해 앞으로도 우리 노동당은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다.


2024. 5. 20.

노동당 대변인실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 등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해야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 등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해야 - ‘건당 최저임금’ 등을 활용해서 적용범위 확대를 내일(5월 21일)부터 내년도 최저임금을 논의하기 위한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경총 등 사용자측은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적용 적용을 주장하는 등 온갖 이데올로기 공세를 통해, 노동자의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는 이런 시도는 당연히 저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저지하고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액수를 약간 올리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현재로는 최저임금을 적용받지 못하는 광범위한 사실상의 노동자들에게도 최저임금을 적용해야 한다고 우리 노동당은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플랫폼 노동자나 프리랜서 노동자 등 실제로는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댓가를 받아서 생활하는데도, 형식상 근로계약이 아닌 업무에 대한 도급계약 등을 했다는 이유로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숱한 인적용역 사업자 이른바 3.3% 대상자들이 있다. 이들의 정확한 규모는 확실하지 않지만, 국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 인적용역 사업소득이 있는 대상인원은 총 847만명이다. 물론 이 중에는 별도의 사무실을 갖춘 전문용역 사업자나 근로소득 등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중 사실상 노동자인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는 이 자료만으로는 알 수없다. 하지만 별도의 사무실 없이 각종 인적용역 즉 노무만을 제공하는 프리랜서는 대략 406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플랫폼에 종속되어 일하는 노동자도 80만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거의 50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사실상 노동자임에도 노동법의 보호는 물론이고,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도 적용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일하는시민연구소가 작년에 실태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프리랜서의 주당 평균노동시간은 33시간이며 평균월급은 180만원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중위값도 아닌 평균이므로, 일부 고소득자의 존재가 평균을 크게 끌어올린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의 프리랜서들은 자신의 노동시간에 따른 최저시급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당수가 거의 전업임을 감안하면 이들이야말로 노동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겠다는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가장 먼저 적용되어야 할 대상이 아닌가. 혹자는 이들은 업무실적에 따른 보수를 지급받는 방식이므로 노동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워서 최저시급 등 최저임금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도, 현행 최저임금법에도 적용가능한 조항이 이미 규정되어 있다. 최저임금법 5조 3항과 관련 대통령령에 따르면 도급제 등 근로시간을 파악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을 경우 ‘생산고 또는 업적의 일정 단위에 의하여 최저임금액을 정한다’라고 되어있다. 즉 ‘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라이더 등 배달노동자의 경우 배달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학원강사나 대학의 시간강사 등도 강의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고, 방송작가나 프리랜서 작가 등도 원고분량 기준으로 원고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각자의 업무에 맞게 실적 기준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일단 건당 최저임금 적용이 시작되기만 하면 각자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요구하고 운동을 만들어갈 수 있다. 즉 대중운동을 확대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다. 그럼에도 해당 조항은 법령에만 규정되어 있을 뿐 실제로 건당 최저임금을 정해서 적용한 적은 한 번도 없다. 앞서 말했듯이 현행법 상으로는 노동자가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인 사람들이 대폭 늘어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이들도 건당 최저임금 등 적절한 보호제도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현행법의 사각지대에서 방치되고 있는 일하는 사람들의 기본권리를 언제까지 외면하거나 회피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경총 등 사용자측은 또 이렇게 주장할 것이다. 이들은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며 노동자성을 따져보아야 한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말했듯이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라고 해서 실제로 노동자가 아닌 것이 아니거니와, 노동자성 여부가 쟁점이 되는 경우에도 산재보험이나 고용보험 등 각종 보호제도를 이미 적용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최저임금 또한 마찬가지로 업무의 성격이 사실상 노무제공이라면 그에 따른 건별 최저임금 등의 보호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냐 아니냐라는 좁은 형식논리가 아니라 실질적인 측면에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보다 확대되어야 하며. 건당 최저임금은 이를 위한 중요한 전진이 될 수 있다. 업종별 차등적용 저지 등 방어적인 태도가 아니라, 적용범위 확대 등 보다 공세적인 문제제기가 있어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모든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는 사회를 위해 앞으로도 우리 노동당은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다. 2024. 5. 20. 노동당 대변인실

www.laborparty.kr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9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09103 공지 영구 차단자 명단 (24.06.12 작성) [4]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2 78 0
184339 공지 로갤 신고센터 (2024.02.13 갱신) [7]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2933 10
184376 공지 3갤(로자,진보당,진정) 상호 비난 금지 및 정파 존중 선언 [2]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1680 16
175277 공지 로갤대사전 통합 [2]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07 2440 23
175274 공지 로갤 추천 도서목록 모음 [2]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07 2693 25
125715 공지 사상·양심·표현의 자유가 없는 체제를 여행하는 로붕이를 위한 안내서 [1] ㅇㅇ(117.111) 22.04.13 3504 40
35266 공지 갤주 텍스트 모음 및 번역 프로젝트 [3] Constructivi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29 3953 27
209167 질문 자본론 상대적 가치 형태/등가물 읽다가 이해 안되는 부분 [33] 로붕이(121.191) 01:59 91 0
209164 일반 ㄱㅇㄹ) 코보게 디시콘 어디 갔냐 [6] Liberi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72 0
209163 일반 내꿈은 [4]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55 0
209162 일반 ㄱㅇㄹ) 철지난 자살 떡밥 [6]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77 2
209160 일반 잘 할수 있는걸 하라고요...? [9] 노동과_정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9 116 2
209159 일반 진지하게 궁금해서 그런데 [5] 로붕이(106.250) 00:17 112 0
209158 일반 리버럴과 혁사는 다를바 없다 [10] 엘사는합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7 140 0
209157 일반 열벙은 좋지 로붕이(58.121) 00:15 31 0
209156 일반 결국 다들 잘할수있는걸 합시다... [8]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0 129 1
209155 일반 나도 꿈이 이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9 31 0
209154 일반 ㄱㅇㄹ) TV를 시청해야겠다. [8]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1 70 0
209153 일반 나의 꿈 [34]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92 1
209152 일반 지역구선거제에서 지역정치는 필요악 [2] 로붕이(211.234) 06.12 49 1
209151 일반 갤에 심심해서 써보는 밀덕질 때려친 이유 [12] 조르주VS소렐세기의대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21 2
209150 일반 ㄱㅇㄹ) 책왔다. [7]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79 0
209148 일반 누벨버그 하니깐 생각난건데 난 베트남 3부작 볼때 [7] 로붕이(58.121) 06.12 72 0
209147 일반 로붕이들이 잘할만한 떡밥 [7]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99 0
209146 일반 채상병 사건은 진짜 파고들수록 심연이네 ㅇㅇ(211.234) 06.12 55 0
209145 일반 소영에 대해서도 뒤늦게 자백하자면 [46]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355 10
209144 질문 사회주의 체제에서 육아담론에 관한 글이 있을까요? [12] 돌돔13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77 0
209143 일반 난 현실에서 좋아하는 영화 얘기 안 함. [20] 공산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48 0
209142 일반 자기 가치에 떳떳하면 스스로에게 비웃어도 로붕이(58.121) 06.12 33 0
209141 일반 진갤에서 편안하게 얘기하는 법 [2] 로붕이(223.39) 06.12 47 0
209140 일반 로갤러들이 잘할수 있는걸 해보는건 어떰 [16] 엘사는합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39 0
209139 일반 한국 초기 정당은 현재 정당하고는 좀 다름 로붕이(58.121) 06.12 47 0
209138 일반 그냥 진갤에서 로붕이들이나 좋아할만한 떡밥을 돌리지마.. [16] 누벨박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205 9
209137 일반 남한에서 좌파가 우파를 절대 이길 수 없는 이유.eu [1] 공산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77 0
209136 일반 프랑스 지역구제도는 진짜 광기임 [1] 로붕이(211.234) 06.12 72 0
209135 일반 이딴게 일국의 국회의원..? [2] 공산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80 0
209134 일반 프랑스는 왤케 지역구 좋아하냐? [9] 로붕이(106.250) 06.12 106 0
209133 일반 레닌갤은 진짜 진또배기만 있네 [4] 로붕이(58.121) 06.12 122 2
209132 일반 1대 총선 질문좀 [4] joon_j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63 1
209131 일반 인사이드 아웃 2 꼭 보셈 엘사는합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40 0
209130 일반 한동훈 당대표 출마 준비중 [2] 노동과_정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85 1
209129 일반 약간 그런 생각이 듦 로붕이(58.121) 06.12 39 0
209128 일반 오늘 진갤에 소떡이 왜 도나 했더니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62 1
209127 일반 스탈린과 자료하니 생각나는데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06 0
209126 질문 사회주의자들이 자살을 개인의 죄라고 보나요? [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255 2
209125 일반 진갤 방침 바뀜? [21] A.E.I.O.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64 0
209124 일반 병역 거부와 병역법 위반에 대한 재심 청구에 들어갈 생각임 Bellacia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44 1
209123 일반 로갤분들 뚜껑열리게 하기 [7] 맑철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41 0
209122 일반 적극적 악락사는 다른 얘기긴 한대 [19] 로붕이(58.121) 06.12 125 0
209121 일반 이거 왜 이지랄 [1] 파트리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8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