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푸틴 연설 원문가져옴. 푸틴 개빡쳤었네 ㅋ

ㅇㅇ(14.241) 2022.03.07 15:31:55
조회 1983 추천 34 댓글 52

구구절절 분노게이지가 ㅎㄷㄷ함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존경하는 러시아 국민 여러분! 소중한 친구 여러분!

오늘 저는 돈바스에서 벌어지고 있는 비극적 사건과 러시아의 안보 보장 이라는 중요한 문제에 대해 재차 말씀드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올해 2월 21에 말씀드렸던 내용에서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우리에게 심각한 우려와 불안을 야기하는 것, 그리고 서방의 무책임한 정치인들이 오만하고 거칠게 해마다 점차 우리 나라에 대해 만들어내는 근본적인 위협에 관한 것입니다. 즉, 나토 진영이 동쪽으로 확장하고, 그 군사 인프라가 러시아의 국경에 가까워짐에 따른 위협을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지난 30년간 우리는 유럽 내 평등하고 불가분한 안보 원칙에 대해 나토 주요 회원국들과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끈기있게 노력해왔습니다. 우리의 제안에 대한 대답은 언제나 냉소적 기만과 거짓, 아니면 압력과 협박 시도였고, 그 사이 북대서양조약기구는 우리의 모든 항의와 우려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확장을 거듭했습니다. 군사 장비가 이동하고 있으며 우리 국경 바로 앞까지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까? 자기는 예외이고, 실수하지 않으며, 무엇이든 해도 된다는 듯 이야기하는 이 오만한 태도는 어디서 오는 것입니까? 우리의 이익과 너무나도 정당한 요구를 무시하고 경멸하는 태도는 어디서 오는 것입니까?

대답은 명확하고, 모든 것이 명백하고 분명합니다. 1980년대 말 소련은 약화되었고, 이후 완전히 붕괴되었습니다. 당시에 일어났던 사건들의 과정은 오늘날 우리에게 좋은 교훈이며, 권력과 의지의 마비가 파멸과 망각으로 가는 첫 걸음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주었습니다. 당시 우리는 한동안 자신감을 잃었고, 그렇게 세계 힘의 균형은 무너졌습니다.

이로써 이전의 조약과 협정들은 사실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설득과 요청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패권자와 권력자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은 낡고, 쇠퇴하고, 불필요한 것으로 취급됩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들에게 유리한 모든 것은 궁극적 진리로 포장되고, 어떤 대가를 치르고 어떤 수단방법을 쓰더라도 그것을 막무가내로 밀어붙입니다. 거부하는 자들은 강압의 대상이 됩니다.

제가 지금 말씀드리는 것은 러시아에만 해당하는 것도 아니고 우리만 우려하는 것도 아닙니다. 이것은 국제 관계 시스템 전반에 해당되며, 때로는 미국의 동맹국에도 해당됩니다. 소련 붕괴 이후 세계는 사실상 재편되기 시작했고, 당시까지 발전해왔던 국제법 규범은, – 그 규범들 중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규범들은 2차 세계대전의 결과로 채택되었고 상당부분 그 결과들을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 스스로를 «냉전»의 승자라고 선언한 이들에게 방해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실제의 삶과 국제 관계, 국제관계를 조율하는 규범은 세계 상황과 힘의 균형의 변화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일은 자신의 책임감을 인지한 상태에서, 모든 국가의 이익을 고려하고 존중하면서 전문적이고 원만하고 꾸준하게 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았습니다. 자신에게만 유리한 결정을 준비하고, 채택하고, 밀어붙이는 자들의 전반적으로 낮은 문화 수준과 오만 속에서 그들은 절대적 우월함에서 오늘 희열과 일종의 현대적 절대주의의 상태에 빠져 있었습니다. 상황은 다른 시나리오에 따라 전개되기 시작했습니다.

그 예는 멀리서 찾을 필요가 없습니다. 일단 유엔 안보리의 아무런 승인도 받지 않고 베오그라드에 대한 유혈 군사작전을 감행했고, 유럽 한복판에서 항공기와 미사일을 사용했습니다. 몇 주간 민간인이 사는 도시와 기반 시설에 대한 폭격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이 사실을 상기시켜야 합니다. 왜냐하면 몇몇 서양 동료들은 그 사실을 떠올리기를 싫어하고, 우리가 이에 대해 말할 때면 국제법 규범이 아니라, 자기들에게 필요한대로 해석하는 상황에 대해 지적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은 이라크, 리비아, 시리아 차례였습니다. 리비아에 대해 불법적으로 군사력을 사용하고 리비아 문제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모든 결정을 왜곡하여 국가를 완전히 붕괴시켰고, 국제 테러의 거대한 온상을 만들고, 나라가 인도주의적 재앙과 지금까지도 끝나지 않은 수년간의 내전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지게 했습니다. 리비아를 비롯하여 해당 지역 전역의 수십 만, 수백 만의 사람들을 덮친 이 비극은 북아프리카와 중동에서 유럽으로 향하는 대규모 이주민 행렬이라는 결말을 낳았습니다.

같은 운명이 시리아 역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시리아 정부의 동의와 유엔 안보리의 승인 없이 시리아 영토에서 벌어진 서방 연합국의 무력행위는 침략이고 개입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아무런 법적 근거 없이 이루어진 이라크 침공입니다. 이라크 내 대량살상무기의 존재에 대해 미국이 신뢰할 만한 정보를 입수했다는 것이 그 구실이었습니다. 그 증거로 미 국무장관은 전 세계가 보는 앞에서 공개적으로 흰 가루가 든 시험관 하나를 흔들었고, 이것이 이라크에서 개발되고 있는 화학무기라고 모두에게 단언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이라크에는 어떠한 화학무기도 없고 이 모든 것이 거짓이자 허풍임이 밝혀졌습니다. 믿을 수 없고, 놀랍지만 사실은 사실로 남아있습니다. 국가 최고위급과 UN 고위급 연단에서 거짓을 말한 것입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엄청난 사상자들, 파괴와 테러리즘의 폭증이었습니다.

세계의 많은 지역들, 서방이 자신의 질서를 수립하려고 하는 사실상 모든 곳에서 피와 아물지 않는 상처, 국제 테러와 극단주의라는 궤양이 그 결과로 남는다는 인상을 받게 됩니다. 말씀드린 것들 모두 몹시 개탄스러운 일들이지만, 국제법을 무시한 예는 그 외에도 훨씬 더 많습니다.

그 중에는 나토가 동쪽으로 1인치도 더 확장하지 않겠다는 약속도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건 기만이며, 쉽게 말하면 속인 겁니다. 정치는 더러운 일이라고들 합니다. 그럴 지도 모르지만, 이 정도는 아닙니다. 그런 사기꾼 같은 행동은 국제 관계 원칙에 반할 뿐 아니라, 그 이전에 도덕과 윤리라는 일반적인 규범을 거스르는 것입니다. 여기 정의와 진실이 어디 있습니까? 끝없는 거짓과 위선 뿐입니다.

미국 정치인들, 정치학자들, 언론인들도 최근 몇 년 동안 미국에 그야말로 «거짓말 제국»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동의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겸손하게 굴 필요는 없습니다. 미국은 여전히 대국이며, 중추적인 국가입니다. 미국의 추종자들은 군말 없이 순종적으로 맞장구를 치고, 무엇이든 한 목소리를 내고, 미국의 행동을 따라하고, 미국이 제안하는 규칙을 열렬히 받아들입니다. 그러므로 미국이 자기와 비슷하게 만든 이른바 서구권 블록 역시 전적으로 바로 그 «거짓말 제국»이라고 말할 만한 충분한 근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대 러시아는 소련 붕괴 이후 전례 없는 수준의 개방성을 보이며 미국을 비롯한 서방 파트너들과 진실한 협력 준비가 되어 있었고, 사실상 일방적인 군축을 했던 상황에서 그들은 우리를 완전히 끝장내고, 부수고, 파괴하려고 했습니다. 그 때가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으로, 이른바 서구 집단이 러시아 남부의 분리주의자들과 용병들을 가장 적극적으로 지원했던 때입니다. 이 모든 것들로 인해 당시 우리는 엄청난 희생과 손실을 겪었고, 캅카스에서 국제 테러리즘을 완전히 소탕하기까지 우리는 엄청난 시련을 겪어야 했습니다. 우린 이것을 기억하고 있고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최근까지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우리를 이용하고 우리의 전통적 가치를 파괴하고, 우리 민족을 안에서부터 좀먹을 그들의 거짓된 가치와 그들의 국가에서 이미 공격적으로 보급하고 있으며 인간의 본성에 위배되어 타락과 퇴화를 초래하는 지침들을 우리에게 강요하려는 시도가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있을 수 없고, 그 어디에서도 결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불가능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1년 12월 우리는 유럽 안보 보장 원칙과 나토 확장금지 원칙에 관해 미국 및 그 동맹국들과 다시 한번 합의를 시도했습니다. 모두 헛된 일이었습니다. 미국의 입장은 변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우리에게 중대한 이 문제에 대해 협상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자신의 목표를 추구하면서 우리의 이익을 무시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당연히 다음엔 무엇을 해야 할지, 무엇을 기대해야 할지에 대한 질문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역사를 통해 1940년과 1941년 초 소련이 전쟁을 막거나 아니면 적어도 전쟁의 시작을 늦추기 위해 온갖 노력을 했던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그야말로 마지막까지 잠재적 침략자를 도발하지 않기 위해 노력했고, 피할 수 없는 공격에 반격하기 위한 가장 필수적이고 명백한 조치들을 취하지 않거나 연기하기도 했습니다. 결국에는 그러한 조치들을 취했으나, 이미 너무나도 늦었습니다.

그 결과 1941년 6월 22일 선전포고도 없이 침공한 나치 독일의 행군에 소련은 제대로 대응할 수 없었습니다. 적들을 멈춰 세우고, 나아가 섬멸하긴 했으나 어마어마한 희생이 있었습니다. 대조국전쟁을 앞두고 침략자를 달래려는 시도는 우리 국민에게 큰 희생을 치르게 한 과오였습니다. 교전 초반 몇 달간 우리는 거대한 전략적 요충지와 수백만의 사람들을 잃었습니다. 우리는 그런 실수를 두 번은 허용하지 않을 것이고, 그럴 권리가 없습니다.

세계의 리더라는 자들은 공개적으로, 아무런 처벌 없이, 그리고 무엇보다도 아무런 근거 없이 우리 러시아를 적이라고 선언합니다. 그들은 막대한 금융, 과학기술, 군사적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알고 있으며 우리에게 끊임없이 제기되는 경제적 위협과 이 무례하고 끊임없는 협박에 대응할 우리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우리는 아무런 환상 없이 몹시 사실적으로 그것들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군사 분야의 경우, 현대 러시아는 소련이 붕괴되고 소련이 가지고 있던 잠재력의 상당부분을 상실한 이후에도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핵 보유국 중 하나이며, 나아가 여러 신형 무기체계 분야에서 일정한 강점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 대한 직접적 공격은 모든 잠재적 침략자에게 패배와 끔찍한 결과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점에 대해 그 누구도 의심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동시에 국방기술을 비롯한 기술들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선두는 계속해서 바뀌고 있으며 앞으로도 바뀔 것이고, 만일 우리가 우리 국경 인접 지역의 군사적 개발을 허용한다면, 이것은 앞으로 수십년간, 어쩌면 영원히 남을 것이고 러시아에 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위협을 초래할 것입니다.

지금도 나토가 동쪽으로 확장하면서 우리 나라가 직면한 상황은 매년 더 악화되고 위험해지고 있습니다. 더욱이 최근 나토 지도부는 러시아 국경 인근에 나토의 인프라 발전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직접적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즉 그들은 자신의 입장을 굳히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더 이상 지켜보기만 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무책임일 것입니다.

나토 인프라의 추가적 확장, 이미 시작된 우크라이나 영토의 군사적 개발은 우리에게 용납할 수 없는 일입니다. 물론 문제의 핵심은 나토라는 조직 자체가 아닙니다. 나토는 그저 미국 대외정책의 도구일 뿐입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와 인접한 영토에 – 우리의 역사적인 영토에, – 완전히 외세에 의해 통제되며, 나토 군이 집중적으로 주둔하고, 현대적 무기로 무장하는 우리에게 적대적인 «반러시아»라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미국과 그 동맹국들에게 있어 이와 같은 이른바 러시아 억제 정책은 확실한 지정학적 배당금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게 있어 이것은 삶과 죽음의 문제, 하나의 민족으로서 우리의 역사적 미래의 문제입니다. 과장이 아니라 실제로 그렇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우리의 이익 뿐 아니라 국가의 존재 자체, 국가의 주권에 대한 실질적 위협입니다. 이것은 또한 여러차례 말한 바 있던 바로 그 레드 라인입니다. 그들은 이 레드 라인을 넘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돈바스 상황에 대해서도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는 2014년 우크라이나에서 쿠데타를 일으켰던 세력이 권력을 장악하고, 허울뿐인 선거 절차를 이용하여 권력을 유지하고, 결국 평화적 갈등 해결을 거부한 것을 지켜보았습니다.  8년이란 기나긴 시간동안 우리는 평화적이고 정치적인 방법으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모두 헛된 일이었습니다.

이전 담화에서 이미 말씀드렸던 바 있듯이, 지금 그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을 보면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그 모든 것들을 견디는 것은 더이상 불가능했습니다. 러시아만 믿고 있는, 우리만 믿고 있는 그곳의 수백만의 주민들에 대한 대학살이라는 이 악몽을 즉시 멈춰야 했습니다. 바로 사람들의 이러한 의지와 감정, 고통이 우리가 돈바스의 인민공화국 승인 결정을 내리는 중요한 동기가 되었습니다.

중요한 사실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나토 주요 회원국들은 자신의 목표 달성을 위해 우크라이나에서 극단적 민족주의자와 네오나치들을 전면 지원하고 있고, 이 민족주의자와 네오나치는 크림반도와 세바스토폴 주민들이 내린 러시아와의 합병이라는 자유로운 선택을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들은 돈바스와 마찬가지로 크림반도에서도 전쟁을 벌일 것이고 대조국전쟁 당시 히틀러의 공범자들,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 집단의 징벌자들이 무방비 상태의 사람들을 죽였던 것처럼 사람들을 죽일 것입니다. 그들은 다른 러시아 영토에 대해서도 공공연하게 권리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사건의 전체적 발전 과정과 들어오는 여러 정보들을 분석해 볼 때, 러시아와 이 세력 간의 충돌은 불가피합니다. 그건 시간 문제일 뿐입니다. 그들은 준비하고 있고, 적당한 때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제는 핵무기 보유도 주장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를 절대 허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새로운 지정학적 현실을 받아들였습니다. 우리는 포스트 소비에트 공간에서 새롭게 형성된 모든 국가들을 존중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우리는 그들의 주권을 존중하고 앞으로도 존중할 것이며, 비극적 사건에 직면하여 자신의 국가성과 완전성에 대한 도전을 받았던 카자흐스탄에 우리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던 것이 그 예입니다. 하지만 러시아는 현대 우크라이나의 영토에서 기인하는 지속적 위협 속에서 스스로를 안전하다고 느끼고, 발전하고, 존재할 수 없습니다.

기억하시겠지만, 2000 ~ 2005년 러시아는 캅카스 테러리스트들에게 군사적 반격을 가하여 우리 국가의 완전성을 수호하고 러시아를 지켰습니다. 2014년에는 크림반도와 세바스토폴 주민들을 지원했습니다. 2015년에는 테러리스트들이 시리아에서 러시아로 침투하는 것을 확실히 막기 위해 군대를 투입했습니다. 우리 자신을 보호할 다른 방법이 우리에게는 없었습니다.

지금도 똑같은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가 오늘 사용해야만 하는 방법 외에 러시아와 우리 국민들을 지키기 위한 다른 어떤 방법도 남아있지 않습니다. 현재의 상황은 우리에게 단호하고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돈바스의 인민공화국들이 러시아에 도움을 요청해왔습니다.

따라서 유엔 헌장 7장 51조에 의거하여 러시아 연방 평의회의 승인을 받아 올해 2월 22일 연방의회가 비준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및 루한스크 인민공화국과의 우호 및 상호공조에 관한 조약 이행을 위해 저는 특별 군사작전 수행을 결정했습니다.

특별 군사작전의 목표는 8년간 우크라이나 정권으로부터 학대와 학살을 겪어온 사람들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우크라이나의 비군사화와 비나치화를 달성하고, 러시아 국민을 포함한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수많은 유혈 범죄를 저지른 자들에게 법적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영토 점령은 우리의 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그 누구에게 그 무엇도 힘으로써 강제할 생각이 없습니다. 동시에 최근 서방 국가들에서 소비에트 전체주의 정권이 서명했던 2차 세계대전의 결과를 명문화한 문서들을 이제는 이행할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가 갈수록 많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뭐라고 답해야 할까요?

2차세계대전의 결과는 나치즘에 대한 승리의 전당에 바쳐진 우리 국민들의 희생과 마찬가지로 신성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전후 수십년을 거치며 오늘날 이루어진 현실에 기초한 인간의 권리와 자유라는 숭고한 가치에 모순되지 않습니다. 또한 유엔 헌장 1조에 명시된 민족 자결권을 부정하지도 않습니다.

소련 창건 시에도, 2차세계대전 이후에도, 현대 우크라이나에 해당하는 영토에 거주했던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꾸리기를 원하는지 아무도 묻지 않았습니다. 우리 정책은 누구나 자기의 미래와 아이들의 미래를 자주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유를 기반으로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현재 우크라이나 영토에 사는 모든 민족들, 그리고 원하는 누구나 이 선택의 자유라는 권리를 누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해서 우크라이나 국민들께 말씀드립니다. 2014년 러시아는 스스로를 «Natsiki('민족주의자'라는 말의 줄임말)»라고 부르는 자들로부터 크림반도와 세바스토폴 주민들을 보호할 의무가 있었습니다. 크림반도와 세바스토폴 주민들은 자신들의 역사적 고국인 러시아와 함께 하겠다고 스스로 선택했고, 우리는 이것을 지지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다른 방법이 없었습니다.

현재의 사건들은 우크라이나와 우크라이나 사람들의 이익을 침해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우크라이나를 인질로 잡고 자기 나라와 자기 국민들을 위해 우크라이나를 이용하려는 자들로부터 러시아를 지키려는 것입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우리의 행동은 우리를 향해 다가오는 위협과 지금보다 더 큰 불행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괴롭지만 이것을 이해하길 부탁드리고 우리가 이 비극적인 페이지를 끝내고 함께 전진할 수 있도록, 우리의 일과 양국관계에 그 누구도 개입하지 못하도록, 그리고 우리가 주체적으로 양국관계를 세움으로써 모든 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적인 환경을 만들고, 국경과 상관없이 우리가 안에서부터 완전한 하나가 될 수 있도록 협조해주시기를 호소합니다. 저는 바로 그러한 우리의 미래를 믿습니다. 

우크라이나 군의 장병들에게 말합니다.

존경하는 장병 여러분! 여러분의 아버지와 조부, 증조부가 우리의 공통의 고국을 지키며 나치와 싸웠던 것은 오늘날 네오나치들이 우크라이나에서 권력을 장악하도록 하기 위해서가 아니었습니다. 여러분이 충성을 맹세한 대상은 우크라이나 민족이지, 우크라이나를 약탈하고 민족을 우롱하는 반민족적 무리들이 아닙니다.

그들의 범죄적인 명령을 따르지 마십시오. 당장 무기를 내려놓고 집으로 돌아가십시오.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우리의 이 요구를 이행하는 모든 우크라이나 군장병은 아무런 방해 없이 교전지역을 떠나 가족에게 돌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또 다시 한번 더 강조하지만, 발생 가능한 유혈사태에 대한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우크라이나 정권이 지게 될 것입니다.

이제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사건에 개입하고자 하는 유혹을 느낄 지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말을 몇 마디 하겠습니다. 누구든 우리를 방해하고, 더 나아가 우리 나라와 우리 국민에게 위협을 가하려는 자는 러시아의 대응은 즉각적일 것이며 그들이 역사적으로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결말을 초래할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모든 사태의 전개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이에 관해 필요한 모든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제 말을 듣길 바랍니다.

존경하는 러시아 국민 여러분!

여러 국가와 민족의 번영과 존재 자체, 그 성공과 생존력은 언제나 문화와 가치, 선조들의 경험과 전통이라는 강력한 뿌리에서 시작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는 능력, 사회적 결속력, 단결하고 힘을 하나로 모아 전진하겠다는 마음가짐에 달려 있습니다.

힘은 언제나 필요하지만, 힘의 성질은 다를 수 있습니다. 제가 서두에 말한 «거짓말의 제국»의 정책 근간에는 주로 난폭하고 직선적인 힘이 있습니다. 그런 경우 우리는 이렇게 말합니다. «힘만 세고 무식하다».

우리는 진정한 힘은 정의와 진실에 있고, 그것이 우리의 편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사실이라면, 바로 그 힘과 투쟁에 대한 준비가 독립과 주권의 근간이며, 우리의 미래와 집, 가족, 조국을 굳건히 세울 필수적 토대라는 것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존경하는 동포 여러분!

저는 조국을 위해 헌신하는 러시아 군의 장병들과 장교들이 전문적이고 용감하게 자신의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각 급의 정부기관들, 우리 경제와 금융 시스템, 사회 분야의 안정성을 책임지는 전문가들, 기업 경영진과 러시아 재계 전체가 정연하고 효율적으로 움직일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모든 정당과 사회기관들의 단결된 애국적 입장을 기대합니다.

역사 속에서 언제나 그랬듯 러시아의 운명은 결국 우리 다민족 국민들의 든든한 손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우리가 내린 결정이 이행될 것이고, 우리가 세운 목표가 달성될 것이고, 우리의 조국의 안전이 안정적으로 보장될 것임을 의미합니다.

여러분의 지지와 조국에 대한 우리의 사랑에서 나오는 꺾을 수 없는 힘을 믿습니다.


https://korea-seoul.mid.ru/web/kr/-1/-/asset_publisher/0sWx03b4JGJU/content/-2022-2-24-?inheritRedirect=false&redirect=https%3A%2F%2Fkorea-seoul.mid.ru%3A443%2Fweb%2Fkr%2F-1%3Fp_p_id%3D101_INSTANCE_0sWx03b4JGJU%26p_p_lifecycle%3D0%26p_p_state%3Dnormal%26p_p_mode%3Dview%26p_p_col_id%3Dcolumn-2%26p_p_col_count%3D1

추천 비추천

34

고정닉 0

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18848 일반 젤린스키의 항전이 실수인 이유 [4] ㅇㅇ(106.102) 22.03.11 687 23
18840 일반 여기새끼들보면 미국 러시아 보는 시각 자체가 다름 ㅋ [27] ㅇㅇ(125.190) 22.03.11 599 21
18834 일반 군갤만큼 잔인한데가 없다 [8] 오늘저녁은곰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471 23
18832 일반 솔직히 우크라이나처럼 망한국가는 다죽는게 구원이죠..ㅋ [5]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391 14
18830 일반 푸틴신 축전 [5] 훔바워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1 463 26
18810 일반 와 여기애들 진짜 머가리 어떻게 된 것 같네 [24] ㅇㅇ(203.128) 22.03.11 586 21
18801 일반 "EU 가입 신속 절차 없다"…희망 꺾인 우크라 ㅇㅅㅍㅅ(211.107) 22.03.11 534 19
18777 일반 야 이건 머 끝도 없네;; [5] ㅇㅇ(218.150) 22.03.11 792 21
18747 일반 일반인은 상상할수 없는 우크라의 영웅 반데라 [6] 홈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781 21
18728 일반 우크라 보면 미국이 점점 영향력을 잃어가고 있는듯 [7] ㅇㅇ(211.211) 22.03.10 470 10
18719 일반 좌파건 우파건 우뽕에서 깨어나는데 상관없음 [9] 홈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237 13
18700 일반 코로나가 이제 좀 진실이 나오나 [4] ㅇㅇ(210.179) 22.03.10 515 13
18697 일반 자세히 보니 우크라이나가 너무 ㅄ인데. [20] ㅇㅇ(175.203) 22.03.10 1216 43
18651 일반 우뽕들의 문제점 파악 [13] 홈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469 24
18632 일반 러시아애들 ㄹㅇ세뇌당한거임?? [18] ㅇㅇ(118.235) 22.03.10 1725 20
18628 일반 셋이 사이좋게 빠는 나라 [1] 현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170 8
18627 일반 제일 배신감 느끼는건 우크라이나 국민이죠 [4] ㅇㅇ(175.212) 22.03.10 581 24
18621 일반 러 국방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서 코로나개발 [22] 박온마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837 28
18576 일반 러시아는 안망함 [9] 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0 489 12
18538 일반 돈없으면서 기부하는게 제일웃김 [7] ㅇㅇ(223.62) 22.03.10 457 15
18528 일반 윤이 당선되서 그나마 한시름 논거냐?? 근데 걱정이네 [15] ㅇㅇ(211.246) 22.03.10 670 17
18518 일반 미국은 생각할수록 위선적이에요 [16] ㅇㅇ(175.212) 22.03.10 671 23
18502 일반 러시아는 경제타격 받는거 알면서도 들어간거에요 [15] ㅇㅇ(175.212) 22.03.10 685 17
18486 일반 미국,폴란드,독일 : 전투기 지원 너네가 "해줘" [8] ㅇㅇ(211.253) 22.03.10 515 18
18471 일반 난 우크라 젤렌 혐오하게 된 게 이거 때문임 [16] ㅇㅇ(223.38) 22.03.10 909 55
18431 일반 이번 전쟁은 러시아의 정당한 전쟁이지 [19] ㅇㅇ(220.117) 22.03.09 789 29
18399 일반 유엔인권감시기구 - 돈바스 민간인 학살 경고 [7] ㅇㅇ(175.212) 22.03.09 662 45
18360 일반 우크라이나의 진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6] ㅗㅓ허(118.41) 22.03.09 1142 35
18331 일반 [팩트] 우뽕들아 푸틴 선전포고 내용을 보면 모든게 이해가 된다 [9] 아타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9 761 28
18308 일반 아조프 네오나찌는 정말 사악합니다 [4] ㅇㅇ(175.212) 22.03.09 446 22
18192 일반 우크라 네오나치의 한국인 살인 사건 [6] 홈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9 743 47
18174 일반 러시아의 맞말 "우크라이나는 인종주의자 집단" [13] ㅇㅇ(112.152) 22.03.09 633 52
18157 일반 나토 동진은 허상이 아니야 [4] ㅇㅇ(39.7) 22.03.09 257 12
18096 일반 우크라이나가 현재 전투기 못받는 이유 [6] 훔바워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9 732 19
18087 일반 서방의 무기 지원이 큰 실수다 [10] ㅇㅈ(116.38) 22.03.09 608 21
18078 일반 코미디언이 군대를 안갔다와서 그럼 [5] 홈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9 326 16
18044 일반 군사갤은 뇌가 없는거 가틈 ㅋㅋㅋㅋㅋ [5] 홈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9 665 26
17962 일반 미국 영국이 선동하고 들쑤셔놓고 [33] ㅇㅇ(222.103) 22.03.09 823 36
17948 일반 군첩갤 1만년 차단 짤 [5] 홈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9 778 36
17925 일반 Cnn) 키예프 함락위기 [9] ㅇㅇ(175.197) 22.03.09 1192 27
17918 일반 젤렌스키도 쳐맞으니까 교육됐네 [12] ㅇㅇ(39.7) 22.03.09 1016 27
17880 일반 군갤은 그렇게 도덕적인척 하면서 [18] ㅇㅇ(223.62) 22.03.09 628 20
17865 일반 최근 개념글 자주 먹는 175.212 유동닉 특 [5] ㅇㅇ(124.46) 22.03.09 204 9
17855 일반 멍청하고 무식한 우뽕들 모르는 사실 [7] ㅇㅇ(182.226) 22.03.09 894 36
17842 일반 군갤 새끼들 개념글보니까 전쟁 희화화 하고 낄낄 쪼개는게 태반이네 [7] 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09 431 26
17756 일반 러뽕들 주장 보니 맞는말 같은데 설명좀 [14] ㅇㅇ(223.33) 22.03.08 1164 32
17748 일반 군갤 애미 뒤진 새끼 검거 ㅋㅋㅋㅋㅋㅋㄱㅋㅋㅋ [7] ㅇㅇ(211.36) 22.03.08 595 26
17734 일반 저 법안 통과시 바이든 발등 지가 찍는격임ㅋㅋㅋ [8] ㅇㅇ(211.246) 22.03.08 431 13
17653 일반 참혹한 우크라이나 민간인 사진들...jpg [14] ㅇㅇ(175.212) 22.03.08 1465 53
17651 일반 자....러-우갤에 상주중이신 러뽕분들 함 들어와보십쇼 [4] ㅇㅇ(93.177) 22.03.08 783 3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