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국내에선 안 파는데 유럽에선 오래 전부터 대박난 현대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1.12 10:27:44
조회 227 추천 1 댓글 0
														



국내에서 포착된 i20 테스트카 / 오토포스트 독자 '임도윤'님 제보


분명 한국차인데 한국에서는 못 보는 차량이 생각보다 많다. 이런 경우는 해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략 모델이기 때문인데, 그래도 한국 브랜드에서 생산하는 차량이다 보니 몇몇 모델들은 국내 출시 요구가 나오고 있지만 해외 전략 모델들은 여러 이유로 국내 출시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


해외 전략 모델 중 현대차의 i20이 존재한다. 소형 해치백 모델로, 유럽에서 인기가 상당히 많은 편이라고 한다. 실제로 현대차에서도 신경을 가장 많이 쓰는 모델 중 하나라고 한다. 현재 3세대 모델이 판매되고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i20에 대해 살펴보자.



클릭 후속으로

나온 모델

i20은 원래 없었던 차가 새로 나온 것이 아니고, 한국에서도 판매되었던 클릭이 단종되고 후속 모델로 등장한 것이다. 코드네임을 살펴봐도 알 수 있는데, 클릭이 TB이고, i20이 PB였다. 다만 현대차에서는 클릭을 i20 1세대로 분류하지 않고 완전히 별도의 모델로 분류하고 있다. 엘란트라를 아반떼 1세대로 포함한 것과는 반대다.


이전 모델인 클릭은 한국 시장에서는 판매량이 저조해 실패한 모델이 되었지만 유럽과 인도, 호주에서는 판매량이 많았다. 현대차는 이 점에 주목해 클릭을 해외 시장에서 계속 이어나가기로 하고 이름ㅁ도 변경했다. 유럽인의 취향에 맞춰 단단한 세팅 위주로 되어 있어 평가도 괜찮았다.


현재 3세대 모델 판매 중

디자인은 아반떼 레이아웃을 따름

i20은 2세대를 거쳐 2020년부터 3세대 모델이 판매되고 있다. 디자인을 살펴보면 현행 아반떼와 비슷한 레이아웃이 적용되었다. 전면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그릴 형상이나, 헤드램프 형상, 에어커튼까지 아반떼와 비슷한 모습이다.


차이점도 있긴 한데, 에어커튼의 크기가 큰 데다 안개등이 부착되어 있고, 헤드램프 내 주간주행등이 구형 아반떼의 삼각형 디자인이 적용된 점, 그릴 패턴이 파라매트릭 쥬얼 디자인이 아닌 그물 디자인이 적용된 점, 현대 엠블럼이 그릴 위가 아닌 그릴 내에 위치한 점, 차체 아래쪽에 길쭉한 사다리꼴 형태의 그릴이 하나 더 있다는 점이다. 


측면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실루엣은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다. 대신 측면에 존재하는 캐릭터 라인이 상당히 날카로워 속도감을 표현하고 있으며, 차체 아래쪽에 있는 몰딩이 사라졌다.


그리고 2열 도어 뒤에 쿼터글라스가 적용되어 C필러의 폭이 상당히 짧아졌으며, 벨트라인에 있는 고무몰딩이 쿼터클라스 윗부분까지 적용되었다. 휠은 바람개비 형상의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후면도 전면처럼 아반떼 레이아웃을 따르고 있다. 테일램프가 상당히 날카롭게 디자인되어 있으며, 측면 부위까지 꽤 많이 나와있는 모습이다. 테일램프 양쪽은 일자로 쭉 이어져 있으며, 미등은 'Z'를 형상화한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테일램프와 후진등은 삼각형 디자인이 적용되었으며, 후면 유리와 테일램프 사이에는 검은색으로 처리한 모습이다. 범퍼에는 사다리꼴 디자인의 번호판 공간이 존재하며, 범퍼 하단에는 리플렉터와 디퓨저가 적용되어 있다. 머플러는 히든 타입이다. 일반 모델임에도 상당히 스포티한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실내 디자인도

상당히 고급스럽다

실내 디자인은 소형차 치고는 상당히 고급스러운 모습이다. 물론 가까이 가서 직접 보면 플라스틱 특유의 저렴한 느낌이 보이겠지만 일단 사진상으로는 고급스러움에 신경을 많이 쓴 모습이다. 대시보드는 요즘 대세인 수평을 강조하는 디자인으로 적용되었으며, 송풍구가 대시보드 디자인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모습이다. 


스티어링 휠 디자인은 아반떼랑 동일한데, 실버 파츠가 적용된 부분도 검게 처리된 부분과 아래쪽 스포크가 수평이 아닌 약간 꺾여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센터패시아는 위쪽에 대시보드와 인포테인먼트 관련 버튼, 아래쪽에 송풍구, 공조 버튼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송풍구와 공조 버튼 사이에는 비워 놓았다.


소형차임에도 불구하고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다. 계기판과 중앙 디스플레이 모두 10.25인치 크기를 가진다. 디자인은 아반떼랑 동일하다. 다만 아반떼와 달리 파노라마 디스플레이는 아니다.  그리고 인포테인먼트 버튼은 왼쪽에 휠을 제외하고는 모두 터치 방식으로 작동한다.


또한 앰비언트 라이트도 적용되어 있는데, 아반떼가 대시보드에만 적용된 반면, i20은 대시보드를 제외한 도어트림과 센터 콘솔, 운전석과 조수석 하단에 적용되었으며, 직접 조명 방식이 아닌 간접 조명 방식이다.


크기 제원

살펴보기

크기 제원은 터키 생산 모델, 인도 생산 모델에 따라 다르다. 먼저 터키 생산 모델은 전장 4,040mm, 전폭 1,750mm, 전고 1,450mm, 휠베이스 2,580이다.


반면 인도 생산 모델은 전장 3,995mm, 전폭 1,775mm, 전고 1,505mm, 휠베이스는 2,580mm이다. 인도 생산 모델은 터키 생산 모델과 비교해 전장 수치가 작고, 전폭, 전고 수치는 더 크다. 휠베이스는 동일하다.


파워트레인 제원

살펴보기

파워트레인 제원 역시 터키 생산 모델과 인도 생산 모델이 다르다. 터키 생산 모델은 100마력, 120마력을 발휘하는 1.0리터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터보 엔진, 84마력을 발휘하는 1.2리터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엔진이 장착된다. 변속기는 1.0리터 가솔린 터보 모델이 6단 수동과 7단 DCT, 1.2리터 가솔린 모델 5단 수동변속기가 장착된다.


인도 생산 모델은 120마력을 발휘하는 1.0리터 카파 가솔린 터보 엔진, 83마력과 88마력을 발휘하는 1.2리터 카파 가솔린 엔진, 100마력을 발휘하는 1.5리터 U2 디젤엔진이 장착된다. 변속기는 1.0리터 카바 터보 엔진에 6단 수동과 7단 DCT, 1.2리터 가솔린 엔진에 5단 수동, CVT, 1.5리터 디젤 엔진에 6단 수동변속기가 장착된다. 




N라인과 N모델도

존재한다

i20 3세대 모델에는 N 라인과 N 모델이 추가된다. 먼저 N라인은 120마력을 발휘하는 1.0리터 스마트스트림 터보 엔진에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적용되어 엔진 사용을 줄여 연료 소비를 줄여준다. 또한 향상된 주행 경험을 위해 서스펜션 강화와 엔진 반응성을 높이고 배기 사운드도 고성능에 맞게 세팅했다.


디자인도 고성능에 맞게 더욱 스포티하게 디자인했다. 전면 그릴에는 체커기 디자인의 패턴이 적용되었고, 측면에는 벨트라인에 적용된 실버 파츠를 검은색으로 처리하고, 전용 17인치 휠을 장착했다. 후면은 테일램프 가장자리에 실버 파츠를 적용하고, 범퍼 하단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디퓨저가 사라진 대신 우측에 싱글 트윈 팁 머플러가 적용되었다. 실내는 N 스티어링 휠과 변속기 레버가 적용되고 실내 곳곳에 레드 포인트를 줬다. 




N 모델은 201마력을 발휘하는 1.6리터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터보 엔진이 적용된다. 아반떼 N 라인과 동일한 엔진이다. 크기가 크기이다 보니 해당 엔진을 N 모델에 넣은 것으로 보인다. N 모델에는 i20 WRC 랠리카에 적용된 기술이 적용되었는데, 우선 공차중량이 WRC 차량과 비슷한 1,190kg으로 상당히 가볍다. 제로백은 6.7초, 최고 속도는 230km/h까지 낼 수 있다.


350bar 고압 연료 분사 시스템을 통해 엔진 반응 속도를 높였고, CVD 기술을 통해 연비를 최적화했다. 운전의 즐거움을 높이기 위해 6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며, DCT 모델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외 런치 컨트롤, m-LSD, N 커스텀 기능, 고성능 브레이크 및 서스펜션 등이 적용된다.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N 라인과 동일하다. 여기에 N에는 차체 하단에 레드라인으로 포인트를 강조했으며, N 전용 17인치 휠이 적용된다. 후면에는 상당에 조그마한 윙이 장착되고, 범퍼 하단 디자인이 달라졌는데, 레드라인이 더욱 강조된 모습과 디퓨저, 대구경 싱글 머플러 팁이 적용되었다.


실내는 N 전용 스티어링 휠이 적용되었으며, N 버튼과 레브매칭 버튼이 추가되었다. 곳곳에 퍼포먼스 블루 색상으로 포인트를 살렸다. 또한 N 전용 세미버킷 시트가 적용되었다.


국내에 출시될

가능성은 없다

여러모로 훌륭한 차량이지만 이 차가 국내에 출시될 가능성은 없다. 일단 국내에서 해치백의 수요가 매우 처참하다. 당장 한 체급 높은 i30도 수요 부족으로 국내에서 단종된 바 있다. 그렇기 때문에 i20이 어찌어찌해서 국내에 출시되어도 수요 부족으로 판매가 매우 저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소형차는 국내에서 경차와 준중형차 사이에 치여 상당히 애매한 포지션이다. 특히 가격적으로 어떻게 책정해야 될지 애매하다. 경차인 모닝이 기본가격 1,205만 원, 아반떼 자동 기본 가격이 1,717만 원인 점을 보면 1,500만 원 전후로 책정해야 되는데, 이럴 거면 차라리 더 작은 차를 사는 대신 경차 혜택을 챙길 수 있는 경차 혹은 크기와 성능이 더 높은 아반떼를 사는 것이 훨씬 낫다.


해외에서 생산하는 차량을 국내에 수입, 판매하기 위해서는 노조의 합의를 거쳐야 하는데, 노조가 일감 문제 등 여러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사실 다른 것보다도 이 문제 때문에 i20 외 다른 해외 전략 모델들이 국내에 출시되기 어렵다. 


위와 같은 이유로 i20은 앞으로도 국내에서 볼 수 있을 가능성은 없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아쉽겠지만 수익성이 중요한 기업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736 다 죽어가는 회사 살려낼 수 있을까? 마세라티 그리칼레 포착 [2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3140 2
735 이게 진짜 포착되네 폴스타 2 국내 도로에 나타났습니다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539 2
734 한 멕라렌 오너가 작정하고 배달의민족 랩핑해버리자 벌어진 일 [3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7444 4
733 "결국 합의가 됐다" 앞으로 쌍용차는 어떻게 될까?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331 0
732 한국에서 현기차 다음으로 잘 팔리는 브랜드는 르쌍쉐가 아닙니다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2708 3
731 10분 만에 완판된 전설의 전기차, 캐딜락이 한 건했네요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2942 10
730 결국 에디슨 품으로 들어간 쌍용차,1월 신차 구매혜택 놀랍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479 0
729 새해부터 200만원 할인한다는 SM6, 이젠 좀 살만할까요?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447 0
728 국내 출시 예정인 미니 신차, 근데 주행거리가 100km대?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2437 1
727 불매운동 거의 끝났다, 렉서스가 국내 출시 준비중인 신차 포착 [5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3214 24
726 한국 부자 클라스 전설적인 이 페라리가 한국땅 밟았습니다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3544 12
725 대한민국 사골 끝판왕 모하비, 연식변경으로 역대급 변화 맞이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493 0
724 1,900마력 짜리 역대급 전기 슈퍼카, 한국에서 만나볼 수 있다고?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2829 4
723 경형 전기차가 늘어나야하는 진짜 이유, 해외는 이미 시작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329 0
722 언제까지 4단+1.0 조합? 경차는 무조건 전기차로 가야하는 이유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314 0
721 한번 충전으로 1,000km 이상 주행하는 꿈의 전기차가 나왔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305 2
720 SM7인줄 알았네 벤츠 EQS 엔트리 모델 공개되자 나온 반응들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3107 9
719 아니 이럴거면 왜 바꿨냐 페이스리프트로 디자인 폭망한 차 총정리 [2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3764 8
718 벌써 사전계약 다 했는데....G90 풀체인지 지금 사면 안되는 이유 [2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2997 1
717 와 저게 1억짜리인가? 국내에서 실제로 포착된 택시의 정체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4035 5
716 디젤 아니었으면 초대박났겠죠, 폭스바겐 역대급 신차 출시됐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373 1
715 전기차만 물어보시는데...내년에 이런 내연기관 차도 나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374 0
714 F150보다 더 멋지다, 쉐보레가 오랜만에 역대급 신차 공개했다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2282 0
713 폭바 비틀인 줄 알았는데 21세기 유일한 일본 경스포츠카 포착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2140 4
712 국내의 한 부자가 가진 하이퍼카 컬렉션 라인업 진짜 놀랍다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3738 5
711 서민들 울린 탐욕의 산물, 국내서 포착된 코닉세그의 비밀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4808 10
710 이정도면 진짜 맛집 인정 올해 출시 예정 신차 예상도 모아보니 [3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3545 4
709 에디슨 모터스는 정말 쌍용차를 인수할 수 있을까?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367 1
708 다마스 랩핑녀가 여기로 옮겼네 충격적인 램핑 상태 보니 가관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4202 6
707 솔직히 마니아들이라면 후속모델 나오길 간절히 바라는 일본차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663 1
706 V12 엔진을 고집하던 롤스로이스도 참전해버린 전기차 시장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2887 4
705 사려면 무조건 두 대는 사야 한다던 그 차, 국내 철수할 위기라고?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547 0
704 쌍용차 인수한다던 에디슨 모터스가 뒤에서 벌이고 있는 짓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3120 10
703 "이건 처음보는 휠인데? 팰리 테스트카에서 발견한 변화 포인트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490 1
702 명품 핫해치로 명성이 높은 이 차가 신형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464 1
701 "법인차 번호판 바꾸자니까" 정말 엄청나게 팔립니다 [4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4063 28
700 삼성 임원진 대거 승진 소식에 현대차가 웃고있는 이유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2252 7
699 "투싼 룩 미는구나" 베뉴 페이스리프트 디자인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719 1
698 500만 원에 쌉가능? 짝퉁 마티즈 만들어내던 회사가 벌이는 짓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2022 1
697 "1위, 2위가 소름" 올해 르쌍쉐, 진짜 위기인 이유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664 1
696 르쌍쉐중 진짜 그나마 희망있네, 올해 쉐보레가 기대되는 이유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376 2
695 "이거 알고보면.." 수입차 풍년이었던 작년, 이유는?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77 0
694 미국에서 초대박난 국산차, 쏘울 페이스리프트 위장막 포착됐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303 0
693 이게 결국 나오네, 기아가 준비중인 택시 전용 모델의 실체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2492 2
692 중국 신형 전기차 주행거리가 900km?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405 0
691 1년 타고 더 비싸게 팔았다고? 미쳐버린 중고차 시세 살펴보니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1530 0
690 2022년에 바뀌는 자동차 제도들 살펴보고 알게 된 놀라운 사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263 0
689 사회 초년생들이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첫차가 셀토스인 이유 [2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5265 0
688 "미국차가 다 그렇지 뭐" 테슬라보다 심하다는 지프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713 1
687 드디어 부활했다고? 르노삼성 진짜 정신차려야합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31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