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 정가기준 500만원 언저리 음린이 정신병의 흔적들)
혹시 음악감상이 취미인 사람들중에 HIFI 환경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약간 참고가 되도록 그냥 음악들으면서 간단하게 적어봄
음향이라는게 개인 취향에따라 선호 성향이 극명하게 갈리고
정신병터지면 수백은 그냥 갈려나가는건 음린이수준에
이어팁 하나로 변하는 음색 잡겠다고 이어팁에만 수십씩 박는짓을 하게되니.. 깊게 들어가진 말고 가볍게 찍먹하는정도로만..
1.기본적인 음원의 상태와 음질
기본적으로 케이팝과 씹덕곡들은 믹싱 마스터링이 개판인 경우가 너무 많아서
일정수준 이상의 고음질 환경을 욕심내봐야 효율이 좆박으니 싸게싸게 맛볼 수 있는 환경을 추천한다
그래도 카미츠바키는 나름 소속 작곡가들의 믹싱마스터링 실력도 출중하고
외부 작곡가들이나 외주믹싱같은 경우도
애니송이나 예전 아이마스곡들 같이 십덕곡들의 믹싱이 개판이라는 이미지를 박히게한 주범들보단 훠어어어얼씬 좋으니 안심하자
기본적으로 유튜브에서 듣는 mv버전이나 지듣노 링크를 달때 올리는 유튜브 토픽 링크의 경우
음질은 AAC 128Kbps... 음악감상에 부적절하긴 하다
유튜브 뮤직에서 고음질 설정을 할경우 AAC 256Kbps까지 지원이 되며 이정도면 괜찮은 편이다
그 이상의 음질은 사실상 이어폰 헤드폰 환경에선 해골물이니 음원곡들은 유튜브뮤직정도만 써도 충분히 고음질 감상을 할 수 있다
유튜브뮤직 고음질(AAC 256Kbps) VS 무손실 FLAC음원 블라인드테스트시켜도 100명중 2~3명 맞출까말까 하니 정신병 터지지 말자
물론 AAC 128Kbps랑 AAC 256Kbps 구분 못하는사람도 많고, 본인 음향 시스템이 무선 블루투스 환경이라면 더더욱 무의미하며
라이브가 진국인 카미츠바키에서 라이브 영상은 어짜피 음질 신경쓰는게 불가능하니 그냥 대충 듣자
Q:그럼 앨범구매해서 무손실음원 리핑해서 룬으로 MQA 통해 듣거나 타이달같은 고음질 스트리밍은 어따씀?
A:쓰면 기분이 좋음 ㅋ

물론 차이 느낄수있는 황금귀들도 존재하지만 보통은 해골물이니 뻘짓하지말자
2. 추천 음향기기
일단 무선은 배제함
무선은 70만원대 80만원대 이상 제품을 들고와도 유선 2만원대에 목이 따이는 수준이기때문에 고음질 타이틀엔 부적합함
일단 쉽덕곡들은 역시 보컬위주로 듣게되는경우가 많으며 카미츠바키쪽도 마찬가지일꺼라 생각함
살짝 특이한점이있다면 이 회사, 음악에 진심이기때문에 곡들이 보컬빨로 밀어붙이는게 아니라 작곡 퀄리 자체가 굉장히 좋아서 보컬만 듣기보다 곡 자체도 듣는 재미가 있고
P의 성향인지는 모르겠다만 믹싱 과정에서 다른 쉽덕곡들보다 보컬 강조가 덜 들어가있음
그리고 라이브에서 단순히 MR틀어놓고 하는게 아닌 밴드맴버들도 함께 라이브 연주를 하기에 음향기기 투자에 가치가 있음
2-1 DAC
DAC란?
Digital to Analog Converter
디지털 신호인 음악을 우리의 고막이 들을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주는 기기임
대중적인 비슷한 개념으론 사운드카드가 있다.
보통 유선의 경우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PC 이어폰 포트에 직접 꽂아서 듣는 경우가 많을꺼고
핸드폰은 포트가 증발해서 무선을 많이 쓸테니 좀 생소한 개념일꺼라고 생각함
일단 무선의경우는 의미가 없고.. 유선의경우엔 PC나 노트북 등등의 소스기기에 기본적으로 달린 사운드카드들의 성능이 굉장히 폐급이다..
1.고감도 유선 제품 연결시의 노이즈 및 화이트노이즈
2.고 저항 제품들의 연결시에 파워부족으로 인한 볼륨부족 및 음질저하
3.기본적인 칩셋 부실로 인한 음질 저하
등이 직결시에 겪는 상황이며 이를 개선하기위해 필요한게 DAC(외장 사운드카드라 생각하면 편함)
다행이게도 국내엔 LG가 예전부터 음향에 진심이었기에 통칭 꼬다리 DAC가 성능이 굉장히 준수하다
배송기간이 긴것빼곤 그냥 이걸로 종결해도 큰차이 없을만큼 좋고, 장점으론 폰에도 꽂을 수 있으니.
pc에 c타입 포트가 없다고?
쿠팡에서 이거하나 같이 사면 끝
폰에다가만 쓸껀데 아이폰이라고?
쿠팡 로켓배송품 정품이니 그냥 이거 사라. 엘지랑 성능 동일함
다만 pc나 타사 제품에 젠더를 통해 끼우면 출력제한or 인식불가 이슈가 있으니 좆플을 욕하도록 하자
2-2 리시버
기본적으로 리시버는 착용감, 음색 취향에따라 호불호가 강하게 갈리니 가능하면 청음해보는게 좋지만
그럴 환경이 아닌경우가 있으니 저렴하게 20만원대까지만 추천해봄
🌑헤드폰
1.KOSS KSC75
가성비의 황제이자 위에서 말한 70만원대 이상 블투를 가져와도 2만원대에 목이 따인다는 소문의 주범
클립형 헤드폰이라는 단점과 저렴하게 생겨먹은것이 문제이지만
정가 26000원, 배송비 포함해도 3만원이 안된다는 가격을 생각하면 납득 가능함
유선의 음질차이가 궁금한 사람들에게 적당한 제품
클립형이라 차음성이 낮고 소리가 새니 집에서만 방문닫고 혼자쓰자
2. HD560S
KSC75가 너무 또라이같은 가성비를 자랑해서 사실 가격대가 좀 많이 뛴다. 정가기준 20만원 중후반정도
헤드폰계의 국밥이라 불리는 HD600을 만든 젠하이저사의 제품이며 입문 라인업인 500번대 제품으로 상당히 가성비 좋게 잘 나온 제품이다
오픈형 치고도 저음이 출중해서 헤드폰듣는 맛이 있다
오픈형이니 마찬가지로 집에서 방문닫고 혼자쓰자
3.SRH 440A, SRH 840A
440a가 정가 16정도, 840a가 정가 25정도 간다
이번엔 밀폐형. 아웃도어 쌉가능하긴 함
오픈형보단 공간감은 떨어져도 음질이 가격에비해 상당히 출중하며 음색이 호불호 많이 안타는 플랫~살짝 w자 성향임
다만 착용감이 불편할 수 있으니 대두는 피하는게
헤드폰은 내 주력이 아니라 직접 들어본것중엔 여기까지만 추천함
🌑이어폰
쉽덕곡에 좋은 픽들로만 몇개 집고가자
그러다보니 추천할 십덕마케팅 제작사가 따로있다
1. 텐치짐 제로
정식수입 없을꺼고 아마 쿠팡에 직구있을꺼임 가격은 기억상 2만원대
입문기이고 마이크달린모델과 없는 모델이 있다
패키지부터 당당한 씹덕마케팅과 그에 걸맞는 보컬강조성향.
착용감이 불호인경우가 있다
2.수월우 츄
마찬가지인 쉽덕마케팅 엔트리
직구가 2~3만원대
정십수입품 3~4만원대
국내 수입사인 앵키하우스의 가격정책이 악랄하다. 싸게 사고싶으면 직구가 좋지만 AS는 포기해야함
마찬가지로 보컬강조형 쉽덕마케팅 제품이며 케이블 품질은 가격상 어쩔수없이 좀 구리다
3.수월우 뉴아리아
이젠 익숙해져라. 씹덕곡엔 씹덕마케팅 이어폰이 좋다..
국내 정가 13~14만원 언저리
직구하면 9~10만원정도이지만 정발품 구매 추천
이유는 초기불량으로 왼쪽유닛 사망이슈가 있음
국내 as는 as기간 1년내면 일단 고장난쪽 유닛을 택배로 즉시 쏴주고 나중에 고장난 유닛을 회수해가는 혜자정책이니 그냥 정발품 추천한다
마찬가지로 보컬강조형에 가격대가 올라온만큼 전체적인 디테일이 올라왔다
그래도 아직 저가형인만큼 엄청 고급진 음질은 아니다
외관이 이쁘다
추가적으로
소리는 똑같고 진짜 이쁜 스노우 에디션이 있다
이건 직구해야함. 네이버스토어 플레이마린에서 9만원정도
4. 텐치짐 뉴하나
머선일인지 애니프사 패키징은 아니다
정발가 29만원정도인데 플레이마린에서 직구하면 20만원도 안간다.. 선택은 자유
이쁜 외관, 밝은 음색,여보컬 특화, 제로보단 훨씬 나은 체급
다음순서로 소개할 제품과 경쟁품이다
5.수월우 카토
정발가 29언저리
직구가 20언저리
뉴하나랑 경쟁제품이고, 내 개인적인 취향으론 카토가 조금 더 좋았다.
색상은 3종이 있고 은색2종패키징은
좀 차이가 있는데
유광실버,유광블루는 이쁘긴한데 기스가 쉽게나니 취향껏 고르자
마찬가지로 밝은 음색, 여보컬특화가 특징이며 뉴하나랑 둘중 꼴리는거 고르면 된다
씹덕마케팅제품은 여기까지
앞으론 무난한 장르의 가성비제품
개인적으론 씹덕곡한정으론 보컬강조가 되어있는 위 제품들을 추천한다
아래 제품들은 무난한 올라운더제품들로 보컬강조는 되어있지 않다
6.EA500
정가 약 9만원
지금 품절이다. 최근출시한 초인기제품
가격에비해 굉장히 좋은 음질을 자랑하고 제공하는 2종의 필터교체에따라 음색이 조금 바뀐다
7. Shuoer s12
직구용. 15만원? 정도 할것같다. 대충 120달러선
평판형드라이버 채용으로 일반적인 드라이버에 비해 가격대비 음질이 좋다
다만 고음이 평판형 특유의 조금 쏘는 느낌이 있다
8.탕주 측천무후
직구용. 가격은 15~20 사이?
마찬가지로 평판형 드라이버 채용
외관이 좀 힙하다
평판형치고 고음이 굉장히 자극적이지 않을정도로 잘 다듬어져있고 저음이 낭낭하다
그러면서도 평판형 특유의 음질가성비가 뛰어남
마치며
음향기기들은 중고 감가가 심하고 은근 상태좋은 중고매물이 많이 돌아다니니 가격 부담되면 중고 한번 뒤져봐도 좋다
정가기준 20만원대 이상 제품들은..
헤드폰은
전체적으로 젠하이저 600대 시리즈(HD600, HD650, HD6xx, HD660s 등)가 대중적으로 좋은편이며
HIFIMAN의 순다라, 에디션xs정도가 좋으나
헤드폰은 기본적으로 위 20만원대까지 추천 제품들 수준을 넘어가면 꼬다리로는 제성능이 안나와서 앰프값이 별도로 들어가는데
이게 싸게사도 쓸만한건 대충 20만원대부터 시작이니 돈이 더깨진다
이어폰은
대충 추천할만한 제품들론 당장 떠오르는건 소프트이어스 볼륨, 텐치짐 옥시즌 나노정도..
사실 씹덕곡에선 위에 추천한 라인업들이 가성비가 좋은편이라 50은 넘어가야 체감이 가기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씹덕곡을 제외하면 199달러 특가를 밥먹듯이 하는 AKG n5005 추천한다. 이거 넘사벽임
대충 50만원만 넘어가도 정신병의 영역이니 들어오지 말도록 하자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