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국제 단위계 이야기 (7) 광도: 칸델라 (cd)

에스프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8.29 17:40:02
조회 9589 추천 36 댓글 32




안녕하세요, 에스프리입니다. 



a76921ad0a36782cba4e5a53fb91a8fc5a6c63e11f6a28be93eb24a96581d3262c6585a1bc49522c506460

광학 측정과 관련된 몇가지 물리량: 광도, 광속, 조도, 휘도



오늘 소개할 단위는 광도 (光度, luminous intensity)와 관련된 단위인 '칸델라 (cd, candela; 이하 cd로 표기)'입니다.


광학 측정 (photometry)에서 사용되는 물리량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광도, 광속 (光束, luminous flux; '빛의 속도'를 의미하는 '광속 (光速)'과 구분하기 위해 '광선속 (光線束)'이라고도 합니다.), 조도 (照度, illuminance), 휘도 (輝度, luminance)가 있습니다.


해당 물리량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1) 광도: 광원에서 특정 방향으로 나오는 빛의 양. 단위는 cd

2) 광속 (광선속):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총량. 단위는 루멘 (lm, lumen). 1 lm은 1 스테라디안 (sr, steradian)의 입체각에 걸쳐 1 cd의 광도를 방출하는 광원에 의해 생성된 광속 (광선속)으로 정의됨 (1 lm = 1 cd sr)

3) 조도: 대상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 단위는 럭스 (lx, lux). 1 lx는 1 ㎡의 면적에 1 lm의 광속이 비췄을 때의 조도로 정의됨 (1 lx = 1 lm/)

4) 휘도: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의 단위 면적당 광도를 측정한 것으로, 특정 영역을 통과하거나, 특정 영역에서 방출 또는 반사되는 주어진 입체각 내에 속하는 빛의 양. 단위는 cd/


국제 단위계의 기본 단위인 cd를 사용하는 광도를 기준으로 각 물리량들이 정의됨을 알 수 있습니다.


광도의 단위 cd는 라틴어 candela ('양초')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a76f0dad1b3fb4509f33025d295dfde9ab5fe7f150b19b739f828517be818cfdcfda57487788097667c62759ca57f65cff67e0f7e222e0e61b857b46715a

경랍 양초 (A), 카르셀 램프 (B), 헤프너 램프 (C)



여러 나라에서 19세기 말에 다양한 표준을 기반으로 광도가 정의되었는데, 특정한 구성의 양초나 램프에서 나오는 빛의 밝기를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영국의 경우 1860년 도시 가스법 (Metropolis Gas Act 1860)을 통해 candlepower (cp)라는 단위를 도입하였습니다.


cp는 양초에 기반한 단위였는데, 1 cp는 순수한 경랍 (鯨蠟, spermaceti; 향유고래 (sperm whale, Physeter macrocephalus)의 두강에서 많이 발견되는 왁스)으로 구성된 양초 1/6 파운드 (~76 g)가 시간당 120 그레인 (~7.8 g)의 속도로 탈 때 발생하는 빛의 밝기였습니다.


프랑스의 경우 프랑스의 시계 제작자인 베르트랑 기욤 카르셀 (Bertrand Guillaume Carcel, 1750-1818)이 1800년에 발명한 카르셀 램프 (Carcel lamp)에 기반한 carcel 이라는 단위를 사용했습니다.


카르셀 램프는 시계 태엽 모터로 구동되었고, 1 carcel은 10 mm 노즐이 장착된 카르셀 램프에서 시간당 42 g의 유채기름의 일종인 콜자 기름 (colza oil)이 소모될 때 발생하는 빛의 밝기를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독일과 스칸디니비아 국가들에서는 독일의 전기공학자 프리드리히 폰 헤프너-알테넥 (Friedrich von Hefner-Alteneck, 1845-1904)이 1884년에 발명한 헤프너 램프 (Hefnerlampe)에 기반한 Hefnerkerze (HK)라는 단위를 사용했습니다.


헤프너 램프는 불꽃 높이가 40 mm이고 심지 직경이 8 mm인 것으로 지정되었고, 아밀 아세테이트 (amyl acetate)를 연료로 사용했습니다.


1 HK는 40 mm의 불꽃 높이로 아밀 아세테이트를 연소시키는 헤프너 램프가 발생시키는 빛의 밝기로 정의되었습니다.


한 마디로 국가마다 광도의 기준이 중구난방이었던 상황이었습니다.



a17828666e0bdc2a967398a518d60403c4c5aa56453173b37103

쥘 비올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광도의 국제 표준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습니다.


우선 프랑스의 물리학자인 쥘 비올 (Jules Violle, 1841-1923)은 1884년에 용융점/응고점에 있는 백금 1 ㎠에서 방출되는 빛을 기반으로 한 표준을 제안했습니다.


백금은 용융점/응고점이 충분히 높고 (1기압에서 1768.3 ℃), 잘 산화되지 않으며, 순수한 형태로 얻을 수 있었기에 이러한 용도에 적합했습니다.


쥘 비올은 순수한 백금이 방출하는 빛의 밝기가 온도에 매우 의존하기 때문에, 백금이 용융점/응고점에서 일정한 광도의 빛을 방출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제안을 기반으로 표준을 구현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웠는데, 백금 표면의 불순물이 빛의 방사율 (emissivity)과 용융점/응고점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광도에 영향을 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a66d01aa1206b355bff1c6bb11f11a39d0aa9c0d470460d336

백열등



광도의 국제 표준을 잡기 위해서 1909년에 영국의 국가 물리 연구소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NPL), 프랑스의 중앙 전기 연구소 (Laboratoire Central de l’Electricité, LCE), 독일의 국가 물리 기술 연구소 (Physikalische Technische Reichsanstalt, PTR), 미국의 국가 표준국 (National Bureau of Standards)가 모여서 탄소 필라멘트를 가진 전기 램프를 이용한 기준을 사용하고자 하였고, 영국, 프랑스, 미국은 이러한 기준을 채택하였으나 독일은 여전히 헤프너 램프를 이용한 기준을 사용했습니다.


이후 1921년에 국제 조명 위원회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CIE)는 탄소 필라멘트를 가진 백열등을 기반으로 'candle (촉광 (燭光))' 이라는 단위를 정의하였습니다.



a7681cad2c3f782d94745d73c691afe42ddd5d8b5b86abd7e5b848a5e6728a28f9dc536f325f50

완전 복사체 (흑체)를 구현할 때 많이 사용되었던 구멍 뚫린 빈 구체



한편 제련 기술이 발전하여 순도 높은 백금을 손쉽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쥘 비올이 제안했던 백금을 기반으로 한 표준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다시금 이뤄집니다.


이러한 접근 중 가장 성공적이었던 것이 용융된 백금이 담긴 도가니 속에 이산화토륨 (thorium dioxide, 1기압에서 용융점/응고점 3350 ℃)로 만들어진 구멍 뚫린 빈 구체를 띄우는 것이었습니다.


구멍 뚫린 빈 구체는 완전 복사체 (흑체)로 작용하여 온도에 의존적인 흑체 복사를 일으킬 수 있었고, '흑체 원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기반으로 국제 조명 위원회는 1937년에 'candle'과 유사하게 값을 선택한 'new candle (신촉광 (新燭光))'을 제안했습니다.


이때 "백금의 용융점/응고점에서 완전 복사체 (흑체)의 휘도가 60 new candle/㎠"로 정의되었고, 국제 도량형 위원회가 1946년에 이러한 결정을 공포하였습니다.


국제 도량형 총회는 1948년에 new candle의 정의를 공포하였고, new candle과 함께 cd라는 단위 명칭도 병용할 수 있게 되었다가, 1954년부터는 cd가 광도의 기본 단위로 설정되었습니다.


그리고 1967년에는 'new candle'이라는 용어가 삭제되며 cd로 통일되었고, cd의 정의도 수정되었습니다.


"1 cd = 101 325 N/㎡의 압력 하에서 백금의 응고점에서 유지된 완전 복사체 (흑체)의 표면 1/600 000 의 수직 방향에 대한 광도"


이는 응고 온도가 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모호함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었습니다.


하지만 흑체 원기는 구현하기 매우 까다로웠는데, 백금을 담은 도가니 속에 완전 복사체 (흑체)를 구현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도가니를 가열하면 온도가 올라가다가 백금의 용융점/응고점에 도달하면 고체 백금와 액체 백금이 공존하면서 온도가 백금의 용융점/응고점으로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때 잠시 완전 복사체 (흑체)의 온도도 백금의 용융점/응고점과 같게 되는데, 이 순간을 광도의 표준으로 삼아서 실현이 어려워 연구소 간의 편차가 컸습니다.



a76921ab102b782ab67e5a75e3eeafee7984adf58cb76ef05e04f2814ec8e190a1bea62da1e8bac0fc6f

광학 측정과 복사 측정의 관계 - 시감 효능 함수를 매개로 연관되어 정의됩니다.



한편 복사 측정 (radiometry) 기술이 발전하면서 광학 측정 기술과 동등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광학 측정인간의 눈과 빛의 상호 작용을 특성화하여 가시광선 스펙트럼에 한정된 반면, 복사 측정전자기파 전체의 방사 스펙트럼과 관계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광학 측정과 복사 측정은 시감 효능 함수 (luminous efficiency function)를 매개로 연관되어 정의됩니다. 


복사 측정과 관련된 물리량으로 복사도/복사강도 (輻射度/輻射强度, radiant intensity), 복사선속 (輻射線束, radiant flux), 복사조도 (輻射照度, irradiance), 복사휘도 (輻射輝度, radiance)가 있으며 각각 광학 측정에서의 광도, 광(선)속, 조도, 휘도에 대응됩니다. 


1) 복사도/복사강도: 단위 입체각 당 방출, 반사, 전송, 또는 수신되는 복사선속. 단위는 와트 (W, Watt) 당 스테라디안 (sr, steradian): W/sr

2) 복사선속: 단위 시간 당 방출, 반사, 전송, 또는 수신되는 복사 에너지 (radiant energy, 전자기파/중력파의 에너지. 단위 J). 단위는 J/s = W

3) 복사조도: 단위 면적당 표면에서 받는 복사선속. 단위는 W/㎡

4) 복사휘도: 단위 투영 면적당, 단위 입체각당 주어진 표면에 방출, 반사, 전송, 또는 수신되는 복사선속. 단위는 W/(sr ㎡)



a1562cac3522782b94775d5fd391a9c8e0358dd9d0e1f3ea762e8316d1ba40e54bc72e

시감 효능 함수: 여기서 스펙트럼 복사선속은 파장당 복사선속입니다.



앞서 언급한 시감 효능 함수인간의 눈이 빛의 파장에 따라 느끼는 감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함수입니다.


인간의 눈은 파장이 555 nm인 빛 (녹색; 주파수 540 x 10^12 Hz에 대응)을 가장 밝게 느끼며, 파장이 더 길어져서 노랑 - 주황 - 빨강으로 갈수록, 파장이 더 짧아져서 파랑 - 남색 - 보라로 갈수록 어둡게 느끼고, 적외선/자외선 영역은 인지하지 못합니다.


사람마다 시감 효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국제 조명 위원회는 1924년에 당시까지 얻어진 데이터를 종합하여 표준 관측자의 시감 효능을 공표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국제 도량형 위원회는 1977년에 주파수 540 x 10^12 Hz 단색광 (파장 555 nm)의 시감 효능이 683 lm/W임을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 도량형 총회는 1979년에 cd를 완전히 새롭게 정의합니다:


"1 cd는 진동수가 540 × 10^12 Hz인 단색광을 방출하는 광원의 복사도가 어떤 주어진 방향으로 매 sr 당 1/683 W일 때 이 방향에 대한 광도"



06bed468f5dc3f8650bbd58b3688746dbae3




그리고 2018년에 국제 도량형 총회에서 국제 단위계의 다른 단위들을 물리 상수를 고정시켜서 정의하면서, cd도 물리 상수를 고정시켜서 다시 정의하여 2019년부터는 다음과 같은 정의를 사용합니다:


"1 cd는 주파수가 540 x 10^12 Hz인 단색광의 시감 효능 K_cd이 683 lm/W이 될 때의 광도"


여기서 lm = cd sr 이고, W = J/s = N m/s = kg ㎡/s^3 이기 때문에 lm/W = cd sr kg^-1 m^-2 s3이 됩니다.


또한 sr은 차원이 없는 단위이며, kg, m, s는 각각 h (플랑크 상수), c (빛의 속도), ΔνCs (세슘-133 원자의 섭동 없는 바닥 상태의 초미세 전이 주파수)라는 고정된 물리 상수로부터 정의되기에 cd도 물리 상수로부터 정의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출처: 잇싸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6

고정닉 20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3179/2] 운영자 21.11.18 11990972 542
32818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홈플러스의 사례로 보는 skt사태의 미래.jpg
[14]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0 11388 55
328184
썸네일
[걸갤] 프로듀서 윤일상 공격하는 뉴진스 팬덤
[46]
걸갤러(1.238) 14:20 1472 62
328182
썸네일
[이갤] 100L 쓰레기봉투가 없어진 이유
[146]
ㅇㅇ(61.97) 14:10 4554 49
328180
썸네일
[대갤] 中, 연휴에 유람선 전복 관광객 80여 명 사상... 시진핑 지시 무쓸모
[8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0 2899 45
328179
썸네일
[싱갤] 내일부터 드디어 교황 선거 시작...jpg
[137]
수류탄이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0 5371 25
328177
썸네일
[니갤] 기타큐슈 삭출 여행 후기(25.04.30) - 1일차
[35]
히사시브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0 1673 13
328175
썸네일
[U갤] 피식쇼ㅋㅋㅋ 할로웨이 출연
[63]
U갤러(220.125) 13:30 10778 98
328174
썸네일
[싱갤] 백종원 사과문 대필 논란...
[25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0 21796 297
328172
썸네일
[이갤] 엄지윤이 생각하는 최악의 집착
[128]
ㅇㅇ(93.118) 13:10 12457 56
328170
썸네일
[중갤] 중원 찾은 이재명 "尹이 국민에 겨눈 총탄보다 강한 게 투표지"
[26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0 8487 115
328167
썸네일
[싱갤] 군하하하 레닌그라드 공방전
[141]
SPINJITZU_MAST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0 15135 90
328165
썸네일
[중갤] 민주당 "조희대 탄핵안 써놔야..대법관 10명 탄핵준비 공감"
[60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8953 64
328164
썸네일
[기갤] 한국인이 몰랐던 한국 라면? 해외 한정판 따로 있다.jpg
[13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0 13839 25
328162
썸네일
[중갤] 국힘 재선의원 상당수, 단일화 촉구 연판장 서명 거부
[23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0 10769 83
328160
썸네일
[이갤] 깜짝… 지적장애 여성에게 노예계약 성착취한 남성
[276]
갈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16796 44
32815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은 음식에 장난을 치지 않는다 근황...jpg
[4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0 35122 231
328157
썸네일
[키갤] 빛혜성 MLB 첫 안타@@@@@.webp
[102]
푸이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0 8705 224
328155
썸네일
[중갤] 로스트아크 유저 시위 근황 webp
[645]
스카이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31588 133
32815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호랑이 라이벌인 용의 진실
[225]
아우렐리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6018 291
328152
썸네일
[중갤] 한동훈, “당원 가입” 요청.. 말 대신 링크를 눌렀다
[26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13959 173
328149
썸네일
[기갤] 반려견 등록 안 하면, 과태료가 100만원이라고?.jpg
[30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0 13142 89
32814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직장인 점심시간의 애환
[17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21833 99
328145
썸네일
[부갤] 그알 캄보디아 범죄수용소 2편 요약
[122]
부갤러(211.170) 10:30 11013 102
328144
썸네일
[중갤] 기가문수, "25일까지 단일화 하겠다."
[6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15893 78
328142
썸네일
[키갤] 오늘의 이정후.webbp
[102]
푸이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0 13486 118
328140
썸네일
[이갤] "대치동은 지옥" 결국…'4세 고시' 열풍의 그림자
[5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20017 69
32813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패키지 여행 후기 올렸다가 협박당한 유튜버
[272]
전국민면허몰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0 28014 275
328137
썸네일
[야갤]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jpg
[921]
ㅇㅇ(112.158) 09:40 35063 360
328135
썸네일
[카연] 고이꾸앵 건강검진 받는 만화,..,.,,.Manhwa
[94]
개듣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0316 60
328134
썸네일
[기갤]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3 공식 예고편 총정리.jpg
[27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19946 48
328130
썸네일
[기갤] 제61회 백상예술대상 with 구찌 수상 결과
[85]
ㅇㅇ(180.68) 09:00 11757 12
32812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리뉴얼 디자인한 사우디 리야드 항공사 근황.JPG
[80]
ㅇㅇ(118.103) 08:50 14565 39
328127
썸네일
[잡갤] 거지인데 여행중독인 친구 어떡할까?
[139]
갈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0 23357 42
328125
썸네일
[이갤] 도태남은 답이 없는 이유(매불쇼)
[1238]
배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23177 113
328124
썸네일
[특갤] “2025년은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원년”
[131]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10391 31
328122
썸네일
[싱갤] 깜짝깜짝 음주운전....연예인 목록.....JPG
[47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39147 507
328120
썸네일
[카연] 중고 거래 사기 당할 뻔한 manhwa
[43]
김밍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0 11183 50
328119
썸네일
[주갤] 블라인드 역대급 퐁퐁이형 등장 ㄷㄷ
[371]
갓럭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0 31159 207
328117
썸네일
[잡갤] 편한 사람을 막 대하는 이유
[22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0 20474 103
328115
썸네일
[싱갤] 유익유익 마광수 슨상님이 쓰신 인생 조언 14가지
[196]
보추장아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3245 124
328112
썸네일
[스갤] 베트남 여자들이 원하는 한국 남자와 결혼시 급여
[417]
묘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24415 59
328110
썸네일
[이갤] 강아지, 고양이 키웠더니 심장마비·고혈압 위험↓
[10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0 11320 36
328109
썸네일
[디갤] 거창 감악산 은하수 ㅎㅎ
[87]
사이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0 13010 69
328107
썸네일
[키갤] (여장주의) 오죠 코스하고 일페 참가 후기
[337]
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0 29634 134
32810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상남자식 여성전용주차장 이용법
[2100]
기쁜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54424 729
328104
썸네일
[대갤] 日고향납세제도, 싸구려 가짜 답례품을 속여 보내서 논란 (치바현)
[205]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23248 149
328102
썸네일
[잡갤] 싱글벙글 참된 목사님의 극우 장로 참교육썰.jpg
[229]
갈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27559 141
32810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양안전쟁이 ㄹㅇ 생지옥인 이유.jpg
[110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0 52144 431
328099
썸네일
[이갤] 옆집 이웃이 쎄하다는 아내 얘기를 들은 추신수의 선택
[341]
ㅇㅇ(93.118) 00:50 37837 59
뉴스 암 투병 아내에 시부모 모시자는 남편…서장훈 “이혼해라” 분노 (‘물어보살’) 디시트렌드 05.0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