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어쩌면 중력은 시간이랑 같은 과가 아닐까?모바일에서 작성

과갤러(118.235) 2024.05.19 06:32:16
조회 42 추천 0 댓글 0

새벽이라 쥰내 잡생각 나는데 그만둘순없고 잠은 자고 싶은데 궁금증이 해결되지 않아 여기라도 글 쓰고 생각좀 물어보려고 함.

평소에도 잠자기전에 씹덕망상이나 하는 평범한 갤붕이지만 시간관련된 캐릭터 설정놀음하다 문득 생각이 났다.

'시간에 관한 설정을 어떻게 하지?'

애초에 시간이란 무엇인가? 수능도 안본 고졸갤붕이에게도 알기 쉽게 설명한 글로는 '시간'은 시공간의 한 축이며 세상 모든 물질은 시간방향으로 빛의 속도로 나아가고 있다고 했다.
그리고 우리가 3차원의 어느 방향으로든 '가속도'가 발생하면 그 '가속도'만큼 시간방향의 속도가 줄어들어 결국 그만큼 시간이 느려진다고 했다. 근데 '가속도' 어디서 많이 보지않았는가?
'중력가속도' 즉, 중력도 가속도라는 소리인데 이 가속도의 방향은 어디인가? 라는 고찰이다. '당연히 물질의 중심이지. 중력이란 원래 모든 물질이 가지는 인력을 말하는 것이다.' 근데 나는 이 생각의 틀을 한번 부숴보았다.  사실 물질의 중심을 향하는게 아니라면?
어쩌면 '시간'처럼 완전히 다른 차원축으로 향하는 가속도라면? 애초에 중력은 다른 기본 힘과 통합도 안된다고 하지 않았는가? 이건 '시간'방향으로 빛의 속도로 나아간다는 말도안되는 '에너지'도 마찬가지 아닌가?

사실 이 생각이 도달하기 전에 한 생각이 있었다. 누군가 왜 중력이 중앙으로 끌어당기는가를 고졸빡대가리도 알기 쉽게 알려주기 위해 보자기 위에 쇠구슬을 놓아 설명해 줬다.
물론 이게 빡대가리도 알기쉽게 하기 위해 비유적인 표현이란 걸 알고있다. 근데 비유적이란건 비슷하다긴 하단 소리 아닌가? 거기서 쇠구슬은 분명 2차원표면의 보자기가 아닌 3차원, 즉 전혀 다른 차원을 향해 내려가 있었다. 내 생각은 여기서부터 출발한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계속해서 이어지는 의문이 생긴다.
'다른 차원의 방향으로 향한다기엔 중력은 명백하게 물질의 중심으로 향하고 있다.' 라는 것이다. 나는 어쩌면 이것이 '착각'이 아닌가로 추측했다.
한가지 가정을 들어보자. 1차원의 공간이 있다. 이 1차원의 공간 위에 있는 한 선에 한 점이 존재하고 있고, 1차원 밖에 있는 2차원방향의 어떤 한 점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런데, 그 점으로 1차원의 중심도 같은 '속도'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점의 입장에서는 점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여기서 점은 1차원 이외의 공간에 대해 감지 할 수 없다고 해보자. 그러면 그 점은 분명 선 위에 중앙으로 향하고 있다고 생각 할 것이다. 왜냐하면 1차원의 선의 '중심'이 같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2차원의 점에서 그 선의 중심과 1차원의 점은 서로 만나게 될 것 임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즉, 점이 1차원의 선의 중심으로 향하는게 아니라, 1차원의 선의 중심이 점과 함께 2차원방향의 한 점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 된다. 그리고 '중력가속도'는 그 '점'이 선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기속도 인 것이다. 실제로 점은 2차원 방향의 점으로 향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점은 1차원의 선의 중심으로도 향하고 있다는 것.



그런 가설에 두번째 의문이다. '그렇다면 질량의 크기나 물체의 위치에 따라 중력가속도가 변하는 이유는?' 에 대한 것이다.
중력은 동일 질량일 경우 밀도가 높을 수록, 가까이 갈 수록 커진다  이를 위 선을 이용한 가설에 대입해보자.
선의 중심의 이동경로를 선분 A, 점의 이동 경로를 선분 B, 선과 점사이의 거리를 C라고 했을 때 이 세 선분은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B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이라 했을 때 C가 짧을 수록 B역시 짧아짐으로 가속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즉, 선 위의 점이 선의 중심에 가까울 수록 가속도는 높아진다.
또한, A가 빗변이라 하더라도 결과는 같다.
그런데 중력은 확실히 물질의 '표면'까지는 강해지더라도 표면이 아닌 내부로 들어갈 수록 약해지지 않던가? 이 경우는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물질이 나에게 상대적으로 질량이 줄었음을 의미하고 중력이 약해진다는건 즉, 1차원 위의 선이 2차원 방향의 점으로 향하는 '속도'가 느려졌다는 것과 같다. 이는 시간처럼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선분 A, B의 길이와 같으니 이는 위 선분 A의 길이가 짧아졌다는 것과 같다. 중력의 방향으로 등속도로 이동하는 길이인 A가 짧아졌으니 이는 선 B가 길어졌음을 의미하고 이는 결국 점이
1차원 위의 선의 중심으로 향하는 가속도가 줄어듦을 의미한다. 즉, 질량이 낮을 수록 가속도가 느려지는 것도 설명이 가능하다.




여기서 다른 문제점도 있고 분명 산업계고졸빡대가리는 알지 못하는 사실들이 있을테니 맞지는 않겠지만 지금이라도 자기 위해 여기까지 쓰고 튄다.. 뭐가 맞고 뭐가 틀린지 궁금하긴 한데 일단 자고 일어나서 확인해봐야겠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공지 2008 과갤러들이 추천한 이 시대의 교양과학책 [125] 김필산(165.132) 08.05.18 50444 34
공지 과겔에 오시거든 꼭 읽어주세요. [208] 과겔도우미(61.252) 05.03.18 70534 11
공지 과학 갤러리 이용 안내 [144] 운영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11 27506 5
272914 지식보관소 학력이 어케 됨? ㅇㅇ(175.114) 06.10 15 0
272913 여긴 궤도 민심 어떰? 과갤러(119.193) 06.10 38 1
272912 물 묻은휴지보다 그냥 휴지가 더 늦게 뜨거워지나요? [1] 과갤러(61.255) 06.09 22 0
272910 아인슈타인 같은 천재도 같은 인간일 뿐이다. ㅇㅇ(210.179) 06.09 26 0
272909 창문열어노면 방문이 저절로 닫히던데 ㅇㅇ(172.226) 06.08 15 0
272906 님들아 컴공 물화생 vs 물생지 [3] 과갤러(218.53) 06.06 34 0
272905 코스모스2 발정난 미친 년이 개소리한다고 느껴지는데 ♥J^^(182.31) 06.06 21 0
272904 드라이아이스 월갤러(58.29) 06.05 28 0
272903 중력 발생 원리에 대한 내 생각 ㅇㅇ(110.35) 06.04 48 0
272902 궁금해서 그런데 장사선도 거울같은거에 반사가 됨? ㅇㅇ(118.43) 06.03 21 0
272901 감염성 프리온 잘 이해한거 맞음? 확인좀 [1] ㅇㅇ(220.92) 06.02 34 0
272900 궤도가 감동받은 댓글 ㅋㅋ 과갤러(106.244) 05.31 58 0
272898 방상 그리고 연무정 스키피오아프리카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18 0
272897 마찰이 아예 없는 얼음 위에서 걷는 게 가능함? [2] 과갤러(172.226) 05.27 47 0
272896 인류세 관련 질문 과갤러(211.251) 05.26 30 0
272892 답답해서 미래기술 알려준다. 받아적어라 과갤러(58.225) 05.25 51 0
272891 질량을 가진 물체가 시공간은 왜곡하는게 ㅇㅇ(121.141) 05.25 61 0
272890 빅뱅 질문 과갤러(211.234) 05.24 31 0
272889 화공과랑 화학과 [2] 과갤러(211.168) 05.23 77 0
272888 스페인에 혜성 떨어졌네 미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35 0
272887 ㅈㄴ 궁금한거 과갤러(114.202) 05.19 32 0
어쩌면 중력은 시간이랑 같은 과가 아닐까? 과갤러(118.235) 05.19 42 0
272885 탄소 그래핀 존나 쉽게 만드는법 떠올랐다 과갤러(222.105) 05.18 67 0
272884 성욕은 과학입니다 (feat.궤도) 과갤러(106.244) 05.17 84 0
272883 면의 종류에 따른 염분 측정 실험 어떻게 하나요? 과갤러(211.251) 05.16 30 0
272879 흐르는 물에 자석갖다대면휘냐 [1] 과갤러(220.73) 05.11 60 0
272876 치약하나못만든 동양의학 과갤러(110.47) 05.08 60 0
272875 남은 수명이 1년으로 줄어드는대신 과갤러(121.66) 05.07 53 0
272873 아이스크림 막대 버리면 썩음? ㅇㅇ(110.15) 05.06 43 0
272871 [라엘리안 보도자료] AI(인공지능) 로봇이 쏘아 올린 ‘낙원주의’ 신세 과갤러(125.179) 05.05 84 0
272870 비내리는데 비눗방울 왜 안터짐? ㅇㅇ(115.31) 05.05 50 0
272869 과학 고수 형님들 질문점 ㅇㅇ [1] ㅇㅇ(110.70) 05.05 76 0
272868 과학자는 왜 유물론자가 되길 강요하냐? 과갤러(61.254) 05.04 55 0
272867 궤도가 알려주는 불x 크기 판별법 과갤러(106.244) 05.03 93 0
272866 계란 낙하실험 질문있습니다!! ㅇㅇ(59.2) 05.01 65 0
272865 물의 온도가 100도에서 더 올라가지 못하나요 [2] ㅇㅇ(220.79) 04.30 100 0
272863 행님들 이거 맞나요? [1] 과갤러(211.200) 04.27 90 0
272862 발생생물학 관련 질문 과갤러(58.239) 04.27 51 0
272861 탑 클라스 명문대 명교수 명강의 과갤러(210.217) 04.25 77 3
272860 대전 과학축제 다녀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85 1
272859 화학식 붕붕(220.83) 04.25 47 0
272858 중3과학 화학식 [2] 붕붕(220.83) 04.25 129 0
272856 암흑에너지 과갤러(61.245) 04.25 64 0
272854 같은 부피면 물이 무겁냐 흙이 무겁냐 [1] ㅇㅇ(106.102) 04.24 76 0
272853 우주 상자의 기원 - 우주 충돌 과갤러(61.245) 04.24 54 0
272851 우주 상자 과갤러(61.245) 04.23 61 0
272849 과학 게이들아 이것좀 봐줘 과갤러(106.101) 04.22 6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