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 개최…“아태 AI 허브 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9.04 15:54:15
조회 5900 추천 0 댓글 1
[IT동아 김예지 기자] SKT가 지난 8월 29일 SK에코플랜트, 아마존 웹 서비스(AWS), 울산광역시와 함께 국내 비수도권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전용 데이터센터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의 기공식을 열었다. SKT는 이번 AI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AI 고속도로를 구축하고,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AI 허브로 도약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AI 데이터센터 울산은 2027년 완공될 예정이며, 향후 GW 규모로 확장될 전망이다.


유영상 SKT CEO / 출처=SKT



이에 앞서 지난 6월 20일 열린 출범식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유영상 SKT CEO,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AWS 인프라 총괄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날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인프라 총괄 대표는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세계적 수준의 반도체 기술과 AWS 인프라를 결합한 시설”이라며, “앞으로도 SK그룹과 한국의 AI 리더십 강화를 위한 기반을 지속 다져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8월 29일 기공식에는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유영상 SKT CEO, 김형근 SK에코플랜트 CEO 등 SK그룹 주요 관계자와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신재원 AWS 코리아 전무 등 200여 명의 인사가 참석했다.

고성능 연산 위한 AI 데이터센터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은 SKT의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전략의 일환이다. 이는 ▲AI 데이터센터 ▲GPUaaS ▲엣지 AI(Edge AI) 등 세가지 축으로 삼아 전국 AI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SKT는 수도권 핵심 거점을 바탕으로 전국으로 확장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생성 AI 시대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B2B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MWC25에서 선보인 SKT의 AI 데이터센터 / 출처=SKT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은 일반 데이터센터와 달리 고성능 AI 연산에 최적화된 고전력, 냉각, 네트워크 역량을 갖출 예정이다. 일반적인 데이터센터는 서버랙(Server Rack)당 평균 5~10kW의 전력을 소비하는 반면, AI 데이터센터는 서버랙당 20~40kW 이상의 전력을 필요로 한다. 전력 소비량이 4배 이상 높기 때문에 냉각 용량도 일반 데이터센터의 4~10배에 달하는 서버랙당 40~100kW에 달하는 대용량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은 AI 컴퓨팅에 특화된 구조 및 시스템을 갖추고, 초고집적 랙 밀도, 공랭식-수랭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을 도입한다. SKT는 “이러한 AI 특화 설계가 기존 데이터센터 대비 높은 성능과 효율을 자랑한다”고 말했다.

한편, SKT는 지난해 12월 가산 AI 데이터센터 오픈과 함께 GPUaaS(GPU-as-a-Service)를 출시한 바 있다. 특히 지난 8월 1일에는 최신 엔비디아 블랙웰 B200 GPU 1000장을 단일 클러스터로 구성한 국내 최대 규모의 ‘소버린 GPUaaS’ 인프라를 선보였다. SKT는 “엣지 AI, GPUaas와 함께 이번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를 통해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전략의 세 가지 축을 골고루 고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왜 울산인가?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에는 SK그룹의 주요 계열사가 참여했다 / 출처=SKT



AI 데이터센터를 울산에 구축한 이유는 산업적, 지리적, 경제적 관점에서 여러 전략적 이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데이터센터 운영의 핵심인 전력 공급 면에서 울산은 최적의 입지다. SK가스와 SK멀티유틸리티 등 SK그룹 계열사가 인근에 있어 안정적인 전력 확보가 가능하다. 특히 SK가스에서 LNG를 공급받는 SK멀티유틸리티를 통해 한국전력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전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LNG 열병합 발전으로 친환경성과 효율성까지 동시에 잡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SKT는 “이번 프로젝트는 SKT와 SK브로드밴드를 비롯해 SK에코플랜트, SK가스, SK케미칼, SK멀티유틸리티, SK하이닉스, SK AX 등 SK그룹의 ICT 및 환경·에너지 계열사들이 총출동했다”며, “SK그룹 역량을 결집해 높은 시너지 효과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예컨대, 인프라 구축을 맡은 SK에코플랜트는 ▲최적 공법 제안 ▲핵심 설비 시공 전략 수립 ▲사전 인프라 구축 ▲전력·공조·통신 안정성 확보 ▲냉각시스템 효율화 등 체계적인 사전 검토를 진행했다.

또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아태지역의 AI 허브로 도약하겠다는 장기적 비전과도 일치한다. 울산은 해저 케이블에 유리한 입지와 산업 친화적 환경을 갖춰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장소로 평가받는다.

SKT는 이번 AI 데이터센터 건립이 사업 확장뿐 아니라 울산 지역 및 국가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동북아에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목표하는 AWS의 최적의 파트너로서 공동 투자를 통해 고용 창출과 경제 효과가 예상된다. 또한 기존 제조업 중심 도시인 울산에 AI 기반 스마트팩토리,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해 지역 산업의 체질을 개선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SKT와 울산광역시는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를 향후 GW급 AI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로 확장하기 위한 협약도 체결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MEP 솔루션 결합 맞손



서울 SK T타워에서 진행된 계약 체결 및 협력 확대 MOU 서명식 모습. 유영상 SKT CEO(좌), 판카즈 샤르마 슈나이더 일렉트릭 시큐어 파워 및 서비스 총괄 사장(우) / 출처=SKT



국내 최대 규모의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에는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MEP(기계·전기·배관) 장비가 도입된다. SKT와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지난 8월 31일 서울 SK T타워에서 MEP 장비 통합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양사의 전략적 협력 범위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미 지난 3월 MWC25에서 처음 파트너십을 맺은 뒤 다양한 분야에서의 구체적 협력 방안을 모색해왔다. 이번 계약은 그 첫 번째 결과물인 셈이다. 구체적으로 슈나이더의 배전반, UPS, 변압기, 자동제어 등 5개 영역의 MEP 장비가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에 통합 공급된다.

또한 이번 계약으로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 이탭(ETAP)을 SKT의 통합 AI 데이터센터 인프라 매니지먼트(Data Center Infrastructure Management, 이하 DCIM) 시스템에 결합해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운용 최적화를 추진한다. 또한 ▲SK온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활용한 UPS·ESS 공동 개발 ▲SK그룹 전반의 MEP 장비 수요를 기반으로 한 협력 확대 등도 포함했다. 더불어 기존의 ▲AI DCIM과 슈나이더 자동 제어 시스템 연동 및 상품화 ▲MEP 레퍼런스 디자인 공동 개발과 데이터센터 설계·구축 ▲공사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프리팹(Pre-fab) 모듈형 솔루션 설계 ▲에너지 구독(EaaS) 사업 확대를 위한 공동 영업 등에서 협력을 강화했다.

IT동아 김예지 기자 (yj@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펄스애드 “이커머스 통합 광고 플랫폼으로 리테일 미디어 시장 선점”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건축 조감도에 생성AI 접목한 '플랜바이테크놀로지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퀀팃 “AI 기반 투자 솔루션으로 국내외 핀테크 시장 공략”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순간의 말실수로 이미지 타격이 큰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9/01 - -
5796 "스냅드래곤 아닌 엑시노스 2500" 품은 갤럭시 Z 플립 7 게임 실력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39 0
5795 [투자를IT다] 2025년 9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16 0
5794 '기업 95% AI 도입에 어려움'··· AI 개발·도입은 물론 '전문적 관리 방안'도 필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2545 0
5793 사내 유무형 자산 관리·디지털화, '셀파스'가 돕습니다 [서울과기대x글로벌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34 0
5792 [민원제로] 6. 핵심성과지표를 분명히 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25 0
5791 디노티시아, VLDB 2025서 핵심 논문 공개··· 'VDPU 고유성 명확해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41 0
5790 [기고] AI와 미래 산업기술 - 6/완. AI 시대, 산업기술자는 세상을 바꾸는 사람이 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25 0
5789 시제 “모노리스·모노로그로 의류 생산 공정 디지털 전환 주도”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38 0
5788 기술로 지역 농산물 가치를 높이는 농업회사법인 ‘새뜸’ [농업이IT(잇)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35 0
5787 미래인테크놀러지 "20여년 HR 노하우, ‘큐피트 HR’에 담았다”[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82 0
5786 마키나락스 어텐션 2025 “산업 현장에는 지식과 경험 겸비한 인공지능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4032 0
5785 중소여행사의 디지털 전환, ERP 도입 돕는 '어딩'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72 0
5784 AI 반도체 해외실증 사업, 일본 진출하는 '더존·퓨리오사AI' 사례 눈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85 0
5783 이노디테크, AI 덴탈 솔루션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72 0
5782 스포잇 “스포츠의 가치를 데이터로 말합니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70 0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 개최…“아태 AI 허브 노린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4 5900 0
5780 “온-디바이스 AI부터 개인용 AI 슈퍼컴퓨터까지” AI PC 시장 판도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3 104 0
5779 누코드 “AIoT 임베디드 시스템ㆍ물리 AI 이끄는 소부장 기업으로” [서울과기대 초창패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3 156 0
5778 [주간스타트업동향] 두뇌싱긋연구소, 성북어르신 스마트경진대회서 제품 시연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3 101 0
5777 타룬 렐한 HP ACS 총괄 "AI·기술 다 갖춘 한국, 고성능 컴퓨팅 시장의 중심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3 103 0
5776 [ETF Q&A] 파킹형 ETF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3 5827 1
5775 구글의 AI 이미지 혁신, '나노 바나나' 이모저모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3235 4
5774 [위클리AI] 엔비디아 젯슨 토르부터 구글 나노바나나까지…전세계 주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6461 0
5773 펄스애드 “이커머스 통합 광고 플랫폼으로 리테일 미디어 시장 선점”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23 0
5772 [뉴스줌인] MSI의 '듀얼모드' 지원 게이밍 모니터 출시...주목할 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 160 0
5771 [신차공개] 포르쉐 '신형 911 스피릿 70' 최초 공개·BYD '씰' 판매 시작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 2692 0
5770 “K-뷰티, 서울에서 세계로” SBA, 2025 뷰티트레이드쇼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 142 0
5769 “정교하고 편리하게” 아르고스, AI 기반 글로벌 신원 인증 통합 솔루션으로 주목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 139 0
5768 AI가 사람 대신 협상해 최적의 호텔 견적 산출…’리아드코퍼레이션’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1 145 0
5767 국토·건축 데이터 융합 잠재력 보여준 데이터 혁신 경진대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299 0
5766 제이디솔루션 “청력보조 스피커 하룬제, 난청자에게 듣는 즐거움 줄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294 0
5765 카카오톡 이모티콘 키보드 추천 기능 꼭 필요할까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9168 3
5764 까미노사이더리 “양구 파치 사과로 지역과 사람을 잇습니다” [농업이 IT(잇)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272 0
5763 [스타트업-ing] 세컨드팀 “AI면접관으로 기업 채용 프로세스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253 0
5762 [퀀텀 스타트업] 10/완. 양자 전쟁시대, 한국의 생존전략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315 0
5761 시그마케이 “AI 기반 컴퓨터비전 기술로 중대재해·침수 막는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9 2610 0
5760 건축 조감도에 생성AI 접목한 '플랜바이테크놀로지스'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276 1
5759 [투자를IT다] 2025년 8월 4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335 0
5758 아틀로 "감정 나누는 AI 친구 호평, 다음 단계는 로봇 친구”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6466 3
5757 플리토, '초개인화' 실시간 통역으로 AI·데이터 시장 모두 잡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239 0
5756 파마로보틱스 “주사제 자동 조제 로봇으로 병원 업무 환경 혁신할 것”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220 0
5755 이노디테크, 닥터덴트AI 시뮬레이션 서비스 출시···3분 만에 치아교정 계획 완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222 0
5754 서울미디어페어 케데헌 배리어프리 '누구나 차별 없이 미디어 즐기도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236 0
5753 포플러플래닛 “맞춤형 AI 언어 교육, 최적의 학습 경로 제시할 것”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226 0
5752 SGA솔루션즈 “국산 보안, 제로 트러스트 통합 전략으로 승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8 223 0
5751 신사유람단 "이옷=AI 스타일리스트, 맞춤형 패션 서비스 제공"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254 0
5750 ‘소형차 전용도로’ 달릴 수 있는 차량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220 0
5749 [주간스타트업동향] 칼렛바이오, 2025 공공구매제품 구매상담회 참가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209 0
5748 그룹웨어 시장, 코로나 팬데믹 이어 주 4일제로 더 힘 받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6334 0
5747 동주, "숨겨진 원석같은 웹툰 작가들, 스피노프로 엮겠다" [SBA x IT동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7 207 0
뉴스 손연재 ‘피스앤블레스’ 한남 플래그십 오픈 행사 참석 디시트렌드 09.0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