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팁] 뉴비를 위한 슬라이서 옵션 가이드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7.15 14:49:38
조회 4129 추천 13 댓글 2
														




요 몇 일간 뉴비들 질문을 보다 보면 슬라이서 옵션을 모른다고 조져놓는 경우가 간간히 있어 기초적인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하려 함.


혹시 내용 측면에서 딴지 걸거나, 내용을 추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고인물들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면 반영하겠음.


고칠게 많다면 글을 통째로 긴빠이해서 고쳐도 상관없음.


내가 큐라를 쓰니까 큐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대부분의 슬라이서에 해당 기능이 있으니 비슷한 옵션 찾으면 될 거임.


설명 안 한 옵션은 막 따라하지 말자. 설명 한 옵션도 뭔지 이해를 하고 바꾸자.


※ 설정은 각자 프린터에 맞게 해야함. 무지성으로 내 셋팅을 복사한다면 출력물이 개판 날 것임. ※





0. 기본 셋팅


상단 메뉴에서 우선 기본 프린터 셋팅과 큐라 옵션 셋팅을 해준다.


먼저 노즐 두께를 확인하자. 기본 노즐은 대부분 0.4mm이다.

Settigns - Extruder 1 - Nozzle Size에서 확인하면 된다.


혹시 필라멘트 두께도 1.75mm가 맞는지 확인하자.

Settings - Printer - Manage Printers - Machin Settings - Extruder 1 - Compatible material diameter를 보면 된다.


모든 숨겨진 옵션을 열어준다. 막 만지면 개판이 되겠지만, 아는 옵션만 만지면 문제가 없다. 모르면 옵션을 검색해보자.
만약 실험적으로 만져보고 싶다면 한번에 1~2개만, 바꾸기 전 값을 적어놓고 테스트 후 문제가 생기면 원복하자.

Settings - Configure Setting Visibility에서 Check All을 눌러준다.


1. Quality - 벽 두께 및 적층 높이



7cf3c028e2f206a26d81f6ed4f82776c











Layer Height (레이어 높이) : 보통 노즐의 50% ( 0.2mm)로 설정. 빠른 출력을 위해 최대 80%(0.32mm) 그 이상은 출력물에 문제가 생긴다.
높은 출력물의 적층 결을 위해 0.04mm까지 셋팅을 할 수는 있지만, 프린터가 잘 셋팅되어야 출력중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Initial Layer Height (첫 레이어 높이) : 뒤에 나오는 Top Bottom 셋팅 중 Initial Layer만큼의 레이어 갯수를 해당 두께로 뽑아준다.

Layer Height를 아주 얇게 할 때 안착이 매우 어려워지는데, 이때 이 옵션을 높여주면 첫 레이어 두께만 바꿀 수 있다.


Line Width (선폭) : 노즐 두께와 일치 시켜준다. (0.4mm) 바꾸면 문제 생길 가능성 높으니 바꾸지 말자


2. Walls - 벽 설정


7ff3c028e2f206a26d81f6e742857c6ce6


Wall Thickness (벽 두께) : 내부 Infill을 제외한, 외부에 보이는 벽 두께. 갯수 또는 두께로 정하는데, 너무 얇으면 내부 Infill이 옆에서 비춰 보임.
3~5개 = 1.2mm ~ 2.0mm 정도 설정해주자.


Wall Ordering (벽 출력 순서) : 벽 N개를 그릴 때, Infill 부분부터 그리는지, 외벽을 먼저 그리는지 설정해줌. 출력 후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라가 노즐에서 샌다던지, 리트렉션 셋팅이 좋지 않다면 내벽 먼저 그리는게 라인이 비거나 심 부분에
문제가 발생하는 걸 줄여줄 수 있음. 필요하다면 외벽 먼저 출력하여도 문제는 없음.


Z Seam Alignment (심 정렬) : 벽을 그릴 때, 그리기 시작하는 점과 끝 점이 만나는 곳의 위치를 조정해준다.
보통 뾰족한 코너 Sharpest Corner에 위치 시키는 것이 깔끔하며,
셋팅이 잘 되어있지 않다면 Seam이 부푸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원통 등을 끼워 조립하는 출력물은 랜덤으로 하면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았음.


Seam Corner Preference : 심 정렬 위치에 대한 하위 옵션으로, None은 위 셋팅 그대로, Hide는 가장 안쪽 모서리에, Expose는 가장 바깥쪽 모서리에,

hide Or Expose는 가장 안 or 바깥을 비교하여서, Smart Hiding은 가능한 가장 안쪽에 넣으려 하지만

안된다면 가장 바깥쪽 모서리를 셋팅함. 크게 차이는 없지만 심 위치를 조절하고 싶을 때 만져 볼만함.
난 기본으로는 Smart Hiding으로 씀.


3. Top/Bottom - 상단 / 바닥면 셋팅


7ef3c028e2f206a26d81f6e64580736a


Top Surface Skin Layers : 아래 스킨 셋팅에 영향을 받는 레이어 갯수를 지정한다. 압출량 셋팅 잘 되어있다면 안써도 되긴 함.

근데 이상하게 선 사이가 비면 설정해주고 아래서 Skin Overlap양을 늘려준다던지 하면 됨.


Top/Bottom Thickness : 최상단 / 최하단 레이어 갯수를 지정함. (Infill 패턴 없이 꽉 채우는 면 갯수)
벽 두께와 마찬가지로 얇으면 Infill이 비친다. 0.2mm 레이어 높이 기준 3~5개 = 0.6 ~ 1mm
로 해주자.

주의할 점은 위의 0.8보다 하위 옵션인 3개가 먼저 적용되어 위 셋팅의 경우 3줄 (0.6mm)로 뽑히니
상위 옵션만 바꾸고 까먹지 말자.

Initial Bottom Layers: 뒤에 나오는 Initial 셋팅에 영향을 받는 레이어 갯수인데,
첫 레이어를 천천히 뽑아 안착에 유리하게 하는 등의 셋팅에 사용되므로 하나 이상 해주자.
Bottom Layer 갯수와 같아도 크게 문제는 없다.


4. Infill - 내부 채움 형상 및 밀도


79f3c028e2f206a26d81f6e44f86716577


Infill Density : Wall을 제외한 내부를 얼마나 꽉 채울 지 셋팅한다. 한 20~40%정도 하면 보통은 크게 문제 없음.
생각보다 출력물의 강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단단한 출력물이 필요하다고 Infill 100%는 의미가 없다.
차라리 단단한 출력물이 필요하다면 벽 / 상 하단 레이어 갯수를 늘려주자.


Infill Pattern : 내부를 채우는 패턴을 셋팅한다. 평범한 Grid도 문제 없고, Cubic이나 Gyroid 등 다양한 옵션이 있다.
궁금하다면 큐브 하나 올려놓고 슬라이싱해서 레이어 움직여가며 비교해보자.

개인적으로 Gyroid가 재미있어 보이나 프린터를 너무 신나게 흔들어 재껴버려 그냥 Grid 사용 중...


Infill Overlap Percentage : Infill과 Wall이 붙는 두께인데, Infill과 Wall이 분리된다면 만져보자.

대부분 안 건들여도 문제 되지 않음.


5. Material - 출력 온도 및 압출량 설정


78f3c028e2f206a26d81f6e74e88736c4e


Printing Temperature : 보통 PLA는 190~210도, ABS는 230~250도 정도로 셋팅되며, 잘 모르겠으면 인터넷에 찾아봐도 나오고,
가장 좋은 건 온도타워 하나 뽑아보는게 좋다. 고속으로 뽑을 땐 온도를 조금 높게 뽑으면 좋으나,

높을수록 노즐에서 필라가 질질 흘러 리트렉션 셋팅이 잡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적절한 셋팅을 찾는게 중요하다.


Pinting Temperature Initial Layer : 첫 레이어 출력 온도로, 출력물의 퀄리티와 안착이 잘 되는 온도가 다르다면 이용하자.
따로 바꾸지 않아도 무관하다.

Build Plate Temperature : 출력물이 붙는 플레이트 온도로, PLA는 55~63도 정도, ABS는 90~100도 정도면 보통 문제가 없다.

너무 온도가 낮으면 수축이 일어나 떨어지거나, 너무 높으면 말려 올라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으니 적절한 온도가 중요하다.
모르면 인터넷에서 많이 쓰는 셋팅을 찾아보자.


Flow : 공지 뉴비 팁의 압출량 캘리는 이 부분을 바꿔주는 것이다. 절대 무지성으로 남에 프린터 값 따라하면 안된다.
각자 익스 E Step 캘리를 하고 나서도, 사용하는 필라멘트가 녹으며 팽창하는 양이나, 사용하는 필라멘트가 1.75 두께로 균일한지도 모르므로,
최소 프린터를 처음 받거나 필라 소재가 바뀔 때마다 셋팅을 잡는게 좋으며, 아주 정밀한 결과가 필요하다면 필라멘트 스풀마다 해야한다.


그 외 initial Layer Flow와 initial Layer Height를 이용하여 안착을 쉽해 해주는 뉴비를 위한 팁이 있으니 필요하다면 참고하자

뉴비들을 위한 첫 레이어 두껍게 잡는 이유 ( https://gall.dcinside.com/m/3dprinting/71333 )


 



시발 다쓰니까 65535자 넘어간다고 등록 안되네



다음편에 계속

추천 비추천

13

고정닉 4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 설문 군대 예능 출연해 줬으면 싶은 여자 스타는? 운영자 25/09/15 - -
- AD 가전디지털, 액세서리 SALE 운영자 25/09/12 - -
75811 공지 [유입/입문]🔍🔍🔍[정보팁모음]🔍🔍🔍 [5] InfoBo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29 76995 50
84486 공지 출력대행 질문 전 보시면 좋은 글 [12] 때제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9 19719 41
75761 공지 갤러리 부매니저 모집 공지 [34] Sangp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28 3444 23
57734 공지 갤러리 내 이벤트 관련 공지 [2] Sangp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1 4014 4
57747 공지 갤러리전용 메일 만듬 [7] Sangp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1 4847 10
138948 일반 혼란을 틈타 본인 당근 썰 푼다 [11] 코뮤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37 85 0
138947 일반 감정이고 뭐고 주딱 능력없는건 팩트잖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33 53 8
138946 일반 이번사태 뒤늦게 본 사람들 오해하는 것 같은데 [12] 아이시떼루욧!!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7 156 8
138945 일반 (가격수정) 자요 펫지랑 A1M 내수 단품 2대 팜 [7] Neib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5 107 0
138944 일반 타오바오가 알리에 비해 필라멘트가 엄청 싼가? [4] 3갤러(14.39) 14:37 71 1
138943 일반 3D프린팅마이너갤러리의 매니저 해임을 요청합니다. [47] ㅇㅇ(106.102) 14:36 390 20
138942 일반 납작해지기 (수정한거 추가) [7] Telc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1 142 5
138941 일반 이케아 lack로 챔버 만들고 있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5 72 0
138940 일반 뭐야 또 나없을때 개꿀잼 떡밥 굴러갔어? [2] 광붕이기야노데스웅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9 132 2
138939 일반 기능사 실기 후기 (2025 3회차) [3] 3갤러(39.114) 13:19 140 0
138938 일반 petg 생프 8개월 수분노출결과 [11] 하청업체직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0 214 0
138937 일반 선루 히터 배송방법 문의입니다 [2] 3갤러(106.102) 13:01 104 0
138936 일반 선루 AMS 히터 주문 취소 방법 정리 ua_3d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3 81 0
138935 일반 뱀부랩 필라멘트 품질이 왜이러지 [1] 3갤러(39.124) 12:44 159 0
138934 일반 0.3mm 차이 구멍에 샤프트 끼울수 있음?? [1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6 210 0
138933 일반 썬루 AMS 100위안 결제한거 취소 안됨? [3] ua_3d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5 149 0
138932 일반 지난번에 p1sc 신품 지금 괜찮은지 물어봤던 사람입니다. 3갤러(106.102) 12:30 56 0
138931 일반 패턴 플레이트 원리가뭐냐 [7] 로켓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26 224 0
138929 일반 고통받으려고 산 중고 엔더3 v3 se [18] 3갤러(118.38) 10:39 365 0
138928 일반 3d 프린터 사업 떡밥은 볼때마다 느끼는거지만 [11] 알버타깡촌편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1 418 2
138927 일반 전자부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ABS가 아닌가?? [3] 3갤러(121.160) 10:20 275 0
138926 질문 P1S 오프라인으로 뜨는데 원격으로 해결 못하나요? [4] 3갤러(211.46) 10:09 211 0
138925 일반 평평한 면인데 이런 불규칙한 층은 왜 생기는 거지,,,?? [5] 3갤러(175.214) 10:05 286 0
138924 일반 실시간 ke 배드 [6] 3갤러(39.116) 09:46 262 1
138923 일반 뱀부방은 너무 좌파성향이 강함 [12] 3갤러(106.101) 09:41 528 11
138922 일반 삼프 사업 나올때마다 하고싶은말이 있음 [4] ㅇㅇ(211.222) 09:38 286 1
138921 일반 라때는 트러블슈팅 하느라 갤할 시간도 없었는디 [3] 3갤러(106.101) 08:52 253 2
138920 일반 필라는 건조기보다 보관이 더 중요한것 같음 [4] Luvmay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4 277 0
138919 정보팁 크리얼리티와 텐센트, ai 파트너 쉽 발표 [11] ASH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8 256 1
138918 일반 찍힌 pei베드 그냥 그대로 썻드만 [3] 그만고통받고싶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3 377 0
138916 질문 x1cc나 p1sc 뱀부 ams에는 히팅 기능이없는건가요? [3] 3갤러(106.102) 07:47 319 0
138915 일반 거미줄의 시대여 안녕 [9] 알버타깡촌편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5 502 0
138914 질문 요즘 3d 프린팅 쉽게 출력되냐??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408 0
138913 일반 듀... ams는 일 잘하는데 [1] 무전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6 286 0
138912 일반 타오바오 직구 헬푸!!! 이거 주소지 안적은거같은데 물류센타로 지정했거든 [5] 세할디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9 371 0
138911 일반 프루사 슬라이서 2.9.3이 업뎃되었으요 [1] 555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3 329 2
138910 일반 P1s 핫엔드 [2] 3갤러(211.234) 01:20 362 0
138909 일반 필라보관 투명신발보관함에 해도 괜찮나요?? [6] 3갤러(1.209) 00:58 391 0
138908 일반 갤 개노잼됐네 ㅡㅡ [32] Neib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0 871 12
138907 일반 AMS 많이팔려랑 [1] 이지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6 333 0
138906 일반 파딱 하나 더 생겼는데? [5] ㅇㅇ(106.102) 00:14 555 0
138905 일반 파딱 본계 이거 맞음? [1] 3갤러(106.101) 09.15 522 0
138904 일반 다들 알리페이써?? [5] 이지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5 509 0
138903 출력물 오늘의 출력물 사진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5 144 1
138902 일반 그냥 서로 사과하고 잘 해결됐으면 좋겠다. [8] 3갤러(106.101) 09.15 798 17
138901 일반 과연 삼갤다운 유동코드군 [3] ΞΛ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5 569 4
138900 일반 AMS 히터 옵션 이걸로 하면 된는거야? [2] 이지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5 451 0
138899 일반 U1이 뱀부보다 퀄리티 살짝 떨어져 보이는건 착각? [5] 3갤러(14.50) 09.15 555 0
138898 일반 뱀부 업뎃후 장치안보임 [1] 3갤러(221.150) 09.15 530 0
138897 일반 이시간에 글삭된 글 있던거보면 있긴한가봐 [1] ㅇㅇ(39.7) 09.15 558 0
뉴스 제6회 낙원역사공원 문화축제 개최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