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실패지점까지 운동해야 할까? 근성장의 사실모바일에서 작성

365분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2.20 16:06:45
조회 7693 추천 46 댓글 21
														
안녕하세요 365분할입니다.
여러분들이 궁금해 하실만한 주제로 가져와봤습니다.
분명 운동하시면서, 특히나 맨몸운동하면서 궁금해하셨을만한 내용인데요




정해진 루틴대로 vs 실패지점까지 이 악물고 하나 더


맨몸 갤에서 보다보면 매 운동을 실패지점까지 해야 한다, 그래야 근성장을 한다 하시는 분들이 꽤나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나 맨몸운동의 특성상 중량을 올릴 수가 없으니 갯수가 많은 만큼 실패지점까지 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것 같습니다.

이건 맞기도, 틀리기도 한 부분인데요.

두가지의 장단점을 정리해드릴테니 자신의 상황에 맞게 운동 스타일을 변경하시면 되겠습니다.


“정해진 루틴대로”


장점 1. 컨디션 조절 쉬움
운동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정해진 루틴만 하고 딱 끝내는 구조이다보니

몸이 너무 무리할 필요가 없으며 그러다보니 그에 맞게 다음 운동때 크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정기적으로 꾸준한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정해진 루틴대로 할 때 더욱 쉬울 수 있습니다.


2. 과부하 적용 간단함
루틴대로 하는만큼 과부하 적용이 쉽습니다. 계산만 하는 초등생도 할 수 있죠.

저번 운동때 총 운동 볼륨이 100개를 했다고 하면 이번 운동때는 최소 1개를 늘린 101개만 해도 과부하는 성공한겁니다.

되게 심플하죠. 조금 더 강하게 과부하를 주고 싶다면 세트상 횟수를 1개를 늘리거나 세트수를 한세트를 늘리면 됩니다.



3. 운동 성취감
루틴대로만 하면 되기에 다 하였을때 성취감이 좋습니다.

매 운동에 약간 챌린지 식으로 2번의 과부하를 성공시킨다는 목표만 가지고 있으면 되다보니 성취하기도 쉽고요.



단점 1. 운동 시간이 김
운동 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나 루틴을 짧은 횟수로 많은 세트수를 하는 경우 과부하 적용을 시킬수록 시간이 길어지죠.

물론 휴식시간을 단축시키는 형태로 과부하를 줄수도 있으나 어찌되었건 운동 시간이 깁니다.

루틴 중반까지는 별로 힘도 안드는 것 같고 말이죠



2. 뭔가 찝찝함
운동 했는데, 분명 루틴대로 끝냈는데 더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

뭔가가 똥싸다가 끊은것 마냥 오늘은 힘이 넘치는데 여기서 멈춰야 한다는 생각이 들 수 있죠.

사실 이 이유가 맨갤러들에게 큽니다. 그래서 최대 갯수를 선호하죠.



부가적인 점: 과부하와 관련되어 여러분들께 하나만 알려드리자면, 여러분들이 예를들어 저번 운동을 10x10을 하셔서 성공하셔서

이번 운동 때 11x10이나 10x11세트나 10x10 + 1개를 하시든 여러분들의 마음속에 매번 운동 과부하를 이렇게 하겠다 라고 선택하셨다면

그에 딱 맞게만 운동하셔야 합니다.

예를들어 오늘 여러분들의 컨디션이 좋아서 세트를 끝냈는데도 힘이 남는다고 10x15를 하시거나 무리한 과부하를 하게 되면 안됩니다.

과부하가 적용되는 운동 시점에서 멈추어야 합니다. 그게 이 루틴식 과부하의 중요한 점입니다.

힘이 남아도 정해진 량에서 멈추셔야 합니다. 그래야 다음 운동 때 컨디션 조절이 잘 된채로 또 한번 더 과부하를 줄 수 있습니다.

오늘 운동 힘 좋아서 이만큼 하고 다음 운동때 갯수 확 줄고 이런 식의 운동은 지연성 근육통, 통증만 주지 근육이 더 성장하는 건 없습니다.



실패지점까지 이 악물고 운동


장점 1. 운동 시간이 짧음
이게 큰 장점입니다. 매 세트를 실패지점까지 하는 만큼 쉬는시간이 길어지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맨몸운동 특성상

스트렝스 운동처럼 5분씩 쉬는것도 아니다 보니 운동시간이 짧습니다. 실패지저가지의 운동을 30세트 이렇게 못하니까요.



2. 졸라 쎄다는 느낌
자기만족이 엄청납니다. 내가 매 세트에 실패지점까지 하면서 특히나 첫 세트와 두번째 세트에서 내가 한 이만큼의 갯수에 흐뭇함을 느끼며

갯수를 중요시하는 분들이 가장 좋아하는 부분입니다.

  

3. 빨리 운동 효과가 나옴
첫세트부터 실패지점까지 밀어놓으니 당연히 펌핑부터 첫세트만 했는데도 운동 다 한듯이 뿌듯함을 느낍니다.
정말 운동 되는 것 같은 느낌이죠. 루틴대로 나눠서 진행하면 힘들기 시작하는 부근까지는 시간 낭비인것 같은 느낌도 들고요그에 더해서 실제로 근성장 부면에서도 자세와 템포만 잘 지켜주는 상태에서 실패지점까지 하면 속근의 활성화가 더 빠르게 됩니다.
근비대 측면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는 거죠



단점 1. 컨디션 조절 못하면 폭망 운동법
충분한 휴식과 올바른 방식의 컨디션 조절을 못하면 과부하의 개념은 개나 줘버리는 운동법입니다.

이번 운동 때 최대 갯수를 실패지점까지 막 밀어서 첫 세트에 50개를 했다고 쳐도

다음 운동때 컨디션 조절이 안되어, 회복이 되지 않아서 첫 세트에 41개밖에 못했으면 과부하는 어디에..?



2. 운동 일지 무조건 적어야 하는 불편함
첫세트부터 모든 세트를 실패지점까지 밀었다면 다 적어두어야 합니다.

그래야 다음 운동 때 과부하가 가능합니다. 이 실패지점의 경우에는 “적어도” 첫세트에 저번 운동보다 한 개 이상은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 다음 세트들에서도 저번 운동보다 적은 횟수를 하면 안되겠죠.




정리를 하면:
여러분들이 주 운동 빈도가 높다면 실패지점 운동은 거의 불가능입니다.

컨디션 조절이 힘들다면 실패지점 운동은 불가능입니다.

게을러서 일지 안적을거면 실패지점 운동은 힘듭니다.

그런데 여러분들의 멘탈이 좋고 일지도 적고 컨디션 조절까지도 잘하여서 실패지점까지 운동하되

자세가 무너지지 않고 적어도 저번 운동보다 1회라도 더 할 수 있다면 실패지점까지의 운동이 당신에게 최적화된겁니다.
근성장 부면에서도요.
그런데 이 모든 것을 못 지키시겠다면 처러리 짧은 갯수로 자세와 템포를 지키며 자극을 느끼는 형태로 많은 세트수를 지키는
루틴대로 운동이 근비대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일겁니다.
한줄 요약: 멘탈 졸라 쎄다 = 실패지점까지 운동

난 그냥 길게보고 근성장 할거다 = 루틴대로 운동

이렇게 했는데 못 알아먹으면 그냥 추천누르세요

추천 비추천

46

고정닉 6

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55398 일반 눈바디 [7] ㅇㅇ(118.235) 23.03.06 1760 11
155381 일반 프론트레버 에어워크 [2] 구구성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05 771 7
155290 일반 질문수준 처참하다 씹새들아ㅋㅋㅋ ㅇㅇ(211.198) 23.03.03 1771 14
155216 일반 고수아닙니다,,,,,,ㅠ [5] ㅇㅇ(120.29) 23.03.02 1236 16
155129 일반 풀푸딥중에서 풀업 빼고 노잼이면 개추 [8] 쩡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8 2242 28
155102 일반 아침운동 물푸찍먹하기 [5] ㅇㅇ(120.29) 23.02.28 1149 14
155003 일반 머슬업 [4] 맨갤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6 886 14
154974 일반 얘들아 날 축하해줄 수 있겠니? [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6 1869 22
154954 일반 맨 몸 만 한 멸치 [5] ㅇㅇ(121.147) 23.02.25 3714 20
154878 일반 운동한지 드디어 1년 [1] ㅇㅇ(39.117) 23.02.24 2480 30
154861 일반 갓 20 맨몸운동 몸 변화 입니다! [11] ㅇㅇ(112.148) 23.02.24 4403 20
154845 일반 오운 [11] 맨갤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3 871 13
154826 일반 운동 자극짤 .jpg [1] ㅇㅇ(61.105) 23.02.23 3601 41
154768 정보 저중량 고반복 [5] ㅇㅇ(1.228) 23.02.22 984 9
154732 정보 친업과 풀업 얼마나 다를까? [5] ㅇㅇ(1.228) 23.02.22 3190 18
154731 정보 푸시업만으로 가슴근육 충분할까? [37] ㅇㅇ(1.228) 23.02.22 8659 22
154729 정보 하체 맨몸운동:피스톨스쿼트 [12] ㅇㅇ(1.228) 23.02.22 2722 10
154728 정보 복근운동:레그레이즈 [15] ㅇㅇ(1.228) 23.02.22 4835 11
154719 일반 맨몸 2년차.. [9] 05에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1 3220 22
154667 일반 Ohp와 물구나무푸시업 ㅇㅇ(1.228) 23.02.21 2022 6
154663 정보 턱걸이 하나만으로 등운동 다될까? [15] ㅇㅇ(1.228) 23.02.21 5815 10
154658 일반 키 183 77 플란체 2년차 성장변화 ㅠㅠ [9] ㅇㅇ(49.150) 23.02.21 1533 7
154657 정보 맨몸운동과 근비대 [6] ㅇㅇ(1.228) 23.02.21 2928 11
154654 일반 푸시업 정자세 ㅇㅇ(1.228) 23.02.21 1410 5
정보 실패지점까지 운동해야 할까? 근성장의 사실 [21] 365분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0 7693 46
154550 정보 맨몸운동으로 근성장에 한계가 있을까? [18] 365분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9 5152 19
154545 일반 올만 등사진 [22] 구구성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9 2512 17
154327 일반 푸쉬업이 낳냐?? 팔굽혀펴기가 낳나?? [6] ㅇㅇ(59.0) 23.02.15 3200 19
154231 일반 언더그립 머슬업 [21] 맨갤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3 1297 22
154119 일반 풀업 자세 [24] 맨갤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2 2148 18
154083 일반 오랜만에 바디 체크 [7] 365분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1 2174 19
154078 일반 운동 관련 질문 다 받습니다 [105] 365분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1 2039 33
154053 일반 보디빌딩갤 념글 [8] ㅇㅇ(223.38) 23.02.10 2247 35
154046 일반 파딱 생존신고 [11] 365분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0 335 6
153986 일반 물구나무 푸쉬업 1회 [11] ゆり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9 2141 18
153931 일반 내 전용 야외 철봉 어떠냐? [7] 맨붕이8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8 2133 17
153911 일반 피지컬100에서 준매이햄 분량이 적은건 어쩔수없다 [2] 보상수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8 825 7
153888 일반 오운 [7] 맨갤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7 712 13
153854 일반 mbti 별로 운동 방법이 다름? [13] ㅇㅇ(121.173) 23.02.07 2619 45
153585 일반 턱걸이 자세 봐달라고 할때는 [5] 보상수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2477 27
153400 일반 풀업 [6] 맨갤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1325 13
153340 일반 4개월 변화 [25] 발성은김범수처럼(221.158) 23.01.30 4747 31
153275 일반 이 정도면 군대가 사람 살린거냐?? [8] ㅇㅇ(39.117) 23.01.28 5026 28
153223 일반 요즘 날씨 너무 춥네요 [15] 맨갤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8 661 9
153125 일반 좋은 몸은 아니지만 몸변화 올려봄 [9] ㅇㅇ(122.45) 23.01.26 5039 33
153069 일반 턱걸이 [14] 맨붕이8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5 2511 10
153064 일반 ㅎㅇ 맨몸운동 갤도 있네? [34] ㅇㅇ(223.62) 23.01.25 3305 42
153041 일반 경험충들이 극혐인 이유 [5] ㅇㅇ(218.237) 23.01.24 2384 24
152997 일반 념글 운동량 어쩌구 보고 흔들리는 눈팅러들 주목 [23] ㅇㅇ(220.119) 23.01.24 2302 30
152993 일반 념글이고 8년이고 50개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4 1181 2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