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1공략] 초보자를 위한 프펑의 기초-6-[3.범위 건물과 심시티(하)]

뜬눈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1.24 14:09:24
조회 4878 추천 16 댓글 6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f3b5fd025cd859c97c7835997ea453636511eb5d485f18921c9fcc91825126085fc4cb2bc24

3.범위 건물과 심시티(하)


오늘은 목적 법안의 범위 건물에 대해 얘기할 건데 특이하게 목적 법안은 시나리오에 따라 특정 시점까지는 해당 법안들을 못 찍게 하는 경우도 있고 아예 시나리오가 진행되는 내내 못 찍을 때도 있으며 또 상관없이 언제든 자기가 원하는 시점에 목적 법안을 찍을 수 있는 시나리오가 있음.


시나리오가 아닌 무한 모드는 언제든 상관없이 자기가 원하는 목적 법안을 선택할 수 있음. 각각 신앙과 질서인데, 자세한 설명은 게임 내용에 스포가 될 수 있어서 특정 법안과 각각 선택했을 때 어떤 이점이 있는지 정도만 언급할 거임.


신앙과 질서 중에 어떤 쪽의 목적 법안을 선택할지는 일단 두 개의 차이점이나 특징에 대해 설명하자면,



-희망 관리 측면


신앙:초반에 희망 관리 기능을 위해 투입되는 인력 소모가 없고 후반에 추가 건물이 생겨도 인력 소모는 10명으로 정해져 있음.


질서:각각 범위 건물에 인원이 투입돼야만 희망 관리 기능이 발동하며 인구가 늘어날수록 집이 많아지니 당연히 범위 건물도 더 지어야 해서 인력 소모가 계속 증가함.



-경제 측면


신앙:야외 취사장을 통해 석탄이 아닌 식량을 소모하여 범위 내의 건물들의 단열을 +1 높여주는 효과를 줄 수 있음.


질서:감독관이라는 강력한 액티브 스킬로 작업장의 근무 효율을 24시간 동안 40% 증가시킴.



-의료 측면


신앙:병원보다 성능은 떨어지고 덩치가 크지만 증기심 없이 상위 티어의 의료 건물인 치료원을 건설할 수 있음.


질서:그런 거 없다.



그 외에도 몇 가지 차이점이 있는데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신앙은 '어렵지 않은 희망·불만 관리와 안정성'이고 질서는 '월등한 경제력'임. 다만 질서는 초반에 목적 건물을 세우면 그 인원이 빠지는 만큼 도시의 발전이나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인력이 생기고, 노다이를 지향하면 선전부가 막히는 만큼 불만 관리가 많이 어려워짐.


그래서 내가 개인적으로 초보자들에게 추천하는 목적은 신앙인데, 초보여도 질서 잘만 쓰는 사람들 있는 거 보면 어느 정도는 개인 취향이나 적성 같은 게 있는 거 같기도 함. 어쨌건 이번 파트에서는 주로 신앙의 목적 건물에 대해 설명을 할 거임.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f3b5fd025cd859c97c7835997ea453636511eb5d485f18921c9aecb1926103487ab4c542ae2

신앙의 희망·불만 관리 범위 건물은 교회인데, 연구소와 같은 크기를 가져 주거 지역 내에 들어가기엔 애매한 심시티성을 가진 대신 마우스 휠 중앙을 눌러서 돌리면 집 세 개가 지어질 공간에 두 개가 들어갈 수 있게 됨. 보통 심시티 편의성을 위해 집 두 칸으로 늘려 짓기도 함.


반면 질서의 감시탑은 집, 결투장과 크기가 같고 범위가 결투장보다 쪼금 작아서 훨씬 공간 활용이 직관적이지만(대부분의 경우 결투장의 범위에 포함하는 위치의 집이면 감시탑의 범위에도 포함됨) 어쨌건 교회는 큰 만큼 중심쪽으로 집 세 칸, 바깥쪽으로도 세 칸이나 되는 아주 넓은 범위에 효과를 줌.


즉 교회는 주거 지역의 네 번째 줄에 지으면 되고 질서의 감시탑은 결투장 옆의 자리를 하나 비워놨다가 거기에 세워주면 된다는 것.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f3b5fd025cd859c97c7835997ea453636511eb5d485f18921c9ff9e1e211863d4fa4cc8e2b3

다음 설명할 목적 건물은 성소와 선전탑인데 둘 다 범위 내의 작업장 효율을 높여주는 기능을 갖고 있음. 특히 부지가 제한된 생산 건물(광산, 제철소, 천공기)들은 건물 수를 늘릴 수 없고 기술 연구로 건물의 티어를 올려서 생산성을 늘리는 구조인 만큼 이 효과를 더 크게 받음.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f3b5fd025cd859c97c7835997ea455b5b501873d341d1a6e910e7646e093e30f4de08895e6e10

말하자면 구조적으로 게임 시간에 따라 생산량이 제한되어 있는 자원의 생산을 늘릴 '유일한 방도'이므로 제철소에 성소나 선전탑을 박냐 안 박냐는 시간이 지날 때마다 느낌이 훨씬 달라진다고 보면 됨.


하지만 문제는 성소나 선전탑의 경우 결투장이나 교회, 감시탑이나 경비 초소처럼 주거 지역 내에 자리하는 범위 건물이 아니고 여러 다양한 크기의 작업장을 포함해야 하다 보니 심시티를 할 때 직관성이 많이 떨어짐.


즉 더 능숙한 심시티 기술이 필요하고 만약 이런 경험과 자료가 부족하면 자원을 비축한 뒤에 미리 건물들 터를 확인하며 미리 구획을 정해놓는 작업이 필요함.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그 전에 기초부터 짚고 해당 부분을 언급하겠음. 일단 시티 빌더에서 제일 중요한 건 지역을 분할해서 구획을 정하고 크기에 맞춰서 건물을 쑤셔넣는 거임.


말했듯이 프로스트펑크의 심시티는 직관적이지 않고 어렵기 때문에 결국은 더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하지만 경험자가 공략을 쓰는 입장에서 줄 수 있는 팁이 없는 건 아님. 일단 비슷한 크기의 건물들을 서로 비교하면서 건설을 진행하는 거임.



천막, 합숙소와 주택 같은 집과 진료소, 자원 저장고, 시체 구덩이, 수집소, 결투장, 감시탑은 크기가 같음.


교회, 연구소, 요양원, 신앙수호대의 크기도 동일하며 성전과 석탄 시추기의 크기는 같고 온실과 산업용 온실, 대형 창고, 치료원은 서로 크기가 같음.


취사장과 병원, 사냥꾼 오두막과 사냥꾼 격납고, 제재소와 증기식 제재소, 숯가마, 선술집, 교도소, 공장과 열기구의 크기는 같음.



이걸 알면 왜 도움이 되냐면 결국 공간 내에 건물을 놓아본 경험이 본인이 펼칠 심시티의 기반을 쌓기 때문임. 그래서 서로 크기가 같은 건물을 아는 건 그 과정을 단축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꼭 외워야 하는 건 아님. 그냥 대강 이렇게 서로 같은 크기의 건물이 있다는 걸 기억하고 그 크기를 서로 비교해 보면서 심시티에 대응하면 됨.



이렇게 각각 건물의 크기에 익숙해지고 공간 분할에 어느 정도 감이 잡히면 아래처럼 건설 구획을 잡는 게 가능해짐.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f3b5fd025cd859c97c7835997ea455b5b501873d341d1a6e910e76262073c39a5da5909849c60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f3b5fd025cd859c97c7835997ea455b5b501873d341d1a6e910e7306b5c663ff38f5e3a0b86c8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f3b5fd025cd859c97c7835997ea455b5b501873d341d1a6e910e73138066b6efc8b5b2430092c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f3b5fd025cd859c97c7835997ea455b5b501873d341d1a6e910e7326b5a6f3ba28a0d8e1293a7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f3b5fd025cd859c97c7835997ea453636511eb5d485f18921c9ac9e19234539d3f94caf6633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f3b5fd025cd859c97c7835997ea455b5b501873d341d1a6e910e7323e096c3ff7d05e82bb1347

대략 심시티를 구상하고 실제로 적용하는 순서를 위의 스샷으로 나타냈음. 이렇게 건물 크기에 익숙해지면 금방금방 공간을 나누고 건물을 배정하는 게 가능해지지만 말했듯이 작업장은 크기가 서로 달라서 작업장 부지에 범위 건물을 놓는 것은 주거 지역에 하는 것보다 더 어려움.


즉 미리 자원을 비축해놓고 효율적으로 범위 건물을 배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미리 재보는 단계가 필수라고 보면 됨.



그래서 성소의 범위에 대해 말하기 전에 먼저 기본적인 심시티 방법을 거론한 건데 일단 심시티를 효율적으로 하지 않으면 범위 건물도 효율이 낮아짐. 그리고 그 건물들의 범위를 더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는 심시티를 짜기 위해서도 이런 심시티 기술이 필요한 거임. 이제부터 성소와 선전탑을 고려한 심시티에 대해 논하고자 하는데.


아까 말했듯이 효율 증가 범위 건물의 효용을 제일 크게 보는 건 건설이 가능한 수량과 위치가 제한된 부지 건물임. 즉 우리는 먼저 부지 건물을 어떻게 지을 것인지에 대해 알 필요가 있음.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7580d3b7cf1b24d5363c7255e431c249918b2f1f473266

부지 건물은 이렇게 특정 마크가 위치한 곳에만 건설할 수 있음.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f8ade69baf00456bcec8c64f

그리고 배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건설 조작으로는 이 위치에만 건설이 가능함.


하지만 두 건물을 저 모양대로 지으면 저 사이의 공간이 쓰기 애매하거나 아예 못 써서 낭비되는 경우도 있고, 저 공간이 벌어진 상태로 두 건물이 지어지는 게 양옆의 공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손해가 커질 가능성이 있음. 그리고 다행히 건설 자체는 고정되어 있더라고 우리가 개입할 방법이 존재하기는 함.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a1fbb4c3fc03116f12b6ed61

그건 바로 길이나 건물로 원래 고정된 위치에서 밀어내는 거임.


부지가 정해져 있더라도 그 시설을 건설 가능한 범위가 넓지는 않아도 존재는 하기 때문에 건설 패널에서는 무조건 정해진 위치만 고집하더라도 우리가 길이나 건물을 통해 위치를 조정하면 원하는 데로 건물을 지을 수 있음.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f0f9e69ffb584439b6865e97

결과물은 이렇게 됨.


물론 저렇게 하지 않고 '나는 오른쪽 건물을 원래 자리에 짓고 왼쪽 건물을 밀 거야' 같은 생각을 갖고 있으면 그렇게 하셔도 되고, 이 경우에 오른쪽 건물을 먼저 박고 왼쪽 거는 똑같이 도로나 건물로 부지를 밀어서 지으면 되는 거임.


그리고 외곽에서 극초반을 지났을 때 건설을 하다 보면 안쪽에 남아있는 길이나 건물 모퉁이에 길이 고정되는 가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럴 때 이에 구애받지 않고 내가 원하는 위치를 원활하게 골라서 부지 건물을 지으려면 시체 구덩이나 천막을 통해 공간을 가로막는 방도도 있음.



부지 건물 중에 천공기(유독 큰데 정확한 크기는 나도 자세히 모르겠음)를 제외하면 제철소나 석탄 광산의 크기는 온실, 대형 창고와 비슷함.


그 크기를 감으로 인지하고 있으면 길을 정확히 짓거나 건물을 조금 줄여서 지어 이득을 볼 수 있을 텐데 잘 모르면 그러지 못할 수도 있고 아예 하나가 너무 크게 지어지거나 공간을 너무 작게 잡아서 건물이 안 지어질 때가 있을 수 있음.


그럴 때 어느 정도 지표가 될 수 있을만한 걸 알려드림.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f2aae2caab5244621dd1e07d

이렇게 건물 하나를 먼저 박은 뒤에 다른 거를 조정하려고 보면 보통 건물에 가리지만 저렇게 진한 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이 있음. 그러면 그 위치가 두 건물을 붙여 건설했을 때 가장자리가 된다는 뜻이니 저 위치를 기억해뒀다가 도로나 건물로 저 위치 바깥쪽을 막아서 공간을 잡아주시면 됨.


혹은 모눈의 눈금을 보고 두 칸을 떨어져 있으니 두 칸치만큼 건물을 밀어서 붙이면 되겠구나 이렇게 인식하셔도 크게 문제는 없음. 어쨌든 저 위치를 대강 기억했다가 길을 놓으면 너무 공간을 작게 제한해서 부지 건물이 안 지어지거나 하는 일은 피할 수 있을 거임.



공간이 가까운 부지 건물을 다뤘으니 이번에는 어느 정도 떨어진 애들을 다룰 거임. 어쨌건 사이 공간이 애매하게 남아서 손해를 볼 거 같으면 붙이는 게 좋다고 말했는데, 반대로 심시티 감각에 자신이 있으면 자신이 원하는 만큼 사이의 공간을 벌려서 그 안에 건물을 짓는 것도 가능함.


물론 부지가 허용해야 가능하지만 (건설 가능 범위가 넓지 않을 수도 있어서 무작정 구획하고 나서 건물을 지으려고 보면 부지 건물이 안 들어가는 경우도 있음) 이것과 비슷하게 서로 떨어진 건물은 내가 그 공간에 무슨 건물을 지어 활용할 것인가에 따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거임.



일단 짓고 나서 건물을 끼워 넣는 경우도 있긴 한데 어떤 경우건 짓고 나서 어긋난 거를 커버 치려면 철거하고 다시 짓거나 그대로 공간적 손해를 보면서 플레이를 하는 수밖에 없는 건데 미리 견적을 잡으면서 지으면 그런 경우를 줄일 수 있음. 이번에는 견적을 잡는 걸 순서대로 보여주겠음.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7580d3b7cf1b24d5363c7251e26cc01c9c8a7c1f6da45e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7580d3b7cf1b24d5363c7253e4389a499588281f8709dd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f9ade89ba8071438bc4cfcc7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f1fab1cfa457146a9c1bebe2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f8f0b5c2ac59106ce423ab3f

이렇게 한 번 눈대중을 했으면 난 이제 이 공간에 뭐가 들어올 건지 미리 정해놨기 때문에 그에 맞춰서 범위 건물을 짓는 게 가능함. 내가 성소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기초 심시티를 언급한 이유가 이거에 있음. 이제부터 성소를 배치해 보겠음.


(나는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건물을 많이 지어봐서 이게 딱딱 맞는 거지 만약 안 맞거나 살짝 비틀려있으면 방금 지은 천공기를 도로나 건물을 옆에 붙여서 좌우로 밀어가며 각을 더 보셔야 함 혹은 미리 지어져 있는 천공기를 지을 시점부터 각을 잡아 놓을 수도 있음)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7580d3b7cf1b24d5363c7254b53c9b47908c7b1fb57b77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f5acb1c8f855116999f90fcb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a4f9e9cbaa54413e8cae99db

이러면 내가 주거 지역 뒤에 지정한 근무 지역이 전부 성소 범위 내에 들어가게 심시티가 짜였음. 범위 건물을 놓을 때 가장 중요한 거는 최대한 범위 밖으로 나간 건물이 없게 하면서 많은 건물에 동일한 능력의 범위가 중복되는 일을 피하는 거임.


둘 다 동시에 만족하면 좋지만 보통 범위가 원이기 때문에 범위가 겹치는 건물이 생기거나 삐져나가서 효과를 못 받는 건물이 생기거나 둘 중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음. 하지만 중요한 건 주거 시설과 근무 시설이 서로 필요로 하는 범위 건물이 보통 다르기 때문에 그 두 부류를 확실히 구역으로 구분하면 손해를 낮출 수 있다는 거임.



그러면서도 증기 중계기는 양쪽 모두에 필요하다는 사실만 까먹지 않는 게 중요함. 어쨌건 부지 건물이 가장 성소와 선전탑의 효과를 많이 받지만 다른 작업 시설도 일의 능률이 달라지니까 배치를 해보자면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7580d3b7cf1b24d5363c725ab03c974995857e1f3941a4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f6fcb2c2a5554c6923a6bd2c

이런 식이 되는 거임.


근데 솔직히 이건 경험을 통해서 감각적으로 하는 거기 때문에 이렇게 알려준다고 바로 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음. 그래도 몇 판 하면서 심시티의 자료와 경험이 쌓이고 감각이 생기면 금방 하게 될 거라 생각함. 어쨌건 성소나 선전탑을 지으면 그 범위에 들어간 건물은 아래의 스샷처럼 효율이 올라가서 생산성이 증대됨.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7580d3b7cf1b24d5363c7255b23a931c94857f1ff5233b


처음 막 시작했을 때는 심시티 공략집 보고 그대로 따라 하셔도 나쁘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급한 분야는 아니라고 생각해서 대강 방법만 알려드렸음.

(그래도 그 심시티 공략이 증기 중계기 하나하나의 정확한 위치나 성소 배치 같은 거를 자세히 다루지는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필요할 거라 생각해서 언급한 점도 있음)



어쨌건 심시티에서 중요한 건 효율임. 일단 최대한 자원을 모아놨다가 한 번에 배치하면서 건설 구획을 볼 경우 가장 효율적인 배치로 기획을 짤 수 있음.


문제는 당장 게임 시작한 초보가 그렇게 자원을 쟁여서 모으는 짓을 얼마나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인데 그래도 구획을 미리 효율적으로 짜려면 가급적 자원이 많이 쌓인 상태에서 해야 효과가 좋다는 걸 부정할 수 없어서 문제네;



일단 이번에 보여드릴 부분은 주거지 확장인데, 당연히 집을 늘리면 그에 맞춰서 결투장과 증기 중계기, 그리고 자기가 선택한 질서나 신앙에 따라 감시탑과 교회를 짓게 됨.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f2f9b3cfa8574c3a77a41c82

일단 첫술을 뜨기 쉬운 귀퉁이부터 시작하는 걸 추천함. 그러면 가장 최외곽에 미리 집 몇 개를 배치해서 그게 삐져나가지 않도록 증기 중계기와 결투장을 짓는 게 가능함. 당장 확장을 시작하면 집을 그대로 지어도 되고 그게 아니면 그냥 건설-중지 상태로 놨다가 나중에 취소해서 자원을 돌려받아도 됨.


말했듯이 쌓인 자원이 많지 않다면 증기 중계기는 시체 구덩이를 써도 범위를 재서 최적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음.



그런 뒤 범위 밖으로 나가는 부분에 집을 지어주고 마찬가지로 그걸 모두 포함하도록 범위 건물을 지은 뒤에 다시 철거하는 식으로 자원을 아끼면서 범위 건물의 배치를 정할 수 있음. 물론 실수나 오류가 있으면 살짝 비효율이 있을 수는 있지만 이렇게 얼개를 짜면 그렇게 심각한 오류는 생기지는 않을 거임.


아래는 자원을 최대한 풍부하게 쌓은 뒤에 하는 주거지 확장을 보여줄게.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a1fee1ccfc04416f79d67ec0

이렇게 공간을 건물로 꽉 채운 뒤에 범위 건물을 놓고


viewimage.php?id=2bafdf35f1c22da865&no=24b0d769e1d32ca73feb85fa11d02831b3f3a5b77d2b2273808dfa809eb83b5fccec383bf6e841f4f983032d18edd2b15c73a92c053ac895f0aae3cffc544c6c8b7febb2

그다음에 범위에 포함됐던 건물을 다 지우는 거지. 이걸 가장자리 부분만 반복하면 살짝 틀릴 수 있어도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어서 해당 방법을 추천했던 건데, 다행히 증기 중계기는 비용이 없는 시체 구덩이로도 효과를 알 수 있어서 자원이 없어도 이렇게 빽빽하게 오류가 있나 없나 확인하며 배치가 가능함.


주거지를 늘릴 때는 이걸 결투장, 감시탑과 교회 그리고 증기 중계기 순으로 하면 좋음. 왜냐면 교회에는 난방이 필요가 없어서 미리 공간을 잡아놓거나 지어놓으면 그 부분은 난방을 배제해도 되거든.



여기까지가 범위 건물과 심시티 편이었는데 일단 내가 심시티 공략 그 자체보다는 '심시티하는 감을 잡는 법'을 목표로 하고 써서 좀 내용이 제대로 정렬되지 않은 감이 있다고 생각함.


그리고 너무 오랜만에 온 것도 미안한데 내가 게으른 것도 있지만 2차 맞고 좀 많이 아팠음. 막가 하고 그 탄력을 받아서 개열심히 쓰려고 했는데 오히려 막가를 깨고 나니까 프펑에 대한 열의가 사라지더라;



그래도 이번에 뉴비가 많아지는 거 같아서 공략을 써야겠다는 마음으로 이번 편을 마무리하기는 했는데 프펑이 공략을 안 보는 게 더 재밌다고 하니까 좀 갈팡질팡하더라. 근데 어려워하는 사람들한테는 또 공략이 필요한 거 같고. 다음 파트는 기본 조작과 게임의 이해임.

추천 비추천

16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69 AD 딥 블루 호라이즌 사전예약 6.14-7.4 운영자 24/06/14 - -
20761 공지 프펑1 DLC 구매 가이드 [7] 팰퍼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8 17674 29
5678 공지 2345 심시티 하는 법 [37] 123(211.58) 19.03.23 71682 108
27890 ❄️1 응애가 봐야하는 공략...real [22] ㅇㅇ(211.214) 03.13 2424 26
27614 ❄️1 [ 가장자리에서 ] 선택지 정보 [2] ㅇㅇ(211.231) 02.19 1937 16
25003 ❄️1 마지막 가을 레이아웃 공유함 [5] ㅇㅇ(210.222) 23.07.20 2750 23
23957 ❄️1 프펑 200배 재밌게 하기 [12] ㅇㅇ(106.101) 23.03.28 3937 39
23623 ❄️1 8조각 심시티 공유.(질서) [2] 지니러브(106.252) 23.03.07 2889 16
23616 ❄️1 (설정 추론)종자보관소는 사실 멍청하게 지은게 아니다 [8] amazi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06 2397 16
23561 ❄️1 도전과제 100% 달성 + 도전과제 팁 [1] 유진악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27 2825 8
23408 ❄️1 (설정)드레드노트는 이동식 발전기다. [13] amazi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3 2364 23
23329 ❄️1 마지막 가을 서두르지 말라 업적 정확한 달성방법 알아냄 (+다른 버그) [3] 유진악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8 1596 9
23222 ❄️1 (대스포)긴 글 싫어하는 사람들을 위한 프펑 배경스토리 전체요약 [10] 두리안깎는노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3538 27
23183 ❄️1 적응 법안 평가 [22] 두리안깎는노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9 4527 24
23134 ❄️1 연구 기술 종류별 간단 평가 [35] 두리안깎는노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8205 18
22916 ❄️1 (번역)들으시오! 들으시오! 프펑1 로어 관련 답변이 도착했소! [8] 두리안깎는노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2 1674 10
22899 ❄️1 황금의 길(골든패스) 업적 극한 난이도로 달성 [8] 유진악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0 1758 13
22764 ❄️1 무한 100일차 하면서 탐사지역 정리해봄 [2] 두리안깎는노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1 1886 17
22588 ❄️1 프펑 세일기념 공략링크 대방출 [7] 두리안깎는노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0 4714 18
21911 ❄️1 나는 6등분도 9등분도 싫다? 8등분 피자 심시티 [1] KINGSWA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2 2344 10
21559 ❄️1 피난민 극한 선온실 빌드 (노아동, 노다이, 노통조림) [6] 쌍달(121.168) 22.09.12 3953 15
21467 ❄️1 정보) 탐사지역. 생존자, 증기심 나오는 장소.txt [6] OㅅO(118.219) 22.09.01 3314 17
21126 ❄️1 100시간 뉴비가 적어보는 프펑 이론팁 모음집(존나 김) [7] ㅇㅇ(112.133) 22.07.18 3506 13
21018 ❄️1 데이터 주의) 최신 노아동,노스프, 뉴홈 극한 제 8 탄, 마지막 [3] 축소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992 9
21017 ❄️1 데이터 주의) 최신 노아동,노스프, 뉴홈 극한 제 7 탄 축소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630 7
21016 ❄️1 데이터 주의) 최신 노아동,노스프, 뉴홈 극한 제 6 탄 [2] 축소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736 9
21015 ❄️1 데이터 주의) 최신 노아동,노스프, 뉴홈 극한 제 5 탄 축소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788 7
21014 ❄️1 데이터 주의) 최신 노아동,노스프, 뉴홈 극한 제 4 탄 [5] 축소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069 10
21012 ❄️1 데이터 주의) 최신 노아동,노스프, 뉴홈 극한 제 3 탄 축소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171 8
21004 ❄️1 데이터 주의) 최신 노아동,노스프, 뉴홈 극한 제 2 탄 [5] 축소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976 10
21003 ❄️1 데이터 주의) 최신 노아동,노스프, 뉴홈 극한 제 1탄 [6] 축소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3665 17
20989 ❄️1 [스압]뉴비들을 위한 마지막 가을 생존자 공략 - 기술자 루트 2편(完) [6] 미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3 3840 13
20978 ❄️1 [스압]뉴비들을 위한 마지막 가을 생존자 공략 - 기술자 루트 1편 [1] 미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2 2999 9
20963 ❄️1 [스압]뉴비들을 위한 마지막 가을 생존자 공략 - 첫 건설과 첫 파업 [1] 미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2333 9
20957 ❄️1 [스압]뉴비들을 위한 마지막 가을 생존자 공략 - 기초 가이드 및 초반부 [4] 미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8914 13
20826 ❄️1 기묘한 팁? 발견함 [7] 비욘드어스―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2 3044 37
20141 ❄️1 불만 희망 수치 정리 ㅇㅇ(220.121) 22.03.29 3358 20
20100 ❄️1 건설가 심시티 만들어봄 (8등분 4456) [1] ㅇㅇ(220.121) 22.03.25 2809 24
20056 ❄️1 시민들이 병에 걸리는 매커니즘 [5] ㅇㅇ(220.121) 22.03.16 4334 14
19065 ❄️1 프펑 심시티 참고 - 병원/온실/연구소 등 [7] 강태공(121.163) 21.12.20 6159 20
18771 ❄️1 한 눈에 보는 자원 효율표 [10] ㅇㅇ(220.76) 21.12.03 5738 17
18669 ❄️1 [공략글]새로운 보금자리 극한은 사실 그리 어렵지 않다 ( 초반만 ) [4] 포타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8 5571 10
❄️1 초보자를 위한 프펑의 기초-6-[3.범위 건물과 심시티(하)] [6] 뜬눈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4 4878 16
17895 ❄️1 윈터홈 초반 간단공략 [3] ㅇㅇ(59.31) 21.10.09 4933 11
17885 ❄️1 꿀팁 시리즈 올라왔길래 추가해본다.season2 [20] ㅇㅇ(121.142) 21.10.08 5414 15
17847 ❄️1 초보자를 위한 프펑의 기초-5-[3.범위 건물과 심시티(상)] [5] 뜬눈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4 8998 20
17790 ❄️1 초보자를 위한 프펑의 기초-4-[2.기술 연구와 연구소(하)] [1] 뜬눈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5 2971 16
17752 ❄️1 초보자를 위한 프펑의 기초-3-[2.기술 연구와 연구소(상)] [4] 뜬눈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1 4641 15
17715 ❄️1 초보자를 위한 프펑의 기초-2-[1.온도와 난방(하)] [4] 뜬눈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18 5643 27
17708 ❄️1 초보자를 위한 프펑의 기초-1-[0.서두&1.온도와 난방(상)] [8] 뜬눈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18 6972 19
17299 ❄️1 (이미지 엄청 많음)발전기 2온실 심시티 [7] 뜬눈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20 5536 14
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