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퀀텀 특허를 보면 논문발표까지의 흐름이 보인다

ㅇㅇ(103.114) 2023.08.11 14:08:37
조회 7908 추천 91 댓글 34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hesingularity&no=274696&exception_mode=recommend&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C.9D.B8.EA.B0.84&page=1

 

이전글 보기.



2008년도에 제안했던 특허를 아무도 주목하지 않는데, 이것도 굉장히 중요함 논리적 연결성을 갖는데 중요하다

-----------------------------------

2008 출원 특허 (제목. 상전이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전이조성물을 이용한 모듈의 제조방법, 그리고 상전이조성물용 모듈)
https://patentimages.storage.googleapis.com/51/3e/41/fe6e3f7d7dddeb/KR20110053405A.pdf
발명자. 이석배

- 저항이 적은 이유를 물질 구성에 따른 열교환 특성때문으로 판단함, 열을 빨아들여 자체 발전이 이뤄져서, 저항이 적은 것처럼 보인다는 논리 구성으로 보임

- 다단 상전이를 물질의 특징으로 규정

* 레시피가 많이 다른 걸 확인할 수 있다. 논문에 공개된 레시피는 굉장히 개선이 된 이후의 레시피인 걸 알 수 있다.
* 저항이 적은 이유를 저항이 적은 게 아니라 그냥 뭔가 전기를 다시 흡수하는 게 아니야? 라고 주장하는 걸 볼 수 있다.
* 다단 상전이는 이미 2008년 특허에 중요한 개념으로 소개되고 발견됨
* 아마도 이석배는 스승이 해당물질에 초전도체가 있다고 주장하는 부분엔 최소한 회의가 있거나,
이건 뭔가 다른식으로 작동하는 신물질이 아닐까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

2012 출원 특허 (제목. 다중상전이 물질을 이용한 고효율 열이동-분산 시스템)
https://patentimages.storage.googleapis.com/18/19/b4/5f32316e4cd442/KR20140008136A.pdf
발명자. 이석배

- 다단 상전이를 명확히 규정 하며 해당 시스템 자체가 자체 열분산 및 발전이 이뤄지는 시스템이라고 규정

* 여전히 저항이 적은 것처럼 보이는 이유(발열이 적고 손실되는 전력이 적은 이유)를 초전도체라고 생각하지 않음

 -----------------------------------


2020 출원 특허 (제목. 초전도체를 포함하는 저저항 세라믹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그 화합물)
https://patentimages.storage.googleapis.com/60/a9/f2/287f5c279604ff/KR102404607B1.pdf
발명자. 이석배, 김지훈

- 초전도체가 존재하는 세라믹 화합물로 규정
- 레시피가 현재 레시피와 유사한 걸 확인할 수 있다
- 화학식이 현재 화학식과 미묘하게 다른 걸 확인할 수 있다
- microwave와 자화율 특성 분석을 통해 초전도상 존재를 확인하였다

* 김지훈이 발명자로 합류하면서 레시피가 달라지고, 저항이 낮은이유가 초전도현상이라고 주장이 변경되었다
* 김지훈이 아마도 현재의 레시피를 달성하는 데 큰 공을 세우고, 명확하게 정의한 주체로 보인다 
* 아직 해당 초전도체 물질만을 분리하는 단계가 아닌 걸 확인할 수 있다.
* 아마도 microwave에 의한 초전도상 확인은 권영완의 공로일 확률이 높은 것 같다.
다만, 제조법의 확립에 무관한 관계로 발명자에 실리지 않은 것 같다

 -----------------------------------

2021 출원 특허 (제목.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https://patentimages.storage.googleapis.com/8f/d4/04/1ac9e77c6e7077/KR20230030188A.pdf
발명자. 이석배, 김지훈, 권영완

-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 화합물로 명명 되었다
- 화학식이 현재와 같아졌다
- 결정구조가 확인이 되었다
- 증착 과정이 확립되었다

* 발명자에 권영완이 추가되었다. 초전도체만 명확히 분리해내서 증착하는데 성공하는데 기여한 것 같다
* 증착과정이 확립됨에 따라 결정구조같은 다양한 추가 데이터 측정이 가능해졌다


 -----------------------------------

2022 출원 특허 (제목. 상온, 상압 초전도 세라믹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https://patentimages.storage.googleapis.com/78/3d/ae/411b87ec71b449/WO2023027537A1.pdf
발명자. 이석배, 김지훈, 권영완

- 양자 우물 이론이 나옴
- 전류와 자장에 따른 자성변화 그래프 추가
- 전류에 따른 부양 효과 증대 실험 추가

* 양자 우물 이론은 발표된 논문으로 보아 권영완의 이론적 설명으로 보임
* 확립된 증착과정에 의해 다양한 실험을 통해 물질의 특성을 추가로 확인함

 -----------------------------------

EmDrive (착각 케이스) 때 와의 차이점은
(1) 개발자가 `박사``들`이다
(2) 점진적 프로세스와 과학적 검증이 계속 이뤄지며 개발 되었다.

황우석 / 테라노스 (스캠 케이스) 때 와의 차이점은
(1) 재현 가능한 프로세스가 특허를 통해 공개 되어있다.
(2) 개발과 검증 과정이 특허를 통해 공개 되어있다.

 -----------------------------------

2023 아카이브 논문을 봤을 때, 김현탁의 BR-BCS 이론에 권영완의 양자우물이론이 (퀀텀)내부적으로 완전히 밀렸을 가능성이 있음 
아마도 그런 이론에 따른 갈등으로 권영완이 퀀텀에서 나오게 된 걸로 추정됨

특허들 쭉 확인하면서 새삼 놀라운 건 2020년도에 이미 내부적으로 초전도체란 확신을 얻었으나,
2023년 확실한 증거들과 이론적 정리가 수립되기까지 논문을 내지 않았다는 것 (냈으나 주목을 안받았을 가능성도 있긴 하지만).

정말 주목할 사실 EmDrive나 황우석, 테라노스와 비교할 수 없는 사실은 이거다.
"실험을 통해 계속해서 검증하는 물질이 존재한다"

사실 김현탁의 BR-BCS이론이나 권영완의 양자우물 이론은 크게 주목할 필요도 없을지도 모른다.
그건 물리학자들의 논쟁으로 남겨놓아도 괜찮을지도 모른다.
저항이 0이고 마이스너 효과를 내지만 자기장과 전류에 따라 자성이 변경되는 물질이 초전도체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을 미뤄놔도 될지 모른다.

"놀라운 특성을 지닌 물질이 오랜기간동안 과학적 프로세스에 의해 개발된 사실이 너무 명백해 보인다. 이론은 부차적인 문제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91

고정닉 2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42613 공지 특갤 통합 공지 / 댓글 신고,문의 / 차단 해제 요청 [3183] 특갤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6 40589 43
363220 공지 선형글 삭제 기준 [7] 특갤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4 7633 24
375493 공지 필독) 유입 특붕이를 위한 AI 정보글 모음 (01/23) [40] ㅇㅇ(182.230) 23.11.11 13884 122
373402 공지 직업 비하, 조롱 글 30일 차단됩니다. [51] 특갤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7 9255 79
385147 공지 구글의 AGI 분류 체계 [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8878 31
332612 공지 음모론 삭제 기준을 안내드립니다. [23] 특갤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5 9533 30
412470 공지 레이 커즈와일 신간 6월 25일 발매 [29] 모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24 8476 35
259237 공지 특갤 용어 모음집 [6] 특갤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09 23285 34
492585 정보/ 환각 10배 감소 [23] 특술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765 21
492495 일반 너네가 놓치고 있는 중요한 원리가 있음 [36] ㅇㅇ(119.202) 06.13 2670 29
492443 일반 현1직 교수가 말하는 AI 트렌드 근황(feat. 얀르쿤) [1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427 26
492419 정보/ AI 훈련 속도 6개월 전보다 최대 80% 향상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716 15
492354 정보/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216 31
492344 일반 [최예진] AGI 멀고 먼 길, 상식 부족하다 [13] ㅇㅇ(218.50) 06.13 1753 23
492259 일반 무라티 인터뷰 통번역해왔다 시발새끼들아 [18] ㅇㅇ(119.202) 06.13 2100 19
492128 정보/ 구글 딥마인드, LLM 수학 추론능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논문 공개 [10] lightve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769 19
492119 정보/ 현재 난리난 AI그림계 근황.. [28] ㅇㅇ(183.104) 06.13 3472 29
491994 일반 결국 돌고 돌아 이분이시다 jpg [8] ㅇㅇ(211.179) 06.13 2467 42
491993 일반 그동안 억까 당했던 대 현자 [18] ㅇㅇ(218.147) 06.13 2643 46
491957 일반 미라 무라티 : 오픈AI 내부에 공개된 것보다 더 나은 모델은 없다 [45] gpt교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3147 36
491885 정보/ LumaAI, 동영상 생성 AI 'Dream Machine' 공개 [8] lightve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2294 40
491736 일반 이게 지금상황 가장 잘 요약한듯 [42] Ausus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4130 44
491644 일반 얀 르쿤 : LLM 확률론적 앵무새 아님 [43] ㅇㅇ(125.183) 06.12 2935 44
491244 일반 최신 레커 인터뷰나 며칠 전 OAI 연구원 인터뷰는 념글 못가는데 [28] ㅇㅇ(121.132) 06.12 3506 41
491228 정보/ llm의 창발성은 허상이다 [33] ㅇㅇ(121.132) 06.12 3623 34
491085 정보/ 수학계 대통일 이론 '랭글랜즈 프로그램' 한발짝…30년 난제 해결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2371 22
490924 일반 특갤 즐겨찾기 삭제한다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405 16
490548 일반 "저희 애플인텔리전스 줄여서 AI는 GPT의 따까리입니다" [2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4295 35
489517 정보/ "RAG 사용해도 법률 AI 도구 환각 33% 이상 발생" [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3191 25
489514 정보/ 지렸다 GPT-2 만들기 영상 올라옴 [9] 초존도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41 15
489246 일반 유니트리 휴머노이드 로봇 이거 사기 아님? [95] ㅇㅇ(211.226) 06.10 3687 26
489232 일반 최신 llm ai들이 추론붕괴 현상을 보임 [43] ㅇㅇ(106.101) 06.10 4909 38
489209 정보/ 노벨상 연구 공부한 AI 화학자, 4분만에 새 화학실험 방법 내놨다 [2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949 19
489180 일반 하루만 기다리면 특이점이 와요! [18] ㅇㅇ(1.239) 06.10 4129 21
489053 일반 이제 그냥 다 개ㅈ같으면 개추ㅋㅋㅋ [17] ㅇㅇ(103.150) 06.09 5217 60
488996 일반 kling 성능 진짜 미쳤다 [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1409 15
488976 일반 얀르쿤 "기하급수적 발전이란 것은 없다" [54] ㅇㅇ(119.197) 06.09 5273 47
488851 일반 중국판 소라 홍보영상인데 좀 쩌네 [32] lightve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9 4078 20
488785 AI창 Meta 수석 인공지능 과학자 얀 르쿤 전용 주제가(BGM, OST) [1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781 23
488700 일반 Bit LoRA (3.8B 규모 비트넷 실험) [18] 람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3005 31
488662 일반 중국판 소라 이 기능 존나 미쳤는데???? [40] lightve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5456 44
488623 일반 뤼x 금지어 건의함 [3] ㅇㅇ(14.55) 06.08 1871 23
488600 일반 이새끼 하나면 니들이 빠는 초지능따위 싹 다 몰살가능함ㅋㅋㅋㅋ [19] ㅇㅇ(211.36) 06.08 3562 32
488531 정보/ GPT류 챗봇 쓰는 사람들 개꿀팁 준다 들어와봐라.txt [50] lightve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5244 43
488370 AI창 ||수정|| 아이유 데뷔초 생목까지 따라하는 AI ㄷㄷ [3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4073 33
488019 정보/ 오늘 구글에서 낸 asi 논문 [41] ㅇㅇ(49.142) 06.07 5335 40
487986 정보/ 젠슨 황 "차세대 물결은 '물리적 AI'...모든 것이 로봇화될 것" [4] lightve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481 18
487974 정보/ 오픈AI, 챗GPT ‘환각’ 이유 밝힌다…역설계로 오작동 원인 추적 [18] lightve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706 21
487934 일반 걍 어찌됐건 oai는 약속 어긴거임 [32] ㅇㅇ(118.235) 06.07 4140 27
487517 정보/ 레오폴드 SITUATIONAL AWARENESS 요약 [48] 다이아몬드핸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4549 5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