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용품/후기] 물생활에 도움이되는 디카구매가이드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7.16 20:17:12
조회 155 추천 0 댓글 0
														

작성자 뢰매


viewimage.php?id=2cacc527e9db3ea3&no=24b0d769e1d32ca73fec8ffa11d0283194eeae3ea3f7d0da351cf8d340837010932949f6c87b7681bd5f28de1eb09d7243f1280e89c15aacf49e100209fda874b378d3

viewimage.php?id=2cacc527e9db3ea3&no=24b0d769e1d32ca73fec8ffa11d0283194eeae3ea3f7d0da351cf8d340837010932949f6c87b7681bd5f28de1eb09d7243f1280e89c15aa6f5cf45020ca5a874a1ae88

viewimage.php?id=2cacc527e9db3ea3&no=24b0d769e1d32ca73fec8ffa11d0283194eeae3ea3f7d0da351cf8d340837010932949f6c87b7681bd5f28de1eb09d7243f1280e89c15af8a09544075cfdf874850af3

viewimage.php?id=2cacc527e9db3ea3&no=24b0d769e1d32ca73fec8ffa11d0283194eeae3ea3f7d0da351cf8d340837010932949f6c87b7681bd5f28de1eb09d7243f1280e89c15aa8a59a170609f3af746c62ac

viewimage.php?id=2cacc527e9db3ea3&no=24b0d769e1d32ca73fec8ffa11d0283194eeae3ea3f7d0da351cf8d340837010932949f6c87b7681bd5f28de1eb09d7243f1280e89c15aafa39a155000f3fa749ed689



먼저번에 얘기한대로 카메라에대해 관심이 많은 관계로 갤러들에게 물질생활에 도움을 될까해서 이글을 쓰게됐어..


일단 난 필름카메라를 포함해서 카메라만 총 8대야.. 각각의 장단점 때문에 이렇게 됐는데... 사실 이렇게 많

이까지는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 일단 이 글은 지극히 내 주관적이라 내말이 무조건 옳다거나 그런건 절대

아냐. 그냥 참고로 했으면 좋겠어..


위에 카메라들의 짤들은 순서대로 컴팩트디카, 컴팩트 하이엔드, 하이엔드, 미러리스, DSLR, 풀프레임DSLR

이야.. 다 알겟지만 당연히 밑으로 내려갈수록 비싸고 좋은카메라야..

 

최우선적으로 화질에 대해서 설명할건데 초보자가 범하는 가장많은 실수가 화소수가 높으면 화질이 좋을거

다 라는 편견이야.. 필름카메라로 설명하자면 화소는 그냥 인화지의 크기라고 생각하면돼.. 화질에 전혀 영

향이 없는건 아니지만 사실 500만 화소만 넘어가도 사진만봐서는 몇만화소짜리인지 구분하기 힘들어.. 오히

려 너무 높은 고화소는 작은센서에 고화소를 우겨넣다보니 노이즈가 생기는 경우도 종종 발생해... 요즘 고

화소 스마트폰이 나오면서 이제 디카를 넘어서는 기능들이라고(특히 애플계열애들) 구라를 치고있는데 현존

하는 기술력으로는 절대 불가능하다고봐...


카메라의 화질은 디카의 필름격인 센서와 렌즈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면돼.. 맨 윗짤에 센서크기를 비교해놓

은건데... 폰카의 센서는 저기서 제일 작은센서 크기만도 못해.. 거기다 렌즈도 작아.. 만약 스마트폰이 디카

시장을 넘본다면 컴팩트디카외에는 넘어갈일이 없을거야..


서론이 너무 길었네..



이제 디카에 대해 설명할께... 둘째짤이 컴팩트 디카야.. 센서크기가 첫째짤 센서크기표의 가장 작은애들이지..


디카하면 떠오르는게 바로 애들이야... 사실... 애들로 어항을 찍는건... 베타나 잉어, 메기, 쉬림프같은 움직

임이 거의 없거나 느린애들 외에는 찍기 힘들어.. 어항 대부분이 실내에있어서 어둡고 자동이기 때문에 셔터

스피드가 조절이 안되기 때문에 빠른녀석들은 100장 찍어서 한 장 건질까 말까지.. 그래도 어떻게든 찍고싶

다면 어항의 조명을 최대한 밝은걸로 가야돼.. 눈이부실정도로 강한빛이라면 만족하진못해도 겨우겨우 몇장

정도는 건질수있을거야.. 돈이 너무 없어서 어쩔수없이 이 디카를 사야한다면 최대한 밝은렌즈가 달려있는

걸 사야돼.. 아마 이계열에선F2.8정도가 가장 밝은 렌즈일거야.. 그리고 렌즈가 최대한 커다랗게 생긴걸로..



셋째짤이 컴팩트 하이엔드야.. 여기서부터 어느정도 맘에드는 사진을 찍을 수 있어.. 그만큼 가격도 비싸겠

지만.. DSLR의 수동기능을 어느정도 쓸수는 있으나 한계가있고 센서크기도 컴팩트에 비해 약간 큰 수준이라

화질면에선 DSLR이랑은 상대가 안되지만 크기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서 나같은 애들한테는 서브디카로 가장

인기높은 애들이야.. 간간히 RX1이나 시그마DP시리즈, 후지X100같은 DSLR빰 후려치는 센서의 디카도 나오

지만 가격도 뺨을 치니 별외로 할게..


물고기를 예쁘게 찍고싶으면 역시나 최대한 밝은렌즈를 사야돼.. 돈에 여유가 있다면 무조건 파나소닉의

LX7으로가... 하이엔드 계열에도 없는 F1.4렌즈가 달려있으니까.. 물고기 외에도 셀카같은것도 찍고싶으면

EX2F도 좋아.. 가성비로 따지자면 LX5나 EX1도 그렇저렇 좋은사진이 나올거야..



넷째짤이 하이엔드야..


DSLR처럼 생겼지만 렌즈교환이 안돼.. 대신 DSLR렌즈보다 많은 화각과 광각을 소화할수있지.. 예전의 DSLR

은 LCD를 보면서 사진을 찍을수 있는 라이브뷰 기능이 없었기에 센서크기만 작고 많은 화각을 커버하는 하

이엔드가 인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가격도 별차이가 없고 같은값이면 센서가 훨씬 큰 DSLR로 가서 지금은

별로 인기가 없어졌어... 물고기 사진찍는것도 마찬가지인데.. 거의 모즌기종이 고배율줌에 특화되어있어서

사실 추천해줄만한 기기가 없어...



다섯째짤이 요즘 최고의 인기인 미러리스카메라야..


DSLR은 뷰파인더로 사진을 찍기 때문에 카메라안에 거울을 넣어서 반사되는 사물을 보고 셔터를 누르게 되

어있는데 그 거울을 없애버리고 LCD를 이용해 사진을 찍기 때문에 미러리스 카메라라고 불러.. 몇몇기종은

뷰파인더를 전자식으로 바꿔서 미러를 없애기도 햇어..


처음시작은 마이크로포서드 센서를 만든 올림프스가 시작한건데.. 지금은 그것보다 큰 1.5크롭센서를 달은

삼성이나 소니가 만든 미러리스도 나와서 렌즈 종류를 제외하고는 보급형DSLR과 성능차이가 거의 없어졌

어.. 가성비로 추천할만한 카메라는 NX10에 30m 2.0팬케익렌즈 조합.. 두 개다합쳐도 70중반이면 구매할

수 있어.. 아니면 최고의 AF속도를 자랑하는 니콘J1에 30m팬케이크렌즈 조합..



여섯째짤이 바로DSLR이야..


최근에 각 회사들이 보급형을 많이 내놔서 많이 싸진듯 보이지만... 사실 카메라는 본체보다 렌즈가 더 비

싸... 전천후로 사용되는18~200m 렌즈만 해도 80후반인걸...


어항사진만 찍을목적이라면 이거사지말고 LX7이나 미러리스를 사...



일곱 번째 짤이 필름카메라와 화질을 겨룰수있는 유일한 카메라인 풀프레임DSLR이지..


이건... 센서 크기가 필름과 똑같아... 그리고 가격도 ㅎㄷㄷ하지...


사진기자나 사진작가, 사진관이나 스튜디오 할거 아니면 사지마... 이거 살돈으로 차라리 4자어항에다 소금

풀어...


이정도 까지가 카메라에 관한 설명이야... 날림으로 쓰다보니 두서도 없고 재미도 없고...


어항 물고기들 예쁘게 찍고싶은사람들을 위해 쓴글이 카메라 설명으로 끝나버린;;;;

사실 딴거없어...


조리개 최대한 밝게... 그리고 셔터속도는 최대한 빠르게 하되 너무 어둡게 나오지않게..


그러기 위해선 어항의 조명을 최대한 밝게.. 그게 다야...

조리개는 카메라 LCD창에서 F로 표시되는데 작은숫자일수록 밝은거야..


그래서 밝은 렌즈일수록 어항사진에 유리해..


LX7기준으로 따진다면 조리개F1.4에 셔터속도 1/250, 또는 그 이상이면 왠간히 빠른 물고기들도 어느정도

는 찍힐거야.. 그래도 안돼면 어항조명 좀더 밝게하고 셔터속도를 조금씩 빠르게 올려가며 찍어봐... 자기 자

신도 놀랄거야.. 너무 예쁘게 찍혀서...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8 수초 아무도 안궁금한 쿠바펄 관찰기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305 0
27 용품/ ph 시약용으로 BTB 용액 써본 후기.txt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10 0
26 담수 붓이끼 컨트롤에 대한 조언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99 0
25 담수 쿠낙의 서식처와 자살의 이유이야기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12 0
24 해수 해수 나도 할 수 있다-제4장: 여과 싸이클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38 0
23 해수 해수 나도 할 수 있다-외전: 사면 후회 안하는 장비들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32 1
22 해수 해수 나도 할 수 있다-제3장: 스키머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38 2
21 해수 (씹스왑)해수 나도 할 수 있다-제2장: 여과시스템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285 0
20 해수 (씹스왑)해수 나도 할 수 있다-제1장: 기획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311 0
19 담수 아피스토그라마 정보 사이트들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79 0
18 해수 (공략글) 책상위에 니모를 키워보자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961 2
17 해수 해수어 팁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39 0
16 레이아 수초항 샌드/소일 분리 방법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34 0
15 용품/ 몇 안되는 담수게이들을 위한 친절한 소일 개념 설명서.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327 1
14 용품/ 소일별 제조국가(정보,노가다)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64 0
13 해수 해수탐어학 개론 ver 1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534 0
12 담수 apistogramma and dwarf cichlids A to Z 3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40 0
11 담수 공지 -잉어키우기- 1,2,3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437 0
용품/ 물생활에 도움이되는 디카구매가이드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55 0
9 담수 수초를 키우고 싶은 분께 드리는 글 [1]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109 0
8 담수 비슈림프 사육에 관하여 -1.2.3.4.6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310 1
7 용품/ 잉여력 폭팔로 인한 질산염제거(탈질)정리 ~~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75 0
6 담수 식물로만 질산염/유기물 정화하는 방식이 불가능하지는 않아 (스압)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98 4
5 해수 Bini..K님의 해수어항기초입문 2.셋팅 백업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09 0
4 해수 Bini..K 님의 해수어항기초입문 1.장비구성 및 이해 백업 [2]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345 0
3 레이아 어항에 나무 심는 방법2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045 2
2 레이아 어항에 나무심는 방법(아쿠아포닉스,자연주의)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1134 0
1 공지 대피소의 대피소갤 입니다. [7] 허수아비주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6 222 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