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센세 학창시절 썰앱에서 작성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02.22 12:14:17
조회 547 추천 2 댓글 1
														

곽경택 감독의「친구」를 보면서 무엇보다도 먼저 나는 갑자기 나 자신의 추억에 잠겼다. (그리고 이것이 이 영화에 대해 글을 쓰는 "남자" 영화평론가들의 이상하게 공통된 서두이다. 그 반대로 이 점을 예외없이 "여자" 영화평론가들이 지적한다. 그러니까 이 영화는 사실은 다른 한편으로 "성차(gender)’에 대한 매우 노골적인 논쟁을 담고 있는 영화이다) 나는 매우 유감스럽게도(?) 곽경택 감독처럼 깡패 친구들을 두지 못했다. 하지만 (이상하게 사람들이 잘 믿지 않는데) 나는 중학교 시절 거의 깡패의 길을 걸어갈 뻔했다. 나는 주먹질을 하고 다녔으며, 반에서 싸움이 붙으면 바로 의자를 들어서 상대방을 부서지도록 내려 패곤 했다. 겁을 주기 위해서 맨 손으로 유리창을 깼으며, 지금도 오른손 네 번째 손가락은 그때 싸움을 하다가 부러진 손마디가 완전히 접히지 않는다. 삼학년 선배들은 나에게 자기네 써클에 들어오라고 손짓을 했으며, 주말이면 롤러 스케이트장에서 예쁜 여학생들에게 휘파람을 불곤 했었다. 언제나 모자는 삐딱하게 쓰고 다녔으며, 수업시간은 아예 돌아앉아 잡담하면서 시간을 죽이고 있었다. 입만 열면 상소리를 하고, 얼굴을 잘못 맞아서 코피를 흘리면 그걸 손바닥에 바르면서 상대방의 뺨을 갈기곤 했다. 피에 젖은 손바닥으로 뺨을 맞으면 그 다음날 얼굴이 퉁퉁 부어오르기 때문이다. 싸움을 하기 위해서 가장 어려운 일은 처음 상대방의 얼굴을 주먹으로 때릴 때이다. 둘이서 싸움이 벌어지면 먼저 붙잡을 생각을 먼저 한다. 그것은 상대방을 때릴 엄두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상대방을 때려서는 안된다고 배웠으며, 그러한 교육을 위반하는 것은 이미 몸 안에 육화되어있는 제도에 의해서 집행되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단 한번만 상대방의 얼굴을 주먹으로 때리면 그 다음부터는 그러한 망설임을 갖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야만에서 문명으로 가는 것은 오랜 시간을 요구하지만, 그 반대로 문명에서 야만적이 되는 것은 매우 간단한 일이다. 그저 위반하면 된다.



내게는 두 명의 친구가 있었다. 하나는 거의 코미디언이라고 할만큼 급우들을 항상 웃기는 친구였으며, 다른 한 명은 매우 아는 게 많고 책도 많이 읽었지만(그런데 그 책이라는 건 대부분 무협지이거나, 아니면 연애소설들이었다) 이상하게도 학교 공부와는 담을 쌓은 친구였다. 우리들은 매일 같이 어울려 다녔다. 우리들은 학교가 끝나면 동시상영 영화관으로 달려갔으며, 거기서 왕우와 깡따위, 적룡, 텐풍, 리칭, 정페이페이가 나오는 홍콩영화에 열광하였다. 솔직히 말하자면 내게 이소룡 영화는 별로 였다. (그래서 나는 그 시절 항상 친구들에게 진짜 홍콩영화는 주연이 문제가 아니라구! 도연이라고 쓴 데에 장철(Zhang Che)이라고 쓴 걸 보라구!라고 주장하곤 했다. 도연이라는 말이 감독이라는 걸 안 건 고등학교에 가서이다) 밤이면 나는 집에서 무협소설을 집필하느라고 밤을 새우곤 했다. 정릉이 집이었던 나는 성북구의 거의 모든 만화가게를 뒤져서 무협지를 독파했다. (나는 일주일에 무협지 한 질씩을 읽었는데, 이건 국민학교 4학년 때부터 시작해서 중학교 2학년 마지막 겨울까지 계속된 나의 독서이다. 나는 남들이 고전이라고 부르는 소설들의 대부분은 대학교에 가서야 읽었다. 일년이 52주이니까 260질정도 읽었다는 뜻이다. 보통 한 질이 5권이었는데, 그렇다면 1300권 정도 읽었다는 말이다. 그럴 지도 모른다. 나는 내가 좋아하던 무협지를 수집하기도 했는데, 부모님 몰래 200권 정도를 모아놓기도 했다) 우리는 학교 수업이 끝나고, 어둠이 내리고 나면 휘황찬란하게 불 켜진 도시의 밤거리를 쏘다니면서 세상의 비밀이라도 안 것 같은 웃음을 지어 보였다.



그때 영화관들은 동시상영이거나, 아니면 "쑈도 보고 영화도 보고"라는 이름을 내걸고 엉터리 쑈 단을 불러와 되지 않는 우스개 소리를 늘어놓고 있었다. 그 나이 때에도 아무리 봐도 아줌마가 분명한 뚱뚱한 여자들이 마치 물랭 루즈 캉캉 춤이라도 출 듯이 나온 뱃살을 힘겹게 감당하면서 올라가지 않는 다리를 들어 올릴 때마다 그 사이로 보이는 속옷에 어린 나의 친구들은 울렁이는 가슴을 숨기기 위해 야유를 보내곤 했다. 가수들의 이름은 너훈아, 남준, 김춘자, 이민자로 이어지는 유명 가수들의 철자놀이에 가까운 명단이 줄을 이었다. 종종 가수들은 오리지널과 비슷한 옷차림을 하고 나왔지만, 그들의 노래 솜씨는 형편 없었다. 음정 박자가 전혀 맞지 않는데도, 지금 생각해보니 신기한 것은 그들이 절대 립 싱크를 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때로는 객석에서 보다 못해 뛰어 올라간 인근 동네 청년이 훨씬 근사하게 노래를 한 곡 뽑고 내려오곤 했다.



그때 본 영화들 중에서「심야의 결투」와「의리의 사나이 외팔이」,「용호의 결투」,「권격」,「13인의 무사」,「아랑곡의 혈투」,「화월춘야」는 "내 어린 시절의 명작"들이다. 나는 이 영화들을 여전히 좋아할 지가 정말 궁금하다. 그러나 매우 유감스럽게도 어떤 경로로도 이 영화들을 다시 보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것이 이 영화들을 제작한 홍콩의 쇼 브라더즈사가 자신들의 판권을 값을 올려 팔기 위해 움켜쥐고 있는 까닭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건 (지금 부천 판타스틱영화제 집행위원장인) 김홍준 감독이 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다가 결국 무산되면서였다.



우리는 그때 레드 제플린과 디퍼플 중에서 누가 더 진짜 잘하는가를 놓고 다투었으며, 야전이라고 불리던 야외 전축 하나 갖는 것이 소원이었다. 밤마다 콧수염을 기른 이장희가 진행하는 동아방송의 영시의 다이얼을 들었으며, 그의 라이벌 라디오 프로그램은 허스키한 목소리의 서유석이 진행하고 있었다. 나는 새벽 열 두시가 넘어서 그 프로그램에 전화를 하는 여고생들이 정말 궁금했다. 만일 그 시절 내가 잠을 안자고 라디오를 듣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 아버지는 나를 거의 죽이려고 했을 것이다. 나는 원치 않았는데도 라디오를 듣다가 잠이 들어서 지지직거리는 라디오 소리에 깨어보면 가끔 북한 방송을 들을 수 있었다. 나는 아직 중학교 이학년 생이었으며, 세상에는 박정희가 살아 있었고, 아직 베트남전이 끝나지 않았으며, 나는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진) 이승복과 동갑이다. (지금 생각해도 가장 이상한 나의 동갑내기가 세 명인데, 한 명은 이승복이고, 다른 한 명은 "천재소년"으로 알려졌다가 오랜 시간 동안 완전히 사라졌던 김응용씨이고, 마지막 한 사람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아들이었던 박지만이다. 단 한마디로 말할 수는 없지만, 나는 그들에게서 내가 살아왔던 시대의 아우라를 "본다".



그런데 나는「친구」를 보면서 곽경택 감독이 친구들에 대해서 갖고 있는 관심에 비하면 이상하게도 그의 동세대에 대해서 유난히 무관심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또는 그 스스로 "자서전적인 영화"라고 밝힌 이 영화 속에서 이상할 정도로 자기가 살아온 시대에 대해서 그 어떤 기록도 거의 남기지 않는 것은 참으로 낯설게 보였다. 왜냐하면 그 시절은 살아오면서 세상에 대해 가장 예민했던 시절로 남기 때문이다. 심지어 나 같은 깡패 소년에게도 그러할지언데, 곽경택 감독처럼 모범생이 그러하다는 것은 내게 일종의 의도처럼 읽혔다. 정말 그럴 지도 모른다.) 낮에는 학교에 트랜지스터를 들고 가 오후 3시가 되면 알 수 없는 반항적인 기분이 넘쳐나는 양희은이 진행하는 방송을 들을 지, 아니면 차분하면서도 소녀 같은 청순함이 감도는 박인희가 진행하는 방송을 들을 지 점심 때부터 근심에 잠겼다. 그러나 내가 깡패가 되었을지도 모르는 나날은 예기치 않은 사건으로 끝났다.



나의 중학교 이학년 담임선생님의 별명은 삼룡이였다. 담임선생님은 자주 아이들을 때렸다. 물론 나쁜 일을 한 아이들을 때렸지만, 담임선생님에게는 나쁜 습관이 있었다. 매를 드는 대신 종종 아이들의 뺨을 때리곤 하였다. 내 친구는 전 날도 청소를 안하고 집에 갔다. 더더구나 그날이 이학년을 마치는 마지막 날이었기 때문에 더더구나 그랬던 것 같다. 우리는 그 전날 사이좋게 종로에 있었던 한일극장에 가서 홍콩영화를 보았었다. 이제 막 시작할 봄방학 앞에서 자못 들떠서 그날도 빨리 종업식을 끝내고 영화를 보러갈 참이었다. 그런데 그 전날 청소를 안하고 도망친 친구들의 명단을 불렀다. 내 친구는 입버릇처럼 "한번만 더 내 뺨을 때리면 죽여버린다"고 말하곤 했었다. 나는 그걸 그저 하는 말이라고 생각했다. 그것도 교실 안에서 담임선생님에게 저항한다는 건 중학교 이학년인 나이에 상상하긴 어려운 일이었다. 친구는 불려 나갔다. 나는 그저 재수 없군, 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친구가 맞는 모습이 보기 싫어서 공책에 낙서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바로 그때 내 친구의 큰소리가 들렸다. "우리 아버지도 뺨을 안때리는데 니가 먼데 때려"라고 외치는 소리를 들었다. 그리고는 내 친구는 주먹으로 담임선생님의 얼굴을 정확하게 때렸다. 아이들은 모두 얼어붙었고, 담임선생님은 순간적으로 이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처럼 멈칫 하였다. 그냥 일방적으로 내 친구에게 서너대를 더 맞았다. 그때 담임선생님의 반응을 나는 잊지 못한다. 삼룡이는 내 친구와 같이 갑자기 주먹질을 시작한 것이다. 그건 싸움도 아니고, 아무 것도 아니었다. 그건 시장 바닥에서 시비가 붙어 난 주먹질이었다. 그 모습은 길지 않았다. 어떻게 알았는지 체육선생님이 달려와 문을 박차고 들어오더니 내 친구를 바로 발로 배를 걷어차서 죽은 개처럼 던져버렸다. 이 표현은 과장이 아니다. 말 그대로 내 친구는 허공에 붕 뜬 다음에 책상 세 개를 넘어 곤두박질 쳤다. 종종 체육선생님은 자신이 국가공인 태권도 3단이라고 자랑하곤 했다. 우리는 그걸 거짓말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 말은 정말이었다. 그리고 어린 열네살 내 친구를 상대로 자신의 실력을 증명하였다. 넘어진 채 도망칠 수 없을 정도로 쓰러진 내 친구를 향해 공부하는 책상을 밟고 건너가더니 위에서 뛰어내리면서 발로 십여분을 걷어차고 짓밟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내 친구는 신음소리 한번 내지 않았다. 어쩌면 내가 그 소리를 듣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는 일어나지도 못하는 내 친구를 질질 끌고 갔다. 내 친구는 퇴학을 당했고, 나는 일주일 후에 삼 학년이 되었다. 나는 우리 반에서 주의 인물이었고, 새로운 담임선생님은 내게 의미심장한 얼굴로 청소가 하기 싫으면 그냥 집으로 가라고 했다. 아이들은 아무도 내게 싸움을 걸지 않았다. 하지만 나는 그 후 아무와도 싸우지 않았다.



고등학교 때 내게 싸움을 건 같은 반 아이에게 그냥 일방적으로 맞았다. 왜 그런지는 나도 잘 모른다. 그런 일이 싫어졌다.



그 해 겨울 나는 가장 친한 친구를 잃어버렸다. 그 후 두세 번 더 만나기는 했다. 그러나 그 친구는 빠르게 변했다. 삼룡이와 돈을 주고 합의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교장선생님에게도 돈을 주었다고 한다. 그리고 없던 일로 한 다음 몸이 아파서 일년 쉬었다고 학적부를 정리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학교도 오래 다니지 않았다. 다음 번에 만났을 때에는 검정고시를 다닌다고 했다. 그러나 그의 관심은 이미 여자에게로 옮겨가 있었다. 내게 여자를 임신시킨 다음 어떻게 유산시키는지를 이야기해 주었다. 나는 그런 이야기가 재미없었다. 고등학교 시절 나는 영화를 혼자 보러 다니기 시작했다. 내 친구에게 더 이상 연락이 오지 않았다. 어쩌면 그도 내가 더 이상 재미없어졌는지도 모른다. 나는 그 친구가 지금 무얼 하는지 모른다.





모든 사람들의 기억은 다를 것이다. 그러나「친구」를 보면서 사람들이 떠올리는 친구는 그런 의미에서 친구인 것이 아닐까? 혹시 내가 가장하면서 그 안에서 자신을 엿보게 만드는 그 안에서 나는 이미 친구의 자리에 있는 것은 아닐까, 라는 의심은 과장이 아닐 것이다. 그럼으로써 친구의 자리가 기억 안에서 차지하고 있는 것은 친구라는 대상이 아니라, 대상의 모습으로 자리잡은 질문처럼 다시 되돌아오는 것이다. 나는 그 안에서 나 자신을 연장하면서 동시에 그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친구를 그 자리에 가져다 놓는 것이다. 친구는 자꾸만 나에게 대답하지 않으면서 그 안에서 무언가를 쓰러트리려고 한다. 나는 친구의 힘을 빌려, 그 사건의 논리를 끌어들여, 상징적인 그 무언가를 무시하고, 그 힘으로 질서 없는 혼란을 바라고 있는 것처럼 여겨진다. 그 친구와의 좋은 기억 중에서도 유독 가장 나쁜 기억이 떠오르는 것은 사건 그 자체가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좀 더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나는 기억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나쁜" 내용을 바라고 있는 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그것이 왜 필요해진 것일까? 내가 영화「친구」에서 물어보려는 것은 그것이다. 나는 그것이 곽경택 감독의 기억 안에서 얼마만큼의 진정성 여부를 갖고 있는지는 별로 관심이 없다. 나를 이끄는 것은 사람들이 왜 이 영화를 그렇게 좋아하는 가에 있다. 대중적으로 성공한 영화는 그 안에 대중들의 무의식의 합의가 담겨있는 것이다. 나는 그 합의의 정체가 궁금하다.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155 잘있어라 멍청이들 [1]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84 0
150 저에겐 크리스마스 선물은 필요 없어요 [6]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5 107 0
137 영화로운 날입니다 [5]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5 80 0
131 갤주도 인정할 프렌치 시네마 [2]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2 95 0
130 도주하는 아이 자막 만들었습니다 [5]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27 108 0
126 센세 당얼앞 gv [2]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9 73 1
125 갤주도 인정할 프렌치 시네마 [3]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7 106 0
122 센세의 사사로운 리스트 [4]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117 0
118 센세의 유아인 글 [1]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4 293 2
117 퍼스트 카우 정말정말 짧은 후기 [3]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4 96 1
116 굿즈충은 아닙니다만 [1]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4 60 0
108 정갤러 여러분께 [2]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5 82 1
107 정듀홍 영화제 갤주썰 [3]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5 105 4
99 정듀홍 재밌었나요? [1] ㅇㅇ(58.239) 21.10.11 68 0
98 갤주가 동경방랑자 픽한 이유가 낭만적이었는데 [6]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1 108 0
97 211010 정갤독점 갤주 직찍 [4]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0 93 0
96 갤주 덕에 동경방랑자 봤음 [1]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0 68 0
95 갤주보러옴 [1]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0 54 0
93 내일 하바바분 기대된다 [1]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8 64 0
92 정듀홍 취소했다… [2] ㅇㅇ(211.36) 21.10.08 60 0
91 부국 일기 끄적 [2]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7 92 0
90 211007 봉마구치 직찍 [2]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7 73 0
88 부국 8일 시간표 필요한 정갤러있나 [2]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6 47 0
87 직전 정듀홍 상영작은 뭐였나요 [2]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5 62 0
86 올리 마키의 가장 행복한 날 자막 만들었어요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04 66 0
81 갤주님 대전 강연 [2]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30 57 0
78 부국제 시간표 完 [3] ㅇㅇ(125.191) 21.09.30 79 0
77 정듀홍 그냥 예매했다 [1] ㅇㅇ(125.191) 21.09.30 38 0
76 정듀홍 [2]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30 55 0
75 다들 정듀홍 예매했냐? [2]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30 64 0
74 용과 주근깨 공주 짧은 스포 후기 [4]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9 75 0
73 아라가네의 순수함 [4]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3 129 1
72 여기 불참하는 정갤러 없지? [6]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3 113 0
64 정성일의 원칙 [2] ㅇㅇ(222.114) 21.06.15 128 0
63 센세 다시 영전 와주세요 [1]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5 70 0
61 더블라지오야 영전 다음 프로그래머 누가하냐 [3] ㅇㅇ(223.39) 21.06.15 85 0
60 [1] ㅇㅇ(223.39) 21.06.15 40 0
59 갤러리 순회열차입니다. [3] 순회열차(220.92) 21.02.25 124 0
58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입니다 [1] ㅇㅇ(122.128) 21.01.18 95 0
56 본인 2020년 베스트10 (개취주의) [1] 성일쿤의코끼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31 290 1
53 필갤이나 와서 글리젠좀 늘려줘라 [1] ㅇㅇ(180.65) 20.12.19 86 3
52 사회주의 만세 [2] ㅇㅇ(39.7) 20.12.19 111 2
51 갤매님 영전 질문 하나만 할게요.. [11] ㅇㅇ(118.235) 20.10.01 156 0
50 온 김에 녹음 했던 거 올리고 싶은데 [3] 김창진(211.227) 20.08.11 156 0
49 누벨 누벨바그 마이너 갤러리는 김창진(211.227) 20.08.11 104 0
48 여기가 누벨 누벨바그갤러리인가요? [1] 김창진(211.227) 20.08.11 139 0
46 영화의 전당 장-뤽 고다르 특별전 II 정성일 강연 [1]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6.16 138 0
45 정성일이 압구정에 [온다] (4/9)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3.31 153 0
44 [CGV 명씨네] '페인티드 버드' 라이브러리톡 (4/5)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3.28 103 0
43 정성일의 21세기 영화 30편 [5] 더블라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3.07 247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