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데이트 : 01.06)
현재 니케에 존재하는 조합 리스트
예전에 한차례 글을 썼고
레후 픽업 이후로 메타가 많이 바뀌어서 새로 뜯어 정리했습니다
(🔽 과거의 유품)
ㅡㅡㅡ

1. 리누블 + a
(리타, 누아르, 블랑)
- 1~2군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베이스 조합
- 리누블홍모, 리누블앨모, 리누블레모, 리누블앨맥, 리누블앨흑 등등
자신의 3버 딜러 성장 차이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티아나가에 비해 누블랑은 도발이 없어 안정성이 좋고,
탄충이 있기 때문에 장탄이 중요한 딜러들의 고점을 쉽게 높일 수 있습니다.
(ex. 모더니아는 리누블과 같이 사용할 시 850발부터 무한탄창)
- 장점 : 리타의 쿨감+탄충+엄폐물회복, 블랑의 힐+쉴드+뎀증, 누아르의 탄충+공뻥+명중보정 등등
챙길 수 있는 버프는 다 챙긴 조합입니다.
- 단점 : 막탄 기믹이 있는 니케와는 역상성이 나며
누아르가 화력형이기 때문에 남의 버프를 뺏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리티나 + a
(리타, 티아, 나가)
- 1~2군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베이스 조합
- 리타가 1군이기 때문에 리타 대신 볼륨을 채용해서 '볼티나'로 쓰는 경우가 많으며,
리티나는 주로 하드를 밀때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 누블랑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조합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장점 : 리타의 쿨감+탄충+엄폐물회복, 티아의 뎀증+쉴드, 나가의 코어뎀증+힐+공뻥
누블랑에 비해 데미지 버프가 많아 고점이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 단점 : 11233이 강제라서 보스전에선 모더를 쓸 수 없고,
티아의 도발 때문에 티아가 일찍 죽는 경우가 많아 오토 플레이에선 변수가 많습니다.

3. 레티나 + a
(레드후드, 티아, 나가)
- 하드에서 가장 고점이 높은 조합
- 1~3버 모두 발동이 가능한 레드후드를 1버로만 사용합니다.
- 2번째 버스트까지는 무난하게 풀버스트를 돌릴 수 있지만,
3번째 버스트부터는 레드후드의 1스 쿨감이 사라져 20초를 추가로 기다려야 합니다.
따라서 제한시간이 1분 30초인 하드에서는 일부러 잡몹 1마리를 남겨놓고 쿨타임을 기다리는 기행적인 플레이가 강제됩니다.
- 일반적으로 레티나앨모, 레티나홍모로 알려져 있지만,
스테이지에 따라서 클루드, 수니스, 맥스웰, 백설 등등을 쓰기도 합니다.

4. 리센홍모라
(리타, 센티, 홍련, 모더니아, 라푼젤)
- 과거 누블랑, 나가티아가 나오기 전까지 쓰였던 국룰 조합
- 센티의 쉴드와 버스트 수급, 라푼젤의 힐과 부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방어적인 성격이 강합니다.
- 다른 조합에 비해 딜이 낮아, 다른 컨텐츠에선 쓰기 어렵습니다.
근데 언급 안하면 좀 서운하니 그냥 언급함

5. 도말홍수프
(도로시, 마르차나, 홍련, 수니스, 프리바티)
- 마르차나 픽업 당시 사용되었던 조합
- 도로시와 수니스, 홍련의 포텐셜을 올리기 위해 프리바티를 쓰고,
동시에 수니스의 "전격 니케에게 공뻥과 장전 시간 감소 버프"를 홍련에게 걸어줍니다.
이렇게 되면 홍련이 장전을 까먹어서 미친 속도로 자기 배를 갈라버리므로
홍련의 할복을 멈추기 위해 마르차나가 기용됩니다.
- 힐이 필요없는 보스전(ex. 디거)에선 간헐적으로 마르치나 대신 마스트를 쓰기도 합니다.
- 최근 들어 "공격력이 가장 높은" 니케에게 죽창을 꽂거나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가하는 보스가 생기는 홍련 죽이기 현상이 나타나
홍련을 빼는 방안으로 아래의 도폴비수프를 자주 쓰게 됩니다.

6. 도폴비수프
(도로시, 폴리, 비스킷, 수니스, 프리바티)
- 현재 3군으로 사용되는 조합.
- 프리바티 + 지원형과 방어형으로만 이루어진 덱으로,
지원형 니케(수니스, 도로시)에게 공뻥과 힐을 주는 비스킷을 채용했으며,
블랑/티아를 제외한 2버 중에서 가장 고점을 높일 수 있는 폴리를 쓰게 됩니다.
- 비스킷은 전격 니케이기 때문에 수니스의 공뻥과 장전 시간 감소 버프를 받으며,
프리바티의 버프로 인해 비스킷이 무한 탄창이 되기 때문에 하루종일 톡톡이를 할 수 있습니다.
- 장점 : 스킬딜 위주임에도 부위가 많은 보스일수록 높은 고점을 뽑을 수 있고,
별다른 스킬 투자 없이 아주 싼값에 고점을 올릴 수 있습니다.
- 단점 : 톡톡이가 강제라서 손꾸락이 존나 아픕니다.

7. 볼마홍뚜노
(볼륨, 마스트, 홍련, 2B, 노이즈)
- 2B 픽업때 사용된 조합으로, 현재로선 짬덱으로 쓰거나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 2B의 고점을 높이기 위해 최대체력 증가가 달린 노이즈와 마스트를 채용하고,
최대체력 증가로 인해 홍련 2스를 쉽게 킬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게 되면서,
동시에 볼륨으로 홍련과 뚜비의 평타딜을 높인다는 컨셉입니다.
- 과거에는 자마뚜헬헬이라는 조합을 썼었으나, (자칼, 마스트, 2B, 헬름, 수헬름)
자칼의 버스트가 2B 버스트의 딜을 올려주지 않는 너프를 당하면서 사장되었습니다.

8. 볼티나백맥
(볼륨, 티아, 나가, 스노우화이트, 맥스웰)
- 티아/나가 픽업 당시 썼었던 3군 백맥덱,
현재로선 유니온 레이드나 힐러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 티아나가의 코어데미지와 볼륨의 크리티컬 확률 버프를 중심으로,
백설의 크리뻥 코어뻥 관통뻥으로 큰 거 한 방을 노릴 수 있습니다.
- 백맥덱은 바리에이션이 엄청 많지만, 이 덱만 꼬집어 언급한 이유는
백설덱 중에서 티나를 쓰는 덱이 고점과 안정성이 제일 높습니다.
- 하지만 레드후드 픽업 이후, 레후에게 티아나가의 똥까시를 뺏기게 되면서
현재는 아래의 "백율" 이라는 과거의 백설덱이 주류가 되었습니다.

9. 미도백맥율
(미란다, 도라, 스노우화이트, 맥스웰, 율하)
- 현재 레이드 주요 3~4군덱
- 미란다, 도라, 맥스웰, 율하의 공뻥을 백설이 냠냠 쳐먹어서
큰 거 한 방을 노려 고점을 뽑겠다는 뜻입니다.
- 보스가 철갑 약점일 경우 도라 대신 수헬름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받는 데미지 증가)
- 도라는 10초마다, 율하는 30초마다 스쿼드에게 공뻥 5초의 버프를 줍니다.
2개의 버프를 동시에 받는 타이밍에 백설 버스트를 쏘는 세계선을 연구하는 것이 가장 큰 숙제이며,
동시에 백설단이 변태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
- 한창 백설이 연구되던 과거에는 도로시, 프리바티, 클앤 등등 여러 캐릭들이 쓰였지만
현재까지 남아있는 덱은 율하덱 하나 뿐입니다.
- 단점 : 백율은 백설덱 중에서 존나 어려운 덱이라 많은 숙련도가 필요합니다.
힐러가 필요한 보스일수록 백율덱을 쓰기가 힘들어지고.
백설은 필그림이라서 돌파가 비교적 낮아, 되려 맥스웰이 미란다의 공버프를 뺏어먹는 참사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10. 수어리 + 클루드
(메어리 : 베이 갓데스 + 루드밀라 : 윈터 오너)
- 클루드 이후로 현재로서 연구되어지고 있는 5군입니다.
- 수어리의 '수냉 니케 공뻥'으로 클루드의 포텐을 올리는 덱입니다.
보통은 수어리의 '최대 체력 증가'로 2B의 포텐도 올려서 일석이조로 덱을 굴립니다.
나머지 2자리는 비슷한 이유로 수헬름, 마스트를 채용하게 됩니다.
- 갤에선 유명하지 않는 조합이지만 현재 솔레의 몇몇 랭커덱의 짬덱이며
클루드 픽업한지 얼마 안됐으니까 걍 올렸음 하하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