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논평/정보] 오리가미(折り紙)

59(59.11) 2018.12.22 20:24:02
조회 1628 추천 75 댓글 3
														

한국은 항상 일본의 좋은 것들을 보면 반일 감정으로 사람들을 선동해 일본의 문화를 자기네 것들로 포장해온 사실을 다들 알 것이다. EX) 사쿠라, 와규, 태권도, 스모, 사무라이, 일본해 등등


오리가미(折り紙) 같은 경우도 저런 선동에 포함되는데 오리가미를 한국 안에서 종이접기라고 부르는 거까진 문제 삼을 일은 아니지만 최근에는 단체까지 만들어서 종이접기(Jongi jupgi)라는 표기를 오리가미(Origami)를 제치고 세계 표준으로 만들기 위한 활동까지 펼치고 있었다. (어감이 워낙 쓰레기라 그럴 일은 없어 보이지만)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fc373c80dcfa48e3fe2ea89a

ㄴ 이런 식으로


종이접기에 대한 선동의 내용도 하나같이 제대로 된 근거가 아닌데


1. 고구려에서 종이가 일본으로 건너 갔으니 당연히 종이접기도 일본으로 이 때 건너갔을 거란 뇌피셜


2. 한지의 우수성을 볼 때 한국이 종이접기의 원류라는 것은 당연하단 뇌피셜


3. 삼국시대의 무당들이 종이 고깔을 썼으니 종이접기는 한국이 원조(아무런 사료도 없는 뇌피셜)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ab67328289a81ee4fe34b69a


종이를 이용한 창작 문화는 일본이 아닌 다른 지역(중국, 유럽)에서도 찾을 수 있으나 현대의 세계인들이 즐기는 종이접기는 일본식 종이접기(오리가미)라는 사실은 명확하다. 보통 서양의 종이접기와 동양의 종이접기는 20세기까지 관련 없이 독자적으로 발달한 것으로 보지만 중국과 일본 같은 동양 국가 사이에서의 관계는 불명확하다.


종이접기 기호는 일본의 요시자와 아키라가 사용하던 도면 표기법이 국제 표준이며 미국과 유럽에서도 오리가미를 가르치며 미국종이접기협회 창시자인 릴리언 오펜하이머의 제안에 의해 오리가미는 종이접기를 의미하는 국제 용어가 되어 일본어가 세계 표준으로 정착한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 영어 단어인 Paperfolding은 종이를 접는 게 아니라 종이 모형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둘을 구별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현재 오리가미라는 용어는 매우 흔하게 쓰여 종이접기용 종이 역시 오리가미 페이퍼라고 하고 종이를 활용한 창작 행위를 하는 사람들 역시 스스로를 오라기미 디자이너라 칭한다. 오리가미는 정통 일본 종이접기가 아니어도 종이를 활용한 창작 행위를 지칭하는 포괄적인 용어가 되었다.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aa3263818dad4bb4fe34b69a


오리가미가 언제부터 시작됐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기록상으론 헤이안 시대인 12세기의 시인인 후지와라노 기요스케의 청보조신집(清輔朝臣集)에 "종이로 접은 개구리"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 것이 최초이다. 이로 보아 종이가 일본에 들어온 7세기~12세기 사이에 등장했으리라 추정된다. 이후 일본인들에 의해 닥나무와 안피나무의 섬유를 이용한 제지공법이 발달했고 덕분에 얇고 질긴 종이를 만들 수 있어 오리가미에 최적인 종이를 만들게 된다. 이 시기에 종이는 대단히 귀한 것이어서 서민들이 즐길 수 있는 문화는 아니었다.


일본에서는 오리가미의 시초를 '하라이'라는 고대 신앙 습속 때 사용되는 종이인형인 카타시로라고 보고 있는 것 같다. 또 사계절이 뚜렷한 일본 환경상 계절에 맞춰 농사와 축제를 했는데 신에게 바치는 공양물을 포장하는 양식이 발달했고 이것이 후에 의례용 종이접기인 오리카타로 이어지게 된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무가 사회의 예법 중 하나로 선물을 예쁘게 포장하는 '오리카타'라는 문화가 등장한다.(원형은 가마쿠라 시대에 등장했다고 한다. 무로마치 시대에 40 종 이상의 종이 접기가 나타났다고 한다.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ac3061d4d9aa1be7fe34b69a


이렇게 무로마치 시대에 의례용 종이접기가 발달하고 무로마치 시대 이후 막부의 예법을 가르치던 이세 사다타케가 저술한 호오케츠키(包結記, 1764년)라는 책을 통해 사회 전체에 일반적인 문화로 퍼지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1680년 에도 시대의 시인인 이하라 니시츠루가 읊은 "노제의 꾼 꿈의 나비는 오리스에(盧齊が夢の蝶はおりすえ)"에서도 종이 접기 문화의 흔적이 드러난다. 오리스에는 오초·메초(숫나비·암나비)라 불리는 종이접기로 결혼식 때 사용되었다.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45e6f620f60ca269e719a34fbad91d319f36e5cc4130dca5d5ae


놀이용 종이접기 문화가 널리 보급된 건 에도 시대이다. 종이의 생산이 급속도로 많아지면서 서민들도 향유하는 문화가 된 것인데, 에도 시대 말기에는 오리카타에서 발전된 수백 종류의 오리가미가 서민들에게 보급되었다고 한다.


사진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이접기 책인 "히덴센바즈루오리카타"로 1797년 출판되었으며 49개의 종이학이 연결된 종이학이 소개된다.(근데 접는 방법은 제대로 안 나와서 저거만 보고 작품을 완성시키는 힘들거라고 함) 그 외에도 에도 시대의 수필인 희유소람(嬉遊笑覧), 가부키 작품인 카나데혼츄신구라(名手本忠臣蔵)에서도 오리가미 문화를 살필 수 있으며 이 시기에 학, 배, 개구리 모양을 접는 방법이 70개 이상이었다고 한다.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fa673684dead4be7fe34b69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a93236d488a911e5fe34b69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a6673286defa4ab4fe34b69a


18세기~19세기 일본의 풍속화에선 종이학이나 얏코산 같은 전승종이접기가 등장하는데 기모노에 삽화로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ad606680d8fc1be5fe34b69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fb3732d1d9ad19b2fe34b69a


사진이 메이지 시대의 책이라는 듯?


메이지 시대가 된 이후에도 오리카타 관련 책들이 다수 등장하여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포장 기술을 습득했으며 오리가미 작가라는 사람들이 등장하여 문화가 쇠퇴하지 않았다. 19세기 중반 독일의 프뢰벨의 교육법 중 종이접기가 포함돼 있는데 이것이 일본에서 채택되면서 일본의 오리가미에 통합되었으며 유치원 교육에서도 오리가미가 이용됐으며 "놀이 문화"로의 성격이 강해지게 되었다. 다이쇼 시대에는 기존의 오리가미에서 벗어나 새로운 창작을 하려는 시도가 크게 늘어났다고 한다. 이 때부터 정사각형의 종이 하나로 접는 정통 방식에서 벗어나는 시도가 늘게 되었다.


1950년대 들어서 영국의 로버트 하빈, 미국의 릴리언 오펜하이머, 일본의 요시자와 아키라 등에 의해 오리가미는 세계인들의 문화가 되기 시작했다. 1973년에 설립된 일본 오리가미협회에서, 그때까지 작가마다 개별적으로 사용했던 기호와 명칭을 통일해서 종이접기 애호자들의 공통 기준을 만들었고 국제 표준이 되었다고 한다.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ac3736d6dcaa18e4fe34b69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aa673d8682ae1eb4fe34b69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a96966d7d9aa19e4fe34b69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45e6f620f60ca269e719a34fbad91e33973fe3cc4636dca5d5ae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45e6f620f60ca269e719a34fbad9483fcc64b9cf463bdca5d5ae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0bbaa44af60ca66ee97faa6830d48efb11e0fe34b69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fee87fa11d02831c3cad598d6c02bb0ff75d5f6ac202f5791b2e9a5ac3c45e6f620f60ca269e719a34fbad94e349c3eb59a4332dca5d5ae


이런 아름다운 문화가 한국의 것으로 날조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추천 비추천

75

고정닉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5070 공지 본 갤러리 방침 안내 [6] 실라(211.230) 19.11.04 2522 19
14471 공지 나루히토 천황폐하 즉위식 영상. 러브재팬(211.230) 19.10.23 2275 62
7695 공지 천황폐하 퇴위 의식 ‘퇴위례정전의례’ 영상 令和레이와(118.43) 19.04.30 2035 60
7184 공지 새 연호 발표.jpg [6] 킴취(121.133) 19.04.01 2351 35
3937 공지 일본의 세계 유산-2 59(59.11) 18.08.11 2699 48
3933 공지 일본의 세계유산 - 1 [8] 59(59.11) 18.08.11 3369 42
1130 공지 신고·건의 게시판 gen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2.11 5853 85
45925 일반 반일을 하면서 일본은 왜 가는 거냐? ㅇㅇ(220.82) 06.08 26 0
45924 일반 한국인이 일본 신사에가서 한 행동관련해서 뉴스를 티비로 봤는데 [2] 일갤러(49.165) 06.07 40 0
45923 일반 일본 vs 한국, 경제 (한국 승인가요?) [1] 일갤러(211.198) 06.07 44 0
45922 일반 꼬맹이 때 부터 하루종일 암기, 문제풀이만 하게 하는 한국 양육방식 말임 미노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41 0
45921 일반 한국 부모들이 아이의 호소 요구 입장 묵살하는 이유. TXT 미노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31 0
45920 일반 이거 조센징 반일선동임? [1] 일갤러(14.45) 06.06 40 0
45919 일반 적게 잡아도 한국인 50퍼센트 이상이 일갤러(211.202) 06.05 47 2
45918 일반 한국 양육법. TXT 미노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39 1
45917 일반 일본은 왜 단독주택 많이 살지 미노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43 1
45915 일반 와 무슨 프리메이슨 같네... ㅇㅇ(211.224) 06.01 139 12
45912 일반 자이니치들은 왜 일본에게만 글로벌시대 타령하냐? [1] ㅇㅇ(220.82) 05.31 46 2
45911 일반 일센 생겐조약이니 비자 폐지 같은 말이 나오는 것도 ㅇㅇ(220.82) 05.31 80 4
45910 일반 일본제국 시절과 비교하면 현대 일본 정치인들은 한심하지 ㅇㅇ(220.82) 05.30 51 2
45873 일반 日本은 靈魂을 淨化시켜준다. ㅇㅇ(59.24) 05.12 183 9
45890 일반 일본의 노인들 인상 [6] 일갤러(36.39) 05.19 176 4
45891 논평/ 일본이 언제부터 강간을 미화하는 나라였냐? [5] 샬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79 12
45896 논평/ 일본의 아킬레스건은 다른게 아님 [3] 일갤러(125.61) 05.22 259 7
45908 일반 옛날 사무라이들 참 신기하지않냐? ㅇㅇ(59.24) 05.27 103 7
45907 일반 일본 중국 한국 3국 회담 왤케 웃기냐 일갤러(211.202) 05.27 53 3
45905 일반 일본은 조선 패는 수단일 뿐이지 일본을 올려칠 필요는 없음 [5] ㅇㅇ(194.165) 05.26 184 11
45904 일반 근데 니들이 보기엔 일본인들 행복해보여? [2] 일갤러(182.224) 05.26 91 0
45903 논평/ 조선반도에 미남 미녀가 없는 이유는 흡사 나고야와 같음 [2] ㅇㅇ(121.144) 05.26 123 2
45902 여행 여행다녀와보고 느낀점 [2] 일갤러(211.207) 05.26 80 0
45901 일반 야요이유전자가 남자는 존잘인데 여자의 경우는 여자매력하향.. 일갤러(126.200) 05.25 155 9
45900 일반 한국이라는 나라가 답이 없는 이유 [1] 샬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86 2
45897 일반 이런문양 머라고부르는지 아는일갤있음 ? [3] ㅇㅇ(221.155) 05.23 84 1
45895 논평/ 살라자르를 존경했던 일본 외교관의 한탄 [2] ㅇㅇ(125.61) 05.22 116 2
45894 일반 동아시아 유전자가 진짜 뒤틀림. [2] ㅇㅇ(220.78) 05.22 179 11
45892 이민 일본에 사는 한국사람들 이상한 사람 많은듯 [3] 일갤러(60.73) 05.21 128 3
45889 일반 성형 세계 1위는 말도 안되지 ㄹㅇ [2] ㅇㅇ(59.24) 05.19 187 10
45888 일반 솔직히 스시녀도 못생기면 걍 끝이야 ㅎ 일갤러(50.7) 05.18 280 14
45886 일반 일본열도에 야요이인만 없었으면 [3] 일갤러(222.121) 05.17 277 10
45884 일반 야후 지식주머니에서 답글더보기하려면 로그인 해야하나 일갤러(1.219) 05.16 31 0
45883 일반 조선인 특유의 인상들 [4] 일갤러(36.39) 05.16 205 11
45882 일반 독일의 사죄는 유대인에게만 일갤러(36.39) 05.16 43 0
45881 일반 스스로 일본인이 되고싶었던 조선인들 일갤러(36.39) 05.16 57 0
45880 일반 합병당일날 조선인들 반응 일갤러(36.39) 05.15 49 0
45879 일반 역사를 제대로 알면 반일감정은 사라진다 일갤러(36.39) 05.15 43 0
45878 일반 일제시대를 통해 문명화 되었던 조선 일갤러(36.39) 05.15 40 0
45877 일반 유관순은 허구의 인물인가 일갤러(36.39) 05.15 42 0
45875 일반 일본의 단점은 [6] ㅇㅇ(59.24) 05.13 184 7
45874 일반 오늘 버스타면서 인상깊은 경험함 [6] ㅇㅇ(59.24) 05.13 219 19
45872 일반 백인(코카소이드)도 유색인종들이 있기에 그 가치가 돋보이는 거임. 일갤러(1.52) 05.12 204 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